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의료 용어변천 연구 - 俗方에서 민간요법으로 -

        김영완 ( Young-wa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8 No.-

        민간에서 사용한 의료적 치료는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전통적인 한의학적 처방을 내렸는데 대부분이 한약재를 이용한 服用과 외상 치료가 많았다. 전통의료에 대한 용어는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조선시대에는 鄕藥을 중심으로 하는 의서류가 간행되었다. 이들 의서류는 한 두가지의 약재만을 이용하는 單方치료를 중심으로 俗方이 기술되어 있다. 『鄕藥集成方』·『醫方類聚』·』東醫寶鑑』·『林園經濟志』 등에서는 俗方이 기술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신문에는 일상에서 발생하는 질병을 가정에서 치료할 수 있는 民間治療또는 民間療法등의 명칭으로 소개하고 있다. 치료방법으로 전통적인 단방의 사용과 새롭게 나타난 약재와 방법도 나타나고 있다. Medical treatments practiced in non-official circles were based o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medical prescriptions were provided. Most of them were the administration of medicine prepared with medicinal herbs and the treatment of injuries. The terms in traditional medicine have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in different times. Medical books were published centering on Korean medicin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se medical books describe folk prescriptions, mainly single remedies that use one or two ingredients. 『Collection of Korean Medicine』, 『Classified Compilation of Medical Prescrip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Eastern Medicine』, and 『Essays on Rural Life and Economy』 describe folk prescriptions. Under Japanese rule, newspapers introduced remedies that people use to treat diseases that occur in everyday life by the name of popular remedies or folk remedies. Traditional single remedies and newly emerging drugs and methods were introduced as well as treatment methods.

