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기록원의 기록 평가·선별과 서울현대사 기록의 수집

        이상민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89

        본 연구는 서울 현대사의 서술을 위해 필요한 서울시 기록을 서울기록원이 수집해야 할 방향과 수집된 보존기록의 최적의 관리 이용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서울 현대사 기록의 수집의 특성과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검토하고, 현대의 주요 기록평가이론을 적용하여 서울시 기록의 수집 방향을 제시했다. 본고에서는 현대 기록선별평가론의 큰 흐름인 가치평가론, 기록화전략, 거시평가론 중에서 가치평가론의 실제적 방법론으로서의 단점을 최소화하고, 역사적 연구를 위한 기록의 선별과 거시평가론에 따른 사회적 가치를 보여주는 서울시 기록의 선별․평가 방안을 모색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거시평가론이 지향하는 목적으로서 정부 정책과 활동의 증거로서의 기록과 시민의 대응과 거버넌스 과정을 기록화하고 영구보존기록으로 선별․평가하여 수집․보존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 서울기록원이라는 기록관리전문기관의 독립성과 전문적 운영이 핵심적으로 중요한 사항임을 강조했다. Appraisal and Selection of Archives in Seoul City Archives and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for Contemporary History of Seoul Lee, Sang-min This study examines and suggests that what records Seoul city archives should collect. This paper examines characteristics of archives apprasial and collection in modern public archives as well as fundamental roles of city archives. The study exaimines and evaluates three major appraisal theories and practices; value theory, documentation strategy, and macro-appraisal theory. Minizing the weakness of the traditional value theory as a practrical methodology, the author emphsized that the adoption of macro-appraisal theory will be an effective appraisal and collection methodology for Seoul city archives’ appraisal. The author concludes that independent and professional management of the city archives is necessary to collect and manage the archives to document the activities of Seoul city government and Seoul citizens. The collected records in Seoul city archives can be used as valuable historical sources for studying and writing the history of Seoul and Seoul citizens.

      • KCI등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평가체계 설계 연구 서울기록원을 중심으로

        이은정,김다빈,김선유,김희진,류한조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6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 evaluation system applicable to perman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Seoul Archives, in order to implement the reevaluation of perman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As a process for this, an area for evaluating evidence, administrative, and historical values was established and detailed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set evaluation factors, the evaluation procedure was design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of law-based evaluation, long-term preservation was determined by identifying the position and legal form of policymakers that can be immediately evaluated according to clear standards. Records that have not been determined for long-term preservation were reorganized into evaluation factors, such a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tables, pledges, and policies, which are the second stage of business function-based evaluation, and then comprehensively applied to review the validity of long-term preservation of held records. In the second stage of evaluation, records that were not judged as long-term preservation were judged by applying historical events, cultural assets, and collection policies in the subject-based evaluation stage, which is the third stage of evaluation. The designed evaluation system can find significance in minimizing the arbitrarines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evalu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 various contexts and values of the records. In addition, a re-evaluation system suitable for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balanced macro-evaluation and micro-evaluation 본 연구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평가 이행을 위해 서울기록원을중심으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적용 가능한 평가체계 설계를 목표로하였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 증거적·행정적·역사적 가치를 평가하기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세부평가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설정된 평가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3개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절차를 설계하였다. 1단계 법규기반 평가 단계에서는 분명한 기준에 의해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책 결정권자의 직책, 법정 서식 식별 등을 통해장기보존 여부를 판단하였다. 장기보존으로 결정되지 않은 기록물은다시 2단계 업무기능기반 평가 단계인 기록관리기준표, 공문서분류표, 공약·정책 등을 평가요소로 재구성한 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보유기록물의 장기보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2단계 평가에서도 장기보존으로 판단되지 않는 기록은 3단계 평가인 주제기반 평가단계에서 역사적사건, 문화재, 수집 정책 등을 적용하여 기록의 역사적 가치 판단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평가체계는 평가에 반영되는 자의성을 최소화하고평가의 효율성을 높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기록물이 가진다양한 맥락과 가치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균형 잡힌 거시평가와 미시평가를 결합하여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적합한 재평가체계를 수립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시대의 공공기록평가에 관한 정책적 고찰 : 영국 TNA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승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62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alternatives through case analysis in the UK, which is quickly responding with appraisal policies and guidelines appropriate to the digital age. Through a theoretical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appraisal in the digital age was extended to decisions on which records to be created and acquired, and in this context, that the value of records needed to be determined at the earliest point in their life cycle. Furthermore, the advantages of macro-appraisal methods and the inevitability of expanding appraisal groups were outlined.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change in the British public record appraisal policy was discussed from a policy perspective, and the current British public record appraisal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policy statements and guidelines, general appraisal criteria, 60 operation selection policies and appraisal processes were discussed. As a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alternatives to appraisal policies in the digital age.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맞는 다양한 평가 정책과 지침으로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영국 TNA 사례의 분석을 통해, 우리의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평가는 기록의 생성과 획득 여부에 대한 판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으며, 생애주기의 가장 이른 시점에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록의 양적 팽창과 복잡성 증가로 인한 거시평가방식의 도입과 평가 주체 확대의 불가피성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 공공기록 평가정책의 변화를 정책적 관점에서 논하고, 현단계 영국 공공기록 평가체제를 분석하였다. 일반평가기준과 함께, 60개 운영선별정책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 준거들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살펴보았다. 결론에 갈음하여, 영국 공공기록 평가체제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리 관점의 사전평가 강화, 거시평가에 적한합 평가기준의 마련, 공공기록평가의 시민참여보장 등, 우리나라 공공기록평가의 정책적 개선 방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공공기록 평가의 책임과 권한의 분배 : ‘시민참여 평가’를 중심으로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9 기록학연구 Vol.0 No.60

