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가 국립공원 관광객 수에 미치는 영향

        전희진,이경미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06 기후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31일까지의 북한산국립공원과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일별 관광객 수 자료와 평균 기온 및 강수량의 기상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기후와 국립공원의 관광객 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은 계절별로 관광객 분포의 차이가 크지 않다. 그 중 봄(28%)과 가을철(30%)에 비교적 관광객의 분포가 높게 나타난다. 이는 봄철의 꽃구경과 가을철의 단풍 구경을 위해 관광객이 집중하기 때문이다. 반면 태안해안국립공원은 계절별 관광객 분포의 차이가 크다. 여름철(77%)에 관광객이 매우 집중되며 겨울철(4%)에 관광객 분포가 가장 낮다. 이는 해안국립공원의 특성으로 여름철에는 해수욕을 즐기기 위하여 관광객이 집중하는 반면에 겨울철에는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매우 춥기 때문에 관광객이 적다. 기온과 관광객 수간의 관계는 국립공원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북한산국립공원은 일평균기온과 관광객 수 간에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반면 여름철에 관광객이 집중하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기온이 높을수록 관광객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또한 관광객 수는 평년과의 기온차이가 크지 않을 때 높게 나타난다. 국립공원의 관광객 수와 강수량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강수현상이 없거나 강수량이 적을수록 관광객이 집중되는 경향이다.

      • KCI등재

        프랑스와 한국의 국립공원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여은태 ( Eun-tae Yeo )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3

        국립공원이 지정된 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 우리나라 국립공원 관리의 원칙은 무엇이고 또 그 관리방법에서의 문제점은 없는가라는 물음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1967년 공원법, 1980년 자연공원법 제정으로 현재까지 국가가 적극적으로 보전해야 할 자연환경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전문적이고 합리적으로 국립공원을 관리할 수 있는 법제도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보전과 이용이라는 상반되는 가치가 국립공원이라는 공간에서 첨예하게 대립되어 갈등의 장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프랑스의 국립공원법제를 통해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프랑스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국립공원제도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이상을 추구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의 결과가 2006년 국립공원에 관한 법제개혁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프랑스는 국립공원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연대를 바탕으로 한 기본원칙을 수립하였으며, 기본원칙에 입각하여 절대적 보전지역으로서의 핵심지역과 지속가능한 개발이 가능한 지역인 협력지역으로 그 관리방안을 제도화하였다. 또한 국립공원 정책결정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협력과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도 법제개혁을 통해 마련해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랑스의 국립공원법제를 통해 우리나라 국립공원 관리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Au sens juridique, le parc national, il est une zone de protection amenagee et geree par l’Etat, afin d’assurer la conservation et la protection du milieu naturel. Soulignons les parcs nationaux doivent etre des espaces destines a assurer un developpement durable. Depuis l’etablissement de la loi relative aux parcs nationaux en Coree en 1967 et en 1980, les principes fondamentaux applicables a la gesion efficace des parcs nationaux n’ont pas ete clairement definis. Ainsi, de nos jours, il y a plusieurs debats sur la reforme juridique sur les parcs naturels en Coree. Par contre, le legislateur francais a etabli la loi du 14 avril 2006 relative aux parcs nationaux, aux parcs naturels marins et aux parcs naturels regionaux. Grace a cette loi, la France a renforce la coherence territoriale des parcs nationaux en clarifiant leurs contours et en unifiant leur perimetre autour d’un projet de territoire. Cette loi renforce egalement l’appropriation du parc national par les populations locales en introduisant plus de transparence et de democratie locale dans leur fonctionnement. De ce point de vue, l’etude du regime juridique francais peut contribuer a pour reformer et ameliorer la legislation coreenne a propos des parcs nationaux.