      • KCI등재

        운양 김윤식의 국제 정세인식과 외교론

        백승철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본고에서는 문명의 대전환이 전개된 역사상 초유의 격변기를 맞이하여, 당대의 유교적 관료이자 지식인으로서의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 1835~1922)이 대내외적으로 당면한 시대적 과제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결방안을 어떻게 모색하 고 실천하려 했는가하는 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윤식이 살았던 한말 일제초기는 조선에 대한 서구 열강의 각축이 본격화되는 한편, 그에 동반된 서구문명의 영향으로 전통적 유교문명에서 서구문명사회로의 변화가 태동되던 격변기였다. 정치가로서 김윤식의 삶 또한 격변의 시기만큼이나 파란만장 하였다. 88세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그는 내외의 요직을 역임하는 가운 데 격변하는 국내외 정치 환경 속에서 당대의 모든 중요한 사건들에 연루되었고, 19년간 유배생활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의 정치적 행보 또한 친청(親淸)과 친 일(親日), 일제에 대한 저항이라는 극단을 오가며 끊임없이 변신을 행하였다. 이 러한 그의 행적은 생전에는 물론 사후에까지 그에 대한 평가가 극단으로 갈리는 양상을 초래하고 있다. 김윤식이 외교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개항기 조선왕조는 서구 제국주의의 침략, 특히 조선을 둘러싼 청과 일본, 러시아의 각축은 당장이라도 조 선왕조의 존속자체를 위태롭게 하는 상황이었다. 그는 당시 조선이 직면한 이러한 국제적 현실과 이에 대응하여 생존을 모색해야만 하는 조선의 열악한 내적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즉각적인 군사력 육성을 통한 자강(自强)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는 있었다. 그러나 김윤식이 파악하기에 즉각적인 자강은 불가능한 현실로, 어디 까지나 조선왕조의 전면적인 개혁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는 장기적인 과제였으며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조선왕조의 현실상황을 개혁하여 자강을 완수할 때까 지 외세의 침략을 제어하기 위한 즉각적인 방안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김윤식이 선택한 당장 실현 가능한 방안은 외교 전략을 통한 자주권의 수호였다. 김윤식이 선택한 외교 전략은 서구 제국들과 통상조약을 체결하여 국제사회에 서 고립을 면하는 한편, 전통적인 사대외교에 입각한 중국과의 속방 체제(屬邦體 制)를 유지, 강화하는 가운데 그 속에서 내치(內治)와 외교(外交)에서 자주권을 확보하는 방안이었다. 김윤식이 파악한 국제적 현실속의 조선은, 섣불리 대외적으 로 자주국임을 주장하다가는 자칫 다른 나라의 속국(屬國)이 될 위험성을 안고 있는 약소국이었다. 자강(自强)을 통해 자주(自主)가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 불리 자주국임을 전면에 내세울 경우 오히려 자주권을 상실하고 망국을 초래할 우 려가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1895년 이전까지 김윤식이 채택한 중국에 대한 속방 외교 전략, 즉 친청 노선(親淸路線)은 어디까지나 약소국인 조선이 자강(自强) 을 할 때까지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것이다. 청일 전쟁(淸日戰爭) 이후 갑오정권과 러일 전쟁과정에서 보인 김윤식의 친일 적(親日的)인 태도 또한 중국을 대신하여 동아시아의 강자로 떠오른 일본을 조선 의 자주(自主)를 위한 새로운 보호막으로 설정한 외교 전략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김윤식은 특히 1900년 의화단 사건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보인 일본의 활약 과 러시아에 대한 견제 소식을 접하면서, 일본이 중국을 대신하여 서구세력의 침 략으로부터 조선의 자주권을 지켜줄 수 있는 새로운 존재로 확신하고 있다. 그러나 러일 전쟁 후 곧바로 진행된 을사조약(乙巳條約)은 그의 일본에 대한 이러한 기대감을 산산조각 내 버리고 말았다. ‘삼천리강토가 남의 것이 되고 황실 이 있어도 허명인’ 보호국(保護國)이 되어버린 현실 속에서 강대국을 보호막으로 삼아 자주국의 지위를 유지하는 가운데 자강을 추진하려던 그의 외교정책은 이제 설 곳이 없게 된 것이다. In this thesis, awaiting a historical upheaval era of a great turn in the civilization, it is to look into how Unyang(雲養) Kim Yun Shik(金允植)(1835~1922), the confucionista bureaucrat and intellectual, searched and acted on the issues and solutions for the pending initiatives of such era. The Chosun dynasty of the opening port era when Kim Yun Shik started to enter the diplomatic stage was in a situation where the aggression of foreign imperialism especially the fight between Chung, Japan and Russia would imperil the existence of Chosun dynasty itself. He precisely knew the grim internal reality of Chosun that needed to react and survive such international reality that Chosun faced and realized that strenuous efforts through enhancing a sudden military force were needed. However, Kim Yun Shik realized that a sudden strenuous effort was impossible and was a long-term initiative that could be possible through a widespread innovation of the Chosun dynasty and it was not easy. Therefore, a sudden plan to control the foreign aggression were needed till the Chosun dynasty could reform the current status and have strenuous efforts of their own. The plan that Kim Yun Shik chose that could be implemented right away was to protect the autonomy through diplomatic strategies. The diplomatic strategy that Kim Yun Shik chose was to align with foreign powers in terms of commercial treaty and avoid the isolation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maintain and strengthen the client country system with Chin based on the traditional worship diplomacy while securing the autonomy from the domestic politics and diplomacy. Kim Yun Shik realized that within the international arena, Chosun was a small and weak country that has a risk of becoming a subject country of another country if it would claim to become a autonomous country. When you claim to become a autonomous country at a state where autonomy cannot be guaranteed through having strenuous efforts, you could lose your autonomy and become a country forgotten. The client country diplomacy strategy, that is the pro-Chung line toward China that was opted by Kim Yun Shil till 1895 was a safety devi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foreign aggression till the weak Chosun has its strenuous efforts by themselves. The pro-Japan attitude of Kim Yun Shik after the Chung-Japan war and Gabojunguan and Russia-Japan war was also a part of a diplomatic strategy that was set as a new protection shield for the autonomy of Chosun upon Japan that became the new leader in East Asia replacing China. Witnessing the effort of Japan and its reaction to Russia during the process of su pressing the Euihwadan event in 1900, Kim Yun Shik was sure that Japan would be the new force replacing China that can protect the autonomy of Chosun from the aggressions of foreign forces. However, the Ulsa treaty that was signed right after the Russia Japan war smashed his expectations of him toward Japan. At a state where it became a protected country that ‘the whole nation became someone else' property and a king with no power’, his diplomatic policy which was to maintain the status of a autonomous country by having a strong country as its protecting shield and enhancing its own strenuous efforts became useless.

