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任埅의 기이 수용과 『天倪錄』

        유형동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이 논문은 水村 任埅과 그가 저술한 『天倪錄』을 통해서 유교이념의 자장에서 기이가 수용되는 양상 의 일면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임방은 기이함에 대한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어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기이를 수용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물이 바로 『천예록』이다. 임방이 기이를 수용한 첫 번째 방식은 기이함을 통 해서 유교적 이념이나 질서를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도 크게 두 가지 방식으 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기이함이 드러나는 이야기를 소개하고 평결을 통해서 이야기의 세계에 대해 동 의를 표하는 방법이다. 임방은 이야기의 주제의식을 조상에 대한 후손의 효라는 유교적 이념과 관련지 음으로써 기이가 수용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다른 한 가지 방식은 기이함이 드러나는 이야기 를 현실 논리를 통해서 반박하고 부정하는 것이다. 불교적 세계와 관련성을 지닌 이야기들이 평결에서 허무맹랑한 이야기로 폄하되는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임방이 기이를 수용하는 두 번째 방법은 이념적인 색채와는 무관하게 기이함 그 자체로 수용하는 것이다. 이는 주로 이인담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다. 임방이 당대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유교의 장에서 기이를 수용하면서 보이는 주체 반응은 동일화, 반 동일화, 비동일화로 구분하여 살필 수 있다. 기이함에서 유교적 이념을 도출하는 것은 지배이념에 순 응하는 주체반응인 동일화로, 기이한 이야기를 소개하고 그 세계를 부정함으로써 유교이념을 구현하 는 것은 순응하는 동시에 탈주하는 비동일화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유교이념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기이를 수용하는 양상은 넓은 관점에서 유교이념으로부터 탈주하는 반동일화로 설명할 수 있다. 임방이 다양한 주체반응을 보이면서 기이를 수용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현실에 대한 지대한 관 심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기이를 수용함으로써 외침과 재해 등으로 혼란해진 사회를 교정하고 올 바르게 인식하고자 한 것이다. 때로는 문란해진 기강을 바로잡고, 때로는 상처받은 민족적 자존감을 회복하는 방편으로 기이를 수용했다고 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signs of eccentricity being accommodated in ideology of Confucianism through Soochon-YimBang and his Cheonyerok(天倪錄). YimBang tried to accommodate eccentricity in various ways despite the fact that he is a Confucian scholar with great interest in eccentricity. And the outcome is Cheonyerok. First, how YimBang tried to accommodate eccentricity was to confirm and realize the Confucius ideology or order through eccentricity. Such tendency is composed of two primary methods. The first method is of expressing agreement on the world of stories by introducing and giving verdict of stories that reveal eccentricity. YimBang established a foothold for eccentricity to be accepted by relating thematic consciousness with Confucius ideology of filial duty of descendants towards ancestors. The other method is of refuting and denying stories with eccentricity through logic of reality. Stories that have relativity with the world of Buddhism being degraded into a groundless story is a classic example. The second method of YimBang accommodating eccentricity is accepting the eccentricity itself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color. This can be found mostly through stories of hermit-stranger(異人談). The reaction that YimBang showed while accommodating eccentricity in Confucianism chapter, which is a dominant ideology of the time, can be signified by classifying it into identification, counter-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Deducting Confucius ideology from eccentricity is the identification of reaction that complies to the ruling ideology that giving body to the Confucius ideology by introducing eccentric stories and denying the world can be explained as the disidentification that accommodates and escapes at the same time. Also, a complexion of accommodating eccentricity without sticking to the Confucius ideology can be explained as the counter-identification that escapes from confucianism ideology from a broad perspective. Ironically, the reason why YimBang accommodated eccentricity while showing various reaction was because he wanted to correct the society that fell into disarray by outcry and disaster and to correctly acknowledge it. Eccentricity was accommodated at times as a way to correct discipline that fell out of order and to recover wounded national dignity.