      • KCI등재후보

        태안해안국립공원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 및 생육환경 특성 연구

        이규성(Gyu-sung Lee),오선관(Sun-kwan Oh),홍성원(Seung-won Hong),정주학(Joo-ha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태안해안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생육하는 해초류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14개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과 새우말 2종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애기거머리말 4종이 출현하였다. 조사대상인 두개의 국립공원에서는 거머리말이 가장 우점종으로 분포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소규모의 초지와 패치 형태로 생육하였으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출현한 해초는 초지형태로 대부분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거머리말과 새우말은 조간대에서 출현하였다. 새우말은 조간대 암반의 조수웅덩이에 생육하였으며, 다른 해초류들은 사질, 사니질, 니사질에서 생육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거머리말, 수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은 조하대에서 출현하였으며, 애기거머리말은 조간대에 생육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4개 해초지에서는 총 16종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으며, 한려해상국립공원의 5개 해초지에서는 총 22종이 출현하였다.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seagr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14 sites of Hallyeohaesang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japonica, Zostera marina wer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Zostera marina, Phyllospadix iwatensi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was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most common habitat type was b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hereas bed and patch type were common in Taeanhaean National Park. Zostera caespitosa, Zostera caulescens, Zostera marina were located in subtidal areas and Zostera japonica was located in intertidal areas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Zostera marina and Phyllospadix iwatensis were in intertidal area in Taeanhaean National Park. Phyllospadix iwatensis was in rocky tidal pool and other seagrasses were in sand, muddy sand and sandy mud. In the benthos survey of seagrass habitat, 22 species were survey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nd 16 species in Taeanhaean National Park.

      • KCI등재

        국립공원 주변지역의 생태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 무등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정경연,변병설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1

        국립공원 주변지역은 도시확장과 개발로 인하여 야생동물들의 이동통로가 단절되고 서식지들은 작은 조각들로 파편화되었다. 서식지의 파편화는 야생동식물들의 교류감소와 근친교배로 인한 생물들의 다양성을 감소시켜왔다. 무등산국립공원 주변지역의 생태축을 파편화 시키는 주요 원인은 묘지, 산맥 절개지, 도로와 공공주차장, 농지에 의한 산지잠식, 도시기반시설, 송전탑, 도시지역 등이다. 국립공원 주변지역은 국립공원과 도시지역의 생태계가 서로 교류하며 공생할수 있도록 생태디자인을 통해 연결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Areas around of National Park have been severed eco-corridor of wildlife due to urban expansion and development. Habitats have been fragmented into small pieces. Habitat fragmentation reduces the biodiversity of organisms because the exchange loss and inbreeding of wild fauna and flora. The main cause of the fragmentation of ecological networks in areas around of Moodeungsan National Park are are that the cemetery, cutting of mountain, roads, public parking lots, mountain encroachment by land, urban infrastructure,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urban area. Area around of National Park must be equipped with ecological networks through an ecological design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national park and urban areas.