      • KCI등재후보

        析论清末李鸿章的对朝鲜政策

        이규태 한국중국문화학회 2009 中國學論叢 Vol.28 No.-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 and contents of the Qing(清) Dynasty’s policy in relation to Lee Dynasty(朝鲜 Joseon) when Li Hong Zhang(李鸿章) led the foreign affairs of Qing Dynasty from 1870s on, and, with the analysis, to examine the problem in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radition to modern and the recognition of the politic leaders of the then China about Chosun. Main contents include the backgrounds and purpose of the Qing Dynasty’s strategy about Joseon during Li Hong Zhang’ initiatives, that is, the tributary states system maintaining the traditional Zongfanguanxi(宗藩关系) and the strategy of controlling an inferior nation with another inferior nation(以夷制夷), and the positive intervention policy to Joseon in its politics, foreign affairs, economy and military area by Yuan Shi Kai(袁世凯) who was then Trade Minister resident in Korea, after Qing’s dispatching forces to Joseon in order to oppress the army’s rebellion in Chosun in 1882, so-called YimoKunlan(壬午军乱). In Li Hong Zhang’ policy to Joseon, they did not explicitly take any area belonging to Chosun unlike the colonialism of other great Powers, but the various intervention policies to Chosun through Yuan Shi Kai cannot avoid the criticism that the policies was similar with the great Powers’ imperialism depending on “long historical relation”, and we can call it as “half colonialism.” 본 논문은 19세기 70년대 이후 淸나라에서 李鴻章이 대외정책을 주관하던 시기 조선에 대한 속방정책의 배경과 그 정책내용을 중심으로, 중국과 조선의 관계가 전통적 관계에서 근현대적 시기의 관계로 넘어가는 시기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중요한 내용으로는 당시 청나라 정부의 대조선전략의 배경과 목표, 즉 종번관계로서 속방체계와 이이제이전략을 논하고, 1882년 군대를 파병하여 조선에서 발생한 '임오군란'을 평정한 후, 駐札朝鮮總理交涉商務事務大臣으로서 袁世凱가 집행한 조선에 대한 정치적 외교적 , 경제적 그리고 군사적 분야의 '적극간섭'을 기조로 한 속방정책의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이홍장의 대조선정책은 비록 제국주의국가들의 식민지정책을 모방하고 있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형식적으로는 조선의 주권독립과 영토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원세개를 통해서 진행한 이홍장의 조선에 대한 각종 간섭정책은 조선과 중국의 '유구한 역사관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빌미로 진행한 패권강권의 제국주의적인 '반식민지정책'과 유사하였다는 점을 비평적 관점에서 논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김윤식과 원세개 · 이홍장 · 주복의 교류(1881~1887)

