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목상담 안에서 인간중심상담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병철(Park, Byeong Cheo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1

        본고에서는 사목상담과 인간중심상담 분야의 문헌들을 바탕으로, 사목상담에서 인간중심상담의 핵심가치들이 어느 정도로 진실성 있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본고는 양자 간에 존재하는 신학과 철학의 근본적인 이론적 차이점들을 인정하면서, 실천적인 면에서 상보적인 가치를 통한 통합적 전망을 지니고 있음을 조명한다. 또한 양자 간의 공통되고 상보적인 가치와 태도들을 발견하고 계발함으로써 얻게 되는 상담자들과 내담자들의 긍정적인 면들을 제시한다. 특히 그리스도교의 ‘이타적인 배려와 사랑’의 계명들과 인간중심상담의 핵심가치들이 상보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와 역할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긍정적인 연구들에 대해서, 일부 사목상담자들과 인간중심상담자들은 ‘그것은 언어의 표면적인 유사성들에 의한 것’이라며 경고하고 비판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사목상담과 인간중심상담의 차이점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면서도, 동시에 실천적인 차원에서 양자 간에 ‘상보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들을 탐구한다. 더불어, 본고는 인간중심상담의 상보적 요소들을 사목상담 안에 설정하고 적용하여 ‘가톨릭 인본주의적’ 사목상담의 한 모델이 되도록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한다. 예컨대 사목현장에서 사목상담에 관여하고 있지만 상담심리에 관한 적절한 교육과 수련을 받지 못한 사목자들에 대한 우려들이 있다. 반면에 전문적인 사목상담의 자격을 갖춘 사목자들이, 윤리적으로 중립적인 심리 치료적 환경 안에서 사목자 본연의 역할을 간과할 소지도 있다. 따라서 본고는 사목상담의 현실을 분석하면서, 사목자들이 사목적인 상담관계에서 그리스도교 신앙과 인간중심상담의 공통된 가치와 실천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적인 가능성들을 고찰한다. 이는 첫째, 내담자 중심의 ‘치료관계’의 적용, 둘째, 인간중심상담의 핵심가치들의 적용, 셋째, 인간중심기법의 세부적인 적용에 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사목자들이 양자 간에 공유하고 보완하는 가치와 태도들을 사목적인 상담관계 안에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내담자들에게 더 풍요로운 사목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the Pastoral counseling and Person-Centered Therapy(PCT) domains, seeks to establish the extent to which the theory and practices of the PCT can be genuinely integrated into a model of Pastoral counseling. The literature indicated that while fundamental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differences exist between both approaches, it was not the depth of these differences, but rather their practical management by both sides, which influenced the complementary prospects for integration. The review also highlights the advantages for both practitioners and clients of seeking to establish and further develop areas of shared and complementary values/attitudes,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core values of the PCT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care and love of the other’. Such positivity was tempered by some severe criticism from deeply committed proponents of both approaches, as well as by warnings against reading too much into some surface language similarities. The research identifies, therefore, if both approaches can generate sufficient synergy to exist in complementarity at a practical level, with the managing of the theoretical differences of both sides. The study has also highlighted factors that could impact on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PCT into Pastoral counseling, as a Catholic humanistic integrated model of pastoral counseling on the basis of the love of Jesus for a person. For instance, within the pastoral domain, concern is expressed about the large numbers of clergy engaged in Pastoral counseling with little or no formal training in that area. Concerns have also been raised, however, in the matter of Priests, who have qualified as pastoral psychotherapists, being required to professionally function in morally neutral therapeutic environ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t could be possible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se issues to implement PCT in pastoral counseling as follows: firstly, the implementation of client-centered ‘therapeutic relationship’, secondly, the implementation of personcentered ‘core values’, thirdly, the implementation of person-centered ‘micro skills’. In conclusion, the research suggests that Priests should implement effectively into pastoral counseling relationships, the advantages coming from the areas of shared and complementary values/attitudes for the benefit of the counselee within the pastoral domain.

