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수형기록카드 현황과 명칭

        박경목(Park, Kyung-mo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64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작성되었던 수감자에 관한 수형기록에 대해 그 현황과 성격, 명칭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최근 문화재청에서 이 기록물을 ‘일제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이하 카드)라는 명칭으로 등록문화재 제730호로 지정했다. 이에 그 의의와 가치를 학술적으로 객관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이다. 카드는 총 6,264장이 보관되어 있으며, 원본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수록 인물은 중복자를 제외하고 4,837명으로 확인된다. 이들은 대부분 일제에 의해 분류된 소위 ‘사상범’으로 항일 독립운동가로 볼 수 있다. 주요 기재 항목은 앞면에 사진과 이름, 나이, 신장, 특징, 지문번호, 뒷면에 본적, 출생지, 거주지, 신분의 인적 사항과 직업, 죄명, 형명·형기, 언도연월일, 형의 시작, 언도재판소, 집행 감옥, 출소연월일, 출소 사유의 수형사항과 전과, 비고 등 20여 가지이다. 1913년 2장, 1918년 1장을 제외하고 모든 카드는 1919년 3월 1일 3·1운동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작성되기 시작했다. 즉, 일제는 3·1운동을 기점으로 독립운동가에 대한 수형기록 관리와 감시 체제를 강화했던 것이다. 이는 양식의 변화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양식은 총 4가지로 분류된다. 1919~1920년에 집중적으로 사용되었던 A형 카드는 대부분 3·1운동 관련자 들이다. 1923부터 1931년까지 사용된 B형은 1925년 치안유지법 제정, 발효를 기점으로 ‘사상범’에 대한 감시, 통제 강화 정책에 따라 수감자 개개인에 대한 신상정보 파악을 상세화 했다. 1930년을 전후로 사용된 C형은 1928년을 기점으로 본격화된 사상 통제로 수감자의 급증과 일반인의 저항이 늘어남에 따른 과도기적 현상을 보인다. 이전 양식에서 일선 현장 실무에 불필요한 기재 사항을 과감히 삭제했다. 1930년 이후부터 해방까지 쓰였던 D형은 식민지 경영의 공고화를 위해 수감자의 인적 관계망 또는 소속 조직 및 단체 동향을 확보하여 주요 수감자를 지속적으로 관리, 감시하려는 목적이 담겨 있다. 이러한 카드는 4개소의 감옥 관서와 20개소의 경찰 관서 총 24개소에서 작성되었다. 이는 사진 촬영 장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카드에 부여된 사진 보존원판 번호의 일관성으로 볼 때 한 곳의 기관에서 이것을 수집,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 기록 대상자의 수감 감옥이 대부분 서대문형무소였다는 점으로 볼 때 그 관리 기관은 서대문형무소로 추정된다. 작성주체와 관리처가 이원화 되었던 것이다. 카드의 주요 기재 항목은 철저히 수형기록 위주였다. A형 카드의 경우 ‘수형사항’이라는 분류하에 죄명, 형명형기, 언도연월일, 형의 시작, 언도재판소, 집행기관, 출옥연월일 및 기타 총 7가지의 수형 관련 기록을 기입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나머지 B, C, D형 카드도 마찬가지 양상이다. 반면, 수형기록과 무관하게 수배용이나 감시용으로 작성된 카드도 전체의 약 2.9%, 182장이 보인다. 이는 일제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경계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그 수치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는 수형기록 관리 목적 외에 일부 부가된 기능일 뿐이다. 카드를 작성한 주체가 감옥관서와 경찰관서로 수록 대상자가 모두 수감예정이거나 수감중인 점, 그 목적이 사상범에 대한 수형기록 관리인 점, 실제사용 사례로 수감자 이동시 본인 유무를 확인했다는 점 등으로 비추어 볼 때 카드는 ‘감시’의 성격 보다는 ‘수형기록 관리’의 측면이 우선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에 따라 카드의 성격과 특징을 직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명칭으로 ‘수형기록카드’가 보다 합리적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수형기록카드는 그 속에 기재된 다양한 정보 분석을 통해 독립운동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제에 의해 작성된 소위 ‘사상범’에 대한 수형기록이지만 이제는 우리의 독립운동사를 연구하는 기록물로서, 또 일상 속에서 독립운동가를 기억하고 기념할 수 있는 문화재로서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지닌다. Recent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d the card that records prison matters of prisoner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s Registered Cultural Asset No. 730 under the name of ‘Main monitored person car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us, this thesis reviewed the status and name of the cards above. The total number of cards is 6,264 and the originals are ow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Main items are photo, name, age, height, feature, and fingerprint number on the front page. There are personal details of permanent address, birthplace, residence, and identity on the back side while there are occupation, name of crime, name of punishment, prison term, sentence date, beginning of punishment, sentence court, execution prison, and date of release from prison, The cards were prepared in earnest after the 3·1 Independent movement in 1919. The Japanese imperialism strengthened the prison record management and surveillance of independent activists from the March First movement. There are 4 types of card forms pursuant to period. They were divided into A, B, C and D for convenience. Type A was used intensively in 1919~1920. Most of them are the March First Movement activists. Type B was used from 1923 to 1931. They detailed personal information on the prisoners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so-called “political offender”. Type C was used around 1930. When the prison inmates surged due to full-scale ideological control of Japanese imperialism, unnecessary entries were removed, Type D was used from 1930 onwards until liberation. Description column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prisoners, their organization and trends of group were added. The main items of the car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orm, such as prison service(受刑事項, type A), disposition result(處分結果, type B), recent sentence(最近刑, type D), and they were mainly comprised of name of crime, name of punishment, prison term, sentence court, date of entrance, date of release from prison, and execution prison. There are no categorizations of type C but 7 items from crime name to arrest institution are organized mainly in relation to prison servic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ubjects were arres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police and were under the imprisonment or being imprisoned and that most of the persons were in violation of the law of ideology, the cards had strong aspect of ‘management of prison record’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If we look at the main items and the recorded subjects,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name of the card is ‘Prison record card’ containing i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기록학적 평가