        박은숙(Park, Eun-Soo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김윤식은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개화와 자주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유교적 가치를 지키면서 서구의 기술을 수용하려는 동도서기론자로 평가되고 있지만, 더욱 주목되는 것은 그가 중국통 외교가로서 근대 이행기 한중관계 재편에 깊숙이 관여했다는 점이다. 김윤식은 영선사로 청에 파견되었던 1881년 말부터 청의 이홍장-주복-원세개 라인과 교류하였다. 김윤식과 청인들의 인적 관계망은 장정체제를 구축하고, 조선의 정치 · 경제 · 외교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조선의 자주적 근대화를 가로막고 청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통로로 작동했다. 김윤식은 1882년 7월초 조선으로 출병하는 배 안에서 진압군 원세개와 처음 만났다. 24세의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밤낮으로 어울려 조선 문제와 양국 관계를 모의했다. 두 사람은 청국식 근대화를 추동하고, 청선구류사건 · 이범진사건 등에 개입하여 장정체제의 구축과 청의 요구를 관철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갑신정변 후 조선의 외교 수장과 청의 파견총리로서 재회한 두 사람은 조러밀약과 조불조약, 거문도사건 · 백두산정계비 등 조선의 정치 · 외교와 통상 및 국경 문제 등을 협의 · 조율했다. 그러나 대부분 사안이 청의 의도대로 진행되었고, 김윤식은 매사를 원세개의 명령에 따르는 ‘袁黨’으로 지목되었다. 두 사람의 결탁은 조선의 주권과 이권 상실, 청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이권 실현의 도구로 작동했다. 조선의 외교관 김윤식과 청의 대조선정책 라인 원세개 · 주복 · 이홍장과의 교류는 외교라는 공적 업무를 매개로 형성된 관계였다. 따라서 그들은 기본적으로 자국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자신의 출세와 영달을 꾀하였다. 그러나 상하 관계를 천명한 상국과 속방의 외교관의 교제는 불평등했으며, 친청노선을 고수했던 김윤식은 더욱더 종속적이었다. 그들의 교류는 조선의 자주권과 이권 상실로 이어졌고, 장정체제 구축과 종속의 기제로 작동했다. 결국 반청자주를 꿈꾸던 고종과 중국의 권력자 사이에서 줄타기 했던 김윤식은 토사구팽 당하여 8년여를 유폐되어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Kim Yun-Shik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person in modern Korean history. He was a Sinologist and pro-Chinese collaborators in diplomacy.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orga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China. Kim Yun-Shik was on intimate terms with Yuan shì-Kai who was sen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o supervise the Joseon. Kim Yun-Shik and Yuan shì-Kai met frequently, and discussed politics, diplomacy and trade sectors of Joseon. But their consultations had established the agreement system(章程體制) that pursueed China"s diplomatic and economic interests. Their close relationship was used as a tool of China"s imperialistic aggression and economic interests. Kim Yun-Shik also contacted with Li Hong-Zhang and Zhou Fu who were Chinese officials. Their relationship became passage to deliver Chinese pressure and Joseon"s request. The relationship of Kim Yun-Shik and chinese officials was unequal and subordinate. Kim Yun-Shik was hated by king who hoped for Joseon"s independence. He was dismissed from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was exiled in 1887.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계와 관련하여

        한승훈 ( Han Seungho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2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동아시아 주재 영국외교관이 모색한 대조선 문호개방정책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크림전쟁이 발발하자, 영국 함대는 1854년 8월 말에 프랑스와 공동으로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 기지를 공격하였다. 그와 동시에 홍콩 총독 보어링은 외무부 장관 클레멘든에게 유럽 열강이 참여하는 대조선 문호개방 정책을 외무부에 제안하였다. 1865년 주청 영국공사 웨이드도 러시아가 조선과 육로 통상을 추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유럽 열강과 공동으로 조선의 개방을 구상하였다. 영국외교관들이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하게 된 이유는 러시아의 독점적인 조선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상업적 이익을 수호하기 위함이었다. 그들은 유럽 열강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함으로써, 조선을 열강의 이익이 균점되는 협력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하지만 조선은 청의 속방으로 알려져 있었기에 영국은 조선정부의 통치권 행사 여부를 확인했어야 했다. 영국외교관들은 청으로부터 조선이 속방이긴 하지만 내정과 외치를 자주적으로 맡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국은 조선을 실질적인 독립국으로 고려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ue purpose behind Britain`s diplomatic policies to open Korea, undertaken by British diplomats in East Asia in the mid-19th century. When the Crimean War broke out in 1854, the British-French combined fleet attacked the Russian military and naval base at Kamchatka; at the time, John Bowring, Governor of Hong Kong, made a proposal to the 4th Earl of Clarendon,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 in UK, to open Korea, together with European powers. In 1865, Thomas Wade, the British Minister to China, made plans to open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in order to deter Russian aggression towards Korea. The reason that British diplomats chose to open the doors of Korea was to protect British commercial interests in East Asia by blocking the exclusive entry of Russia. By undertaking the opening of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they attempted to make Korea a place where shares of interests were equally divided. However, since Korea was known to be a vassal state of Qing, Britain was required to check whether or not Korea had its own sovereignty. British diplomats confirmed that although Korea was a vassal state, she had sole responsibility fo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Britain therefore began to regard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 KCI등재

