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작주체의 성찰성에 관한 연구

        김인숙 ( In Su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모방과 복제가 창작의 방법으로 수용된 포스트모던미술에서 차별성은 핵심적 요소이다. 그러나 일상화된 대중매체의 영향으로 획일화, 수동화 된 우리 시대의 창작주체가 차별성을 구비하기는 쉽지 않다. 차별성은 메타주체화한 창작주체의성찰성에 의거하여 생산되는 것으로서 화가가 끝없이 자신과 자신의 작품에 관하여 성찰할 때 비로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과거와 동시대 전역을 성찰대상으로 하는 포스트모던미술 환경에서 성찰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17 세기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사에 표상된 창작주체의 성찰성을 대상으로 하여 그 이론적 배경으로서 1. 인식론적 성찰성, 2. 감각적 성찰성, 3. 탈주체적 성찰성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성찰의 대상과 방법을 고찰한 후 각각의 성찰성을 대표하는 작품분석을 한 후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의 이와 같은 창작주체의 성찰성 고찰은 각 시대 별미술의 존재방식에 대한 비교와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우리 시대의 과제가 ‘타자의 응시’임을 밝힘으로써 포스트모던적 차이를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In the post modern art which accepted imitation and cloning as methods of creation, discrimination was the central factor. However, by the influence of habituated mass media, it is not easy for our uniformed and passive era`s creative subject to prepare for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as a thing that can be produced depending on the subjects`s retrospection of the meta-subjecctivation, is only possible when the artist continuously retrospect about one`s own self and one`s own art work. But, it is not that simple to have a retrospection in the post modern art environment which past and contemporary spectrum are the subjects of retrospection. Thus this paper will draw out a conclusion through a work analysis representing respective reflexivity, after contemplating meta-subject`s retrospection appeared in art history from 17 century to today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of 1. Perceptual reflexivity 2. Sensual reflexivity 3. Decolonizing reflexivity. A study of each retrospection`s object and method could contribute to widening the perspective of creative subject as fortifying the comparison and understanding of every era`s existing style of art . Also this determinete our era`s project is ‘other`s gaze’. There for it is expected to suggest a way to produce post modernize discrimination .

      • KCI등재

        정책학의 새로운 이념으로서의 성찰성에 대한 고찰 : 정책이념과 정책모형으로서의 성찰성, 그 가능성과 한계

        권기헌(Gi-Heon, Kwon) 한국국정관리학회 2021 현대사회와 행정 Vol.31 No.2

        본 논문에서는 정책학의 새로운 이념으로서 등장하고 있는 성찰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행정 이념으로서의 성찰성, 정책모형으로서의 성찰성, 그 적용가능성과 한계 등에 대해서 검토하였 다. 현대행정은 사악하고 혹은 거대하고 복합적인 문제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기존 정부 모형에서 보여주었던 문제해결방식인 효율성, 시장성, 관계 네트워크 등으로는 풀기 어려운 비선형적 문제들이 등장하고 있다. 새로운 정부모형은 속도와 규범 측면에서, 더 신속한 문제해결 하고 높은 윤리의식을 기반으로 책임지고 소통하는 리더십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도 본 연구에서 검토한 성찰성은 새로운 정책이념 및 정책모형으로 조명될 필요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a new concpet of reflexivity as a new administrative ideology and a new policy governance model. We discussed the agile government, communication and leadership of responsibility to matc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then looked at the fourth generation of government models that require a new form of governing thought and ideology called ‘reflexivity.’ And then we looked for new directions and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generation of government model and ideolog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r any other modern situation surrounding the government, is rapidly changing at such a rapid pace that it can be called a Turbulence. If the public administration is not to face the criticism that its administration is failing to solve the country’s social problems, it should be a quick response to social changes.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 or the ‘new’ administration model, may require a keen discussion about the model in the future if it is not to end up as a discourse or a fabrication. Components requirements such as conceptual premise, ideology and philosophy, model and leadership will require intense discussion. Furthermore, the academic community must explore the keen and various theoretical preconditions of ‘reflexivity’ suggested in this study, from its cognitive foundation to the future policy design and leadership.

