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육 개혁 로드맵

        정경훈(Kyung hoon Ju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4 비평과이론 Vol.19 No.1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교육문제로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교육문제의 핵심 이슈는 1) 대학의 수직적 서열화, 2) 등록금이 비싼 사립대의 과도한 비중 3) 대학입시 중심의 초중등교육의 파행, 4) 대학교육의 부실이다. 대학의 수직적 서열화와 사립대의 과도한 비중을 완화하는 좋은 방법은 대학통합네트워크의 실시이다. 대학통합네트워크는 정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는 국립공동학위대, 정부책임사립대, 정부지원사립대로 구성된다. 이들 간에는 강의개방, 학점교류, 교수교류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학입시로 인한 중고등학교교육문제를 해결하고 대학교육을 양질화하는데 좋은 개혁방법은 국립교양대학의 설치이다. 국립교양대학은 박사급 교양교육국가교수가 주축이 되는 교양교육 담당 교수진이 양질의 다양한 강의를 제공하는 국립교양대학 프로그램을 대학통합네트워크에 동시에 설립ㆍ운영하여, 고등학교 졸업자는 졸업장과 대입자격시험만으로 자신이 사는 또는 원하는 권역의 대학의 교양대학에 진학하고, 1년 반 동안의 교양대학과정 이수 후 교양대학 성적을 중심으로 자신이 원하는 대학과 전공을 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대학통합네트워크와 국립교양대학은 2단계에 걸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1단계에서는 수직적인 대학서열을 해체하는 대학통합네트워크제가 설립ㆍ안착되어야하며, 동시에 2단계에서의 대학입시 폐지와 전면적인 국립교양대학 실시를 위한 토대를 튼튼하게 마련해야 한다. 2단계에서는 현재의 대학입시제도를 폐지하고 국립교양대학을 전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Millions of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graduates, and parents in Korea have been victimized by the chronical education problems, whose key issues are the discriminating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bout 80 percentage of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being private ones, whose tuitions are expensive, and the abnormalization of education in mo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wing to the feverish competition for the entrance to colleges or universities. A good way to deconstruct the established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he extremely unbalanced ratio of private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public ones is to found Integrative College Network composed of Government-Supported Colleges, Government-Subsidized Colleges, and National College League, whose colleges offer the same diploma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ir campus. To normalize the abnormalized education of mos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 propose to establish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in the Integrative College Network colleges and universities so that high school graduates do not apply for a college or university through tough competition but only with the high school diploma and the passage of the college qualification exam enter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near her/his residence. In graduating one and half year general education in th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the student can apply for a college or a university for her/his major studies. The reformation of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gradually in 2 stages. In the 1st stage, Integrative College Network to deconstruct the hierarch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ill be established and the preparation for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2nd stage, National Colleges of General Education will be set up and the current feverish college entrance exam will be abolished.

      • KCI등재

        교양국어 교육 변천과정 연구 -대학 교육 이전 시기부터 대학 교양국어 체계화까지-

        조미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硏究 Vol.- No.71

        This article aids to study the education transition process of the cultureKorean in University by explore the transformation the teaching of theUniversity of the Cultual Korean’s textbook. There was time to have hadlessons most liberal arts students are uniformly required courses ‘Korean’,‘the academic Korean’, ‘Korean langage-literature’ such as intensive readinglessons while listening to the textbook- the academic Korean . Today,‘the academic Korean’, or ‘Korean language-literature’ lessons havedisappeared or weakened. And instead of the common ‘the Writing’lesson was made. The Writing’s textbook has a tendency to focus onstudent activities such as exercise. I divided into two period thedevelopment of Korean teaching by the Korea’s liberation-before andafter The Hangul textbook is to appear the Cultual Korean. After creatingthe professional textbook in the 1950s, divided into the changing processin detail-‘the period before the academic Korean in University’ until early1950s, ‘the period making professional textbooks of the academic Koreanin University’-from the mid-1970 supplementary materials generated until1970’s independent sub textbook was made, ‘the professional textbooks’sdevelopment period in the academic Korean in University’- from theearly 1970s that made writing’s textbook independently until the early1990s, ‘the reflection period- when the direction changes rapidly theacademic Korean in University teaching’-after 1990s. 본고는 교양국어 교재의 오늘에 이르기까지 변천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양국어 교육 변천과정을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양국어 교재 발생 이전기에 관한 대략적 고찰을 거쳐교재 중심으로 대학 교양국어 변천사를 살펴본다. 대학 교양국어가 체계화되기 이전의 역사를 살펴본 것은 개인의역량으로만 치부하며 공적인 교육의 흔적이 없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개인의 역량으로 미뤄 두었던 체계화 이전기, 1950년대초까지를 ‘대학 교양국어 이전기’로 보았다. 체계화 단계는 정리하자면 교양필수 과목으로서의 교양국어가 교양선택을 거쳐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다. 곧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 작문 교재개발 시기까지의 ‘대학 교양국어 전문교재 형성기’를 거쳐 1970년대 초 본격 작문교재 독립기부터 대학국어와 작문 공존기, 1990년대 중반까지에 이르기까지인 ‘대학 교양국어 발전기’, 1990년대 이후의 ‘대학 교양국어 반성기, 방향전환기’가 그것이다. 대학 교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진화, 변화하는 것이 당연한만큼 그 방향성 고려가 중요하다. 우리 대학의 교재는 과거 주입식 읽기 위주에서 창의 능력 배양을 위한 학습자 활동 중심 쓰기위주로 변화되어 가고 있거니와 효과적 생각하기 교육을 위해 다양하고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과학교육의 현황 분석- 수도권 대규모 대학 중심으로