      • 영혼의 돌봄을 위한 상담학

        안기민(An, Kimi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new the identify of pastoral counselling and the approach therein that includes care for the soul. There are several types of soul care i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Pastoral counselling is one kind of new care for the soul that i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psychology. In the term pastoral counselling itself, pastoral is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ubject of theology, and counselling as belonging to psychology. In counselling, theology is not something that is far removed from daily life. The thought of God that clients express in counselling is that their own anthropology is always revealed and closely connected to their daily life. What counselling is, is that, clients come to the counsellor to ask for help, and as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explore and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problems and predicaments, the counsellor in this process, helps the client to achieve the client's own aim, determined by his or her own psychological change. In counselling, there is a clear goal and a method to achieve that goal. The method contains the theory, the process of counselling and the procedure. First of all, the counsellor fully understands the counselling approach that he or she chooses so that the counsellor helps the client to solve their problem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problems by the basics of their approach. Pastoral counselling began in America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when counselling came to be practised widely. Pastoral counselling, in relation to 'pastoral care', is an activity that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ology and christianity. Especially, pastoral counselling is an activity that is understood in the big frame of 'pastoral'. Pastoral counselling is 'pastoral',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what makes the pastoral elements determines what is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ling. There is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ies of pastoral care, pastoral counselling, pastoral psychotherapy, and spiritual direction. These four activities are the type that are being done in the church to help people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respective helping contents, extent, aim, and approach. Unlike pastoral care and spiritual direction that have a tradition in the church of care for the soul, pastoral counselling is a special type of care for the soul. The theory and method the pastoral counsellors use to make decisions in pastoral counselling lead us to understand what pastoral counselling is. Because the 'pastor' is the pastoral counsellor ,the counselling cannot become pastoral counselling. Also, because the client who comes to counselling is a catholic, it does not mean that it is pastoral counselling. Being irrelevant to their religion, as well as the content of the counselling, what makes the decision regarding pastoral counselling is revealed in the whole counselling process. In general, the counsellor has the counselling theory and approach that are suitable to the counsellor so that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s problems. In conclusion, if the pastoral counsellor also has a strategic counselling approach, he or she can help the client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 of pastoral counsell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영혼을 돌보는 사목상담의 정체성과 사목상담의 방법론을 새롭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는 영혼의 돌봄에 관한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사목상담은 현대에 와서 심리학의 발달과 관계해서 대두된 새로운 영혼 돌봄의 형태이다. ‘사목상담’이라는 용어 자체에서 볼 수 있듯이, ‘사목’이라는 신학의 주제와 ‘상담’이라는 심리학의 주제가 이 용어 안에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상담에서 신학은 일상적 삶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 상담의 현장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에 대한 생각은 늘 자신만의 인간학을 드러내고 일상적인 삶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담이란 내담자가 상담자를 찾아와 도움을 청하고, 상담자는 내담자가 진솔하게 자기 자신과 자신의 문제와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를 일으켜 자기결정에 의한 목표에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상담에는 어떠한 뚜렷한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 안에는 이론과 과정(절차)이 있다.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자신이 선택한 상담방법론을 충분히 이해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탐색하고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해결을 돕는다. ‘사목상담’은 상담심리학이 본격적으로 태동하기 시작할 때인 20세기 중반에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사목상담은 ‘사목적 배려’와 관련이 있다. 사목상담은 신학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가치관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이다. 특히, 사목상담은 ‘사목’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되는 활동이다. 사목상담은 ‘사목적’이고, 사목적인 결정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사목배려, 사목상담, 사목심리치료, 그리고 영성지도의 활동 사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네 가지 활동들은 모두 교회 안에서 행해지는 돕는 형태의 활동이지만, 돕는 내용과 정도, 목적, 그리고 방법에 차이가 있다. 교회의 전통적인 영혼 돌봄의 형태인 사목적 배려와 영성지도와 달리 사목상담은 심리학과 신학을 바탕으로 하는 영혼 돌봄의 특수한 형태이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이론과 방법론이 곧 사목상담의 정체성을 밝혀준다. 사목상담자가 ‘사목자’이기 때문에 사목상담이라고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상담에 오는 내담자가 가톨릭신자라고 해서 사목상담이 성립되는 것도 아니다. 사목상담을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종교와는 무관하고, 또한 상담의 내용과도 상관없이 상담 과정 전반에 사목상담의 특성이 드러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자신의 성향과 가치관에 맞는 상담이론과 상담방법을 가지고서 내담자의 문제를 도와준다. 결론적으로, 사목상담자도 하나의 전략적 상담방법을 가지고 있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목상담이라는 틀 안에서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경청’에 대한 상담학적 고찰