        천호준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lanced view for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to establish theoretical base which assesses them in order to devise systematization of utilizing Olympic historical materia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archival appraisal and appraisal theories of archival study were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works, criteria and procedure were established with exploring the methods to assess the Seoul Olympic official documents. The details are as follows below. The prior research task conducted in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enetrative analysis for archival structur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alysis and the assessment, and tendency of appraisal methods which have been developed. Then, representative theories and general criteria and procedure of archival appraisal have been explored in order to grasp the concrete method of individual theories. Secondly, characteristic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s official documents have been identified to apply archival appraisal theories which have been found through the theoretical examination. Furthermore, suitable method has been explored, and the criteria and procedure have been presented in order to assess the official documents of Seoul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with generally considering of its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hich came up with the study result above can be presented as follow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ssumed that the archival appraisal work for Seoul Olympic historical archives not only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studies but also helps systematic usage and management of archives in sports field including Olympic by allowing the objective perception about them. Lastly, in order to develop sports history field and related studie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rchival theories for managing and using archives in sports field, and to precede the general and overall studies about it. 이 연구는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에 대한 균형적 시각을 제공하고 올림픽 사료 이용의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실제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기록의 평가와 기록학의 평가이론을 검토하고,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명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서울올림픽대회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을 탐색하여 평가 기준과 절차를 수립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첫 번째 연구 과제는 우선, 기록의 구조 요소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과 이들과 평가와의 관계, 그리고 그간 발전되어 온 평가방법론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후 개별 이론의 구체적 방법론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각의 대표적인 이론을 탐구하였고, 기록 평가의 일반적인 기준과 절차를 검토하였다. 그 다음,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파악된 기록학의 평가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고찰과 공문서의 생산 구조를 분석하여 기록이 생산되는 원리를 파악하였다. 이후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 관리의 실제와 잔존 기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들과 생산 원리와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공시적이고 통사적인 특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조직위원회 공문서를 평가하기 위해서 적합한 방법론을 탐색하고, 그 기준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공문서에 대한 기록학적 평가 작업이 이루어지면, 서울올림픽대회 사료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가능하게 하여 관련 학문의 발전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올림픽을 포함한 체육․스포츠 분야의 사료의 체계적인 이용과 관리를 도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이 연구는 체육·스포츠 분야의 기록 사료 관리를 위해 기록학적 방법론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다룸으로써 체육·스포츠학 분야에서 기록학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끝으로, 체육․스포츠 사학과 관련 학문의 전반적인 진전을 위해서 체육․스포츠 분야의 사료 이용과 관리의 측면에서 기록학적 이론을 적극적으로 원용한 연구와 실제적인 적용 방식에 대한 천착이 요구됨을 제기한다.

