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의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방하남(Hanam Phang),이다미(Dahmi Lee)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4

        지난 반세기 동안 동아시아 국가들–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초저출산 문제와 고령화를 겪으며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인구구조의 변화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유사한 역사·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이들 국가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인구고령화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인구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과거 경제성장에 기여해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게 되면서 인구학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인구학적 배당’의 개념을 통해 향후 인구고령화가 가져올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및 노동력의 고령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필요로 하며,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필수 과제임이 증명되었다.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점차 은퇴생애가 길어짐으로써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여성,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생산성 향상과 노후보장체계의 정비를 통해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간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질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During the previous half-centur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Japa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have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nd successful social development. However, going through lowest-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since 1980s, they stand at the crossroad of the serious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they haven’t experienced.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following changes of the labour market which take place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similar historical/cultural backgrounds in the dem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we analyzed the future economic and social ripple effects using the concept of ‘demographic dividend’ which means that Baby-boom generation who ha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can become a considerable burden by their retiremen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aging of population needs to be followed by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labour market in that it results in the aging of labour force as well as a decrease of productive population; besides, it is a common problem for East Asian countries to solve. In addition, as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becomes longer because of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undamentally.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labour market of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females, the elderly and modifying the old-age security system can reduce negative effects of population aging. Second, qualitative changes to enhance the institutional coherence between labour market and old-age security system should be accompanied.

      • KCI등재

        인구 고령화와 트랜스 동아시아 - 일, 한, 중 3국의 인구 고령화 추이와 정책 대응 -

        방경희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4

        This paper attempted to review the aging trend of the three trans-East Asian countries, Japan, Korea, and China, which are changing with the keyword of population aging, and the policy response accordingly. Through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Japan, which has entered the deepening super-aged society, has changed its direction from the national responsibility welfare policy to the state, the peopl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three-way responsibility policy through policy trial and error in the early stages of population ag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oal of such policy change has an ultimate goal for the independence of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which currently has a fertility rate of 0.84 and is an ultra-low fertility country, low birth rate and elderly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gether, but it was confirmed through a review that the main focus of the policy is low birth rate policy. However, in the future society, since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s predicted and imbalance in the population structure is predicted, sensitive responses to employment expansion and support policies focused on independence of the elderly are needed. Although the aging rate is lower than that of Japan and Korea, China, which has a large elderly population,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basic policies on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due to large regional variations and wide urban and rural gap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resolving regional deviations and homogenizing policies will be the policy task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future. 본 논문에서는 인구 고령화라는 키워드로 변화하는 트랜스 동아시아 3국, 일본, 한국, 중국의 고령화 추이와 그에 따른 정책 대응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검토를 통하여 현재 초고령사회 심화기에 진입한 일본은 인구 고령화 초기의 정책적 시행착오를 통하여 전적인 국가 책임의 고령자복지정책에서 국가와 국민, 지역 사회, 3자 책임 정책으로 방향성이 변화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변화의 목표는 고령자 독립에 궁극적인 목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현재 출산율 0.84명으로 초저출산 국가에 해당하는 한국의 경우는 저출산, 고령자 정책이 함께 시행되고는 있지만, 정책의 주안점이 저출산 정책에 있음을 검토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사회는 급격한 고령 인구 증가가 예견되고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예측되기 때문에 고령자 독립에 주안점을 둔 고령자 고용 확대와 지원 정책에 대한 민감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인구 고령화율은 일본과 한국보다 낮지만, 고령 인구의 규모가 거대한 중국의 경우는 고령자복지정책에 관한 기본 시책들이 수립되고 시행되는 과정에 있지만 넓은 면적의 국토로 인한 지역 편차가 크고 도시와 농촌의 격차도 심해 고령자복지정책의 실효성이 저하되고 정책의 균질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 편차 해소와 정책의 균질화가 향후 중국 정부의 정책과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The Benefits of Japan’s Development Assistance For Primary Education in Bangladesh: Does Japanese ODA Increase the Schooling Promotion?

        이윤석,Yoshida Hiroshi,김윤민 서울행정학회 2018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8 No.4

        This article examines the benefits of foreign aid for primary education in Bangladesh by analyzing data collected by one of its donors,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We found that the JICA program increased the rate of students continuing or completing their primary schooling. This means that the provision of a teaching package via the JICA has improved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 result of a statistical analysis at the individual-level and from the results of school and macro-level data over time demonstrating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childrens’ learning at the targeted schools in the program. We conclude that in the long term, this program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and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in Bangladesh, which, in turn, could contribute to the country’s economic growth along with social and environmental reforms. Current Korean ODA to Bangladesh lacks projects or programs that regards primary education although the necessity is well acknowledg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us, there should be increase of focus in the sector, and the direction of the implementation should reflect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Japanese cas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