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방하남(Phang Hanam),이상호(Lee Sang-Ho)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1

        이 논문은 노동시장에서 근로자들의 성취를 가늠해주는 ‘좋은 일자리’의 개념화와 측정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우리는 좋은 일자리란 무엇인가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경제적 보상으로 서의 임금, 사회적 척도로서의 직업위세, 심리적 주관적 척도로서의 직무만족도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좋은 일자리’의 개념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개념정의에 따라 모든 일자리를 ‘나쁜 일자리’에서 ‘좋은 일자리’에 이르는 4개의 서열범주로 분류한 후 개인들이 상대적으로 좋은 일자리 범주에 속할 확률의 결정요인과 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좋은 일자리의 성-학력-연령계층별 불평등 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좋은 일자리에 취업할 확률은 근로생애의 연령단계에 따라서 변화를 보이며 그러한 생애패턴이 성별로 서로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노동시장 불평등과 분절구조를 연구함에 있어서 기존의 통상적인 지표들 ― 즉 임금, 직업위세, 직무만족도 등 ― 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좋은 일자리’의 종합적인 지표가 더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good job’ and its distribution over individual’s background and positional attributes. We, drawing on past studies on good job, we focus on the three most prominent dimensions of a desirable job ― social status, financial reward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hree indices, we classify individuals’ current jobs into an ordinal scale that runs from ‘good’ to ‘bad’ job on a 1-4 scale. And then we examine, using ordinal probit model, empirical probabilities of each individual being classified into a better job category.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ordinal probit model reveal that good job is unequally distributed between sex, education, and age groupings. Based on the exploratory and analytic results of our conceptualization of ‘good job’ we suggest that the suggested multi-dimensional concept of ‘good job’ could be a better alternative to any one-dimensional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labor market success based on the job occupied ―wage, social status, satisfaction ― and as such be a fruitful concept that could be utilized in studying labor market inequalit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강요된 선택 :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방하남(Hanam Phang),신인철(In Chol Shin)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를 이용하여 생애 주된 일자리로부터의 퇴직과 퇴직 후 재취업의 과정을 연계하여 생애과정적 관점에서 중고령자들의 노동시장 동학을 분석하였다. 먼저,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률 분석결과, 개인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안정된 양질의 일자리로 취업될 확률이 높으며, 그에 따라 근속기간이 길어지고 따라서 평균적으로 퇴직이 늦어지게 되는 것을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임금근로자의 경우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강한 고용안정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정년제도가 있는 기업이 정년제도가 없는 기업보다 결과적 고용안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이후 재취업을 할 확률과 재취업경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거 주된 일자리에서의 임금이나 소득수준 등 시장적 유인요인보다는 가구 내 경제적 필요를 나타내는 가구부채가 강한 유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중고령 근로자들의 퇴직 후 재취업이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미흡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을 확인해 주는 것으로 보인다. 중고령 근로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시점이 빨리 최종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은퇴하기 전까지 여러 경로와 형태로 재취업을 할 수 밖에 없게 되고, 재취업을 하더라도 대부분 영세자영업 및 근로조건이 악화된 일자리로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애 주된 일자리로부터의 퇴직과 퇴직 이후의 재취업과정과 관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ynamic process of retirement from life-time main job(LMJ) and reemployment of the old-aged (>=50) workers in Korea, using work history data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998-2006). Through the analysis of retirement from LMJ, we found that those who are more educated tend to be employed in a better job with good working conditions, which translates into a longer tenure at the same job. Indicators of internal labor market such as finn sizes and normal retirement regulation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timing of retirement from LMJ. From the analysis of re-employment process, we found that push-factors such as housholds' financial constraints (i.e., debt) have a stronger effect than market pull-factors such as wages and income on the old-aged workers' reemployment choice. This implies that the old-aged workers in Korea, due to very limited and weak retirement income security system, are forced to keep working in low-waged bridge jobs (mostly in self-employment) before they finally retire. We conclude this paper with some policy interventions that needs to improve employment prospects of the old-aged workers and to better prepare their retirement lives.