      • KCI등재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이보람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Legislative stability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and the enhancement of infrastructure have reached significant levels through relentless efforts of academic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In addition, appraisal and disposal of records also have to be done by retention periods, business functions, administrational and historical values, and certain procedures. The law specifies that public institutions must assign record managers. The underlying reason is for record managers to arbitrate the review process when records are to be evaluated and discarded and to prevent unauthorized disuses. It is also for just evaluations with the professionalism. Evaluation and discard of records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record management. Thus, these processes need to be handled properly in the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should be proceeded by the law enacted under the task functional and social agreement. Since, the record discard is decided through the technical and logical process, the support for evaluation and discard works are important above all things. In this paper, I deducted functional requirements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methods including the analysis of legislation and standard related to electronic records and the examination of the user’s manual of record management system. I researched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record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is research, I deducted the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he estimation of functional requirements for discard. I also discussed future directions of improvements and follow-up studies. 오늘날 공공기관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법제적 안정을 이루었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전자적 행정기록의 생산·관리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존기간, 업무기능에 따라 행정 및 역사적 가치가 매겨지고 일정한 절차에 의해 평가·폐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각급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평가·폐기 시 심의과정 중재와 무단폐기 방지 등의 역할을 감당하고 전문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평가·폐기가 기록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업무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구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기록물 폐기 결정은 시스템의 기술적·논리적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므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평가·폐기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련 법제 및 전자기록 관련 표준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사용자설명서를 검토하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요건을 도출한다. 또한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폐기 업무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개선방향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자기록 장기보존 전략으로서의 에뮬레이션 사례 분석

        김명훈,오명진,이재홍,임진희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In response to the current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storing electronic records for necessary long terms have been the topic of the times. Especially, the method to preserving original form such as original functional property and bit stream becomes the key to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Until now in Korea migration methods were chosen as long term preservation strategy for public records, but the limitations were that the functionality and the original bit stream could not be maintained. Among the strategies for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emulation has significant strengths in that it can replicate the original form of electronic records without changes in the bit stream, and that unlike migration it can establish a single preservation strategy without needing to apply individual strategies according to type of electronic record. Especially because it can replicate the functional components that cannot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long term preservation format,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he studies of electronic record types currently used by public institutions. This study, to explore the methods for applying emulation as a strategy for the long 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reviews the latest study cases from the west about emulation as base study, and tries to analyze the specific cases about the feasibility, target, and methods of emulation. Through this the study trie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domestic application as well a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mulation. To do this, the study analyses the concep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mulation as a long term preservation strategy, the analyses the latest best cases of emulation in the west; CAMiLEON, KB, Planets, and KEEP project.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application methods for electronic records in the future in Korea. 전자기록 환경을 맞이하여 필요한 기간 동안 장기적으로 전자기록을 보존하는 것은 시대적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록이 지닌 본래의 기능적 속성 및 원래의 비트스트림을 유지하며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은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을 위한 핵심 관건이 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공공기록을 대상으로 마이그레이션 방식을 장기보존 전략으로 채택해 적용해 왔지만, 기능성 및 원래의 비트스트림을 원래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노정되어 왔다.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은 비트스트림의 변화 없이 전자기록의 원형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울러 마이그레이션처럼 전자기록 유형별로 개별적인 전략을 적용할 필요 없이 일괄적인 보존전략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강점을 지닌 보존전략이다. 특히 현재 우리나라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포맷에서는 구현해 주지 못하는 전자기록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재현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공공기관에 보유 중인 전자기록 유형 조사를 기반으로 그 실현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에뮬레이션에 관한 서구의 최신 연구 사례를 검토하고, 에뮬레이션의 타당성과 대상,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고찰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에뮬레이션이 지닌 장단점과 더불어 국내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에뮬레이션의 개념과 함께 장기보존 전략으로서 에뮬레이션이 지닌 장단점을 분석한 다음, 에뮬레이션에 관한 서구의 최신 선진 사례로 CAMiLEON, KB, Planets, KEEP 프로젝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전자기록에 대한 시사점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헌법재판소 기록관리현황과 개선방안