      • KCI등재

        황석영의『손님』연구 : 탈식민주의 담론의 현재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고인환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韓國學論集 Vol.39 No.-

        황석영의 『손님』은 과거의 역사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독특한 목소리로 재구성함으로써 동시대 현실과 대화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과거와 현재의 대화는 체험과 상상, 해체와 재구성, 단절과 연속 사이를 길항하며 분단 극복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손님』은 체험에 바탕한 기존의 리얼리즘적 분단 인식과, 분단 현실을 관념·상상을 통해 해체·재구성하려는 모색사이를 매개하며 새로운 분단 인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 작품은 기독교와 마르크시즘으로 대표되는 서구 문화의 왜곡된 유입을 강하게 비판함과 동시에 지배 계층의 이데올로기로 기능해 온 공식적 담론을 해체하는 데도 힘을 쏟고 있다. 작가가 '손님(마마)'으로 규정한 기독교와 마르크 시즘은 지배 계층의 이데올로기로 정착되면서 각기 남·북한의 공식적 담론으로 뿌리를 내렸다. 이러한 공식적 담론은 토착적·전통적 삶의 양식들을 타자화함으로써 스스로의 위상을 정립해왔다. 『손님』은 공식적 담론과 전통적 삶의 점이지대에서 분단소설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데, 이는 이성의 언어(근대 이데올로기)와 감성의 언어(공동체적 언어), 중심과 주변을 매개하는 경계의 지표이며 양자를 대화적으로 연결하려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다. 『손님』은 세계사적 보편성과 민족사적 특수성이 교차하는 현장인 한반도, 더 구체적으로는 황해도 '신천'을 배경으로 잃어버린 민족의 역사를 재구성함으로써 분단 현실을 다시 우리 문학의 중심 화두로 떠오르게 한다. 이는 서구 중심적 근대의 부정성에 대한 폭로인 동시에 그것에 의해 피폐해진 우리의 심성을 되찾는 작업의 일환이다. 특정한 역사적·문화적 패러다임이 다른 문화권에 여과 없이 강요될 때 그것의 폭력성과 한계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황석영은 이 작품에서 기독교와 마르크시즘으로 대표되는 서구 문화의 주체적 전용을 통해 새로운 분단소설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손님』에 나타난 전통적 서사 규범은 서구의 세계관과 지배 담론에 의해 굴절된 우리 문화의 자의식을 유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도는 중심에 의해 소외된 주변문화를 전경화함으로써 (신)식민주의적 담론의 허구성을 폭로하는 쪽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담론의 현재적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 study of Soek-Young Hwang's Guest. Soek-Young Hwang's Guest situates again as a central theme of our literature the fact of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t does so by reconstructing the lost Korean history, whose setting is 'ShinCheon' at HwangHae-Do in the Korean peninsula where intersect the world-historical universality and the nation-historical specificity. This is a disclosure of the negativity of Eurocentric modernity and at the same time is a part of the work which aims to regain our mind sterilized by it. When a particular historical and cultural paradigm is forced upon the other cultural sphere there is obviously revealed its violence and limit. In this respect, Guest"s traditional narrative convention gives us an opportunity to infer our cultural self-consciousness which is refracted by the Western world-view and dominant discourse. Hwang's appropriation of traditional convention in Guest is to present the problem of the modern just at our original space. And it tells that overcoming the modern can't be realized without exploring concretely the life mode of community. That means our 'partition literature' now must aim at the knotting point between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as an object of exploration. This attempt is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as it progresses to reveal the falsehood of (neo)colonial discourse by foregrounding the marginalized culture which is alienated by the center. This article studies Guest which searches for some possibility of new narrative by appropriating at once the western discourse and the indigenous formal discourse.