      • KCI등재

        근대적 성찰성의 풍경과 성찰적 주체의 알레고리

        김홍중(KIM Hong-J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3

        성찰한다는 것은 단순한 내성이나 반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초월적 의식이 정립되어 그 의식을 통하여 스스로를 다시 바라보는 체험의 구조화를 가리킨다. 근대의 상징 해석학적 담론들(지식사회학, 정신분석학, 사적 유물론, 계보학)과 자기 성찰적인 문학과 예술형식들(메타시, 메타소설, 메타드라마, 메타회화, 메타영화 등)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자기 성찰에의 강박은 바로 이러한 논리에 입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성찰성을, 근대적 지(知)와 예(藝)의 주요한 에피스테메로 규정하고, 그 풍경과 주체성의 알레고리를 분석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되는 인식풍경(epistemoscape)이란 특정한 인식소를 영상적으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지칭한다. 이 논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성찰성의 인식풍경은, 프로이트가 1921년에 발표한 「집단심리학과 자아분석」에 등장하는 콘라트 리히터의 수수께끼를 재구성한 하나의 장면이다. 그것은 전 세계를 젊어진 예수를 다시 짊어진 성 크리스토프가 강을 건너는 상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는 이 풍경의 위상학과 성찰적 주체를 표상하는 성 크리스토프의 형상을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구 근대에 등장한 이 성찰성의 기획이 왜 실패할 수밖에 없는 기획이며, 또한 이러한 실패가 어떠한 방식으로 소위 외부의 사유로 재정립되는가를 아르토, 블랑 쇼, 푸코, 하이데거 등이 공동적으로 천착했던 사유의 타자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특정한 사유의 풍경적 차원에 대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논문은 문화사회학 혹은 지식사회학이 자신의 대상과 맺을 수 있는 적극적인 의미의 해석학적 관계를 실험한다. Reflexion does not mean self-introspection, but instead, it signifies the specific structuration of experience within which the ego that has been established as a transcendental gaze can cast an objective regard upon itself. Various forms of modem knowledge(the sociology of knowledge, psychoanalysis, historical materialism, genealogy, etc.) and various forms of modem art and literature(meta-poetry, meta-picture, meta-drama, meta-fiction, etc.) have this kind of structuration of experience as their epistemological basis. Defining this structuration as the episteme of the modernity,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its epistemoscape and the allegory of its subjectivity. The term “epistemoscape” here refers to a certain symbolic atmosphere which expresses the essence of the thinking in a concrete manner. In this context, the epistemoscape of modem reflexivity signifies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sheds a light upon the meaning of “reflexion”. The allegory of a reflexive subiect is none other than the agent assumed to perform this reflexion. In this context, we take the situation expressed by the riddle of Konrad Richter which appears in Freud’s article, “The psychology of the mass and the analysis of the self” published in 1923, and present it anew as the epistemoscape of the meta. In this landscape, St. Christophe crosses the river, carrying Jesus on his shoulders, who is, in his tum, carrying the weight of the entire world on his shoulders. We analyze the topology of this landscape and the subjectivity of St. Christophe as a representative of a reflexive subject, so that we can show in what aspects the reflexivity is a modem project that was doomed to be a failure and also how this failure was turned into the thinking of the outside(la pensee du dehors), which was delved into, for example, by M. Foucault, M. Blanchot and M. Heidegger.

      • KCI등재

        소통을 위한 성찰

        김무규(Moo-Kyu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연구에서 일반모델에 대한 섬세한 구상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이론연구의 유형들 가운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해 고찰하고, 이 모델에서 특히 중요한 성찰성 개념을 부각시켜보고자 한다. 의미전달과 상호이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에는 여러 가지 논리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주체, 전달, 대화의 패러독스로 정리하였다. 체계이론의 성찰성 개념은 이러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리고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패러독스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는지 아울러 알아보았는데, 여기에서 언어화용론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 방식에도 역시 논리적인 난점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루만의 모델은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메르텐으로부터 시작되어 루만, 슈미트 그리고 그랜트에 의해 제시되는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다른 방식으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방식을 성찰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의 합리성론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각각의 경우에 약간의 상이한 점도 나타나지만, 성찰성 개념에 치중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seeks to deal with the point that in order to perform meaningful communication, a conscious act of reflexion must be involved. In other words,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inevitably requires self-reflexion. It is known that rationality and dialogism function as necessary preconditions and as goals of communication. But these concepts are very ambiguous because the communicational paradox is not considered. The interaction model could be thought to solve the paradox problems, but such solution can ultimately be seen as a result of ignoring the point that personal reflexion is necessary or covering up the logical problem by depending on concepts such as ‘legitimation’ or ‘ideal discourse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view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ased 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constructivism has a more meticulous logics, and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reflexion specifically supplements the interaction model also by examining Schmidt’s concept of fiction and Grant’s concept of porous communication.