      • KCI등재

        국립공원 탐방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에 관한 연구 - 2019년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심규원,장진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4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held “Travel Week” since 2014 to encourage the people to take a vacation and disperse the seasonal tourism demand that is concentrated in summer in Korea. As part of the program,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has also operated the participatory lowland exploration program that offers nature-themed attractions and enjoyment in national parks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Travel Week” since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of participants in the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which is held in national parks during the “Travel Week.” We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of 1,281 participants in the “2019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held in 18 national park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of responses on the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according to the awareness in advance of the “2019 National Park Spring Week Program” showed that the average satisfaction and intentional to participate again of those who were aware of the program before visiting national park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not. As for the type of national parks, those who participated in “maritime and coastal national parks” and “historical national park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urban national parks.” As for the type of the programs, those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performance” and “exploration experienc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exhibition,” “PR booth,” and “campaign.” Those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performance” and “exploration experience”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participate again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exhibition” and “PR booth.”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olicy to improve exploration service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visitors to national parks in spring and fall as well as the peak season of summer.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범국민적 여행분위기 조성과 여름철 집중된 국내 관광수요 분산 등을 위해 2014년부터 ‘여행주간’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공단에서도 2018년부터 ‘여행주간’ 동안 전국 국립공원에서 자연을주제로 한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는 국민 참여형 저지대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여행주간’ 동안 국립공원에서 진행되었던 ‘국립공원 봄 여행주간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프로그램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에 대한 인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총 18개 국립공원에서진행된 ‘2019년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에 참여한 탐방객 1,2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의 ‘국립공원 봄 주간 프로그램’ 사전 인지 여부에 따른 만족도 및 재참여의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립공원방문 전 프로그램을 인지한 참가자의 만족도와 재참여의향은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던 참가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모두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국립공원 유형별로 살펴보면, ‘해상·해안형 국립공원’과 ‘사적형 국립공원’ 이 ‘도시형 국립공원’ 보다 만족도와 재참여의향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유형별로 살펴보면, 참가자의 만족도는 ‘전시회’, ‘홍보부스’, ‘캠페인’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 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값이 높았고, 재참여의향은 ‘전시회’, ‘홍보부스’ 형태 보다 ‘문화공연’과 ‘탐방체험’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연구는 향후 국립공원 여름 성수기 외에도 봄과 가을 탐방객 수 증가에 대응한 탐방서비스 개선을 위한 탐방정책 수립을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친화적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홍란지(Hong, Ran-ji),최영민(Choi, Young-mi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 수는 45,332,135명(2015년 통계)으로, 국립공원의 입장료 폐지, 주5일 근무제,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가족중심 체험형 여가활동 증가 등 사회적·정책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립공원 탐방객의 지속적인 증가는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며 국립공원 탐방객에 의해 자연생태계가 받는 부정적인 영향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21개의 국립공원 중 하나인 북한산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사례가 드문 도시형 국립공원이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탐방객이 가장 많이 찾는 북한산국립공원의 연간 탐방객수는 2015년 기준으로 6,371,791명이다. 탐방객이 많이 찾는 만큼 북한산국립공원에서도 무분별한 등산로 확대, 샛길 확산, 쓰레기 문제, 토양과 식생 유실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탐방객에 의한 환경 문제는 국립공원 탐방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제안들이 있어왔다. 국립공원의 보전을 위해서는 탐방객이 자연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가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탐방객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환경친화적 행동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행동의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탐방객의 환경친화적 신념과 환경친화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환경친화적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환경친화적 태 도와 지각된 환경친화적 행동 통제력만이 환경친화적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who visit the Korea"s National Park are increasing continuously because of 5 working days system, entrance fee abolition, growth of interest about health life, participation of the leisure activity and others. But growing of National Park visitors is not always good phenomenon. Because of some bad effects to natural environment fromvisitors, Bukhansan National Park has themost amount of visitors, about 6,370,000 people in 2015, among 21 national parks in Korea.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visitors, this national park also has some of environmental problems: lots of garbage, destruction of pathways, the lose of soil, vegetation etc. One of the causes for these kinds of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n national parks is the visitors. In order to recover and protect the national park"s environment,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he visitors and find out howto lead the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national park. National parks in Korea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ur sites to many people. Due to that, studies about the national park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can be a necessary research for extending the life of the national park and making the national park an attractive tourist attraction. Therefore, "What is the factor that can effect to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national park?" is the main issue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vailable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ed to 319 visitors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r questionnaire data analysis, the SPSS 18.0 andAMOS 18 software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tors" pro-environmental beliefs and pro-environmental subjective normdidn"t affect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econd, visitor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perceived pro-environmental behavior control did have an effect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llowing these results, we have to let the visitors know about environment problems in the national park and also receive environment education on howto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in the national park as a visitor.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을 찾는 탐방객 수는 45,332,135명(2015년 통계)으로, 국립공원의 입장료 폐지, 주5일 근무제,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가족중심 체험형 여가활동 증가 등 사회적·정책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국립공원 탐방객의 지속적인 증가는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며 국립공원 탐방객에 의해 자연생태계가 받는 부정적인 영향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21개의 국립공원 중 하나인 북한산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사례가 드문 도시형 국립공원이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 탐방객이 가장 많이 찾는 북한산국립공원의 연간 탐방객수는 2015년 기준으로 6,371,791명이다. 탐방객이 많이 찾는 만큼 북한산국립공원에서도 무분별한 등산로 확대, 샛길 확산, 쓰레기 문제, 토양과 식생 유실 등의 환경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탐방객에 의한 환경 문제는 국립공원 탐방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제안들이 있어왔다. 국립공원의 보전을 위해서는 탐방객이 자연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가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탐방객에게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환경친화적 행동을 촉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행동의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탐방객의 환경친화적 신념과 환경친화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환경친화적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환경친화적 태 도와 지각된 환경친화적 행동 통제력만이 환경친화적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who visit the Korea"s National Park are increasing continuously because of 5 working days system, entrance fee abolition, growth of interest about health life, participation of the leisure activity and others. But growing of National Park visitors is not always good phenomenon. Because of some bad effects to natural environment fromvisitors, Bukhansan National Park has themost amount of visitors, about 6,370,000 people in 2015, among 21 national parks in Korea.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visitors, this national park also has some of environmental problems: lots of garbage, destruction of pathways, the lose of soil, vegetation etc. One of the causes for these kinds of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in national parks is the visitors. In order to recover and protect the national park"s environment,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he visitors and find out howto lead the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national park. National parks in Korea has already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ur sites to many people. Due to that, studies about the national park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can be a necessary research for extending the life of the national park and making the national park an attractive tourist attraction. Therefore, "What is the factor that can effect to visito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national park?" is the main issue in this study.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vailable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ed to 319 visitors in Bukhansan National Park. For questionnaire data analysis, the SPSS 18.0 andAMOS 18 software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tors" pro-environmental beliefs and pro-environmental subjective normdidn"t affect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Second, visitors"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perceived pro-environmental behavior control did have an effect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Following these results, we have to let the visitors know about environment problems in the national park and also receive environment education on howto contribute to protecting the environment in the national park as a visitor.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국립공원 관리방안 비교 -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과 중국 태산 국가공원을 중심으로 -