      • KCI등재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론

        장두영(Chang Du-yeong)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김남천 작 『사랑의 수족관』에 관한 논의는 주로 통속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통속성의 문법을 채용한 결과 작가의식의 퇴보로 이어진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작품에 대한 접근시각을 달리하여 ‘식민지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1930년대 후반기의 식민지 경성은 식민지 경제성장을 위한 총독부의 정책과 경제공황 이후 만주진출로 인한 일본 경제의 급속한 회복으로 조성된 경제적․사회적 결과물이다. 조선의 공업화 과정에서 일본 대기업 독점자본이 한국을 경유하여 만주로 진출하게 되고, 조선인 자본가는 일본 자본과 결탁하여 유래 없이 막대한 이익을 취한다. 이 점에서 조선인 자본가의 영애인 이경희와 일본 철도회사 직원 김광호는 각각 조선자본과 일본자본의 수혜자인 셈이다. 한편 1930년대 경제성장은 ‘만주침략=만주진출’의 관계에서도 드러나듯 일본의 군국적 제국주의의 확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만주붐으로 표현된 경제적 이윤추구 이면에는 제국주의의 확장을 위한 규율과 규범의 내면화를 가용하는 동일화의 논리가 자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식민지 경성의 인물들은 이데올로기 장치의 ‘호명’되어 주체를 형성한다. 개인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동일화’라는 주체형성의 요구에 각기 다른 반응을 보인다. 현상에 대한 분석을 결여한 채 감정과 인상에 의존하는 이경희의 시선은 대상을 이상화하고 욕망함으로써 동일화의 가능성을 열어둔 반면, ‘방관자’를 자임하여 분석과 해석을 통해 대상을 추상화하려는 김광호의 시선은 판단정지를 통해 전면적인 동일화를 유보하고 있다. 이경희는 자선사업을 통해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지지만 결국 식민지인을 타자로 설정하고 통제하려는 식민당국의 논리에 동화되어 버리는 결과를 낳는다. 반면 무비판적인 동일화를 유보하던 김광호 역시 현실의 거대한 힘에 눌려 정신적인 방황을 거듭한다. 그의 분석적인 시선은 아직 식민지 자본주의 전체를 조망할 만한 인식능력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인물들이 외부 세계인 만주를 경험하고서 크게 변화한다. 만주는 식민지 본국의 독점자본세력과 군부를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 세력이 결합하여 건설한 근대적 공간이었다. 조선에 작동하는 자본주의와 식민권력의 복합작용은 내면화되었기에 쉽게 파악할 수 없었지만, 외부 세계인 만주에서 현실의 작동 원리를 목격하는 것이다. 이에 이경희는 자신의 신념이 내포한 허약성을 깨닫게 되고, 김광호는 시선의 방법론을 강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할 입각지를 마련하고서 경성에 복귀한다. 그러나 작가는 김광호가 앞으로 어떠한 행보를 걷게 될 지는 미지수로 남겨둔다. 작가 스스로도 체제의 위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제 규율의 내면화가 강요되는 상황에서 무비판적인 동일화라는 투항을 함몰되지 않고 비동일화의 가능성을 암시함으로써 우회의 방법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사랑의 수족관』은 단순한 통속성을 벗어나 진일보를 성취하고자 한 작가의식의 소산이라 결론내릴 수 있다. Kim Namcheon's An Aquarium of Love has been paid attention to in a respect of popularity for a long time. For example, it's said that a grammar of 'popularity' which Kim adopted in his work made his critical mind as a writer blunt. But this thesis accepts the word 'colonial capitalism' as a keyword to understand the colonized Chosun. Kyoungseong is a city in which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employed the various policies to develop the colony and Japanese economy recovered through the advance to Manchuria. Japanese conglomerate's monopolistic capital went through Chosun to Manchuria and Chosun capitalists sponged on it. From this point of view, Lee Kyounghee and Kim Kwangho benefited from the colonial capitalism because the former is a daughter of Chosun capitalist and the latter is an official of Japanese railroad company. On the other hand, economic development in 1930s, as you know it's achieved from the invasion to Manchuria, is related to the spread of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Imperial Japan emphasized on and enforced the identification that people had to accept the rule of Imperialism to benefit from 'Manchuria Boom'. For instance, the colonialized are supposed to have the identities that were made by the 'interpellation' of Ideological Appuratus. This Process doesn't directly make the identities. The characters each response upon the call. Lee Kyounghee tried to accept the identity with the imperial self-consciousness with a point of impressive and sentimental view. She doesn't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only to idealize and desire them. For example, she has a conviction that she can develop the Chosun society through the charitable works. But this conviction has the same logic that Imperial Japan can govern and control Chosun and Manchuria, the other. While, Kim Kwangho denies to accept absolutely the identity that imperial Japanese capitalism enforce. He, as an observer, tries to make the present situations abstract by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ut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reality makes Kwangho also wanders mentally because he has no analytic eyes to see the whole 'colonial capitalism' with. Characters' limitations are changed after their experiences of Manchuria, out of Chosun. Manchuria was the modern space that was made by the combination of the colonial monopolistic capitalism and the Japanese militaristic imperialism. Characters in this work don't easily know the capitalism and the colonial authority because they internalized them in Chosun, while they can easily know them in Manchuria because it's outside of Chosun. So, Kyounhee perceives the fragility in her conviction and Kwangho comes back to Kyoungseong, which he can analyse with the methodological and objective eyes. Kim Namcheon, the writer didn't show Kwangho's future to us. It's left just a potential possibilities. Maybe even Kim didn't know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imperial Japan and its representative Kyoungseong. But in An Aquarium of Love, Kim showed characters to us that denied the identification logic which the capitalism of imperial Japan enforced to them. For this reason, we can conclude this work An Aquarium of Love results from the writer's critical mind to attain the progressive step forward from a simple popularity.