      • KCI등재

        위험과 성찰성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1990년대 이후 활발한 한국의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 속에는 근대화론에서부터 개인주의 비판까지 상호 이질적인 관점들이 압축적으로 융합되어있다. 이것은 위험이 이론적 문제가 아니라 우선적으로 실증적이고 경험적 문제라는 사회학의 통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위험 또는 위험사회에 대한 논의를 한 단계 더 심화하기 위해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사회이론들에 대해 변별력을 갖추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하여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등장한 ‘위험’ 이슈를 관찰하는 세 명의 사회학자들을 비교하고자한다. 벡과 기든스는 이미 별도의 저서를 통해 특히 ‘성찰성’ 개념과 관련하여 자신들의 이론적 차이를 강조한 바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 둘의 차이는 거의 인식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위험과 성찰성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방식에서 벡과 기든스가 상당한 이질성을 보인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기든스가 벡뿐만 아니라 루만의 위험 개념 역시 검토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 루만을 비교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This study seeks to compare the sociological theories of Beck, Giddens, and Luhmann, focusing on their different uses and understandings of the concepts of ‘risk’ and ‘reflexivity’. It is very hard to translate these terms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so there tends to be confusion about the different notions of these concepts in Korea, especially between those of Beck and Giddens. As Giddens seems to weigh the notions of Beck and Luhmann in formulating his concepts, Luhmann is included in this study.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Giddens stands rather nearer to Luhmann than to Beck in the use of these concepts. Regarding ‘risk’, Beck uses the word in the narrowest manner of the three theorists. Regarding ‘reflexivity’, Beck emphasizes modernity’s dialectic of continuity and change as a new dynamic of the contemporary era, whereas Giddens and Luhmann postulate ever-expanding reflexivity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zation. These differences are important for Korean sociology, because modernization in Korea contradicts the notions of reflexivity as used by Giddens or Luhmann.

