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수성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반복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조신행(Jo Shin Haeng),김낙석(Kim Nakseok)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1D

        겨울철의 영하의 날씨와 잦은 눈으로 인해 도로 포장의 파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포장의 동결융해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동결융해 저항성의 평가방법은 강성 포장과 연성 포장이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률의 측정, 수정 로트만 실험, 반복 동결융해 실험, 표면 박리 저항성 실험과 같은 강성 포장과 연성 포장의 대표적인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을 적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20%의 공극으로 인해 밀입도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비해 온도에 따른 변형이 작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수분의 영향을 받는 동결융해 반복 실험에서도 수분의 원활한 배수와 수분의 동결 시 발생하는 팽창압을 분산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극으로 인해 다른 종류의 아스팔트 혼합물에 비하여 동결 융해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ore and more pavements are suffering from damage these days due to the below-zero winter temperatures and frequent snowfalls. From this research, the freeze-thawing mechanisms of pavements will be observed, and the freeze-thawing resistance of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is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various assessment method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hrough applying rigid and flexible pavements to freeze-thawing resistance experiments, which include various experiments such as deformation rate measurements, Lottman tests,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experiments, stripping resistance tests and so on.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orous asphalt concrete had less deformations according to temperatures compared to dense-graded asphalt concrete due to the 20% void gap.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reeze-thawing repetition experiments which are effected by moisture, the porous asphalt concrete mixture showed superior resistance to repeated cyclic freeze-thawing compared to other asphalt concrete mixtures due to the drainage and the voids within the specimen.

      • 골재 크기에 따른 포장용 재생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및 화학저항성

        성찬용 ( Sung Chan-yong ),김영익 ( Kim Young-ik ),윤준노 ( Youn Joon-no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현재 도로 포장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성 포장 재료에 의한 전면포장으로 호우시 포장면에서 배수구를 통한 우수가 그대로 하천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우수의 직접 유출에 의하여 도시 하천의 홍수량이 증가되어 저지대 및 하류지역에서 홍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침투수 부족으로 인하여 지하수의 고갈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통 시멘트 포러스 콘크리트의 낮은 강도 및 내구성 등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및 충전재로 산업부산물인 플라이 애시를 활용한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골재 크기에 따른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 항성 및 화학저항성 등을 구명하여 투수 포장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 제조를 위한 결합재는 올소타입의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충전재는 플라이 애시를 사용하였다. 골재은 재생 굵은골재를 사용하였으며, 골재 크기는 5-10, 5-20 및 5-25mm의 3 종류로 하였다. 포러스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와는 달리 많은 연속적인 공극을 가지며, 투수계수는 공극률과 비례관계에 있다. 그러나 투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공극량의 증가는 강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포장용 포러스 콘크리트의 배합설계는 이와 같이 상반관계를 나타내는 강도와 공극률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배합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공극률 기준 12%와 투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투수계수 기준인 1×10<sup>-2</sup>㎝/s을 만족할 수 있도록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였다. 동결융해저항성 시험은 Ø100×200mm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수중 급속 동결융해시험을 하였으며, 이때 공시체의 온도는 동결시 -18℃, 융해시 4℃가 되게 하였고 동결융해의 1사이클은 4시간이 소요되었다. 화학저항성 시험은 재령 7일된 Ø100×200mm 공시체를 황산 및 염산 5%용액에 침지하였으며, 침지 후 14, 28, 42, 56일에 부식된 표면을 철솔로 닦아내어 표면건조포화상태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사용된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공극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강도는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 굵은골재는 쇄석과 달리 입형이 약간 둥근 형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연속공극률 형성 측면에서는 쇄석 골재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러스 폴리머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시험결과 300 사이클이 경과한 후에도 골재 크기에 관계없이 중량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 시멘트 포러스 콘크리트와 달리 동결융해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산 및 염산 침적에 대하여 장기 침적에도 중량변화 및 압축강도 감소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화학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공항포장용 투수콘크리트 기층의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전상표,김승원,박철우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3 No.09

