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체조선수들의 2×2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 간의 관계에 자기관리 조절효과

        곽선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oderatoring effects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sport ability beliefs and gymnastics efficacy with female gymnasts. The participants were 120 female gymnas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each variable. Descriptive analysis, One-way MANOVA,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showed as follows: First, athletes were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mastery-avoidance than common athletes but common athletes were appeared to have higher of performance-avoidance. On the other hand, athletes showed higher scores in all sub-factor self-management and incremental belief of sport ability belief and gymnastics efficacy. Seco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port ability beliefs, gymnastics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n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sport ability beliefs and gymnastics efficacy. However, the extent of its influence on the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이 연구는 여자체조선수들의 우수정도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이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능력믿음과 체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관리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124명의 여자체조선수들에게 성취목표성향, 자기관리, 스포츠능력믿음, 체조효능감 질문지를 배포해서 자료를 수집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일변량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의 숙달회피는 우수선수가 수행회피는 비우수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과 스포츠능력믿음의 증가된 믿음, 그리고 체조효능감에서는 모두 우수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능력믿음에 대한 자기관리의 조절효과, 그리고 체조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체조효능감에 대한 자기관리의 조절변수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능력믿음과 체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의 정도는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나 자기관리변인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다.

      • KCI등재

        체조선수들의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

        이수근(Lee, Soo-Keun),김동화(Kim, Dong-Hwa)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는 체조선수들의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스포츠 능력믿음과 스포츠수행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한체육회에 선수등록 된 선수들 중 제72회 전국종별체조선수권대회 마루운동 종목에 참가한 남․여 체조선수 280명 중 불성실한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총 2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열정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포츠 능력믿음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obel Test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운동열정이 마루운동 연기구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포츠 수행전략은 완전매개효과 및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에서는 지도자들이 심리적 훈련기법과 병행하여 심리 행동전략 특성으로 나타나는 선수 개개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연기구성의 수준을 고려한 선수 개인별 심리 행동전략에 세심한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ability belief and sports performance strateg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respondents among 280 male and female gymnasts who are members of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participating in floor exercise at the 72th national gymnastics tournament, 13 insincere respondents were excep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in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although the sports ability belief was partially mediating, the Sobel test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effect of exercise enthusiasm on the composition of floor exercise, sports performance strategy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a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considered that the leaders should observe the behaviors of the athletes with psychological behavioral strategies in parallel with the psychological training techniques, and careful guidance is required on the psychological behavior strategies of the athletes consider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 KCI등재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승부근성 및 스포츠자신감의 매개효과 분석

        김미정 ( Kim Mi-jeong ) 대한무도학회 2017 대한무도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 체급, 운동경력의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도 소재 대학 유도 종목 선수 325명에게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운동능력믿음은 여자선수들이 높고, 승부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은 남자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스포츠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경력이 높을수록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능력믿음, 승부근성, 스포츠자신감 요인은 인지된 경기력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승부근성과 스포츠자신감 요인은 운동능력믿음과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 유도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방법을 구성하는데 있어 성별과 운동경력, 그리고 경기력 수준을 고려하여 다양한 배경변인과의 관련성, 변인의 조절효과 또는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athletes ability beliefs, tenacity,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the event of a college judo player.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fa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thletic ability beliefs, tenacity, sports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325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thleticism beliefs were higher in female athletes, and male tenacity and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were higher in male athletes.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port self confidence and the higher the sports career, the higher the competitiveness and the sport self confidence. Second, athletic performance beliefs, competitiveness, and sport confiden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ic performance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a follow up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r mediating effect of gender, athletic career, and performance level in constructing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t should be done continuous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