        조선시대 한중일(韓中日) 관계와 상호인식(相互認識)의 추이

        한명기 ( Han Myungg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원대 이전까지 중국의 일본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견당사 등으로 왔던 일본 관인, 승려들과의 접촉 경험을 통해 일본을 ‘예의지국’, ‘군자지국’으로 보았다. 하지만 왜구가 발호하면서 중국의 대일인식은 몹시 부정적으로 바뀐다. 조선도 14세기 중반 이후 극심한 왜구의 침략을 겪으면서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고조되었다. 15세기 회유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왜구가 잦아지면서 일본에 대한 인식은 바뀌는 조짐을 보인다. 그런데 조선은 大國으로 자처하면서 일본에 대해 문화적 우월감을 드러냈다. 조일 양국의 상호 인식과 태도를 규정하는 바탕에는 양국의 명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차이가 자리 잡고 있었다. 15~16세기 조선 지식인들은 명과의 빈번한 접촉과 친연성을 바탕으로 일본에 대한 우월의식을 드러냈다. 일본은 神國임을 내세우면서 명에 대해 맞서거나 사대를 거부하는 ‘자주적인’ 자세를 바탕으로 조선을 멸시하려고 덤볐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명관계에서는 전쟁 이전의 事大와 字小를 표방했던 ‘軟性的인 관계’가 사라졌다. 명은 왜란을 계기로 자신들의 안보가 위협받자 조선에 대해 거칠고 부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드러냈다. 왜란 이후 조선은 명을 ‘再造의 恩人’으로, 일본을 ‘萬世의 怨讐’로 규정했다. 또 전쟁 기간 일본의 武力과 잔학함을 목도하면서 일본에 대한 두려움도 확실히 지니게 되었다. 정묘, 병자호란 이후 조선에서는 일본을 ‘원수’가 아니라 청에 맞서기 위해 협력해야 할 우방으로 여기는 인식이 싹텄다. 명 또한 청의 위협에 맞서 조선이 일본과 협력하여 청을 견제해 주기를 기대했다. 19세기 들어 일본에서는 정한론이 대두된다. 실제로 일본의 힘이 다시 커지고 조선에 대한 위협이 증대하면서 청의 위기의식도 고조된다. 운양호 사건, 임오군란을 겪으면서 청의 양무관료들은 조선을 구미 열강과 立約하도록 勸導하는 한편 조선을 직할령으로 통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와중에 흥선대원군을 납치하고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강압적으로 체결하고, 원세개의 독단적인 행보까지 더해지면서 19세기 후반 조선에서는 반청감정이 비등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명과 청은 조선을 ‘충순한 번국’이란 운운했지만 일본이 양국 관계에 끼어들 경우 조선에 대해 거칠고 강퍅한 태도와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냈다. 15세기 명의 신료들이 조선과 일본의 접촉에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것, 임진왜란 시기 명군 지휘부가 조선에 대한 직할통치론을 주장했던 것, 임오군란 이후 청의 양무관료들이 조선을 속방으로 만들려고 했던 것 등이 그 생생한 실례였다. 1894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조선에서는 排日, 斥日論이 확산되고 대다수 관료와 민인들이 청군의 승리를 전망하거나 희구했다. 청이 패하자 조선에서는 당혹감과 함께 청의 허약한 실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이 대두했다. 청의 지식인들도 패전을 계기로 일본을 배워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조선시대 한국인들의 중국 인식과 일본 인식은 ‘끼여 있는 존재’라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조건과 안보 상황 속에서 형성되었다. 나아가 그것은 한반도를 둘러싼 중일 양국의 역학 관계의 추이를 비롯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서로 길항하고 연동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The three countries of Korea, China and Japan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Zone” and “Confucian Culture Zone” or “Sinosphere” to emphasize the cultural commonality of the three countries. However, in the past, the interactions and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of the three kingdoms were cut off. This was because all three countries strictly forbade the movement of their subjects between the respective countries. Under this restriction, it was impossible for the majority of the residents, except for the envoys, interpreters, and some merchants, to contact people in other countries. The Chinese perception of Japan was positive before the advent of the Yuan Dynasty. Through contact with Japanese officials and monks who had been envoys, Japan was regarded as a “country of courtesy” and a “country of virtues”. However, Japanese pirates became a major problem for China by the end of the Yuan dynasty, China's perception of Japan became the opposite.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14 <sup>th</sup> century, also suffered heavily from frequent invasions of the Japanese pirates, started to regard the Japanese with contempt. This antagonistic sentiment is shown in the terms that were used to describe Japan such as “The Island Barbarians”, “The Japanese Enemy” and “The Wicked Scoundrels”.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15 <sup>th</sup> century, the ensuing success of the policy of appeasement with the Japanese pirates and the resulting decrease of the invasions,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Japanese changed, this time for the better. However, Joseon's attitude that they were a Great country and Japan was a subordinate nation continued as before . Joseon Dynasty in the 15 <sup>th</sup> century, had frequent contacts with the Japanese nation while concealing them from the paternal Ming dynasty. The Ming Dynasty did in fact were opposed to Joseon having communication with Japan. 