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서학서(漢文西學書) ≷공제격치(空際格致)≸ 연구

        배주연(Bae, Joo-ye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본 논문은 예수회 선교사 바뇨니가 저술한 한문서학서 ≷공제격치≸를 통해 당시 중국에 체류한 서양인의 입장에서 본 자연 과학 지식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제격치≸는 중국에 온 이탈리아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A.Vagnoni, 高一志, 이탈리아: 1566~1640)가 저술한 내용을 명나라 학자 한운(韓雲)과 진소성(陳所 性)이 교정하여 1633년에 간행한 한문서학서이다. 내용은 유성 · 혜성 · 바람 · 구름 · 안개 · 지진 등에 관한 천문학 지식과 우주 변화를 불 ·공기·물·흙의 근본 물질로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원소설(四元素說)등에 대한 이론을 서술하고 있다. ≷공제격치≸에 대한 조선에서의 영향을 살펴보면 이익은 그의 문집에서 기상이나 지진 등에 관련된 서술 항목에서 이 책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이어 18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들에게서는 사행론의 영향이 활발하게 나타났는데 홍대용 · 이청 등의 인물이 오행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그 비판에 나섰다. 특히 19세기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공제격치≸를 탐독하고 그것을 자신의 저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운화측험≸의 많은 부분은 ≷공제격치≸의 기상학 관련 기사를 발췌한 것으로 이 책이 그의 과학적 사유의 중요한 단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1830년대부터 지구설과 기(氣)의 회전 이론을 기반으로 조석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였는데 서양의 사행설이 동양의 오행설보다 진전된 것임을 인정하면서도 제대로 된 이론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화 · 수 · 토를 기의 하부구조로 말하고 만물을 기 · 화 · 지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natural science and its critical issues described in the ≷Kongje keokchi≸ written by A.Vagnoni, Jesuit Missionary, from Ital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Kongje keokchi≸ is ‘Hanmun Seohakseo’ written by A.Vagnoni(Italy: 1566~1640) and edited by Hanun(韓雲) and Jinsoseong (陳所性) of Ming(明) Dynasty in 1633. This book described the knowledge of astronomy such as wind, fog, earthquake etc. an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spread the providence of God of Christianity through introducing the western science. According to the ‘Thomism’, to find out the god s creatures through the rationality of nature endowed by God is considered as the way to the God and it is the main reason why this book accepte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actively. This paper examine the the response of the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on this book. This book deeply affected the view of nature of Silhak scolars and we can see that in the recogni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陰陽五行論)’ and through the Spherical of the Earths. We can see the influence of this book in the collection works of Lee-ik (李瀷) which described the climate and earthquake. After introduced this book to the Yi Dynasty, the effect of ‘Four Elements Theory’ was spread actively among scholars in late 18C and it was trigerred to make the ‘Silhak Scholars’ in the Choseon-Dynasty. As mentioned above, introduction of this book to Choseon-Dynasty was served as a momentum to prepare the various theories on the natural science. The successive work is needed to compare the works of scholars who were influenced by this book.

      • KCI등재

        한문서학서(漢文西學書) 『공제격치(空際格致)』 연구

        배주연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7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the natural science and its critical issues described in the 『Kongje keokchi』 written by A.Vagnoni, Jesuit Missionary, from Italy,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intellectuals of Choseon-Dynasty. 『Kongje keokchi』 is ‘Hanmun Seohakseo’ written by A.Vagnoni(Italy: 1566~1640) and edited by Hanun(韓雲) and Jinsoseong (陳所性) of Ming(明) Dynasty in 1633. This book described the knowledge of astronomy such as wind, fog, earthquake etc. an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spread the providence of God of Christianity through introducing the western science. According to the ‘Thomism’, to find out the god's creatures through the rationality of nature endowed by God is considered as the way to the God and it is the main reason why this book accepted the philosophy of Aristotle actively. This paper examine the the response of the intellectuals of Choseon- Dynasty on this book. This book deeply affected the view of nature of Silhak scolars and we can see that in the recognition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陰陽五行論)’ and through the Spherical of the Earths. We can see the influence of this book in the collection works of Lee-ik(李瀷) which described the climate and earthquake. After introduced this book to the Yi Dynasty, the effect of ‘Four Elements Theory’ was spread actively among scholars in late 18C and it was trigerred to make the ‘Silhak Scholars’ in the Choseon-Dynasty. As mentioned above, introduction of this book to Choseon-Dynasty was served as a momentum to prepare the various theories on the natural science. The successive work is needed to compare the works of scholars who were influenced by this book. 본 논문은 예수회 선교사 바뇨니가 저술한 한문서학서 『공제격치』를 통해 당시 중국에 체류한 서양인의 입장에서 본 자연 과학 지식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피고 이에 대한 조선 지식인들의 수용 양상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공제격치』는 중국에 온 이탈리아 선교사 알폰소 바뇨니(A.Vagnoni, 高一志, 이탈리아: 1566~1640)가 저술한 내용을 명나라 학자 한운(韓雲)과 진소성(陳所性)이 교정하여 1633년에 간행한 한문서학서이다. 내용은 유성·혜성·바람·구름·안개·지진 등에 관한 천문학 지식과 우주 변화를 불·공기·물·흙의 근본 물질로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원소설(四元素說)등에 대한 이론을 서술하고 있다. 『공제격치』에 대한 조선에서의 영향을 살펴보면 이익은 그의 문집에서 기상이나 지진 등에 관련된 서술 항목에서 이 책의 내용을 언급하였다. 이어 18세기 후반 조선의 학자들에게서는 사행론의 영향이 활발하게 나타났는데 홍대용·이청 등의 인물이 오행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그 비판에 나섰다. 특히 19세기 최한기(崔漢綺, 1803~1877)는 『공제격치』를 탐독하고 그것을 자신의 저작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인물이다. 그의 저작 『운화측험』의 많은 부분은 『공제격치』의 기상학 관련 기사를 발췌한 것으로 이 책이 그의 과학적 사유의 중요한 단초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1830년대부터 지구설과 기(氣)의 회전 이론을 기반으로 조석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였는데 서양의 사행설이 동양의 오행설보다 진전된 것임을 인정하면서도 제대로 된 이론은 아니라고 판단하여 화·수·토를 기의 하부구조로 말하고 만물을 기·화·지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한문서학서의 사행론과 그 영향