        김혜영,이은하,주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In this study, we will review liberal arts courses in the major universitie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science as liberal art in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ill classify th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s a standard model for liberal arts education, and compare the status of liberal arts education to basic education. In the section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proportion of ‘sciences as as liberal art’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s liberal art’ will be compared. Recently, the major universities are revising their curriculum to foster creative talent that will lead to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t reorganized ‘Core Courses(중핵교과)’ and ‘Distribution Requirement Courses(배분이수교과)’ area of Kyunghee University, ‘Core Liberal Arts(핵심교양)’ area of Korea University, ‘Worlds of Knowledge(학문의 세계)’ area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Equilibrium Liberal Arts(균형교양)’ area of Sungkyunkwan University, ‘Required Liberal Arts(필수교양)’ of Yonsei University, ‘Creative Integration(창의융복합)‘ area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Core Competency Liberal Arts(핵심역량교양)’ area of Hanyang University. And Based on the expertise of humanities, society, science, art, we are operating a creative an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 However,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s still centered on humanities and basic education such as foreign language or computer and computer basics. From now on, the major universities must develop cultural education contents that reflect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discover and introduce many stories in the history of scienc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consist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velop a curriculum of science as liberal ar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본 논문에서는 수도권 대규모대학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교양교육과 교양교육 내 교양과학교육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도권 대규모대학 중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한양대학교의 교양교육 교과과정을 한국교양기초교육원 표준모델인 ‘소양교육’, ‘기초교육’, ‘교양교육’으로 구분하고, 각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초교육’과 ‘교양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교양교육 영역에서 교양과학 분야와 그 외 교양인문사회 분야의 비중도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최근 주요대학들은 급변하는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 교과과정을 개편하고 있다. 교양교육 교과과정 개편 내용을 살펴보면, 경희대학교의 ‘중핵교과’ 와 ‘배분이수교과’, 고려대학교의 ‘핵심교양’, 서울대학교의 ‘학문의 세계’, 성균관대학교의 ‘균형교양’, 연세대학교의 ‘필수교양’, 이화여자대학교의 ‘창의융복합’ 그리고 한양대학교의 ‘핵심역량교양’ 영역을 재편하였고,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전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인문학 중심이거나 외국어나 컴퓨터 등 도구적 기초교육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운영과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양과학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과학의 역사에서 스토리를 발굴하고 소개할 수 있도록 학내에 ‘과학과 기술’ 영역의 교재편찬위원회를 구성해서 대학의 교육목적과 특성에 맞는 교양과학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방안을 모색하여 교양과학의 위상을 되찾아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 교양교육 관련 뉴스기사 토픽 분석

        전은정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4 교양기초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관련 뉴스기사의 토픽을 분석하고 시간 흐름에 따른 토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의 관련 뉴스기사 240건을 대상으로 LDA 토픽모델링을 통해 10년 단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0년대 토픽은 ‘대 학 교양교육 부실 지적, 교양과목 다양화, 해외 대학 교양과목 국내 이수제도 마 련’, 2010년대 토픽은 ‘대학에서의 교양교육 역할, 교양교육 역할 재정립을 위한 대학의 노력, 대학교양에 실용과목 도입 고려, 대학의 교양대학 설립’, 2020년대 토픽은 ‘대학 간 교양교육 교류,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교양교육컨설팅 결과, 교양교 육으로서의 ESG경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정 의와 역할,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컨설팅 기준, 새롭게 요구되는 시민역 량 반영 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g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by analyzing topics related to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covered in news articles and identifying changes in topics over time. For this purpos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on 240 related news articles. As a result, the topics of the 2000s were pointing out the lack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diversifying liberal arts subjects, establishing a domestic completion system for liberal arts courses from overseas universities, and the topics of the 2010s were the role of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universities’ efforts to redefine the role of liberal education,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practical subjects in university education, establishment of a liberal arts college in universities, the topic for the 2020s was exchange of liberal arts educ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as a result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sulting at the Korea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ESG management as lib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to consider the definition and role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standards for liberal arts education consulting at the Korea Institute for Liberal Arts and Basic Education, and the reflection of newly required civic competencies was mentioned.