      • KCI등재

        메타시네마의 스멜스케이프: <기생충>(2019)과 (가족) 센스워크

        남승석(Nam, Seung S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40

        본 연구는 <기생충>(봉준호, 2019)에서 나타난 (가족의) 센스워크, 곧 (집단적) 감각의 걷기를 통해 혼성장르의 스멜스케이프와 영화적 성찰성의 메타시네마의 접점을 고찰하는 영화와 영상문화연구이다. <기생충>은 한편으로는 도시와 집에서 한 가족의 센스워크를 통해 구성된 풍경, 곧 특히 스멜스케이프를 2010년대의 우리 사회에 대한 문화적 기억으로서 형상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비밀 지하공간으로의 입구 등의 집의 거실 창문을 중심으로 한 영화적 성찰성을 통해 서사에서 계급 문제를 재귀적 성찰성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기생충>에 나타난 (1) 개인의 감각과 가족의 계층을 형상화하는 모빌리티의 최소단위(걷기)로서의 센스워크(스멜워크를 포함) 그리고 (2) 한 지붕의 세 가족을 중심으로 그들의 물질화된 신체가 점유한 공간(집과 자동차)의 혼성장르로서의 스멜스케이프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생충>에서 나타난 혼성장르의 스멜스케이프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이것이 메타시네마의 영화적 성찰성과 연관이 있음에 주목한다. 그리고 <기생충>에서의 메타시네마 경향을 두 가지 지점에서 고찰한다. (1) 극장 스크린과 같은 역할을 하는 창문(과 문)을 통한 재귀적 성찰성의 지점이다. (2) 영화 매체 자체에 대한 자의식적 표현인 혼성장르적 특징이다. 이러한 두 가지 특징들 모두 감독의 장르 장인으로서의 제스쳐 혹은 작가주의 감독으로서의 인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기생충>의 메타시네마의 스멜스케이프는 도시의 지하공간에서 유래한 냄새가 촉발하는 감정에 접근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비록 매우 비관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개인(과 계급) 사이의 단절을 넘어서고자 하는 열망의 실천, 곧 초연결성에 대한 감각적 이미지이며 동시에 다른 세대(와 집단)간의 소통 가능성, 곧 (불)가능한 신호체계에 대한 아이러니한 복원이다. This study analyzes urban smellscapes reproduced by the family"s sensewalks in Parasite (Bong Joon Ho, 2019) and examines the results from the viewpoint of visual aesthetics as a hybrid-genre metacinema. On the one hand, Parasite is based on a smellscape through a family"s walks around the city and at home, and embodied as a cultural memory. The primary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1) sensewalks as minimum unit of mobility that symbolizes personal identity and family"s walks in Parasite and (2) the smellscape of the mixed genre of space (house and car) occupied by their materialized bodies centered on three families under one roof.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hybrid-genre smellscape that appeared in Parasite, and it pays attention to metacinema concerning recursive reflexivity. The metacinema"s features of Parasite appears in two ways. One is cinematic reflexivity through the metaphor of windows and doors of the house as theater screens. The other is the hybrid genre structure, a self-conscious expression of the film medium itself. Both can be said to be the signature of Bong Joon Ho"s auteurism as a genre craftsman. And to put it another way, this cinematic reflexivity is a rhetorical apparatus for intertextuality which is the shaping of a genre"s meaning by another genre;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Therefore it is like aspirations as a hyper-connectivity that transcends the boundaries between individuals and groups. In particular, it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accessing the emotions triggered by smell originating from urban subterranean space in Parasite.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중산층 학부모의 자녀교육 양상의 다양성과 그 의미

        서덕희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diverse modes of middle-class parents’educating children during Corona-19 within the context of their everyday lives and to understand those modes in terms of Archer’s reflexivity and Bourdieu’s habitus. First, I described three modes of six parents’educating children within the unexpected situation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typical culture of middle-class parents in Korea: becoming-friend, becoming-teacher and becoming-butler. Also, I understood those modes of educating children in terms of Archer’s concept of reflexivity, which can be regarded as internal conversation of agents of considering their context in order to pursue their ultimate concerns. Finally, I revealed that the first two modes of educating children manifest ‘meta-reflexivity’, which is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autonomous reflexivity’ and to search for alternative values against their own habitus, but the parents could fail without everyday communitarian relationships, which support those parents and practise together.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학부모들의 자녀교육 양상의 다양성을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드러내고 이를 아처의 성찰성과 부르되의 아비투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해석함으로써 한국사회 학부모문화의 역동을 이해하려는 한 시도이다. 중산층 학부모들이 이 비일상적 상황에서 어떤 관심을 갖고 맥락을 어떻게 의미화하며 자녀교육을 기획·실천하는지, 그 과정에 그들의 ‘아비투스’는 어떻게 힘을 발휘하여 결과적으로 어떤 생활양식으로 나아가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이들 중산층 학부모들의 자녀교육 양상은 ‘친구형’, ‘교사형’, ‘집사형’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친구형’과 ‘교사형’은 기존의 지배적 학부모문화를 비판하고 대안적 가치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으로 ‘메타적 성찰성’으로 해석할 수 있었으나 ‘친구형’은 학교교육이라는 ‘장’에서 형성된 아비투스를 지역의 공동체적 관계와 자녀에게 체화된 가치관에 힘입어 극복한 반면, ‘교사형’은 ‘경쟁’의 상황 논리에 휘둘려 ‘자율적 성찰성’으로 변화될 가능성을 보였다. 반면, ‘집사형’은 그 자체로는 ‘균열된 성찰성’으로 부모가 교육에 대한 관점이나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자녀 교육을 자녀의 판단에 내맡겨 자녀의 자율적 성찰성을 키우는 결과를 낳았다. 이 연구결과는 지배적 학부모문화의 변화는 메타적 성찰성을 함께 발휘하고 실천하여 생활양식으로 이어지게 하는 공동체적 관계가 없으면 이루기 어렵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이주봉(Lee, Ju Bong)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1

