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로에 선 국어교육 : ‘국어’ 교과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김창원(Kim, Chang-won)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교과(敎科)는 개인․사회․국가의 요구 및 학교 제도의 특성을 반영하여 발견/구성된다. 기본․도구․중핵 교과로서의 ‘국어’ 교과 역시 근대조선․대한제국 시기, 일제강점기, 해방․군정기, 대한민국 시기를 거치면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는 지금 이 순간에도 국어과의 외연과 내포가 계속 진화하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교과는 항존성과 가변성의 긴장 위에서 진화하는 역동적인 실체이자 현상이므로, 그 개선을 논하려면 한 세기가 넘는 전통과 한 세대를 앞서 보는 비전을 아우르는 통찰이 있어야 한다. 차기 교육과정은 20세기 말의 7차 교육과정과 21세기 초의 2007․2009․2015 교육과정의 연속선상에 있다. ‘경험 중심→학문 중심→기능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변해 온 20세기 교육과정과 달리, 21세기 교육과정은 소통과 맥락, 문화를 강조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2015 교육과정은 창의인성을 바탕으로 핵심 역량을 전면에 내세우고 매체, 연극, 한 권 읽기, 교과 통합 등을 강조하며 개발되었다. 또한,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을 매우 구체적으로 제시한 특성을 보인다. 이런 변화는 2015 교육과정의 성취라 할 만하지만, 여전히 영역 간․선택 과목 간 벽이 높고 12년에 걸친 이수 경로가 모호하며 실질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교과 역량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2015 교육과정의 성취를 발전시키고 한계를 극복하여 국어과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어’라는 교과의 개념과 본질을 전면적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지식정보의 폭발적 증가와 테크놀로지 발달에 따른 사고․의사소통 양상의 변화, 성(性)․세대․지역․종교․인종․학력․부(富)․정치 성향 등 다기화되는 사회 분화로 비롯된 언어문화의 변화, 남북․국제 관계와 학업․직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국어 능력에 대한 요구 변화 등이 맞물리면서 전통적인 국어과교육으로는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응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순혈주의 극복, 세계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이해 심화, 국어활동의 실제성 확보, 매체 언어 수용, 문학 개념 재설정, 정전 텍스트 재구성, 선택 과목재편, 새로운 도구성 발견과 같은 논점들이 새로이 제기되었다. 국어교육계는 이들 논점에 관해 앞으로 한 세대를 견딜 수 있는 답을 찾아야 한다. 국어 교과 재설계를 위한 작업들은 과거와 미래, 학교 안과 학교 밖, 이론과 실제의 복합적인 타협으로만 가능하다. 이를 ‘국어 교과의 정치학’이라 부를 수 있는바, 이 정치에 간여하는 여러 집단과 담론들이 각기 자신의 입장과 논리를 관철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국어 교과의 개념이 새로이 구성될 터이다. 이때 적용할 원칙은 주체(개인․집단)-언어(음성․문자․매체)-맥락(시간․공간․관계)의 본질과 상호성에 대한 이해에서 나온다. 그 결과가 ‘국어과’라는 교육과정 생태계를 이루며, 이 생태계가 건강하고 활발하게 작동, 발전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국어교육 전문가의 역할이다. Curriculum reflect requests of individuals, society, and the nation,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ystem. After accepting various requests ever since the late 19th century, ‘Korean’ Education has evolved as nowadays’. The means of ‘Korean’ is constantly changing. However, despite of such changes, the purpose and nature of ‘Korean’ education has not changed much since the beginning. ‘Korean’ always has been a dynamic and substantial phenomenon that develops through constancy and vari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discuss its improvement, an insight that embraces both the tradition of over a century long curriculum and the future of next generation is required. To continue the curriculum of 2015 and improve ‘Korean’ curriculum, complete restructure of the concept and nature of ‘Korean’ curriculum is essential, as the traditional ‘Korean’ is incapable of responding all requests that are overwhelming due to dramatic increas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This restructure process, referred as “the politic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only possible through compromising past and futur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and theory and reality. The concept of ‘Korean’ should be based on interactions among various organizations and discourses with their own stances and logics that take parts in the ‘politics’. Here, a standard principle is required and it from understanding essence and reciprocity of the subject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ext(oral, literal, and media), and context(time, place, and interrelationship). The outcome of this process will form the ‘Korean’ subject’s “ecological system of curriculum,” and the role of ‘Korean’ educators is to prepare to keep this system healthy and active in the middle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 및 결과 활용 방안 탐구