      • KCI등재

        현대 한국 판타지 동화의 변신 모티프 연구

        방은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morphosis motif of modern fantasy fairy tale in the network between the capitalist society and the child ‘s body. To this end, I discussed about the meaning of the child ‘s body in modern society and examined the motif of metamorphosis in modern fantasy fairy tales. Next, we analyzed the metamorphosis motif of fantasy assimilation in terms of identification, counter-identification, and dis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of the subject of the body. In the process of analysis, we focused on how children transformed from modern capitalist society to what kind of bo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ody that meets the demands and expectations of the adults’, ‘the body seeking compromise with secularized adults’, and ‘the body separating from the capitalistized symbolic world’. This study analyzed fantasy assimilation while looking for connection between social discourse and metamorphosisal motif of body.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in the subject research of children’s litera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자본주의 사회와 아동의 몸 간의 관계망 속에서 현대 판타지동화의 변신 모티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인공의 몸이 변신을 통해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 어떤 식으로 접속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현대사회에서 아동의 몸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고, 현대 판타지 동화에서 변신에 담긴 몸의 욕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페쇠의 주체 구성 방식에 따라동일화, 반동일화, 비동일화의 견지에서 판타지 동화의 변신 모티프를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아동이 변신을 통해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떤 몸으로 바뀌고자 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분석 결과, ‘성인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는몸’, ‘세속화된 성인과 타협을 모색하는 몸’, ‘자본주의화된 상징적 세계와 결별하는 몸’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몸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변신 모티프와의 연결점을 모색하면서 판타지 동화를 분석하였다. 향후 이 연구의 성과가 아동 문학 주제 연구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일제말기 만주 여행서사와 주체 구성 방식

        진영복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3

        일제말기 만주 여행서사에는 식민자와 피식민자 간의 경계지점을 오가며, 다양한 주체들에 대한 다수의 시선들이 작동한다. 이 시선이 때로는 차별화로 때로는 동일화로 첨예하게 드러나고, 이를 통해 여행자는 자기의 정체성을 재구성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효석, 이태준, 이석훈의 만주 여행서사를 중심으로 타자에 대한 시선과 주체 구성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탈식민주의적 전략 지점과 방식을 파악하였다. 이효석의 경우, 만주 여행 서사에서 식민자와의 비동일화를 통해 주체 구성하고, 만주를 미적 자율성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그는 만주에 혼재하는 다양한 민족문화들에서 타자성을 발견하고 세련된 감각을 통해 미와 문화의 보편성과 우연성에 대해 사유한다. 그러나 다양성과 우연성에 기반한 심미적 삶의 추구가 현실로부터 거리를 둔 탈역사화된 의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를 보인다. 이태준은 식민지 지배자와의 반동일화를 통해 주체를 구성하는 한편, 만주를 계몽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그는 문화본질주의에 입각하여, 만주를 타자로 규정하는 한편 일제의 목표와 정책을 저항하면서 식민 주체의 논리를 그대로 모방하는 방식, 즉 반동일화의 방식으로 조선인 내지 자신의 주체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자신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오히려 부정하는 대상을 옹호하는 상황을 연출한다. 이석훈은 만주국의 정책을 동조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식민자와 동일화를 통해 주체를 구성한다. 그는 식민자의 논리인 내선일체를 위해 정진함으로써, 2등의 모방된 식민자로 조선의 확대된 영토를 만주에 건설하려는 욕망을 표출한다. 그러나 내선일체의 이데올로기의 모순과 균열을 경험하고,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피처로 만주행을 선택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對美)의식 양상 연구