        본고는 영화미디어가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자리매김하면서 배경으로 사라져간 영화미디어의 자기반영성과 성찰성 문제를 독일 표현주의 영화를 예시로 살펴보고 있다.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영화는 영화가 기술적 미디어로서 초기에 지녔던 자기반영적 특징보다는 현실재현과 관객동일시를 통한 주체효과에 집중하면서 성찰성과는 거리를 둔다. 하지만 표현주의 영화는 소재로 다루는 인간의 내면적인 모습이나 몽환적이며 환상적인 세계, 그리고 독특한 형식스타일로 인하여 영화미디어의 반환영주의적인 면모와 자기반영적 성찰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대표적인 표현주의 영화로 꼽히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1919)과 <노스페라투>(1922)는 관객동일시와 주체효과를 만들어내며 내러티브 영화의 전형적인 면모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이 두 표현주의 영화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분열된 주체라는 담론을 전면으로 부각시키는 도플갱어 모티브를 다루면서 자기반영성과 성찰성을 보여준다. 도플갱어 모티브는 프로이트가 설명했듯이 자신의 것으로 친숙하지만 억압되고 소외되어 타자화된 스스로의 모습과 관계하는, 그렇기에 자기성찰과 관계하는 ‘두려운 낯설음’이라는 감정과 연결된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서는 형식스타일과 플롯을 통해서 생겨나는 주체효과와 주체의 재구성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또, <노스페라투>의 경우에서는 노스페라투와 엘렌의 시선체계의 이중적 면모, 즉 엘렌의 응시를 통해서 영화미디어의 자기반영적 성찰성을 만들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표현주의 영화가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환영주의적 투명성을 관철한 시기의 주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동일시라는 주체효과의 이면에서 자기반영적이고 성찰적인 미디어성을 보여주면서, 영화미디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영화들이었음을 확인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filmic reflexivity and reflection in german expressionist film. Film in the narrative system has been known as a medium for audience’s imaginative empathy and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trend to narrative film in film history has excluded the filmic reflexivity and reflection as filmic character. Even though classical film looked at film focusing on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filmic reflexivity could be found in early cinema, for example german expressionist film in the 1920s. Expressionist films are renowned for the ‘caligari style’, which was highly symbolic and stylized. Even if the german expressionism narrates a interesting story with audience’s imaginative empathy,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is broken by mise-en-scene and doppelganger motiv, which related to uncanny. The uncanny is a Freudian concept, that is the instance when “something can be both familiar yet alien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a feeling of it being uncomfortably strange.”(S. Freund) This uncomfortably strange makes a subject be reconstructed. Not only stylized Mise-en-scene, but also doubling with doppelganger motiv and uncanny play a significant role for the filmic reflexivity. Both break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and destructs illusionism of the film. These filmic images often break in the narrative flow. Therefore, doubling ultimately is connected to the theme of the split personality, the exchanged identity and the spectator’s own uncomfortable recognition. This paper focus on analyzing The Cabinet of Dr. Caligari (Robert Wiene, 1919) and Nosferatu (Friedlich Wilhelm Murnau, 1922), that ranged over doubling and uncanny. These german expressionist films are known as a medium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With regard to this reflective character of film in german expressionist films, these films enable film to rediscovery and to realize its potential, which has been forgotten, namely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of film as a medium

