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은주(Park, Eun Joo),권현수(Gweon, Hyun S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빈곤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가 도시와 농촌지역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9년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단독가구 가구주 2,732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단독가구의 주거불안정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할수록 삶의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단독가구의 경우 주거불안정성 요인이, 농촌지역은 최저주거기준미달 요인이 노인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조건과 관련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노인단독가구의 주거지원을 강화하고 도시와 농촌지역의 지역 특성을 반영한 주거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32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ged 65 or older using the 14th year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in 2019. The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housing instability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the lower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living in urban areas, the factors of housing instability, and in rural areas, the factors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have more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housing conditions of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housing support policies are needed that will enhance housing support for single or coupled elderly households an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in urban and rural areas.

      • KCI등재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시와 농촌 지역 비교

        최순희,윤현숙,김영범,임연옥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s by comparing urban and rural areas. Data came from the Aging in Place Study by the Hallym University Institute for Aging Society. Total number of 1,500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in Yeongdeungpo, Seoul and Chuncheon, Gangwon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by home visiting. Independence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while satisfaction on neighbor relationship, the number of rooms, and subjective awareness of the housing environ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environment have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urban area. (2) while satisfaction on neighbor relationship, place attachment have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environment have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rur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both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designing the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hous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 physical structure. 본 연구는 주거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향이 도시와 농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5년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에서 서울 영등포구와 춘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500명을 대상으로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훈련된 조사원이 노인 가구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통해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 중 이웃관계만족과 물리적 환경 만족, 사용하는 방 수, 주택만족, 주거정체성, 주거애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와 농촌 지역에서 주거환경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도시의 경우, 정적 요인으로 이웃관계만족, 사용하는 방 수, 주택만족, 주거정체성, 주거애착이었고, 부적 요인은 물리적 환경 만족으로 나타났다. 한편 농촌지역에서는 정적 영향요인으로 이웃관계만족과 주거애착이, 부적 영향 요인은 물리적 환경만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형 도시재생뉴딜을 위한 노인서비스 지원 주거 연구

        홍선이(Hong, Sun Yi),이성화(Lee, Seong Hwa) 대한부동산학회 2020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8 No.4

        본 연구는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주택제공과 서비스 지원을 하기 위한 노인의 욕구와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지원 주거 모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케어형 노인 주거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20명에게 델파이 연구를 시도하여, 노인 주거에 필요한 방안을 발굴하여 실질적인 노인 주거 모델 개발 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8월 3일부터 2020년 9월 29일까지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0 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커뮤니티케어형 주거모델은 공동체 근린 재생, 적정 주거확보, 포괄적 돌봄서비스, 주민참여와 역량강화, 노인 서비스지원 주거 제도 기반화의 5개 영역으로써, 1라운드 질문 결과에서 도출한 102개 항목을 정제해 나가면서 최종적으로 66개 항목으로 방안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커뮤니티케어형 주거 방안을 실제 도시재생뉴딜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주거전략을 개발하였다.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alternatives for elderly housing recently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urban renewal New Deal of community care type. In order to support urban renewal New Deal of community care type for the elderly, it is time to provide a stable residence and support residential-based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eeking a service-supported housing model that reflects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o provide housing and service support for the elderly to live in a healthy old age. This study attempted a Delphi study on 20 expert panelists to develop community care-type housing for the elderly. The final selected community care housing model consists of five areas: regeneration of community neighborhoods, securing appropriate housing, comprehensive care service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apacity building, and support for the elderly service housing system. As the 102 items derived from the first round question result were refined, a strategy was finally selected with 66 items. A specific housing strategy for each element was developed so that the community care housing model deriv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actual urban renewal new deal.

      • 도시여성노인의 주거환경 실태와 만족도

        지은영,홍형옥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생활과학논집 Vol.2 No.1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residential conditions and residents'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in urban ares and to suggest the better housing environment for elderly. Statistical methods using SPSS/PC+ program for analysis were Chi-square test. One way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follows; 1) The respondents believed that the children have the obligation of their parents. And health was thier major concern. 2) The degree of the home ownership was 50.3% and the majority of elderly women lived in apartments(40.0%) sharing space with family except bedroom, they wanted to have private bathroom. 3)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age and health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mmunity assisted living projects for the single poor elderly women in poor health conditions.

      • KCI등재후보

        노년층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주거 디자인을 위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정현원,오정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선진외국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특성이기도 하다. 특히 1960년대 도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집중화 이래 도시 이주자의 대다수가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한 후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없이 도시에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도심거주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시설에 거주하는 것보다는 현재 의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aging in place에 대한 선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아파트에 도입 된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아파트 거주 노인들의 변화하는 요구인 aging in place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고령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서울 지역 내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 이후 입주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여 고령친화적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성 정 도가 가장 좋은 항목은 신체적 측면 중에서 건강증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구분 없이 비교적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건강관리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전무하였는데 향후 노인들의 도심 아파트 내 aging in place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가건강관리실과 같은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심리적 측면 중 자연접촉 과 심신휴식의 니즈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령친화성 정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시설이 대부분 외부에 위치 했는데 노인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므로 겨울 등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을 접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휴 게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는 전무했다. 특히 교양교육과 취미 여가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낮았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for aging-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s and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es in order to properly support the changing need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for the community facility of apartment complex. The research case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elements of needs for the elderly, which ar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is conducted with selected research cases, which are limited in the apartments within two different districts in Seoul where the aging population ratio is higher than other distri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acilities that support physical aspects of the elderly shows the high level of aging-friendly. Various facilities like fitness center, GX room, outdoor walkway, badminton court are planned, but there are no programs and spaces of health care for the elderly. Second, the level of aging-friendly for the facilities that can support emotional aspects are generally good, and especially facilities that can contact with nature has various types like theme park and garden, and waterfront. Lastly, the community facility status that can support social aspects of the elderly shows the lowest level. The facilities with education and leisure are bookstore, reading room, and community hall, and only senior vegetable garden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for spending the leisure time within apartment complex where they live.

      • KCI등재
      • KCI등재

        u-City의 노인복지주택계획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유비쿼터스 기술에 관한 기초 연구

        이형우(Lee Hyoung-Woo),류재호(Lee Hyoung-Woo),김용성(Kim Yong-Seo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4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potential of new ubiquitous technology in housing by observing its services and characteristics and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u-City that government is looking into.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ers identifie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housing are by analyzing some cases. We will analyze two su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home network facilities experimented by 'smart home industrialization support center' which i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d run by Kookmin University and of what services can be applied to u-City's senior residence. Based on those analyse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ll plan a senior residence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ubiquitous services. Through this study, we realize the fact that applying ubiquitous service to senior residence improves the efficiency of existing services offered by senior residence, boosting the safety and stability of the seniors' l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