      • KCI등재

        청소년 인구의 경제활동참여와 고용구조

        방하남(Hanam Phang) 한국인구학회 1999 한국인구학 Vol.22 No.1

        본 논문은 우리니라 청소년인구의 장기적 경제활동참여율 변동추이와 고용(실업)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청소년층의 경제활동참여와 취업은 학교교육의 이수, 군복무, 결혼, 출산을 통한 자신의 가족형성 등 일련의 생애전이과정(life-course transition)과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집단적으로는 연령단계에 따라서 큰 변화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지난 20여년간(1980년대 - 1990년대) 청소년층의 연령단계별 경제활동참여 및 취업률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살펴본다. 청소년기는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진입과정(school-to-work transition)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층의 경제활동참여율 및 취업률은 무엇보다 동 연령집단의 취학률 및 진학률의 번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되는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여년간 우리나라 청소년층의 고등학교 및 대학진학률은 지속적이고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경제활동참여율 및 고용구조에 있어서의 변화에 미친 영항을 경험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본다. 1980년대 초반 이후 우리나라 학교교육체제에 있어서의 변화가 청소년층의 취업구조에 미친 가장 주요한 영항 중의 하나는 높은 대학진학률에 따른 청소년 노동력의 고학력화와 그에 따른 고(高)실업의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따라서 대학졸업자들의 실업문제를 중심으로 청소년층의 고학력화를 낳는 사회구조적 요인과 고실업을 낳는 노동시장에 있어서의 불평등한 기회구조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경험적 증거들을 제시한다. This paper documents and discusses trends and differentials in youth's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and employment. Youth in this study is defined as the young aged 15 - 29. Youth passes through a series of life-course transitions, which include school completion, own family formation(marriage and childbirth), mandatory service in the army (by males), and their economic activities are affected by those life-course events. Accordingly we show how and to what extent youth'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employment varies with age and how the age pattern has changed over time. Throughout the 1980's and 1990's, youth's labor force participation showed different trends by age group.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the 15 - 19 aged steeply decreased, while that of the 25 - 29 steadily increased during the two decades, the rate for the 20 - 24 aged showing not much variation. The former is due to the increased rate of school enrollment among the age group, while the latter could be attributed, in part, to the young women's increased and more steady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over time. While labor force particip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 result of one's choices and preferences,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more or less restricted by labor market structure and institutions. This study documents how the structural constraints have interacted with individual and group attributes to differentiate employment opportunities between individuals (educational background) and groups (especially sex differences). One of the most salient feature of youth's em[ployment structure is the recent high unemployment rate of the college graduates. We discuss how that is related to the 'credential society' in which one's educational credential and it's social status play major role in determining who gets what in terms of job opportunities. Also is discussed the discordance between school and labor market supply and demand system, which is apparent in the prolonged oversupply of the college graduates, which is due to the consistently high rate of college entrance observed since the early 1980's. Theoretically the job market for college graduates is viewed not as the 'neoclassical' wage competition market but as job competition market in which one's (good) job opportunity is determined by one's position in the job queue, which is in turn heavily dependent on from which college one get's his/her college degree as well as one's sex.

      • KCI우수등재

        변화와 세습

        방하남(Phang Hanam),김기헌(Kim Geehun)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3

        생애과정적 관점에서 볼 때 개인의 사회적 지위획득은 귀속적 지위의 근원으로서의 ‘가족’ 과 개인의 업적을 쌓는 장소로서의 ‘학교’, 그리고 직업적 지위획득의 장으로서의 ‘노동시장’ 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개인의 사회적 지위획득과정(status attainment process)을 모형화하고 그러한 과정과 결과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개인이 속한 가족의 귀속적 지위와 자신의 업적적 지위, 그리고 사회적 변화와 변동 속에서 이루어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지위획득과정에 대한 분석 결과. [부친의 학력] → [본인의 학력] → [본인의 초직] → [본인의 현직]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가장 주된 세습-성취경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대간 세습과정에서 부친의 직업보다 부친의 학력이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며 세대내 성취과정에서는 가족배경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본인의 지위획득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본인의 학력을 매개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남녀별로 지위획득과정을 살펴본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출신가족의 영향을 더 받으며 사회이동에 있어서 남성보다 한층 더 제약된 조건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집단 별로 살펴본 결과, 세대내 성취과정은 연령세대를 거치면서 업적적 요인(교육)이 지위획득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져 가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으나, 사회적 지위의 세대간 세습 과정에 있어서는 귀속적 요인의 영향이 산업화가설과는 달리 단선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여 왔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출신지역별 차이에 대한 분석은 전남/전북출신보다 경남/경북출신자들의 지위획득과정이 보다 일관되고 정연하며 부모세대의 사회적 지원을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is achieved in the process of life-course transitions from ‘family’ as a source of ascriptive status to ‘school’ as a place to build academic credit to ‘labor market' as a contested terrain for occupational status and income. In this paper, drawing upon Blau-and-Duncan’s status attainment model, we examine how and to what extent individual’s status attainment process and outcome are affected by one’s family’s ascriptive status and by one’s own merit and achievement. Also is examined how the mechanism of inter- and intra-generational status attainment varies between different groups by sex, age cohort, and the region of origin. In particular, we test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on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e process of social status attainment becomes more dependent on individual merit than on one’s ascriptive status as economy and society becomes mo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we could confirm that the major path of influence in ascription and achievement is from [father’s education] to [own education] to [own first job]. We also found that, in attaining educational merit(schooling), father’s educa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occupation, while in achieving occupational status, the indirect effect of father’s social status through one’s own educational attainment is larger than it’s direct effect. The effect of the family of origin on one’s status attainment process is found to be larger for women than for men. Cohort changes in social status achievement showed that, while the effect of one’s academic merit on occupational status increased, the effect of one’s ascriptive status was not found to be decreasing over the past decades, which contradicts the modernization hypothesis.