      • KCI등재

        일본 대학의 후기교양교육 실태조사 연구-도쿄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1

        In the midst of the tremendous soci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that of A.I. (Artifical Intelligence), a crisis in theory is now emerging within universities. As seen by the changes and reforms undertaken in education by universities to prepare their students for the future societ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organize the education system, especially within the liberal arts. Moreover, the importance of the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s receiving new attention.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and contemplate the liberal arts oriented curriculum found at the University of Tokyo.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Late Generalizaton’ curriculum and its completion course will be investigated and reported on. The University of Tokyo made the liberal arts oriented education take a lead role in its reforms based on the liberal arts ideology and has been reinforcing its general education faculty to meet its goal of raising talented people to solve global issues in a rapidly changing world. In particular, by practicing ‘The Late Generalization’ not just for entry level students, but also for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nd in fact even for graduate course students), the needs for liberal arts education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way of thinking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Also, by implementing an organic integra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a new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being suggested. With such emphases being placed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even in the case of higher level students, liberal education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y education. Referring to organic fusion education, which crosses the liberal arts with the natural sciences, I will attempt to identify issues on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will also try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Late Generalization (high level liberal arts educ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s of our liberal arts education. 인공지능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가져올 급격한 사회적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대학의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다.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변화와 개혁이 요구됨에 따라 최근 일본의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체계를 개편하는 시도가 있어 대학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쿄대학이 실천하고 있는 교양교육 중심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도쿄대학의 교양교육 모델인 ‘후기 교양교육’ 과정을 추진하게 된 배경과 커리큘럼 및 이수 과정을 조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도쿄대학은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세계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인재 육성을 목표로 리버럴 아츠⋅ 교육 이념을 기반으로 한 교양교육 중심의 개혁을 주도하여 교양학부를 강화해 가고 있다. 특히, 후기교양 교육의 실천을 통해 대학의 교양교육이 1, 2학년의 저학년에 끝나는 것이 아닌 학제적인 사고력 향상을 위해 학부 고학년인 3, 4학년 및 대학원 과정에서 교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양교육과 전공교육과의 유기적인 통합 방식을 실시함으로써 새로운 교양교육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 대학의 교양교육 중시와 고학년 교양교육의 사례는 우리나라 대학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문리⋅이과를 횡단하는 유기적인 융복합의 교육 프로그램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교육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질적 제고를 위한 후기교양교육(고학년 교양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계 분석 연구: 중국 대학을 중심으로