        Today, the civil society plays a key role not only in criticizing and monitoring the functions of the state and the market, but also as an active producer of public services by complementing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ctor. Public records management is also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 the case of appraisal and selection, which is the core area of record management, discussions about citizen participation are becoming more serious than any other areas. The concept of ‘proactive appraisal’, which has emerged as a paradigm of citizens’ participation in appraisal, reminds us that citizens themselves are the subjects of public records and are no longer alienated from the appraisal system. The problem is, while the growth of the Korean civil society about institutional participation is spreading rapidly, but citizen participation is hard to find in the field of public reco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l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appraisal of public records, and to debunk the role of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appraisal processes by exploring the examples in the UK, Canada, and Australia.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appraisal system of the national public records in crisis today could be largely restored through the domestic application of this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cases. First of all, this study presents a conceptual appraisal model that could reflect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record management along with the analyses of the advanced cases in some western countries. Specifically, this paper focuses on presenting the models of ‘appraisal documentation’ and ‘governance-based appraisal’, reflecting the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se citizens’ participatory evaluation models should be settled in Korea in the future and we should urgently discuss ‘citizen participation appraisal’. 오늘날 시민사회 영역은 국가와 시장이 가진 기능을 비판하고 감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정부와 공공 부문을 보완해 공공 서비스의 적극적 생산자 역할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공공 기록관리 영역도 시민 참여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기록관리의 핵심 영역인 평가 및 선별의 경우 그 어느영역보다도 시민참여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평가의 시민참여패러다임으로 등장한 ‘능동적 평가(proactive appraisal)’ 개념은 우리에게시민 스스로가 공공기록의 평가 주체이자 더 이상 평가 체제에서 소외돼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일깨우고 있다. 문제는 국내 시민력의 성장과 제도적 참여 논의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에 반해, 공공기록 영역에서 시민 참여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는데 있다. 이 글은 국내 기록 평가 과정의 시민 부재와 기능주의에 기댄 경직성을 타개하기 위해서, 영국, 캐나다, 호주의 선진 사례 분석을 통해 공공 기록 영역에서 ‘시민참여 평가’를 구현하려는 제도적 기반과 실무 차원의 다양한 방법론의 적용 사례들을 살핀다. 본 논문은 오늘날 위기에 처한 국내 공공기록의 평가제도가 이러한 능동적시민참여의 사례 적용을 통해 크게 회복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는 해외 선진 사례의 분석과 함께 기록관리 현장에 시민참여가 반영될 수 있는 개념적 평가 모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능동적 시민참여를 반영한 ‘평가도큐멘테이션’ 모델과 ‘거버넌스 기반 평가’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시민참여형 평가 모델을 향후 국내에 안착해 ‘시민참여 평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급히 이끌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국가기록평가의 관점에서 본 환경 분야 기록관리기준표 분석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67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s currently being utilized and to provide directions on how should be redesigned in the future to operate as a appraisal tool for national archives.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records should be the national archives",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s, particularly in the environmental public authorities, and to propose future improvements. The main focus of the analysis is on appraising records that need to be preserved as national archives, and therefore, prior to analysis of the tables, it examines whether the archival selection criteria are clearly presented. Subsequently, the study is conducted how to implement this criteria through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of each agency and how its implementation system will be constructed. The analysis will be focused on Ministry of Environment’s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and records schedules or appraisal/selection tools of the central and federal institutions that perform environmental functions in U.S., Australia, and UK. 이 연구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기록관리기준표를 분석하고, 국가기록 평가도구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향후 어떻게 재설계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국가는 어떤 기록을 남겨야 하는가”의 국가기록평가 관점에서 특히 환경 분야의 기록관리기준표를 분석하고, 미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있어 주요 초점은, 국가적으로 영구보존해야 하는 기록평가에 두었으며, 따라서 본격적인 기록관리기준표 분석에 앞서 국가적으로 영구보존해야 하는 기록의 범주는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후, 이를 각 기관의 기록관리기준표를 통해 어떻게 이행할 것인가, 그리고 그 이행 체계는 어떻게 구성될 것인가의 범위에서 연구를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환경부 기록관리기준표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되, 향후 개선 과제를 제시하는 과정에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미국과 호주 및 영국 중앙 및 연방기관 중 환경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의 기록 평가도구[처분기준서]에 대한 분석도 함께 진행한다.