      • KCI등재

        한국사회의 교육계층화

        방하남(Hanam Phang),김기헌(Kihun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4

        본 논문은 지난 반세기 동안 교육계층화의 정도와 양상이 연령코호트(age cohort) 간에 어떻게 변화해왔는가를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단계에 이르는 단계별 진학여부 및 진학경로(중등교육단계에서 인문계:실업계, 고등교육단계에서 일반대:전문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계층화의 정도는 부모세대의 사회경제적 자원과 지위가 자녀 세대의 교육기회와 성취에 미치는 제한적 영향력으로 측정하였다. 학력단계별 진학확률에 대한 로짓모형을 분석한 결과, 교육성취에 있어서 계층간 불평등의 정도가 지난 반세기 동안 감소하지 않았으며 각 단계에서의 진학경로의 경우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력단계별 진학확률로 분석되는 계층간 불평등의 효과는 상위(대학진학) 단계보다는 하위(고등학교) 단계에서 더 크게 작용하는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계층화의 효과는 각 단계에서 진학경로보다는 진학여부에 대해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추이 분석 결과는 중등교육과 고등교육단계 모두에서 진학여부로 분석되는 교육기회의 양적인 계층화가 점차 감소하고 진학경로로 분석되는 질적인 차원에서의 계층화가 구조화되어가고 있는 양상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 사회가 지난 반세기의 경제개발과 교육체계의 확대시기를 지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사회에서 기회평등의 핵을 이루는 교육기회에 있어서 사회계층간 불평등의 정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을 말해주고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how and to what extent inequalities in educational opportunity in Korea has been changed over succeeding cohort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Educational inequality is defined by social class differentials in both the quantity(success) and quality(path) of school transitions made at the secondary(middle-to-high school) and the tertiary(college) schooling process. We find that the extent of educational stratification as examined by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higher grade has not been, at least, visually alleviated over the cohorts and has slightly increased when examined by the path of transition taken at each stage. We also find that the extent of educational stratification is larger at the secondary than at the tertiary schooling trans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overall long-term trend in Korean educational stratification system is toward decreasing inequality in the quantity but increasing inequality in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hievement among social classes. This result attest to the fact that, even during the period of educational expansion along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social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y has been resistant to any significant change and tend to reproduce itself over cohorts especially when socioeconomic opportunities are still limited in quantity and remain as one of the contested terrai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분석

        방하남(Hanam Phang),김상욱(Sangwook Kim)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결정요인과 구조에 관한 이론적 검토와 KGSS(2004) 조사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간의 상호작용 관계를 모형화하고 두 내생변수의 선행요인으로서 인적자원특성, 객관성 직무특성, 그리고 주관적 직무특성들의 구조적 경로효과분석을 시도하였다. 일차적 회귀모형의 분석결과 인적자원특성들 가운데 특히 교육수준의 효과가 크고 유의미하게 추정되었으나,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교육의 효과는 전적으로 객관적 조직ㆍ직무특성, 특히 직업과 임금수준에 있어서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밝혀내고 있다. 연령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증가도 상상부분 연령의 증가에 따른 조직소속과 직무수행에 있어서의 자율성, 안정성, 승진가능성의 증가를 전제로 하고 있음을 분석결과는 보여주고 있다. 외생적 선행요인들 중에서는 주관적 직무특성들이 가장 강하고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직무만족, 조직몰입도와 관련하여 조직ㆍ직무상의 객관적 조건들이 가지고 있는 플러스(+)효과는 해당 개인의 주관적 가치체계와 만족도를 매개로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간의 내생적 경로효과는 전자에서 후자에 이르는 효과가 크고 유의미하게 존재하고 그 반대는 유의미하지 않아 본 분석결과는 직무만족도가 조직몰입도의 선행적 결정요인임을 확인해 주고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structural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J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C) adopting relevant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endogenous variables. For the analysis of path model that links exogenous factors to JS and OC, KGSS 2004 data is used. The exogenous factors modeled include (a)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 objective job-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c) subjective job-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Results from preliminary regression analysis of JS and OC show that, while age and education effects are relatively stronger among other demographic variables, most of their effects are found to be working through differential wage and occupational prestige that age and education brings in to workers' job career. Through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determinant model we found that subjective job-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xert dominant influence on JS and OC by mediating most of the effects of the objective job-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동아시아의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의 변화