        최근 전 세계적인 이상기온 현상으로 인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극심한 강우 및 강설빈도가 많아지고 동 절기 기록적인 한파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 특히 동결융해 저항성에 대한 검토가 필연적인 항목이 되었다. 강우 및 강설 상황 시, 공항포장의 표면에 우수 또는 우설에 의한 침투수 및 동결융해 현상에 의 해 포장체의 구조적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른 조기파손의 영향으로 항공기의 이·착륙 시 안전에 저해요소로 작용할 소지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수콘크리트를 공항포장용 배수성 시멘트안정처리기층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결융해 저항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시멘트안정처리기층에 적용하기 위한 투수콘크리트에 대한 동결융해 저항성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미연방항공청(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FAA)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ASTM D 560 Standard Test Methods for Freezing and Thawing Compacted Soil-Cement Mixtures에 의거하여 중량손실율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각 실험변수는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치환하지 않은 Plain 변수를 포함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0%, 30% 및 50% 치환한 총 4가지 변수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결융해에 의한 중량손실율 실험결과, 중량손실율 측정은 13Cycle까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Plain 변수를 포함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10%, 30% 및 50% 치환한 모든 변수에서 동결웅해에 의한 중량손실율이 1%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FAA AC 150-5370-10a에 명시되어 있는 ASTM D 560을 활용하여 동결 융해 12Cycle에서의 중량손실율 14% 이하의 값을 월등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항포장용 배수성 시멘트안정처리기층에 적용하기 위한 투수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확보가 충분히 가능할 것 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동결융해 작용을 받은 콘크리트의 공극구조 및 염화물 침투저항 특성

        최윤석,원민식,이성태,양은익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6 No.6

        콘크리트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동결융해 작용을 받는 조건에 노출되고, 이러한 동결융해작용은 콘크리트의 공극구조를 변화시키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결융해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공극구조 변화와 동결융해작용을 받은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동결융해 평가기법에 따르면 모든 배합에서 우수한 내구성능을 나타내었으나, 동결융해 작용에 노출됨에 따라 50~100nm 크기의 공극이 크게 증가하며, 콘크리트 염화물침투저항성이 저하하였다. 수중양생 콘크리트의 공극구조와 염화물 침투저항성은 선형관계를 보이지만, 동결융해작용을 받으면 내부공극구조의 변화로 선형관계가 저하하였다. 동결융해작용과 염화물침투를 동시에 받는 구조물의 내구성 평가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crete structures are commonly exposed to freezing-thawing condition. This freezing-thawing action changes the pore structure of concrete, and it can reduce the durability of concrete. In this study, the change of the internal pore structure and durability of concrete due to freezing-thawing action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results, the excellent durability records were reported by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s for all mixes. However, the pores, 50~100nm size in diameter, are increased in concrete specimens exposed to freezing-thawing action, and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ore structure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was shown in water cured concrete. Meanwhile, the linear relationship was decreased when concrete is exposed to freezing-thawing condition. It is desirable to review the criterion of durability evaluation for concrete specimens exposed to freezing-fthawing and chloride attack condition, simultaneously.

      • KCI등재

        고 흡수성 폴리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평가

        김일순,최소영,양은익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4 No.5

        When the Superabsorbent Polymer (SAP) is added into concrete, the slump decreases rapidly, deteriorating the workability, the internal curing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water absorption and discharge process, and the internal voids of the concrete are increas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ternal curing and voids were evaluated by evalu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freeze-thaw resistance,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SAP-adding concrete that secured workability using a water reducing agent. Also, the internal curing effect of SAP was evaluated by dividing the curing conditions of concrete into water curing and sealed curing. From the result, as the SAP adding ratio increased, the amount of water reducing agent increased, and as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SAP adding ratio of 1.5% showed the greatest compressive streng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aled curing showed highe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water cur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effective water-cement ratio and the internal curing effect. Adding 1.0~1.5% of SAP improved the freeze-thaw resistance similar to the case of adding the AE agent, and the addition of more than 1.0% of SAP improved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The optimal adding ratio of SAP is 1.5%, and the adding ratio of 2.0% or more adversely affects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reeze-thaw resistance. 고 흡수성 폴리머(SAP)가 콘크리트에 혼입되면 슬럼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시공성이 저하되며, 수분 흡수·방출 과정으로 내부 양생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콘크리트의 내부 공극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감수제를 사용하여 시공성을 확보한 SAP 혼입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여 내부 양생과 공극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조건을 수중 양생과 봉함 양생으로 구분하여 SAP의 내부 양생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SA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감수제 사용량은 증가하였으며, 압축강도는 SAP 혼입율 1.5%가 가장 큰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특히, 봉함 양생의 경우 수중 양생보다 큰 압축강도를 나타냈으며, 유효 물-시멘트 비 감소와 내부 양생 효과에 의해 압축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SAP를 1.0~1.5% 혼입하면 AE제를 혼입한 경우와 유사하게 동결융해 저항성이 개선되었으며, SAP를 1.0% 이상 사용하면 염화물 침투 저항성이 개선되었다. 최적의 SAP 혼입율은 1.5%이며, 2.0% 이상의 혼입율은 압축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에 악영향을 준다.