      • KCI등재

        청주시·청원군 행정구역 자율통합 성공요인 연구 - 구조와 성찰성을 중심으로 -

        이정우,조승현 한국자치행정학회 2022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6 No.3

        This study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success factors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tegration based on Giddens' structuring theory, but newly introduced and analyzed the criterion of reflexivity focusing on the minds of residents. Administrative district integration factors were divided into structural factors surrounding residents and reflexivity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were divided into rules, resources, and human factors. As a case study, we selected the cases of Cheongju and Cheongwon, which succeeded in autonomous integration in the true sens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for the autonomous integr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o be successful, it is necessary to exert reflexivity to win the hearts of residents, as well as top-down integration recommendations, the will of the group leader, and the government's incentives. In other words, social homogeneity should be satisfied by communicating through sisterhood ties between the two regions, and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integration should be presented in detail to the residents of both regions. It needs to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ordinances, etc. 본 연구는 행정구역 통합 성공 요인을 기든스의 구조화이론을 바탕으로 하되 주민의 마음에 초점을 맞춘 성찰성이라는 기준을 새롭게 도입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행정구역 통합요인을 주민을 둘러싼 구조적 요인과 성찰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구조적 요인은 규칙과 자원, 인적요인으로 나누었으며, 성찰성 요인은 동질성, 발전가능성, 신뢰성이라고 정하였다. 사례는 진정한 의미의 자율통합에 성공한 청주·청원 사례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행정구역 자율통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하향식 통합권유나 단체장의 의지, 정부의 인센티브만이 아니라 주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도록 성찰성을 발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양 지역 간 자매결연 등을 통해 소통함으로써 사회적인 동질성을 충족시켜야 하고, 양 지역 주민들에게 통합으로 인한 발전상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소외그룹이나 지역에 대한 배려와 상생방안을 도출하되 이 방안이 지켜질 수 있도록 조례 등으로 제도화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일상ㆍ노동ㆍ생애와 ‘성찰’의 힘, 대화의 공감 동력 - <미생>이 던진 질문과 희망

        최기숙 대중서사학회 2016 대중서사연구 Vol.22 No.4

        이 논문은 윤태호 원작의 만화 <미생>을 대상으로 일상과 노동 현장, 생애 전체에 ‘매개’되어 있는 성찰성의 감각과 실제(방법, 내용, 방향, 귀결)를 분석함으로써, 현대인으로 하여금 성찰 감각을 회복하고, 이를 일상적 차원에서 실천하는 ‘성찰 연습’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미생>에는 매 회마다 작중 인물의 독백과 발화를 통해 성찰적 감각과 인지, 이를 주변인과 공감하는 정황이 재현된다. 장그래의 독백은 세상과 사회, 타인과 관계, 그리고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응시’의 철학을 수행하는 유력한 방식이다. 이때 장그래가 바둑에서 훈련한 ‘복기’를 직장생활을 ‘성찰하는’ 매개로 활용한 것은 그가 자신의 과거를 ‘실패’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성찰 자원’으로 재위치시키는 방법이다. <미생>의 등장인물이 인생의 지혜와 통찰, 문제 해결의 방안과 영감을 얻는 방식은 일상생활에 대한 관찰과 경험이다. 정동 기호(affective sign)의 판독을 통해 경험을 자산화하고, 타인과의 대화를 통해 그것을 수정함으로써, 감각적 지식을 성찰적 매개로 위치시키게 된다. <미생>에서 성찰성을 주도하는 인물인 장그래는 검정고시 고졸 출신의 불리한 ‘스펙’에 실패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는 노동현장에서 성찰적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관계의 책임성, 윤리성, 진정성을 공유한다. 이는 직장생활에서 인정구조를 형성하는 동인이 되며, 동료 간 상호 의존성을 강화하여 상생 구조를 견인하는 역할을 한다. 일상, 노동, 생애에 관한 개인의 성찰성이 집단과 공유될 때, 각 구성원은 상생적 성장을 하게 되며, 관계의 힘도 증폭된다. <미생>이 성찰성을 구현하는 방식은 대사, 독백, 나레이션이라는 서사 보편의 요소 이외에, 만화라라는 장르적 특성을 활용한 수사학을 통해서다. 여기에는 이미지와 대사의 혼성적 합성, 언어의 시각화, 패러디, 배경의 중의적 암시와 상징적 구현, 정보 압축과 감각전환 등의 고유한 레토릭이 포함된다. 이 논문은 <미생>의 성찰성이 스토리 전개나 인물 형상화, 대사와 독백의 선별 등에 관여된 ‘서사적’ 차원을 이미지로 재현하는 장르적 장치를 통해 구현되었음을 논증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