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 관련 야외체험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경험 탐색:학업적 흥미 및 진로선택을 중심으로

        김충용,김선영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2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outdoor activities on academic interests and career choi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iology. The outdoor activities consisted of three times of outdoor collection of various plants and animals during spring, summer, and autumn, and exhibition.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wit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s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group whose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greatly aroused: a group that arose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with further choice of career: a group that did not generate any academic interest. The students who arose academic interests mentioned that they could see, hear, and learn about life-related things in person; had a chance of acquiring biological knowledge; and further became consider a future career in biology area. However, some students mentioned that outdoor activities did not arouse any academic interest in biology. Instead, they generated their interest in forming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hips. 본 연구는 야외체험활동의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업적 흥미 및 진로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광역시 소재 생물학과에 재학하는 총 13명의 학생으로 야외체험활동에 1년 동안 참여하였다. 심층면담과 수기형식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질적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자료는 면담 자료, 수집된 수기형식의 설문지의 답변의 공통된 범주를 추출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야외체험활동을 통하여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된 그룹,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높게 유발됨과 동시에 나아가 진로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받은 그룹, 생물학에 대한 학업적 흥미가 유발되지 못한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학업적 흥미가 유발된 그룹의 학생들은 ‘직접 체험’, ‘새로운 경험’의 상황적 흥미 범주와 함께, ‘지식의 습득’, ‘생물학에 대한 흥미’의 개인적 흥미 범주를 언급하여 생물학에 대해 비교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관심과 선호도를 나타냈다. 또한, 야외체험활동은 대학생들의 생물학과 관련된 진로선택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COVID-19를 주제로 한 고등학생 대상 ICT 활용 생물정보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최지원(Jiwon Choi), 윤용근(Yonggeun Yun), 허희정(Heejeong Heo), 천재순(Jaesun Ch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를 주제로 한 고등학생 대상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생물정보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적합한 ICT 활용 교수⋅학습 유형을 기반으로 하여 5가지 주제로 구성된 15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완성된 프로그램은 8년 이상의 교육 경력을 가진 현직 과학 교사 7인에게 내적 타당도를 받았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2022년 1월에 G시 G고등학교 겨울방학 특강 수업에서 1학년 학생 6명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과학 흥미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와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면담 내용은 전사하여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과학 흥미도의 하위요인별로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결과 프로그램은 코로나 바이러스 수용체 ACE2(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의 동족체인 ACE(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유전자 실험,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카드뉴스 제작, 생물정보학 카드뉴스 제작, NCBI(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를 활용한 ACE와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자 분석, 그리고 COVID-19를 주제로 한 생물정보학 신문 제작의 순서로 구성된다.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과학 흥미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전-사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지식정보처리역량의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하위요인 ‘자료판단’의 평균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과학 흥미도의 하위요인별 사전-사후 검사 결과, 하위요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의 평균이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면담 결과, 학생들은 COVID-19를 주제로 한 ICT 활용 생물정보학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가지의 산출물을 제작하는 능력과 과학에 대한 내적 흥미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고등학교 수준에 적용 가능한 수업으로 구성되어 생물정보학과 관련된 수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초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생물정보학 관련 교육 연구에 참고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과학 교과에서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ICT 활용 수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tudents'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and scientific interest by developing and applying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bioinformatics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theme of COVID-19. Methods The 15th class program consisted of 5 topics was developed based on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ypes using ICT. The completed program was received internal validity from seven incumbent sc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eight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six first-year students in a special winter vacation class at G High School in G City in January 2022.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rogram, pre-post-test and semi-structur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and scientific interest. The pre-post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method.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classified by sub-factors of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city and scientific interest to derive meaning. Results The program consists of the experiments of ACE(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gene which is the homolog of the coronavirus receptor, ACE2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nd COVID-19 vaccine and medicine card news production, bioinformatics card news production, and ACE and coronavirus gene analysis using 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re-post test of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and scientific inter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pos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As a result of the pre-post inspection by sub-factor of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the average of the sub-factor ‘information analysis’ is the most impro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pre-post-test for each sub-factor of scientific interest, the average of the sub-factors ‘interest and enjoyment in science’ was improved the most.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ability to produce various outputs and internal interest in science through the ICT-based bioinformatics program under the theme of COVID-19. Conclusions This study is consisted of classes applicable to the general high school level and can be provided as various forms of basic teaching-learning guidance in classes related to bioinformatics, and is expected to be referred to in future bioinformatics-related educational research.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CT utilization classes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in science subjects.

      • KCI등재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전략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 불안 및 생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장세나 ( Se Na Jang ),정미선 ( Mi Sun Jeong ),문두호 ( Doo Ho M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요구되는 웹 기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통합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목표 설정, 학습 내용 정리 및 자기평가의 기회를 제공하는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전략(web SRL-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일반계 남자 고등학생 138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집단에는 전통적 교사 중심의 수업을, 실험집단에는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수업 처치 전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과학 불안, 생물 흥미도에서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생물 흥미도에서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과학 불안은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web-bas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web SRL-S) program on the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ience anxiety, and interest in biology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achievement. 138 high school students of four 10th grade classes in Busan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classes(70 persons) as control group and two classes(68 persons) as an experimental group. The web SRL-S program was only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mainly by the teacher`s lectu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web SRL-S program, the pre- and post-test of the student`s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ience anxiety, and interest in biology were given to both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However the post-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in biology and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the science anxiety. Therefore, the web SRL-S program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cience anxiety and interest in biolog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 개발과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의 활용

        변선영 ( Sun Young Byun ),심규철 ( Kew Cheol Sh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합성 과정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전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117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59명)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통제 집단(58명)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적용 수업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가 있었으며 학습 흥미 또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합성 과정과 같이 추상적이거나 비가시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학습 내용의 경우 종이 모형과 같은 구체적 경험을 활용한 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내용에 적절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 개발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aper model of protein synthesis process in order for students to learn more effectively the protein synthesis, and to examine learning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it in high school biology. For this study, 117 students of 12th grade were sampled from a high school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n=58) were taught the protein synthesis by explanation-based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 experimental group(=59) were taught them by using protein synthesis model. Instruction using the model of protein synthesis process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motivating interests in their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intruction. The class using the models can be another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teach students abstract and complicated concepts like protein synthesis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