        한혜정(Hye-Chong Han),이주연(Joo-Yo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이 연구는 역량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분석 하고 이를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데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통 교육과정인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총 12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을 분석 대상 교과로 선정한 후, 총 23명의 교과 전문가를 13개의 워킹그룹으로 구성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분석 결과를 (1)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 분석, (2) 교과 역량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분석, (3) 핵심역량에 따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분석의 세 가지 주제로 제시 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재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분석 결과의 활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지원 시스템 개발을 제안하는 동시에, 역량과 관련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subject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and suggests the effective way to use its results for school curriculum design. For this purpose, it selected 12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contained in common curriculum and made the working group consisting of 23 subject experts analyz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main themes: (1)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2) analyzing subject curriculum centering in subject competencies, (3) analyz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centering in key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howed how school teachers can reconstruct school curriculum through using this result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online system development plan to effectively support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suggests considerations in the future curriculum revision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um for cultivation key competencies.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교육과정 재구조화 방향 탐색

        온정덕(Ohn, Jung D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통합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과 구성에 있어서 오랫동안 쟁점의 대상이었고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에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초등의 경우 통합교육과정은 저학년에 통합교과라는 교과의 지위를 가지고 실행되어왔다.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서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으로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중심으로 탈학문적인 통합의접근을 취하였으며 주제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고 명시한다. 이러한 관점은 미국 초기 진보주의의 아동중심 관점에서 받아들여진 아이디어와 유사해 보인다. 하지만 구체적인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살펴보면 학습자의 ‘이해’와 학문기반의 교육내용을 강조하는 관점을 반영하는 모형을 근거이론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아동중심과 학습자의 이해를 강조하는 두 관점에서 나타나는 통합 교육과정 설계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재구조화의 방향으로 교육과정 문서상에서는 여러 교과를 아우르는 핵심 지식과 기능을 제시하고, 수업에서 교수학습활동을 구성할 때 실생활 맥락과 수행을 강조할것을 제안하였다.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enacted in various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is enlisted as a subject in a national curriculum with it being called Integrated Subjec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s said to take a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to guide a theme-based learning in elementary classrooms. This position seems to resemble the idea during the progressive era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urriculum design model that the integrated subject is based was taken from Drake’s model, which reflects a perspective emphasizing ‘understand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two seemingly conflicting perspectives includ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ocuses of each. Then, I presented ideas to reconstruct the current curriculum and suggest that the curriculum should explicitly provide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o be taught through various activities.

      •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에의 IB MYP Design 교육과정 적용 방안