      • KCI등재

        전자기록 평가의 동향과 과제 : 데이터세트와 웹사이트 평가를 중심으로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22 기록학연구 Vol.- No.71

        This study explored recent discussions, experiments, and case studies related to the appraisal of digital records, which was focused on datasets and websites. Based on this, it proposed what issues should be addressed for developing appraisal policies. To this end, it categorized appraisal criteria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records, examined the arguments that in the digital environment total retention is necessary in the era of big data, and that selective retention is still necessa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ubsequently, after analyzing case studies conducted on datasets and websites, the study dealt with what discussions should be made in terms of targets, tools, objectives of appraisal, and roles/responsibilities which used to develop appraisal policy.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questions to reveal current debates and challenges; First, what appraisal criteria can be applied to digital records in general; second, is the appraisal activities still necessary in the era of digital environment and big data; third, what are the results that case studies produced for the appraisal of digital records; fourth, what chang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regarding the appraisal. Based on these questions, it tried to reveal the main issue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aisal policie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digital records created in the public domain. 이 연구에서는, 특히 데이터세트와 웹사이트 유형을 중심으로 하여, 전자기록의 평가와 관련한 최근의 논의와 실험적 사례연구 및 적용 사례, 향후 평가 방향 설정을 위한 과제 영역을 드러냈다. 이를 위해, 전자기록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범주화하고, 디지털 환경에 대응하려면 총체적 보유가 필요하다는 주장과 여전히 평가가 필요하다 는 주장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데이터세트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진 행된 국내외 평가 사례연구를 분석한 후, 미래의 평가정책 방향 모색을 위해 대상과 사용될 도구, 목적 및 역할의 측면에서 어떤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 다루어 보았다. 현재의 논의와 과제를 드러내기 위해 이 연구가 다루는 주요 질문은 첫째, 일반적으로 전자기록에 대해서는 어떤 평가 기준이 적용될 수 있는가, 둘째, 평가는 디지털 환경 및 빅데이터 활용 시대에 여전히 필요한 활동인가, 셋째, 전자기록의 평가를 위해 진행되고 있는 실험은 어떤 방향을 지시하고 있는가, 넷째, 미래의 평가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등이다. 이 질문들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하게 논의되는 방향과 쟁점, 과제 등을 드러냈으며, 향후 우리의 공공영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록을 대상으로 진행될 평가정책 방향을 정의하는데 필요한 주요 쟁점을 드러내려 하였다.