        김문용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 시대와 철학 Vol.16 No.1

        이 연구는 『공제격치(控除格致)』『건곤체의(乾坤體義)』등, 조선 후기에 전래된 한문서학시의 사행론(四行論)을 분석하고, 그것이 조선 후기 자연관의 변화에 끼친 영향을 검토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 연구에서 제기하는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행론은 원행·원정·원동 개념을 골격으로 하여 지구환경론 중심의 이론 구조를 갖추고 있다. 둘째, 사행론에는 오행론 비판을 통해 동양의 전통적 자연관을 해체하고, 지구실 위주의 우주론에 대한 논증을 통해 서양의 중세적 자연관을 옹호하려는 의도가 함축되어 있었다. 셋째, 사행론은 조선에서 오행론이 비판·폐기되는 데 원용되기는 하였으나, 사행론 자체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전폭적으로 수용되지는 못하였다. 그 주된 이유는 전폭적인 수용이 곧 기론(氣論)적 세계관을 부정하는 것인 반면, 사행론은 기론에 대한 대안 제시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our Elements Theory in the Classical Chinese books regarding Western Learning, such as Kongje kyo˘kch‘i and Ko˘n'gon ch'eui,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later Choso˘n period, and to examine its effects to the change of Korean's view on nature.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the Four Elements Theory is a terrestrial environment theory based on the three major concepts, Elements, Properties and Motions. Second, the Four Elements Theory deconstructs the traditional view on nature by criticizing the Five Elements Theory, and advocates western medieval world view by demonstrating a cosmology based on a globular earth theory. Third, the Four Elements Theory was utilized in order to criticize and abolish the Five Elements Theory, but was not accepted by the Korean intellects of the time. For the Four Elements Theory failed to be substituted for chi theory, although the former was to deny the latter in the end.

      • KCI등재

        주주대표소송의 민사소송법적 쟁점

        권재열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一鑑法學 Vol.0 No.47

        The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hereinafter as “the suit”) is a legal domain that spans the fields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 was modelled after the system of German law through Japanese law, whereas the suit under the Commercial Act accepted the U.S. system. Although these acts differ in terms of their history, efforts are needed to explain the suit from a perspective of the Civil Procedure Act. Accordingly, this paper discussed the security for damages, succession of a lawsuit, and standing of a party to compulsory execution from a consolidation perspectiv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ercial Act and the Civil Procedure Act..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coverage of the security for damages in the suit is wider than that of the security for litigation costs under the Civil Procedure Act, due to the applicable provisions of the Civil Procedure Act, some requirements necessary for the security for damages in the suit must be interpre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Civil Procedure Act. Second, if the shareholder who originally filed the suit dies or dissolves, the suit must be terminated, but if the successor wishes, an opportunity to continue the lawsuit must be guaranteed. In addition, if a shareholder who filed the suit transfers all of the shares he own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uccession by participation is possible if the transferee of the shares meets the requirements for standing to sue under the Commercial Act. Third, although the Civil Execution Act does not stipulate the execution procedure for the shareholders’ representative lawsuit, in the event that the plaintiff is not allowed to have a standing as a party to a compulsory execution despite the he wins the suit, the purpose of the suit is neglected. Therefore, the plaintiff of the lawsuit can be a party to a compulsory execution. 주주대표소송은 상법과 민사소송법의 분야에 두루 걸쳐 있는 법영역이다. 한국의 민사소송법은 대체로 일본법을 통하여 독일법의 체계를 계수한 것인 반면에 상법상 주주대표소송은 미국의 제도를 수용한 것이다. 이들 제도가 그 연혁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주주대표소송을 민사소송법상의 법리로 설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상법과 민사소송법의 관계를 고려한 통섭적 시각에서 손해담보제공, 소송승계 및 강제집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제도는 민사소송법상 소송비용의 담보제공제도에 비하여 담보되는 대상이 더 넓기는 하지만 민사소송법상의 준용규정에 의하여 주주대표소송에서의 담보제공에 필요한 여러 요건은 어쩔 수 없이 민사소송법적인 입장에서 해석하여야 한다. 둘째, 당초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한 주주가 사망하거나 소멸한 경우에는 그 대표소송은 종료하여야 하지만, 승계인이 원하는 경우에는 소를 계속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대표소송을제기한 주주가 자신이 소유한 주식을 모두 양도하는 경우 그 주식의 양수인이 상법상 지주율 요건을 갖춘다면 참가승계가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셋째, 민사집행법은 주주대표소송에 관하여 집행절차를 정하지 않고 있지만 원고주주가 승소한 주주대표소송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집행채권자로서의 적격을 부정한다면 주주대표소송을 제도적으로 인정한 취지가 몰각되므로 주주대표소송의 주주는 집행채권자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