        김홍진(Kim, Hong-jin)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59

        개항 이후 한국 근대사 전개에서 미국은 강력한 영향을 미친 나라이다. 그런 만큼 한국문학 작품 속에서도 미국은 문제적으로 등장한다. 한국문학에 투영된 미국의 이미지는 작가나 시인들의 미국에 대한 정치, 경제, 역사, 문화적 인식과 밀접한 관계에서 생성된 것이다. 그것은 대개 미국에 대한 환대와 찬양의 친미의식, 혹은 적대와 부정의 반미의식으로 비교적 분명하게 양분된다. 본고는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을 개항 이후 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을 따라 개괄적으로 조망하면서, 그 시사적인 의의를 조명했다.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은 친미와 반미의 양극에서 환대와 적대, 호의와 비판, 긍정과 부정 등의 양분된 구도에서 전개되어 왔다. 전체적으로 볼 때 친미적 태도는 개화기의 특정 가사나 일부 신소설 작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해방 이후 친미에서 비판적 태도를 거쳐 반미의식을 표백하는 변모의 양상을 띤다. 이를 담론의 유형으로 살피면, 찬미 혹은 친미의 동일화 담론, 미국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는 동시에 비판 풍자하는 비동일화 담론, 미국의 이데올로기에 반항하는 반동일화 담론의 유형과 연관된다. 본고는 구한말에서부터 현재로 거슬러 오르며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대미의식을 통시적으로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에 나타나는 미국의 이미지와 인식론적 특징, 이와 함께 시대적 변화의 추이에 따른 공시적 특성을 규명했다. 핵심 내용은 이상적 동경의 제휴와 친일반미 의식, 동일시의 환대와 비판의식, 비동일시와 저항적 반미의식, 반동일시와 적대적 폐기의식, 체험의 심화와 다원적 인식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The United State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evolution Korea"s modern history.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appeared frequently as a problem a literature in Korea. The projected image of the US in the Korea Literature is created from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economic, historical, and cultural awareness of the American writer. It is usually relatively clearly divided in to pro-conscious hospitality and praise for the US, or the consciousness of anti-American hostility and denial. This paper will review and outlook as out lin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history after the opening of the US consciousness that appears on theKoreaLiterature,wasilluminatingtheir meaning. Korea Literature in recognition of the United States were deployed as anti-American and pro-American. That was expanded and developed in the hostilities, favors and criticism, the attitude of positive and negative. Pro-perception is hardly appear, except for novels and poetry, some of the bloom. Through a critical attitude in the pro-liberations in it seems that the pattern transformed in to anti-American consciousness. This discourse is related to the non-identification, the type of discourse in the United States to resist recoil anecdotal identification of dis course, critical attitude. This paper will watch the ceremony represented the United States in Korea diachronic literature. So as to illuminate the image of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epistemological features that appear in the literature. Together we want to identify the character is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change. First, the core content is pro-Japanese anti-American consciousness, the second is equated with consciousness the third is equated wit non-critical consciousness, the third time and reaction anti-American consciousness, fourth explored by dividing the deepening of awareness.