15<sup> th</sup> to 16 <sup>th</sup> century intellectuals of Joseon touted that Joseon wa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and the “honoured pupil of the Great Chinese Civilisation” therefore they treated Japan as “barbarians” and a “country yetto-be-reformed”. On the other hand, Japan asserted itself as a “God's nation”, and rejected being a tributary state to the Ming Dynasty and scorned the Joseon Dynasty. The geographical difference between Joseon and Japan in relation to China, that Joseon peninsula(the Korean peninsula) is attached to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 is separated from the Asian mainland by ocean, caused the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and perception towards China and this furthermore affected the mutual perceptions they had of each other. In the wake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mjin War 1592-1598) contacts between peoples of the three kingdoms increased explosively. First of all, after the war,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revealed a new face. As the military and geopolitical importance of Joseon emerged after the war, Ming recognised Joseon as their “front” and “defense base”. Ming pressured Joseon and even planned to colonise it. On the other hand, after the war, the Joseon Dynasty recognised the Ming Dynasty as “saviours” despite the serious havoc the military of Ming created in Joseon. But then, they perceived Japan as an “eternal enemy”. In addition, the Joseon Dynasty experienced the formidable prowess of the armed forces of Japan through the war which raised fears. It was through the Imjin War that hostility and fear toward Japan were made to coexist. With the replacement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Qing Dynasty, the mutual perceptions of Joseon and Ming, and Joseon's perception of Japan showed signs of change. In particular, through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Jeongmyo-Horan 1627) and the Qing invasion of Joseon (ByeongJa-Horan 1636-1637) their perception towards Japan showed sings of change. Some intellectuals began to perceive Japan as an ally to cooperate with in the fight against the “barbarian forces of Qing”, not “the eternal enemy” they once thought Japan was. In the 19th century, the approaching threat of the West gave impetus to Japan's national defence efforts and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Korea had to be conquered. Indeed, as Japan's power grew again, Qing's sense of crisis toward Japan also grew. In particular, some of Qing's officials who believed that Japan conquering Joseon would prove to be dangerous for Qing, argued that Joseon should be ruled directly. In 1882, during the riots of Joseon soldiers, Qing militarily intervened in the country, established military rule and attempted to make Korea a colony. The situation changed after the First Sino-Japanese War (1894-1895). Anti-Japanese sentiment spread in Joseon as Japan occupied the Gyeongbokgung Palace, oppressed peasant forces and attempted to colonise Joseon. During the war, the Qing Dynasty was overwhelmed in the face of the superior force of Japan, but many intellectuals in Joseon hoped for the victory of the Qing. However, when Qing was defeated in the First Sino-Japanese War, Joseon through embarrassment was forced to recognise Qing's waning power over the East. Qing's intellectuals also recognised that through the loss of the war they were to learn from Japan. In conclusion, Korean perceptions of the Japanese and of the Chinese during the era of Joseon Dynasty were formed under the geopolitical conditions and security condit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y appeared to antagonise or facilitate each othe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relationship and situations between Korea and the two countries of China and Japa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mutual perceptions, “country of courtesy”, “country of virtues”, Japanese pirates, the “most loyal subjectnation” to the Ming Dynasty, Imjin War, “defense base”, “the eternal enemy”,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the situation sandwiched between the Chinese continent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19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제국 일본-조선 ‘속방 자주’ 논쟁을 중심으로