        이철환,이영학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This study aim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cial values of records of Constitutional Court,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figuring out their present state, and to suggest some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records management. First of all, I defined the concept of the records of Constitutional Court and its scope, and made an effort to comprehend their types and distinct features, and on the basis of which I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Put simply, the records of Constitutional Court are essential records indispensible to the application of Constitutional Court’s documentation strategy of them, and they are valuable particularly at the level of the taking-root of democracy and the guarantee of human rights in a country. Owing to their characteristics of handling nationally important events, also, the context of the records is far-reaching to the records of other constitutional institutions and administrations, etc. In the second place, I analyzed Records Management Present State. At a division stage, I grasped the present state of creation,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records. At an archives repository stage, I made efforts to figure out specifically the perseveration of records and the present of state of using them. On the basis of such figuring-out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records of Constitutional Court, I pointed at problems in how to manage them and suggested some measures to improve it in accordance with the problems, by dividing its process into four, Infrastructure, Process, Opening to the public and Application. In the infrastructure process, after revealing problems in its system, facilities, and human power, I presented some ways to improve it. In terms of its process, by focusing on classification and appraisal, I pointed out problems in them and suggested alternatives. In classification, I suggested to change the classification structure of trial records; in appraisal, I insisted on reconsidering the method of appropriating the retention periods of administration records, for it is not correspondent with reality in which, even in an file of a even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retention periods so it is likely for the context of the event worryingly to be segmented. In opening to the public and application, I pointed at problems in information disclosure at first, and made a sugges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wide information disclosure law applicable to all sort of records. In application, I contended the expansion of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records and the scope of them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institutions. 본 연구는 헌법재판소 기록물의 특수한 가치에 주목하여 기록물의 특성을 논하고, 그 현황을 파악하여 기록관리 개선방안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헌법재판소 기록물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고, 유형과 성격을 고찰하여 기록물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헌법재판소의 기록물은 국가의 필수 기록물이며, 민주주의 정착과 인권 보장 차원에서 특수한 가치를 지니고, 기록물의 맥락이 헌법재판소와 관계를 맺는 여타 헌법기관, 행정부 등의 기록물에 광범위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관리현황 파악은 기록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하였다. 처리과 단계에서는 생산 및 등록, 분류체계 현황을 살펴보았고, 기록물관리기관 단계에서는 기록물의 보존 및 이용현황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황파악을 토대로 인프라, 프로세스, 공개 및 활용으로 나누어 헌법재판소 기록관리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인프라 부분에서는 제도, 시설, 인력 부분에 대한 문제점과 방안을 제시하였고, 프로세스에서는 분류와 평가(appraisal)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분류에서는 재판기록물 분류구조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고, 평가에서는 행정기록물 보존기한 책정이 현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과 재판기록물의 보존기한 책정의 방식을 재고(再考)할 것을 주장하였다. 공개 및 활용에서는 정보공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모든 기록물에 적용되는 정보공개규정을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활용에서는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기록물의 활용 가능성과 범위의 확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상징아카이빙 :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이영남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This essay would focus on a kinds of new archival strategy. The main frame has been the kinds of activities regulated by laws, or formal activities since 1999. In the case of presidential archives has no another frame. There had never kinds of presidential archives system until President Noh, if anything. It means that the frame has some important points. Although it is, we have to say about the limits of the frame. This essay show ‘metaphor frame’ for archival system. I think that we have to guess there are methodologies below the two frames. One is quantitative study methodology, and another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later focuses on the experiences for making narratives. We have to know that this methodology is out of fashioned in the field of history department and cultural anthropology department for the purpose of alternative studies. This essay says about ‘archival field description’ and ‘narrative records’ for the new records in archival field. I have to say about that we needs to discuss about kinds of new archival discours. And to conclude, we should manage the records in culture. 이 글에서는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록화 전략을 다루었다. 1999년 공공기록법 제정 이후 공공기관 아카이빙의 기본적인 프레임은 공적 행위 프레임이었다. 대통령기록의 경우도 기본적으로 공적 행위 프레임에 입각해 있으면서도 정부 수립 이후 대통령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런 프레임을 보다 강조한 측면마저 있다. 그러나 공적행위 프레임이 갖는 역사성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에 대해서도 근원적으로 재검토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공적 행위 프레임으로 국한해서 기록화전략을 구성할 경우 오히려 기록의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공적 행위 프레임에 대한 대안적 시도로 상징프레임을 다뤄보았다. 프레임을 설정하는 것은 그 자락에 방법론을 까는 것이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공적 행위 프레임의 아래에는 양적 방법론이 깔려 있는데 비해 상징아카이빙의 아래에는 질적 방법론이 깔려 있다. 양적 방법론과는 달리 질적 방법론은 ‘경험’을 이야기로 만들어가는 것을 모색하는 방법론이다. 기록학 분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역사학이나 문화인류학의 경우도 새로운 방법론으로 질적 방법론을 수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질적 방법론과 상징 프레임의 구도에서 구체적인 기록화 전략도 모색해보았다. 예를 들어 기록의 범위를 기록현장기술서, 내러티브기록 등으로 확장시켰다. 이를 위한 현장의 구체적인 전략을 위해 외국의 유사사례를 검토하며 몇 가지 방안도 제시했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기록담론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이제 기록은 공공기관 공적 행위의 좁은 울타리를 벗어나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시야를 넓게 가져야 한다. 요컨대, 이제 우리는 문화의 차원에서 기록을 보아야 한다.