      • KCI등재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의 고강도 고내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Part II 최적배합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특성 분석

        윤경구,박철우,홍승호,Yun, Kyong-Ku,Park, Cheol-Woo,Hong, Seung-Ho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고내구성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위하여 도출된 배합 콘크리트의 굳지않은 콘크리트 특성, 강도발현 특성, 염소이온의 투수특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의 역학적 내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시된 배합의 목표스럼프와 공기량은 적절한 혼화제의 사용으로 확보가 가능하나, 혼화제의 적정사용량은 충분한 현장배합실험을 통하여 구하여야 할 것이다. 단위시멘트량을 증가한 경우 일반적으로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재령 28일 이후의 강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휨강도는 그 특성상 단위시멘트량을 증가하더라도 뚜렷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염소이온 침투저항성도 단위시멘트량보다는 재령에 따른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동결-융해 저항성은 각 실험변수에 대한 시험체를 공기량이 3% 이하 및 이상인 경우에 대하여 그리고 동결시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와 현장의 열악한 환경을 모사하기 위하여 4%의 NaCl 용액을 사용한 경우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공기량에 상관없이 수돗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동결-융해반복회수가 300회까지 상대동탄성계수나 표면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4% NaCl 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단위시멘트량이 현재의 한국도로공사의 표준배합인 경우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단위시멘트량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고내구성의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을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현재의 수준보다 증가시키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험결과로부터 이러한 요구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단위시멘트량을 400kg/$m^3$ 이상으로 할 것을 권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esh state characteristics, strength,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and freeze-thaw resistance of the suggested high strength-high durability cement concrete pavement. The required workability and air content could be achieved by using an appropriate admixtures. However its dosage should be carefully determined through field trial batches.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with the increased cement content and, in particular, high cement volume concrete continuously developed strength up to 90 days. No clear relationship, however, existed between flexural strength and cement content.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seemed as a function of curing age rather than the cement content. Freeze-thaw resistance test was conducted using two different coolants, tap water and 4% NaCl solution. When the tap water was used no severe damage was observed up to 300 cycles regardless the air content. Under 4% NaCl solution, specimens of 326kg/$m^3$ cement content showed severe damage with surface scal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erein,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cement content be greater than 400kg/$m^3$ for strength-high durability cement concrete pavement structures.

      • KCI등재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

        Suho Bae,Juntai Jeo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순환골재 대체율에 따라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률을 변수로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한 후 이들의 압축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20% 혼입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훨씬 우수하였고, 동결융해 300 사이클 시험 결과, 콘크리트의 공기량을 4~6% 유지하였을 때, 순환골재 대체율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혼입률이 동결융해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농업용 수리구조물에 적용을 위한 EVA 개질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김인수 ( Insu Kim ),성찬용 ( Chanyong Su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농업용 수리구조물은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달리 열화의 매개체인 물과 항시 접하여 건습과 염해, 동절기 수분침투에 따른 동결과 융해의 반복으로 균열발생, 철근부식, 중성화, 박리 등 내구성 저하 요인이 상시 내재되어 강도조건 보다는 수밀성 등 내구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를 적용하는 것이 시설물 본래의 기능유지는 물론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할 것이다.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시멘트용 폴리머 혼화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EVA(Ethylene Vinyl Acetate)계열의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액상 에멀젼을 분말화한 제품으로 액상의 폴리머가 갖는 고유의 기능 및 특성을 유지하며, 재료구입이나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고 배합설계 및 품질관리 등 시공성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농업용 수리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EVA 분말수지를 혼입한 EVA 개질 콘크리트를 개발하였으며, 고로 슬래그 미분말, 실리카 퓸 등 혼화재 종류 및 EVA 분말수지 혼입률에 따른 동결융해저항성에 대하여 구명하였다. EVA 개질 콘크리트에 대한 동결융해저항성 시험결과, 동결융해 300 사이클에 대한 내구성지수는 실리카 퓸이나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경우와 EVA 분말수지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EVA 분말수지 혼입률 8%에서의 내구성지수가 89.9∼92.0로 동결융해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 혼화재의 특성 및 EVA 혼입에 따른 물-시멘트비의 감소와 폴리머 필름의 형성과 미세한 EVA 분말수지에 의한 공극의 충전 및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에 의한 적정 공기연행에 기인한 것으로, 동결융해저항성이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실리카흄을 사용(使用)한 투수(透水)콘크리트의 강도(强度) 및 동결융해저항성(凍結融解抵抗性)