        김남은 ( Kim Nameu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1

        본고는 근대 일본의 팽창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의 ‘속방’과 ‘자주’에 대한 일본의 대응이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특히 조선 ‘속방 자주’에 대한 일본의 전략을 임오군란 사후처리와 갑신정변 사후처리를 위한 협상 속에서 포착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일본의 근대국제체제로의 이행은 조선과 중국과의 조공책봉관계를 타파하는 과정에 다름 아니었으며, 이는 곧 조선과 중국의 관계 속에서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지역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과정이기도 했다. 그 과정에서 쟁점이 된 조선의 ‘속방’과 ‘자주’ 논쟁은 중국과 일본이 전통적인 조공관계를 상투적으로 이용했던 사례 중 하나일 뿐이며, 양국의 궁극적인 목적은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데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의 근대국제체제로의 능동적인 대응은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의 반열에 오르는 것을 꿈꾸게 되는 효시로 작용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Japan's response to Joseon's dependent and independent issues has chang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issues has chang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Japan's transition to modern times was a process of breaking down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China. At the same time, Japan sought to establish a new regional order centered on its own country. The issue of dependent and independent that became an issue in the process is only one of the cases in which Japan and China used traditional tribute relations. The ultimate purpose of Japan and China was to secure influence over Joseon.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ature of Japan's response to dependent and independent in negotiations for the post-treatment of the Im-O Military Revolt and the Gapsin Coup.

      • KCI등재

        ‘조선=속국(屬國), 속방(屬邦)’의 개념사

        김봉진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8 No.1

        In the East Asian tradition, sokkug(屬國, C; shuguo, J; zokugoku) was a simple and clear concept. It is another name for “chogongkuk”(朝貢國, C; chaogongguo, J; chokoukoku), a so-called tributary kingdom. Chogongkuk(i.e., Sokkug) can be classified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However, it basically means the inherent rights to enjoy the “autonomy of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In other words, it was gifted by nature with endemic rights in East Asian tradition – namely, “traditional sovereignty.” Accordingly, such ideas of sovereignty were taken as a matter of course. However distinctive from the concept of modern Western sovereignty it maybe, such ideas make no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sovereignty itself. However, in the modern period, the term “sokkug” was changed into a concept with multiple ambiguous meanings. One reason was that, in Japan, “sokkug” became a coined word for the “colony.” Another reason was that the Qing dynasty in China, from the 1860s to the 1880s, invented the argument of “Chosǒn(朝鮮) = sokkug and/or sokbaug(屬邦).” This provided plenty of room for self-willed interpretations of the term “sokkug.” However, in reality this resulted in a lot of interpretative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s, since the term “sokkug” became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thought. Such confusion or misunderstandings should have ended and disappear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as the tributary relations between Chosǒn and Qing were abolished. However, this did not happen, as the self-willed interpretation of the term “sokkug” continued.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was spread across the world and continues to persist in certain parts even today. Why? The reason is, first of all, “ignorance about East Asian tradition” along with its “ignorance of ignorance” and the biased view of modernism. Keeping these problems in mind, I examine a conceptual history about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But first, I explain the traditional term “sokkug”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econd, I describe how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had been invented. Third, I examine the mixed issues of “sokkug clause” that the Qing dynasty of China demanded in 1882. Fourth, I explore a series of the polemic phase regarding the argument of “Chosǒn = sokkug, sokbaug.” Lastly, I present several reasons why the self-willed interpretation of the term “sokkug” continu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