        송동림(Song, Dong Rim)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神學展望 Vol.- No.168

        본 연구는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의 경청에 대한 부주의로 인해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경청에 대해 상담학적인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한다. 이는 상담자의 경청 태도에 대한 현실적인 진단뿐만이 아니라 상담자에게 경청의 중요성을 고취시켜 문제를 예방하고, 동시에 경청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특히 사목 상담자에게 경청의 당위성과 그 방향성을 제시해 보기 위함이다. 전체적인 구조를 보면 먼저 ‘들어가는 말’에서는 상담학 차원에 있어서 경청과 관련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많은 경우 부분적으로 고찰되어 다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전문적인 차원에서의 경청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제2장에서는 상담 과정에 있어서 상담자의 진지한 경청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다. 제3장에서는 상담기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경청의 자세를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접근해 보고, 특별히 제4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제3장의 상담자의 효과적인 네 가지 경청의 자세를 예수님의 공생활 여정(복음서에서 한 가지 사례씩)에서 찾아보고 이와 연계하여 분석해 본다. 이어 제5장에서는 사목 상담자에게 있어서의 경청의 당위성과 더불어 사목 상담자가 취해야 할 바람직한 경청의 방향성을 제시해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가는 말’에서는 사목 상담 차원에서 본고의 주요 내용을 종합하는 것으로 마무리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상담학적인 차원에서 볼 때 경청은 상담자에게 상담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매우 중요한 상담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중요한 태도는 말하기가 아니라 듣기라는 견해에서 볼 때, 평소 말하는 이에 대한 진지한 경청은 상담자를 비롯하여 모두에게 상담 문제의 예방과 해결 그리고 인간관계의 개선과 향상을 가져다주는, 누구나가 갖고 있는 삶의 놀라운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상담자만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는, 설령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능력은 없다 하더라도 문제로 인한 그 고민을 들어줄 수 있는 능력은 있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ability to listen’ in an indepth manner in counseling sessions. It focuses on situations where by due to negligence of the counselor to ‘listen’ leads to ineffective counseling. It also provides a realistic diagnosis regarding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counselor. Moreover, this research seeks to prevent problems b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counselors to listen.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need for listening to enable even more effective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justification and the direction for listening for the pastors who are counselors so that they can counsel effectively. As seen in the introduction, when the overall structure is examined, there are many insights that are related to ‘listening’ that are being researched in the art of counseling. Given the reality today, since this topic is dealt with under various categories, research on ‘listening’ from the professional level is required. Chapter 2 analyzes the key elements that obstruct counselors’ effective listening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by classifying them under five aspects or levels. Chapter 3 approaches the classification of the effective ‘listening’ attitude under four angles or aspects when evaluating the method of counseling. Chapter 4 searches for the effective four listening attitudes of the counselors, as examined in Chapter 3 from the point of view of Jesus Christ’s pubic minsistry. (one case each from the New Testament), and by conducting an analysis by linking the both topics. Chapter 5 presents the direction for the ideal listening that the pastors, who serve as counselors, requires, with emphasis on the need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listening’. In the ‘conclusion’, in pertaining to counseling, the key contents of this chapter are summarized. In conclusion, listening is a very important dimension of the counseling method that enables counselors to effectively resolve issues. Listening, not talking is the way to move others. Likewise, it is amazing how ‘listening’ is a great help(resource), not only for the counselors, but for the recipients as well,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reventing and resolving issues, and to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 This is a resource that everyone has. Even when the counselors and others may not hav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ey have the ability to listen.