      • KCI등재

        표준기록관리시스템 기능 평가 : 접근관리 기능을 중심으로

        박민영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8

        The physical access or control of records with material entities is relatively easy. However, in the case of electronic records, due to its heightened applicative aspect that allows anyone with the authority to have access over the data, it requires an appropriate standard and stability to ensure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electronic records. This study performed functional evaluation by extracting the minimum critical items from the national functional requirements documents and standards to explore the access control function that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maintain quality requirements of electronic records. Based on this checklist, it evaluates whethe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properly carries out the access control function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condition of application to practical records management work. Records managers generally do not use access control function, which may be because they do not feel the necessity, since the application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is not yet actively promoted. In order for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be developed to become a more active system, it requires system improvement as well as considerations for below factors:First, although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ccess control conditions is already recognized, it requires a clear stipulation of the regulation. Second, measures must be taken to implement access control in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document security solution. Third, it requires self-reflection of records manager, who utilizes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nstead of placing all responsibility on the National Archives, which established the system, professionals must further develop the system through continuous evaluation and improvement. Finally, a general discussion is required to publicize the issue of functional improvement of records management system. Although there is a bulletin board already created for this purpose, its users are extremely limited and it only deals with current problems. A space in online as well as in offline is required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exchange opinions. 실체가 있는 종이기록물은 물리적 접근이나 통제가 비교적 손쉽다. 그러나 전자기록의 경우 권한이 있다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활용적 측면이 강조되어 전자기록의 진본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과 안정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전자기록의 품질요건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접근관리 기능에 대해 국내외 기능 요건서 및 표준에서 최소한의 필수항목을 추출하여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이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접근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였는지 평가하고, 실제 기록관리업무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사용현황을 알아보았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은 대체로 접근관리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이 아직 많지 않아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보다 활성화된 시스템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능 통합 등 시스템적인 개선과 더불어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접근권한 설정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둘째, 문서보안 솔루션을 통해 수행하고 있는 접근 통제를 기록관리시스템에서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기록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을 통해 시스템을 진화시켜야 한다. 넷째, 기록관리시스템의 기능개선을 위한 공론화의 장이 필요하다. 그동안 기록관리시스템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공론화하여 논의를 하기 보다는 불평불만을 직설적으로 말함으로 협력을 통한 소통을 불가능하게 해왔다. 학계, 정부, 그리고 기록학을 공부하는 연구자 모두 서로 발전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이승일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Korea’snational records archiving system established in 1999, as well as to suggestthe countermeasures. First, in Korea, permanent records are archived by the administration,legislature and judicature separately. However, around the world there arevery few cases where a national archives controls the records of theadministration alone, whereupon there is the need to set up an integratedarchiving system regarding the records of the administration, legislature andjudicature. Second, in Korea, the records archiving system leans too muchtowards the centrally-controlled system, which is urgent to be solved. ‘Record Management Act’ stipulates that all the public records, includingnonpermanent ones, shall be managed by National Archives, wherewithNational Archives is overburdened. Hereat, it may be desirable for NationalArchives to manage very important records that deserve to be archivedpermanently and for Record Center to archive other records, which needsto be made into law. 이 논문은 1999년에 수립된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한국의국가기록관리체제는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각각 독자적으로영구보존기록물을 관리하고 있으나 전 세계적으로도 내셔널 아카이브가 행정부 기록만을 관리하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 기록을 통합 관리하는 방향으로국가기록관리체제를 개편할 것을 제안하였다. 둘째, 1999년 기록관리법 제정 이래로,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가 지나치게 중앙집권적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이것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록관리법에서는 영구보존기록물이 아닌 기록물도국가기록원이 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국가기록원으로 하여금 많은 부담을 지우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소량의 영구보존기록물만을 국가기록원이 처리하고 유한보존기록물은 모두 중간기록물관리기관(기록관)이 처리하도록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시사교양잡지 『사상계』의 사진기록물과 기록학적 가치