      • KCI등재

        노동기록 평가·선별에 관한 연구: 지방고용노동청을 중심으로

        곽건홍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The Agency of Employment and Labor produces various records that are related to labor history subject while performing its functions such as labor supervision. Some valuable records were discarded even if they are worthy enough to be research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u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classifying the main subjects and the main agents of an action in view of macrohistory and microhistory. Some examples of the records that require prolonged preservation were also presented by each issue. Furthermore, this article proposes a dramatic improvement of the records schedule. It also presents other issues as the foundation of the valuation standard based on the subject including the conversion of the strategy of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that combines the function and the subject. 지방고용노동청은 근로감독 등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노동사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기록을 생산한다. 그러나 노동사 관점에서 연구에활용될 가치가 충분한 기록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거시사와 미시사를 고려한 노동사 관점에서 주요 주제와 행위주체를 분류하고, 각각의 주제별로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기록을 예시하였다. 아울러 기록관리기준표의 획기적 개선을 통한 기록 보존기간의 과학화, 연구가치 관점의 ‘주제 기반 평가 가이드라인’ 등 주제 기반 평가 기준 구축, 기능과주제를 결합한 기록 평가·선별 전략으로의 전환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록평가의 이론적 지향과 방법론 분석

        설문원 한국기록학회 2023 기록학연구 Vol.- No.75

        More than 20 years after introducing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criteria and methodologies for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are still unclear. Modern archival appraisal theories have developed in two orientations, such as provenance and pertin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each theoretical orientation of archival appraisal and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appraisal practices and policies. Firstly, archival appraisal theories are analyzed according two orientations. Secondly, four methodologies are derived from combining the macro/micro dimension and theoretical orientations. Thirdly, the methodological orientations of the criteria for selecting permanent records presented in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are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se analyses, appraisal policies and practices for selecting the records with permanent value are proposed to be improved.

      • KCI등재

        영국 공공기록물 선별체계의 역사적 흐름과 의미

        崔在熙(Choi, Jaehee)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1 No.-

        It is well known that about 3% of public records is generally selected to hold a historical value, and transferred to archives. This archival selection process forms an inextricable connection with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With the research on transitions in the public records selection system in Britain, this paper aims to approach the relation between archival science and history from a new viewpoint. It was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bodies to identify those records of historical value. Though the archivists would play key roles in selecting archives over time, administrators had the advantage of having been familiar with the content and context of records. With Sir H. Jenkinson’s spirited defense, archives was regarded as legal evidence of what happened in the past. And after the Grigg system, archives selected by administrators were transferred to the archive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With the new appraisal system of electronic records era, departments should aim to appraise record value through the functional analysis as early as possible, even before record creation. The operational process of embedding appraisal also needs involvement from other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unfamiliar terminology and professionalism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can function also in negative way to disturb the participation of them. Historians need to take part in archival appraisal process in conscious and organised way, which could be another field of activism for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신동희,김유승 한국기록관리학회 20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6 No.3

        수집정책은 기록관리기관에서 장서를 구축하는 데 있어 법적 당위성과 내용적 일관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문서다. 특히, 구조적, 재정적 지속성이 부족한 디지털 아카이브에서는 장서 구축의 가이드라인이 절실하다. 하지만, 디지털이라는 태생적 특성과 대다수 프로젝트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특이성으로 인해 수집정책의 요소와 내용은 실물 기록물을 수집하는 기관의 수집정책과는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수집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의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사례를 조사하고, 노근리사건과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의 성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탐구된 내용을 기반으로 노근리 디지털 아카이브의 수집정책을 구축하였다. A collection policy (or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a document that archival institutions must have to allow them to build their collections legitimately and consistently. Digital archives often lack sustainable financial and systematic supports. Thus, it is especially important for digital archives to have a policy for consistent collection activities. Digital archives have a different set of characteristics from physical records, and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a collection policy. This study was initiated to create such a policy for the No Gun Ri Digital Archive. It reviewed existing literature for collection policies in archives and digital archives. Moreover, it examined several cases of digital archives and their policies to identify the necessary elements as well as the legal and procedural coverages for digital content and services. Furthermore, it studi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 Gun Ri incident and the No Gun Ri Digital Archive. Based on such investigation, a collection policy for the No Gun Ri Digital Archive was suggested. It is believed that suggesting a practical collection policy will provide a useful precedent for future digital archive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