        조웅민(Ung-Min Cho)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2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에의 IB MYP Design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현재 제주시교육청, 대구시교육청 등 다양한 교육청에서 IB 교육과정을 공교육에 적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IB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교과에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혁신으로 급변하고 있는 현대에 기술 교과 교육은 보다 강조되어야 하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미포함 교과라는 인식과 다른 교과와 함께 묶여 있는 현실로 인해 기타 교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변화하는 시대를 주도하고 있는 기술에 대한 이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에 따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과 IB MYP Design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두 사이의 관련성을 파악 후 효과적인 단원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교과 교육과정은 핵심 역량과 일반화된 지식 등을 내용 요소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인 성취 기준에서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 또한 제시하고 있다. IB MYP Design 교육과정에서는 Design cycle을 중심으로 모든 과정에서의 설계 및 기술적 요소를 교수-학습 단계에서 성취하였는지 평가하고 그러한 과정을 확인하기 위한 본질적 질문을 단원의 핵심 질문으로 제시하고 있다. 두 교육과정은 개념기반 교육 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요소를 활용하고 있으므로 유기적인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중학교 기술 교과에서 반드시 활용되는 고차원의 구조화된 문제를 쉽게 설계하는 단원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안은 기술 교과의 교실 수업 개선과 IB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데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can be applied to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Currently, various school districts such as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the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re applying the IB curriculum to public education.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the IB curriculum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is a national-level curriculum, is being studied in various curriculums. In particular, in modern times, which are rapidly changing with the innovation of technology, the technical curriculum should be emphasized more, but it is recognized as a different curriculum due to the perception that it is an no-included subject in the college math proficiency test and the reality that it is tied together with other subjects. However, an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ies that are driving the changing times cannot be over-emphasized. Accordingly, we will analyze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and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to identify the link between the two and propose an effective unit desig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presents core competencies and generalized knowledge as content elements, as well as a variety of assessment methods to ensure that specific achievement criteria have been reached. The IB MYP Design curriculum focuses on the design cycle, assessing the achievement of design and technical elements in all courses at the teaching-learning stage and presenting essential questions to identify such courses as key questions in the unit. Both curricula utilize elements of a concept-based curriculum, an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so organic transformations will be possible. Based on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propose a unit design that easily designs high-level structured tasks that are necessarily utiliz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These methods could provide effective ways to improve classroom teaching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to apply the IB curriculum to the school field.

      • KCI등재

        2015 국가교육과정 성취기준과 CASEL의 사회정서학습(SEL) 역량의 비교를 통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성정민(Seong, Jeongm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4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2015 국가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사회정서학습 역량을 비교하여 관련성을 파악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타당성은 성취기준과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문가 협의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연구 과정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전수 분석하여 정의적 영역이나 태도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선별한다. 둘째, 2차 연구 과정에서 선별된 교육과정 성취기준들을 재선별하고, 사회정서학습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와 교과 및 학년군을 기준으로 분류한다. 셋째, 타당성이 검증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성취기준과 사회정서학습 역량을 통합한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사회정서학습 역량과 관련성이 높은 성취기준은 국어 25개, 도덕 24개, 사회 8개, 과학 7개, 실과 8개, 체육 17개, 음악 2개, 미술 2개, 통합교과 15개로 선별되었다. 선별된 성취기준은 사회정서학습 역량을 기준으로 중복 허용하여 분류되었으며,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 교과 중심의 사회정서학습편성 설계 방안과 사회정서학습 역량 중심의 프로젝트 단원설계 방안이라는 두 가지 방안이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사회정서학습 역량의 성격을 가진 교과역량이 반영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 결과는 교사가 학급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실제적 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셋째, 사회정서학습이 교육과정에 공식적으로 편제되지 않은 한국의 상황에서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한 사회정서학습 교육과정 설계 방안이 후속 연구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2015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was examined, and the curriculum design plan wa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thods] The validity of the study was secur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e council of experts consisted of three curriculum experts. [Results] As a result, the achievement standards with high relevance to 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were selected as 25 Korean language standards, 24 ethics standards, 8 social study standards, 7 science standards, 8 practical arts standards, 17 physical education standards, 2 music standards, 2 art standards, and 15 integrated subject standards. Two ways were derived as curriculum design plan: design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organization centered on subjects and designing unit of project centered on 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Conclusion]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related to competencie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eachers can design curriculums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분석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탐구실험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각 탐구활동에서 반영하고 있는 공학 설계 과정 요소와 공학 설계 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구현, 평가, 재설계 등과 같은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활용하고 있는 탐구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반영 비율과 공학 설계 과정 요소가 어떤 순서로 전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43개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이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생활 속의 과학 탐구’와‘첨단 과학 탐구’영역에서 대부분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 활동을 다루고 있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은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평가를 비슷한 비중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구현과 재설계는 활용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총 1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정보 수집, 문제정의, 창안, 평가 순서로 전개되는 방식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43개의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모두 활용한 탐구활동은 10개였다. 아울러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정보수집의 순서와 목적에 따라 4가지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는데, 문제정의 전에 정보수집을 먼저 실시하여 문제를 구체적으로 명료화하는데 필요한 과학 지식, 기술 지식 등과 같은 문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 등을 수집하도록 공학 설계 과정이 전개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구현과 재설계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공학 설계 과정 요소들을 빠짐없이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는 안내와 지도 방안의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in each inquiry activity and the ways that such a process develops in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 under the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of 2015.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extracted inquiry activities based on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such as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evaluating the solution, and redesign from the inquir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Thes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percentage of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and the order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elements. The findings show that total 43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ere found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Most of such activities were covered in the areas of “Scientific Inquiries in Everyday Life” and “Advanced Scientific Inquiries.” Th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utilized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in similar relative importance, but the utilization of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was relatively poor. There were total 15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in thes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m followed the order of collecting information, defining the problem,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Of the 43 inquiry activities, ten made use of all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were categorized into four according to order and purpose of information collecting.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ould develop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 way that background knowledge was collected related to the issue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needed to clarify a problem specifically with information collection before problem defini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have full experiences with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and prepare guidance and instruction plans to promote their diverse utilization of all the various elements i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 KCI우수등재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참여 경험을 통해 살펴본 교과역량 설계의 실태 분석