        동한림,진평,이진형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중국 태산 국가공원과 한국 지리산 국립공원의 자원 및 탐방객 관리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 국가공원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을 검토하였고, 태산국가공원과 지리산 국립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법적인 관리의 측면에서 지리산국립공원의 경우 대한민국 국회에서 제정한 「자연공원법」이라는 단일한 법률 하에 공원의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중국 태산국가공원의 경우 중국 국무원에서 반포한 조례인 「풍경명승구관리조례」와 태안시 태산국가공원관리위원회에서 제정한 「태산풍경명승구관리조례」그리고 기타 여러 조례와 규칙 등에 따라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경제적 관리측면에서 보았을 때 지리산 국립공원은2006년 이후 입장료를 폐지하였지만, 태산 국립공원의 경우 한화 2만원 안팎의 높은입장료를 징수하고 있었다. 셋째 시설을 통한 관리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국태산국가공원과 한국지리산국립공원은 탐방안내소, 주차장 등의 수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없었다. 하지만 태산국가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보다 공공화장실과 쓰레기통이 매우 많았고, 지리산 국립공원은 태산국가공원보다 탐방로와 안내판 그리고 야영장과 대피소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관리방안적인 측면에서 태산국가공원의 자원 해설사들은 지리산국립공원의 해설가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력이 낮았으며 자원에 대한 지식등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해설의 내용면에 있어서도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생태해설 이나 문화해설 등 주제가 있는 해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태산국가공원에서는 일반적인 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논문의결과를 요약하고 분석해 보는 한편 한국국립공원 제도로부터 중국 국가공원의 개선에참고할 만한 점이 무엇인가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s Jirisan NationalPark's resources and tourist management with those of China Taishan National Park. Somedifferences were found as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First of all, in the legalmanagement, Jirisan 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a single law which was 'NaturalPark Law'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On the other hand, China TaishanNational Park was controled under 'Scenic Area Management Regulations', which wasenacted by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Taishan Scenic Spot Management Regulation'as well as many other regulations and rules which were enacted by Taishan National ParkManagement Committee. Second, Jirisan National Park entrance fee has been abolishedsince 2006, but Taishan National Park still charge expensive entrance fee which is about20000 Korean won. Third,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ourist center andparking lot between China Taishan National Park and Korea Jirisan National Park. However, Taishan National Park has more public toilets and dustbins and less trails signsthan Jirisan National Park. Finally, Taishan National Park and Jirisan National Park provideresources interpretation services as educational management method. However, theinterpreters in Taishan National Park have lower scholastic ability and less professionalknowledge than the interpreters in Jirisan National Park. Moreover, Jirisan National Parkhas thematic interpretation service while Taishan has normal interpretation service.

      • KCI등재

        우리나라 국립공원 지형경관자원의 유형 및 활용방안

        김장수 ( Jang Soo Kim ),장동호 ( Dong Ho Jang ),양해근 ( Hea Kun Yang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시행한 국립공원 2·3기 자연자원조사 자료와 국립환경과학원 2·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공원별 지형경관자원을 유형별로 재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수집된 전체 국립공원 내 지형경관자원 수는 총 3,169개였다. 전체 경관자원 중 Ⅰ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은 794개로 약 36.9%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Ⅱ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546개로 약 25.3%, Ⅲ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459개로 약 21.3%, 마지막으로 보전등급이 낮은 Ⅳ등급으로 판정된 경관자원이 191개로 약 8.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국립공원별 Ⅰ등급 경관자원 수는 설악산 207개소, 다도해해상 92개소, 지리산 84개소, 태안해안 60개소 순이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 지리산국립공원, 속리산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 등이 지형경관자원이 우수한 국립공원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우수한 경관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립 공원 탐방객에게 경관자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조망지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경관 조망점 지도를 작성하여 탐방로 입구 혹은 일정지점에 설치하여 탐방객들에게 지형경관자원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llected national secondary and tertiary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survey data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s well as the National Park`s secondary and tertiary natural resource research data executed by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he data collection is aimed at reclassification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of each park in varying types. The results generated a total of 3,169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ithin all the national parks. Among all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794 landscape resources were judged as Level Ⅰ, which accounts for 36.9%. Next, 546 landscape resources were judged as Level Ⅱ, or 25.3%, and 459 landscape resources judged as Level Ⅲ, or 21.3%. Lastly, 191 landscape resources were judged as Level Ⅳ, having the lowest conservation level, or 8.9%. The number of Level Ⅰ landscape resources for each national park includes 207 sites on Seoraksan, 92 sites on Dadohaehaesang Park, 84 sites on Jirisan, and 60 sites at the Taeanhaean, respectively.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Seoraksan National Park, Taeanhaean National Park, Jirisan National Park, Songnisan National Park, and Gyeryongsan National Park were evaluated as national parks having excellent landscape resources. To use these excellent landscape resources, there is a need to increase visitors` satisfaction and increase their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landscape resources. To achieve this, a landscape viewpoint map must be composed and installed at the entrance or at certain points to provide visitors with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수요의 요인분해