        김한나 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Chinese universities adjacent to Korea, and the in-depth study focused on the cases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which are said to be the best comprehensive universities among Chinese univers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singhua University and Peking University, the direction of talent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pursued by each university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objective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the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the core liberal arts were reviewed. The core liberal arts of the two universities were compared in three categories: the number of subjects,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upport system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examined in five aspects: the organiz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the faculty,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recruitment of freshmen. In addition, the support system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two universitie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five items.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pport system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China, and suggests implications and applicability to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Korean universities. I would like to discuss improv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o be used as a necessary material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both countries.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해외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분석함으로써 국제적 이해를 도모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체제를 살펴보았으며 중국의 여러 대학 중에서도 특히 최고의 종합대학이라 일컬어지는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보다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칭화대학과 북경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 분석을 위해 각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및 교양교육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양교육의 목표, 학사커리큘럼, 핵심교양과목을 살펴보고 두 대학의 핵심교양과목에 대해 과목 수, 과목 구성, 교수학습방법의 세 가지 항목으로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지원체제에 대해서 조직제도, 교양교육과목 설치, 교사진, 교양교육 특색발전과 학과 융합한 신입생 모집 방안의 다섯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추가로 두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지원체제를 5가지 항목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교양교육과정과 이에 대한 지원체계와 관련한 이해를 도모하고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운영과 지원에 주는 시사점과 적용 가능한 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제이해의 관점에서 상호이해가 증진되고 양국의 교육발전에 필요한 자료로써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전문대학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rough the case of D-college for how to develop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in colleges. Since 2014, many colleg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an NCS-based curriculum. However, although NCS-based educatio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s, it also resulted in the weake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those colleges. For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relatively low, due to short lectures and a major-oriented education system. At a time when the curriculum of colleges is being transformed into a competency-based one, it is very urgent to change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colleges. The process of developing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at D-college is based on the ADDIE model, but the development process at each stage focused on capacity centers. This article looked at the specific progress of the ‘Analysis-Design -Development’ phase. In the analysis phase, the external environment, internal capacity, and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while the core competency of the colleges in question was checked. In the design phase, Liberal Arts education goals and policies were establish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reas were set. In the development phas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subjects were derived and a curriculum profile was developed. As a result, D-college has been able to derive a variety of competency-based subjects, with several tasks remaining for the education to operate effectively. If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Liberal Arts and math are secured,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process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D대학의 사례를 통해 하나의모형을 제시하는 글이다.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 그러나 전문대학의 경우 짧은 수업연한, 전공 중심의 교육운영체계 등 교양교육의 중요성에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전문대학은 지난 2014년부터 NCS기반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왔다. NCS기반 교육은 전문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교양교육을 약화시키는 결과를초래하기도 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이 역량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지금 전문대학 교양교육의변화는 매우 절실하다. D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 절차는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되, 각 단계에 따른 개발 과정은역량 중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글에서는 ‘분석-설계-개발’ 단계의 구체적인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단계에서는 교양교육을 둘러싼 외부환경 및 내부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산업체와 학생들 대상으로 수요자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대학의 핵심역량 및 하위역량, 행동지표를 점검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목표 및 교양교육정책을 수립하였다. 교양교육목표는 대학의 인재상, 교육목표,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였으며, 교양교육정책은 직업기초능력 및 기초학습능력 교육과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수립하였다. 또한 교양교육목표 및 대학 특성을반영한 교양교육영역을 설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역량기반 교양교과목을 도출하였다. 교과목 도출시 수요자 요구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최종 교과목 도출 후 역량 중심의 교과목 프로파일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D대학은 교양교육영역별로 다양한 역량기반 교과목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다. 무엇보다 교양교육을 전담하는 기구와 인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교양교육 전담기구와 인력, 교양이수학점 등이 확보된다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은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전문대학의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앞으로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양교육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연구중심대학 정책(BK21)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미친 효과 :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박주호,부향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managing and organizing curricula between research-focused universities and education-focused universities by comparing universities non-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with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e BK21 project. To conduct the analysis of these difference, this study selected 6 analysis-indexes as follows: 1) totally opened liberal arts subjects 2) liberal arts credit ratio of total credits, 3)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ratio(including commonly required credit ratio and groundly required credit ratio, 4)groundly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ratio, 5) selective liberal arts credit by domain ratio, and 6) general liberal arts credit ratio. The data were taken and coded from the curriculum of the engineering colleges in 11 universities non-participated in the BK21 and 9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it from 1990 to 2010. The coded panel data were analysed by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BK21 participation-universities, as the period of their participating in the BK21 is getting longer, opened liberal arts credit, required liberal arts credit and required grounded liberal arts credit of the total liberal arts credits are getting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elective credit by domains ratio and general liberal arts credit ratio of the total liberal arts credits are being decreased. The study intended only to find