        이상은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3

        Korea has recently implement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2015, the existing curriculum was revised and organized into to a new format, which selects particular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within each subject’s curriculum and restructures the existing knowledge of each subjec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llenges and limitations in the design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by analyzing various participants’ experiences of developing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2 curriculum developers who took part in redesigning the subject matter from previously knowledge-based curriculum toward a new form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three parts: 1) the actual situation of curriculum developer’s forming a consensu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ompetency education, 2) conflicts and issues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existing knowledge by introducing the new concept of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nd 3) limitations of deliberation among them while redesigning competency-based subject curriculum. 학교교육 개혁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가운데 교과 내용의 시대적 적합성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역량’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을 공식적으로 반영한 첫 국가 교육과정으로서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개발이 시도되었다.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내용을 학생들의 역량 발달과 연결시키기 위해 각 교과의 성격을 고려한 교과역량을 선정하고, 이를 반영하고자 교과 교육과정 설계상의 여러 가지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여러 주체들의 경험을 통해서 교과역량 설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그 실태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론 및 각론 개발 참여자 총 12 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세 가지측면을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역량교육의 의미와방향에 관한 공감대 형성의 실태로서 서로 상반된 이해가 혼재하는 현상, 둘째, 역량을 반영한 교과 내용 재구조화 과정의 현 주소로서 갈등과 혼선이 나타나는 양상, 셋째,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서 숙의의 실상과 한계로서 총론과 각론, 각론과 각론 간의 소통 부족 등을 2015 개정 시교과역량 설계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으로 짚어 보았다.

      • KCI등재

        듀이(J. Dewey)의 경험 이론이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고찰

        한혜정 ( Hyechong Ha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2 교육과정연구 Vol.40 No.2

        본 논문은 전통주의와 진보주의의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서는 제3의 논리인 듀이의 경험 이론에 비추어 역량 교육과 관련하여 핵심적으로 제기되는 역량의 총체성, 역량 교육과 교과 교육의 관계, 교과와 삶의 연계가 의미하는 바를 밝힘으로써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역량의 총체성은 무엇보다 ‘학습자의 내면에 오롯이 초점을 맞추는 교육’으로의 전환에 대한 요구를 의미한다. 교과가 아닌 학습자 내면의 성장을 중심축으로 볼 때 교과는 그 자체로 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인류가 역사를 통하여 성취한 모든 결과를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잘 정리하여 놓은 것으로서 학습자 내면의 성장을 위하여 우리가 기댈 수 있는 최선의 것이다. 역량 교육은 교과 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마음의 발달이 이성적 사고 능력의 함양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더 높은 차원의 전인격적 발달로 이어지는 것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서 교과 교육은 학습자의 삶과 연계되어야 한다.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은 교과 내용의 논리적 체계를 고려하되 교과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성장이 드러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것은 학습자 내면의 성장이 드러나는 교육과정, 듀이의 용어로 ‘교과의 심리화’가 드러나는 교육과정으로 표현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subject curriculum design by clarifying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education and subject education, and the connection between subject and life, based on Dewey’s experience theory. As a result, the holistic nature of competency demands a shift to education that focuses solely on the individual learner. When the individual learner is viewed as the central axis, the subjects do not have value in themselves, but have value only insofar as they help learners grow. Competency education aims for a higher level of holistic development through subject education, not just the cultivation of rational thinking abilities. To this end, subject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the learner's life. Competency-based subject curricula should be designed to reveal the learner’s inner growth through subject learning, while considering the scope and logical sequence of the subject. This can be expressed as a curriculum that reveals the learner’s inner growth, or, in Dewey’s words, embodies the “psychologicalization of the subject.”