        모수원 ( Mo Soo-won ),이광배 ( Lee Kwang-bae ),박정환 ( Park Jeong-hwa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2

        국내관광은 국제관광의 변동성이 주는 충격을 완화하려 관광산업의 안정성을 담보하는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국내관광부문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의 해외관광객은 2010년-2017년에 연평균 11.3%라는 높은 증가를 보인데 비해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탐방객은 연평균 1.5% 성장이라는 초라한 실적을 드러내고 있다는 데서 알 수 있다. 더욱 산악형 국립공원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해상형 국립공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와 관심이 빈약한 편이다. 이에 본고는 변이할당분석과 BCG분석을 이용하여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의 변동요인을 식별한다. 먼저 변이할당분석을 적용하여 4개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의 변동을 국립공원 전체에 대한 탐방수요가 개별 국립공원탐방수요에 미치는 국립공원효과, 국립공원 전체에 대한 매력과 해상형 국립공원에 대한 매력의 차이가 개별 국립공원 탐방수요에 미치는 해상형 국립공원효과, 그리고 개별 국립공원과 해상형 국립공원의 탐방수요가 미치는 소위 경쟁력효과와 같은 3개 요인으로 분해한다. 또한 변이할당분석을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으로 구분하여 정태적 분석과 동태적 분석의 3개효과가 부호와 크기에서 상당한 차이를 노정한다는 것도 밝힌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4개 해상형 국립공원의 탐방객 변동을 요인별로 분해하여, 정태적 분석에서는 국가효과와 구성효과가 양의 값으로 4개 해상형 국립공원 탐방객을 증가시키나, 동태적 분석에서는 구성효과의 경우 2013년부터, 국가효과의 경우 2014년부터 음의 부호를 갖는다는 것을 밝힌다. 탐방객이 증가한 오동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태안해안국립공원은 물론 탐방객이 감소한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도 개별 국립공원의 경쟁력을 의미하는 지역효과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도 보인다. BCG 매트릭스를 적용하여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star 영역으로 상승한 후star 위상을 유지하며, 변산반도국립공원은 star에서 cash cow와 child로 위상이 변화하여 탐방객 증가가 평균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데 비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은 child에서 dog로 추락함을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4개의 해상형 국립공원 모두에서 지역효과가 탐방객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 경쟁력은 우수하나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경쟁력은 정체상태에 있으며,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쟁력은 하락하고 있음을 밝힌다. BCG분석에서는 오동도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이 탐방객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것과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가장 큰 경쟁력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도 밝힌다. Tourism is widely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largest and rapidly growing industries. Domestic tourism, however, remains an under-researched theme in many countries involving Korea partly due to the difficulty to track domestic tourism and with governments and policy-makers placing emphasis on the attractive higher expenditures of foreign visitors. It is stated that a vibrant domestic tourism sector can cushion the industry from fluctuations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and bring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in the industry. Nature-based tourism to national parks gives us broad benefits such as improv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ress reduction and increased social cohesion. Employment is one of tourism’s main development advantages and its role in promoting economic opportunities for communities adjacent to national parks has long been appreciated. But tourism performance in Korean national parks continues to dwindle and stagger. This paper introduces a shift-share decomposition to break down the tourism to the marine national parks into three components: one measuring national effect, and two other components due to changes in compositional effect and regional effect respectively. While the static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in marine national parks’tourism seems to be due to positive national park effect as well as marine national park effect, the dynamic regional effect appears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visitors. This paper also employs the positioning analysis on national parks using Boston Consulting Group matrix over the period 2011-2016. The BCG analysis shows that Odongdo and Dadohaehaesang succeed in rising to a star area, Byeonsanbando ranges over a cash cow to a child, but Taeanhaean degrades from a child to a dog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