the trend of gene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university groups divided by the BK21 project A qualitative study needs to be additionally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mo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s regarding the curricula in accordance with university-typ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1999년부터 추진되어 온 BK21이라는 연구중심대학 정책이 학부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BK21 참여와 미 참여 대학교로 분류한 두 집단의 교양교육과정상 주요 비교지수를 분석하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대학으로 BK21 참여 대학은 1999년 1단계사업 및 2007년 2단계 사업에서 과학기술분야 대형 사업단이 선정된 9개 종합대학교를 포함하였으며, 미 참여 대학교는 2011년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대학별 총 연구비 수주 순위 전체 50개 대상 중 하위에 속한 11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해당 대학교 공과대학이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지난 21년 간 운영 해온 교양교육 과정 중 1) 총 개설교양교과목 수, 2) 교양이수학점 비율, 3) 필수교양학점(공통필수+기초필수)의 비율, 4) 기초필수교양학점의 비율, 5) 영역별 선택 교양학점 비율, 6) 일반교양학점 비율을 비교 분석 지수로 설정 하였다. BK21 사업에 참여 대학교와 미 참여 대학교 간, 이들 6개 지수 변인 비교를 위해 고정효과 모형에 의한 패널자료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BK21 사업에 참여한 대학교 공과대학의 경우, 미 참여 대학교보다 교양교육과정에서 개설된 교양교과목 수, 전체 교양학점 중 필수교양학점 비율 및 기초필수교양 학점의 비율이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약 13년 간 진행되어 온 BK21 사업에 참여기간이 긴 대학일수록 개설된 교양교과목 수와 전체 교양학점 중 필수교양학점 비율 및 기초필수교양학점의 비율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고, 이와 반대로 전체 교양학점 중 영역별 이수 교양학점과 일반교양학점의 비중은 감소되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특정 고등교육정책이 실제 대학의 교육내용, 특히 학부교양교육의 편성·운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계량적 효과만을 조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향후 대학 별 교양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보다 의미 있는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실제 편성된 교과내용이나 교수방법 등을 대상으로 좀 더 질적인 분석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강민희,이승우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Since it was selected as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2016 for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hereinafter, initiative for CORE)≫, Daegu Haany University has made every efforts to achieve qualitative・quantitative growth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by introducing <Innovative measure in the education process of basic liberal arts based on humanities> to the operating system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e main issue of which is ‘Triple Cube System’ that is 1) expansion of humanities curriculum centered on literature・history・philosophy 2) Building double DNeA BonD System 3) balanced positioning of the operating system for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issues that university has faced and timely・social environments changing rapidly, with just faithful fulfillment of the plan of the initiative, it is not easy to achieve successful realization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which was initially planned by university as well as the goal of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that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alented creative people equipped with humanities by supporting all the university students to fulfill their role in basic education.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we can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that is it is not until objective and continuous reflection is made on the plan of initiative and the task is drawn accordingly and the alternative is prepared as well as the plan's faithful fulfillment that initiative for CORE is successfully operated and the vision of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in Daegu Haany University is realized. Therefore, while the authors outlined the direction and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t Daegu Haany University, and reflected objectively if the curr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ttained the vision and purpose of <Innovation Plan for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and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re initiative, They searched for a way to ensure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is stable in the university. I hope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t Daegu Haany University objectively and function as a clue preparing the task and the proposal for sustainable growth so that it can help the fulfillment of university's vision and goal of education, “Leading College of Inte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Fostering Healthy Talented People Respecting the Tradition and Lives”. 대구한의대학은 2016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이하,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에 선정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해당 모델의 기본개념을 충실히 따르기 위하여 1) 문(文)・사(史)・철(哲) 중심의 인문교과목 확충, 2) 2-重 DNeA BonD System 구축, 3) 인문교양교육 운영체계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3-重 Cube System’ 마련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을 교양교육 운영체계에 도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인문학이 당면해 온 문제들과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만으로는 “인문학이 대학전체 학생들의 기초교육에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인문소양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에 기여”한다는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목표는 물론, 대학이 당초에 구상한 인문교양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도모하기 어렵다. 이는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과 사업진행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 그리고 문제점의 도출 및 적시의 보완이 이루어질 때야 비로소 CORE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과 대구한의대학 인문교양교육의 비전 실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음을 환기한다. 따라서 논자들은 대구한의대학의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방향과 현황을 개괄하고, 현재의 운영 방향과 내용이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과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비전과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이 대학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논의가 대구한의대학 기초교양 교육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피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와 제안을 마련하는 실마리로 작용해 “전통가치에 기반을 둔 융합교양교육 선도대학”과 “전통과 생명을 존중하는 건강한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

        이보경(Lee, Bo-Kyoung),김은경(Kim, Eun-Kyung),이재성(Lee, Jae-Se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8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방안 마련을 위하여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양교육의 중요도와 만족도, 교양교육 실태,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이 인지한 학습성과 등에 관해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학의 기능별 특성과 대학 소재지를 층화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사 대상 대학을 무선으로 표집한 후,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각 대학 학생들을 전공과 성별을 고려하여 표집하였고, 회수된 120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은 교양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교양교육은 고차원적인 지적 기능을 크게 강조하기보다는 사실이나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현재 교양교육은 대학생의 핵심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대학의 기능과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이 질적인 수준 향상을 이루어야 하며, 교양교육이 대학의 기능과 특성을 고려하여 제공되고 발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earn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satisfaction,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01 valid responses from students in 33 universit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was high, while satisfaction with these classes was lower. Students indicated that there are not enough full-time faculties in general education. Students indicated that the class sizes remain large. Courses for stimulating high levels of critical thinking, in most cases, were not sufficient and the teaching methods were lacked diversity. The educational efforts of students focused more on vocational success than development in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general education needs to change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most universities.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us of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