        홍창우,Hong, Chang-W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0 資源 리싸이클링 Vol.19 No.4

        최근에 들어 투수콘크리트의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저하되는 것과 줄눈부에서의 골재박리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투수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잔골재와 실리카흄, 고성능감수제를 사용하여 강도 및 내구성 증진 방안을 연구하였다. 주요실험인자로 실리카흄 혼입률 10%와 잔골재 혼입률(0%, 7%, 15%)을 선정하고, 압축강도와 휨강도, 투수계수 및 공극률,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강도측면에서는 잔골재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압축 및 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공극률 감소로 인한 투수성은 저하되고, 동결융해 저항성도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투수콘크리트에 있어서 강도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잔골재는 혼입률 제한이 필요하며, 실리카흄 10%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강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xisting porous concrete has problems with reduction of strength due to freezing and thawing and exfoliation of aggregate at joints. In this study, a method for increasing strength and durability of porous concrete by using fine aggregate, silica-fume and high-range water-reducing agent was proposed by laboratory tests. Mixing ratio between silica-fume (10%) and fine aggregate (0%, 7%, 15%) was selected as a major test factor, and laboratory tests for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permeability coefficient, porosity, freezing and thawing were conducted.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increased as the mixing ratio of fine aggregate was increased. However, permeability and freezing-thawing resistance were decreased due to reduction of porosity. Therefore, the ratio of fine aggregate should be limited to increas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porous concrete, while the mixing ratio of silica-fume should be over 10%.

      • 강섬유 보강 EVA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내산성

        남기성 ( Kisung Nam ),성찬용 ( Chanyong Sung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최근 지구온난화로 기후변화가 심해짐에 따라 탄산화, 염해 및 중성화 등의 열화인자를 활성화시켜 물에 접하는 수리구조물에 균열 및 철근부식이 발생하여 구조적 성능 저하와 내구연한의 감소로 인한 유지관리비용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제기능 유지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보수공법 및 보수재료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접착성, 방수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시멘트용 폴리머 혼화재의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EVA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및 모세구조를 성장형 유기화학 결정체로 채워 내부공극을 감소시켜 물의 이동을 차단시키고, 골재와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강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유리섬유 등을 보강하여 사용할 경우, 압축특성은 일반적으로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슷하거나 오히려 작은 경향을 나타내지만, 휨, 전단 및 부착특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동결융해저항성, 내산성 및 염소이온투과저항성 등의 내구적 특성이 장기간에 걸쳐 효과가 증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과 접촉되는 수리구조물, 지중매설물, 해양구조물 및 토양지역에 설치할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플라이 애시를 혼입한 레미콘 배합에 EVA 재유화형 분말수지와 강섬유를 보강한 콘크리트를 연구하여, EVA 혼입률과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동결융해저항성, 내산성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구명하였다. 강섬유 보강 EVA 콘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성 및 내산성의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결융해저항성은 EVA 5.0% + 강섬유 0.6%에서 중량감소율이 가장 작게, 내구성지수는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내산성은 EVA 10% + 강섬유 1.0%에서 중량감소율이 작게 나타났다. EVA와 강섬유를 강도적 측면을 고려하여 혼입량을 증가할 경우, 내구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