      • KCI등재

        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윤지영(Yoon, JiYoung),온정덕(Ohn, JungD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the role of skill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in order to get th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we first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skills, knowledge and skills in detail to define the meaning and the role of skill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we critically examined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Then, we drew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y comparing it with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Canada Ontario SS Curriculum. Implications drawn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as the following. First, both the Australia and Ontario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 highlight importance of inquiry skills and specify the inquiry skills as learning content. Second, the documents provided the ways of integrating knowledge and skills. Third, the inquiry skills as learning content included skills applied to specific areas in social studies. Fourth, inquiry skills are categorized into five components(questioning, researching, analys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and the sequence of content in each component is presented in the document. Fifth, the documents presented how the learning of inquiry skills is related to key compet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subject curriculum desig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고찰하고 외국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역량과 기능, 지식과 기능의 관계를 검토하여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기능의 의미와 역할을 정립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역량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호주와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 국가는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습할 기능을 ‘탐구’로 설정하고, 둘째, 사회과 지식과 기능이 상호 긴밀한 관련을 가지도록 교육과 정을 구성하였다. 셋째, 기능 영역은 탐구 단계 및 학년(군)에 따라 학생들이 갖추기를 기대하는 수준으로 계열화되었으며. 넷째, 탐구 과정 속에서 사회과 고유의 기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마지막으로 탐구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 어떤 역량의 계발과 관련되는지 명시함으로써 역량과 기능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호주와 온타리오 주의 기능 설정 및 교육과정 제시 방식은 교과 기능을 통해 역량 함양을 추구하는 교과 교육과정 설계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체계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연금교육 개선방안 모색

        성혜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수록된 연금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금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사회과와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연금교육과 관련된 영역은 무엇인지, 내용체계에 따른 연금교육 관련 성취 기준과 그 접근 관점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또한 성취 기준의 달성을 위해 활용된 각 교과서별 연금교육의 내용 체계성과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총 5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고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총 2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육과정에서 각각 1개 영역이 연금과 관련이 있었다. 해당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분석한 결과 고령화 대책, 복지 서비스, 사회보장제도의 이해, 생애 재무설계를 위한 수단이라는 총 4개의 관점에서 연금에 관한 내용이 학습되고 있었다. 각 출판사 별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이 필요하다는 수준의 개괄적 기술에 그친 교과서를 비롯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구분하고 퇴직연금 및 개인연금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 교과서도 있는 등 내용의 깊이에 큰 차이를 보였다. 향후 학교 연금교육이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회보장제도의 이해를 위한 연금교육과 개인과 가족의 생애설계를 위한 재무교육의 2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성취 기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적연금제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사회보장 교육에 관한 중점 학습항목과 학습내용을 정해 발표하여 각 교과서 집필진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identify the contents and level of pension education in school through analysis of the pension related information in textbooks and curriculum. First we evaluated what areas are related to pension education in the cont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ly,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ing perspectives in pension education are also analysed. Lastly, the differences among the contents of pension education in textbooks are analysed. In the results of contents analysis, five area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wo area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are related to pension. And each one area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high school home education are related. In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se education areas, four perspectives - aging society, welfare service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ecurity and lifetime financial planning means - are used in learning pension. In the analysis of textbooks published by various publishers,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pth of content. Some books distinguish between public pensions and private pensions and include a description of the retirement pensions and private pensions. In conclusion, to make pension education systematic and technical, it is suggested to announce two-dimensional educational standards. One is for pension education for an understanding social security and the other is financial education for the design of individual and family lifetime. It ca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pension and necessity of systematic design for lifetime retir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