        방하남(Hanam Phang),이다미(Dahmi Lee) 한국인구학회 2015 한국인구학 Vol.38 No.4

        지난 반세기 동안 동아시아 국가들–한국, 일본, 대만, 홍콩, 싱가포르–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거듭해 왔으나, 1980년대 이후 초저출산 문제와 고령화를 겪으며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인구구조의 변화 기로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유사한 역사·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이들 국가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인구고령화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인구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특히 과거 경제성장에 기여해온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게 되면서 인구학적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인구학적 배당’의 개념을 통해 향후 인구고령화가 가져올 경제사회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고령화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및 노동력의 고령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필요로 하며, 동시에 동아시아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필수 과제임이 증명되었다.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점차 은퇴생애가 길어짐으로써 안정적인 노후 대비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여성, 고령자 등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생산성 향상과 노후보장체계의 정비를 통해 인구고령화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노동시장과 노후소득보장제도 간 정합성을 높이기 위한 질적 변화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During the previous half-centur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Japan, Taiwan, Hong Kong, and Singapore have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nd successful social development. However, going through lowest-low fertility and population aging since 1980s, they stand at the crossroad of the serious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they haven’t experienced. Hence, this paper examines the population aging and the following changes of the labour market which take place in East Asian countries with similar historical/cultural backgrounds in the demographical perspective. Especially, we analyzed the future economic and social ripple effects using the concept of ‘demographic dividend’ which means that Baby-boom generation who has contributed to the economic growth can become a considerable burden by their retiremen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aging of population needs to be followed by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labour market in that it results in the aging of labour force as well as a decrease of productive population; besides, it is a common problem for East Asian countries to solve. In addition, as the life after the retirement becomes longer because of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fundamentally.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mproving the productivity in labour market of the vulnerable groups such as females, the elderly and modifying the old-age security system can reduce negative effects of population aging. Second, qualitative changes to enhance the institutional coherence between labour market and old-age security system should be accompanied.

      • KCI등재

        성ㆍ연령별 중ㆍ고령 노동자의 취업 양극화 분석

        이성용(Sung Yong Lee),방하남(Hanam Pha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 직후 경기 침체기와 경기회복기에 따른 성ㆍ연령별 중ㆍ고령자 취업률의 변동, 그러한 변동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중ㆍ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이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1차부터 7차까지의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경기침체기에 비해 경기회복기에 남녀 모두 모든 연령에서 취업률이 상승하였고 또 연령이 올라감에 따라 남녀 취업률 격차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정한 바와 같이, 중ㆍ고령자의 취업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은 성과 연령별에 따라 차이가 났다. 예를 들어, 배우자 존재는 남성 취업률에 정적 영향을 여성 취업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경제회복기의 취업률 증가에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보다 경제적 독립성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이데올로기로 인한 취업자 수의 증가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외환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기회복기에 평균 근로소득의 급상승과 경기침체기보다 경기회복기에 개인의 취업이 더 어려워졌다는 사실은 2001년 이후 중ㆍ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빈민 혹은 하층의 중ㆍ고령 노동자들은 취업하기가 더 어려워진 반면, 중류층 이상(특히 고소득)의 노동자들은 이전보다 더 늦은 연령까지 취업을 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러한 중ㆍ고령 노동자 취업의 양극화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middle-age and old worker's employment rates by age and gender at economic depression and recovery periods after the economic crisis, to identify the main 3causes of the change of the middle-age and old worker's employment rates between two periods, and to analyze whether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middle-age and old worker's employment may be different by age and gender. For this study, The Annual Korean Labor Panel data(from 1st to 7th) are us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oyment rates are increased in the economic recovery period, and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ment rates decrease as ages go up. As we predicted,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middle-age and old worker's employment are different by age and gender. For example, the existence of partner has positive effect on the male employment, but negative effect on female employment. The increases of the middle and old age worker's employment rates in the recovery period are mainly caused by the extension of the individualism(that is, the increases of the middle and upper class workers' employment), rather than the increases of the poor workers' employment rates due to the poverty(that is, the increases of the lower and poor class workers' employment). In the recovery period, comparing to the economic depression periods, the middle-age and old workers in the high class were likely to remain his(her) a good job while those in lower class are more difficult to get a job. This results show that the polarization of middle-age and old worker's employment has been appeared in the recovery periods(after 2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