      • 사목상담에서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거룩한 공간(sacred space)의 주요 요소로서 경청

        유성모(Yu Sungmo)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44 No.1

        경청이 사목상담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는 치료자의 경청이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여기에도 저기에도 없는 과도적 상태(liminality)로 이끄는 것 때문이다. Liminality, 즉 이 한계 지어진 경계들 사이의 공간은 본질 적이고 근본적인 차원에 이르게 한다. 이 상태를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 열리는 하나의 거룩한 공간(sacred space)으로 볼 수 있다. 이 거룩한 공간을 열기 위해 치료자의 내담자를 향한 수용적 태도가 요청된다. Winnicott의 대상 관계이론에 의하면 갓난아기가 점차 자의식이 자라나며 현실과 마주하며 홀로 서는 과정 중에 필요한 두 가지 요소를 첫째, 과도적 대상 혹은 과도적 현상과 둘째, 엄마가 제공하는 수용하는 환경(holding environment)이라고 하였 다. 따라서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의 거룩한 공간(sacred space)은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수용하는 환경(holding envirnment)을 형성해 줄때에 가능한 것이 다. 경청은 이 수용하는 환경(holding environment)의 주요 요건인 것이다. 사목상담의 의미를 고려해 볼 때, 수용하는 환경에서 일어난 치료자의 공감 (empathy)을 하느님의 공감(empathy)으로 유비적(analogia)으로 생각해 볼수 있다. 이 거룩한 공간(sacred space)에서 치료자와 내담자 모두 내맡겨진 수동적인 상태가 된다. 이때 전이(transference)와 역전이(countertransference) 의 역동(dynamics)은 내담자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문제를 의식으로 이끈다. 이 거룩한 공간(sacred space)의 역동(dynamics)속에 활동하시는 성령을 고백 함으로써 신앙인의 심리상담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reason why listening is critical in pastoral counseling is that a therapist’s attuned listening brings a condition of liminality, which is neither here nor ther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That is to say, the space between demarcated boundaries enables us to reach an essential and fundamental dimension. This can be considered a sacred spac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n order to open the sacred space, it is required that the therapist holds the client wholly. According to Winnicott s object relations theory, two factors for an infant to grow self-conscious and confront reality by himself or herself are transitional phenomena or transitional object and holding environment which is given by the mother. The sacred spac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s available only if the therapist builds a holding environment for his or her client. The holding environment requires the therapist s attuned listening as a primary factor. Given the meaning of pastoral counseling,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herapist s empathy elicited in the holding environment is analogical to God s empathy. In the sacred space, the therapist and client become passive as the dynamics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bring the client’s essential and fundamental issue to consciousness. We can find the meaning of counseling for the faithful by confessing the Holy Spirit working in the dynamics of the sacred space.

      • 신앙과 정신건강: 자기애성 성격장애 – 자기심리학의 관점에서

        유성모(Yu Sungmo)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9 누리와 말씀 Vol.46 No.1