        정은아,박주석 한국기록학회 2024 기록학연구 Vol.- No.79

        The monthly news and culture magazine, ‘Sasanggye,’ established by Jang Jun-ha from 1953 to 1970, served as a platform for government criticism and intellectual representation. The magazine created photographic -essays cov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utilized images as a visually impactful tool with news value.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photographic-essays within ‘Sasanggye’ as archival records, shedding light on their intrinsic value. Before delving into this assessment, the paper thoroughly explores the developmental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photographic-essays. And based on the content divisions within the main text, the paper categorized the themes captured in the photographic essays in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culture, and miscellaneous topics. It then introduced representative photographicessays. From an archival perspective, looking at photographs involves elucidating that photographs carry meanings beyond mere data.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serve as photographic records providing evidence of 1960s Korean society and encapsulating crucial visual information. Furthermore, the photographic essays in ‘Sasanggye’ hold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Korean magazine documentary photography. The photo-essays in ‘Sasanggye’ carry worth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and encompass evidential and informational values as photographic records. 장준하가 창간한 『사상계(思想界)』(1953년~1970년)는 당시 권위주의정부를 정면으로 비판하며 한국 사회의 지성인을 대변했던 월간 시사교양지다. 사상계 는 다양한 시사 주제를 사진화보로 제작하여 사진을 뉴스밸류를 갖는 시각적 도구로 활용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상계 의 사진화보를 기록물로 바라보고 그 가치를 고찰하고자 한다. 가치 평가에 앞서 『사상계』 사진화보의 전개과정과 특징을 전반적으로살펴보았다. 그리고 사진화보가 담고 있는 주제를 본문 내용 구분을기준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면 및 기타로 나눈 뒤 대표 화보를 소개했다. 기록학적 관점으로 사진을 바라보는 것이란, 사진이 단순 데이터 그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사상계』 사진화보는1960년대 사회를 증거하며 주요 시각정보를 담고 있는 사진기록물이다. 또한 『사상계』 사진화보는 한국 잡지 기록사진(다큐멘터리사진)의측면에서 사진사적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을 통해 『사상계』의 사진화보가 미술사의 분과 학문의 사진사적 가치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사진기록물로서 기록학적 차원의 증거적, 정보적 가치를 충실하게 갖춘 한국 현대사회의 기록 유산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평가에 관한 연구

        이미영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1

        연구데이터의 양적 증가와 함께 막대한 보존비용, 공유 확대등의 이슈는 이제 조직에게 그들이 무엇을 수집할지 우선순위를정하고 가치있는 기록만을 보존할 것을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생산된 직접적인 목적을 넘어서는 계속적 가치를 확인하는 기록의 평가는 현 시기에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연구기록 생산기관으로서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와 같은 공공기관의 비중이 높다보니, 연구기록관리 전반에 대한 고민이 ‘공공기록’과 ‘행정기록’의 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이 행정기록과는 다른 관점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주장의 배경과 생산자 측면, 연구 행위의 측면, 기록의 측면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기록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기록 평가의주체, 기준, 방식에 있어서의 이슈와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 data, the issue of enormouspreservation cost and sharing expansion, the organizations should prioritizethe collections then select the data that are worthy of save. Therefore,today, it is important for the organizations to appraise the continuing valueof produced records. Considering the universities and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governmentfundedresearch institutes as the heavy producer of the data, it becomes arising problem for the records management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framework of “administrative records” and “public records”. In this study, I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the contention that theresearch records must be managed in a different perspective and checked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records in therms of the producers, researchactivities and records. Based on this analysis, I suggested the main issuesand considerations about the subjects, criterias and methods in researchrecords apprais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