      • KCI등재

        조숙(早熟)과 만숙(晩熟)의 경계

        김지혜(Kim, Ji-hy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본 논문은 1970년대 최인호 소설의 인물들을 연구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순응과 저항의 경계에 머물러 있는 최인호 소설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인호는 중ㆍ단편 소설에서 속물화된 도시적 삶과 억압적인 근대화에 대한 비판정신을 잘 드러냈다는 호평을 받았지만, 장편소설에서는 현실도피적인 상업주의 작가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연구에서는 최인호 소설이 소위 순수문학에서 대중문학으로 넘어가는 시기인 1970년대 초ㆍ중반 소설의 인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최인호 소설의 긍정적 가능성과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인호의 초기 소설에는 부조리한 세계를 일찍 알아버린 조숙한 어린 화자들이 많이 등장한다. 「술꾼」, 「모범동화(模範童話)」, 「처세술개론(處世術槪論)」, 「예행연습(豫行演習)」 등의 어린 화자들은 부정적인 세계의 질서를 너무 일찍 깨달아버린 조숙한 인물들로서, 거짓과 위선의 태도로 어른의 세계에 맞서는 반동일화(Counter-identification)의 태도를 보인다. 이들은 어른과 아이의 경계에서 부정적 현실을 폭로하기도 하지만, 그 내면에는 아버지의 질서에 완전히 편입되기를 원하는 동일화를 욕망을 지니고 있다. 최인호 소설의 청년 화자들은 어린 화자들보다 강하게 기성세대에 대한 반감을 표출한다. 『내 마음의 풍차』, 「바보들의 행진」 등의 청년 화자들은 정치적 억압과 물질만능주의 등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새로운 주체로 변모하고자 한다. 이들은 지배적 이데올로기 안에 편승하는 동시에 저항하는 비동일화(disidentification)의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부정적인 현실에 대해 회의를 느끼지만 적극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방관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무서운 복수(複數)」가 저항과 방관 사이에서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면, 『별들의 고향』, 「돌의 초상」에서는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는 ‘만숙(晩熟)’의 인물들을 통해 현실도피적 태도를 보여준다. 결국 조숙과 만숙의 사이에 있는 최인호 소설의 주체는 부정한 세계를 바꾸기보다는 현실 도피적인 속물적인 주체로 변모할 수 있는 한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hoi In-ho’s novels, focusing on the border between complianceand resistance against reality, by studying the characters of his 1970s novels. Choi In-ho has been favorably reviewed for aptly revealing a spirit critical of materialistic urban life and repressive modernization in his medium-length and short stories, but has been criticized as the commercial author of escapist full-length novel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haracters of his 1970s novels, the time when his novels changed from so-called pure literature to popular literature, we aim to survey his novels’ positiv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Many young narrators who realize the absurdity of the world early on appear in Choi In-ho’s early novels. As precocious characters who realize the negative order of the world too early, the young narrators of 「Boozer」, 「Mobum Donghwa (a model fairy tale)」, 「Cheosesulgaeron (an Introduction to Success in Life)」, 「Yehangyounseup (Preliminary Practice)」, etc. display an attitude of counter-identification, standing against the world of adults and their attitudes of lies and hypocrisy. They reveal the negative reality at the boundary of adults and children, but desire an identity that wants to be fully incorporated into the father’s order. The adolescent narrators of Choi In-ho’s novels express aversion to the older generation more strongly than the young adult narrators. The adolescent narrators of 『Windmill of My Mind』, 「The March of Fools」, etc. try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new subjects, while strongly criticizing political oppression and materialism. They can be said to be in a phase of disidentification that coexists with but resists the dominant ideology. However, they also display a bystander’s attitude, doubting their negative reality but not taking action. While 「Scary Revenge」 describes a conflict between resistance and on looking, a reality escaping attitude is visible in the characters of “Late Maturity” who refuse to be adults in 『Heavenly Homecoming to Stars』 and 「Portrait of a Rock」.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 subjects of Choi In-ho’s novels,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ty, have limitations that transform them into secular subjects who seek to escape reality, rather than actively trying to change their corrupt world.

      • KCI등재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새 지평 ;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방식

        김종헌 ( Jong Heon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33

        This research thesis aims at illuminating literary examination with the focus on children literature, which appeared in the formation phase of children literature. The literary scope was concentrated on works by Bang Jeong-hwan(1899-1931), which was presented in the late 1920s and throughout the 1930s, Shin Go-song, and Jeong Ji-yong, including Yun Bog-jin(1907-1991). It is so because children literature among children literature movement not only emerged during the periods, by publishing children magazines. but also class confrontations bred conflicts surround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were noted during the periods. Since KAPF secured the position, it was not ``the innocence of children`` in children literature, but the concept of sociological innocence of children through children literature that KAPF workers criticized, in respect of presence of children good and pure like an angel. The periods saw feudal and ethnic contradictions co-existing in the social terms. In the literary circle, the neo- class and stratum was emphasized amid romanticism school. Korean modern children literature has become to take on the form, finding the identities of children, under such an exterior influence. One of problems was that class conflicts appearing after KAPF changed its direction for the first time, gave rise to the innocence juvenility of angel. In other words, class literature that KAPF pursued has come to assume uniform discourse through ideological identification, ignoring the subject of the innocence of children, as a part of bid to get rid of humanitarian innocence of children. But, based on lyricism in early children literature Shin Go-song formed the innocence of children, far from identification, promoting the class-oriented children view, with the criticism for Bang Jeong-hwan, The same was said for Yun Bog-jin. But, Jeong Ji-yong constituted the innocence of children, in the adverse direction, with no prompt response to enlightment or class-centered works. Instead, he sought to find out the innocence of children through inter-complementary conversations and communications, on the ground of inflexible adjustment. This research thesis was demonstrated that Korean children literature history has, so far, put a restriction on accepting the innocence of children like an angel criticized by great discourse of KAPF, as it was, rather than the presence of enlightenment-oriented innocence of mind appeared in youth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