        자기애성(narcissism)이 만연한 현대의 경향 안에서 사목자는 윤리적 접근과 더불어 신앙인들 가운데 드러나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심리적 문제로 진단하고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공동체 내에서 병적 자기애성의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신앙인들을 단순히 윤리적으로만 판단하는 것보다 그들의 근본적 문제를 이해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목적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전오이디푸스 시기(preoedipal phase) 동안에 외상을 주지 않는 견딜만한 좌절감과 불충분한 욕구충족은 아이에게 있어서 자기대상(self object)으로 부터의 거울반응을 받을 수 있는 내적 자기구조를 형성하도록 돕고 핵심 자기(unclear self)를 통합하도록 해준다. 반대로 부모의 지나친 돌봄 또는 외상을 남기는 돌봄의 실패는 이상화 대상과의 관계에 장애가 나타나 거울반응을 주는 자기대상(self object)을 형성하지 못하는 구조적 결함을 일으키게 되고 응집적 자기(cohesive self)를 통합하는 데 방해를 초래하게 된다. 그 결과, 미발달된 자기구조 안에서 자기대상(self object)으로 부터의 거울반응을 받지 못한 채 웅대성 자기와 이상화된 대상은 고착된 상태로 남아 끊임없이 유아적욕구 충족에 매달리게 된다. 하인츠 코헛(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에 따르면 상담가와 내담자사이에 형성된 아이와 엄마가 나누던 깊은 관계적 공감(empathy)을 바탕으로 거울전이(mirror transference), 이상화 전이(idealizing transference)의 과정을 거쳐 쌍둥이 전이(twinship transference)를 반복하여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지닌 내담자가 현실화된 자기대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사목적인 측면에서,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으로서 인간의 핵심자기(nuclear self)는 하느님을 자기 대상으로 둘 때에 자기애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사목자는 스스로가 완전한 공감을 공명시키는 그리스도를 자기대상(self object)으로 삼아 상담대상인 자기애성 성격장애를 지닌 신앙인들에게 거울 전이(mirror transference), 이상화 전이(idealizing transference), 쌍둥이 전이(twinship transference)의 과정을 체험케 함으로써 그들 역시 그리스도를 자기대상(self object)으로 내면화하여 건강한 응집적자기(cohesive self)를 갖고 참된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가 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Pastors need to diagnose and understand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s a psychological issue along with the ethical approach among the faithful in the trend of contemporary society that narcissism is prevalent. It will be necessary to have pastoral care to see the underlying matter of the faithful who have pathological narcissism and help them, rather than we make just ethical judgment on them. In the preoedipal phase, tolerable frustration and insufficient need fulfillment stimulate a child to establish inner self-structure, which includes mirroring from self-object and enable to integrate unclear self. On the contrary, parents’ excessive care and traumatic failure of care bring about impairment of relations with the idealized object and cause a structural defect that precludes from experiencing self-object and restricts integration of cohesive self. As a result, grandiose self and idealized object without mirroring in the undeveloped self-structure remain stuck, so that it makes one cling infantile impulses. According to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based on the deep relational empathy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as much as experienced between child and mother, a client who has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can accept realistic self-object through the process of mirror transference, idealizing transference, and twinship transference. In pastoral view, on the premise that human’s nuclear self as image of God can keep narcissistic equilibrium when one holds God as a self-object, pastors who have a self-object in Christ who resonates with perfect empathy, can help individuals to internalize Christ as self-object by means of a process including mirror transference, idealizing transference, and twinship transference, and enable individuals to have sound cohesive self and to become true followers of Christ.

      • KCI등재후보

        부부 갈등에 대한 고찰

        송동림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神學展望 Vol.- No.164

        본고는 오늘날 가정에서 일어나는 많은 문제로 인하여 후유증들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위기의 원인이요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부 갈등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는 갈등 상황에 있는 부부들의 처지를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갈등의 완화, 관계의 회복, 나아가 문제의 예방에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기 위함이다. 특히 갈등을 겪는 부부들에 대한 교회의 사목적 지지와 지원이 현실적으로 미약한 상황에서 사목 상담의 필요성과 부부 문제의 중요성을 의식하기 위해서 연구를 시도하였다. 전체적인 구조를 보면 먼저 ‘들어가는 말’에서는 부부 갈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과 더불어 제2장에서는 부부가 결혼 생활 가운데 부딪히는 갈등의 주요한 원인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부부 갈등이 부부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부부 갈등의 상황에서 각자가 대처하는 유형을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제5장에서는 갈등을 해소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바람직한 의사소통의 원칙을 제시해 보았다. 한편 제6장에서는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들에 대한 교회의 역할과 당위성, 방향성들을 사목 상담의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나가는 말’에서는 부부 갈등을 비롯하여 부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보다 행복한 부부 관계의 형성을 위해 개인에게 영향을 주고 있는 저마다의 과거에 대한 심리·정신적인 차원의 작업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불필요한 갈등을 겪지 않도록 인간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폭을 넓혀 나갈 필요가 있다. 셋째, 부부 각자는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정신적인 힘과 영적인 힘을 키워나가야 한다. 넷째, 대인 관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갈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부부 서로는 불행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부부 갈등의 상황을 행복의 계기가 되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