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宋ㆍ金代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김윤정 한국문화유산협회 2017 야외고고학 Vol.0 No.29

        본고는 강진 사당리 요지와 정요 요지 관련 신자료들을 중심으로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송, 금대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 관계와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국내 유적에서도 거의 발견된 예가 없는 金彩 정요 자기를 포함하여 고려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정요 자기의 제작 수준과 품질이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려 사회에서 정요 자기를 사용하던 계층이 왕실이나 귀족, 고위 관료 등 상류층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12세기에 고려청자에 정요 자기의 영향이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정요 자기와 조형적인 영향 관계가 보이는 고려청자는 품질이 매우 좋으며, 왕실 관련 청자를 제작하던 강진 사당리 일대 요지에서 주로 출토되었다. 특히, 이룡문이 시문된 다양한 종류의 접시와 발류는 정요 자기와 크기, 기형, 문양 구성 까지 유사한 예가 많았다. 이외에도 마갈문, 용문, 모란문, 연화문, 훤화문, 물가풍경문 등에서 정요 자기의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서긍이 고려도경 에 기록한 정기제도는 ‘정요 자기의 양식’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서긍이 기록한 것처럼 접시, 완, 탕잔 등의 다양한 일상 기명에서 정요 자기의 조형적 영향이 보이고, ‘정기’와 ‘제도’의 의미를 문헌자료에서 확인하여 기존 연구보다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12세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는 송, 금대 궁정에서 사용된 매우 수준 높은 그릇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고려청자의 조형에 영향을 미친 정요 자기의 품질, 명문, 문양의 의미, 건륭제 명으로 1785년에 간행된 황실 소장 珍品 圖冊인 珍陶萃美 와 精陶韞古 의 내용 등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본고에서 제시한 북송 말기 정요 자기의 영향을 받은 고려청자를 서긍의 기록과 연결하여 보면 북송 말기 궁정용 정요 자기가 거의 동시기 고려청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근래에 고려청자의 色澤이 더욱 아름다워졌다’는 1123년의 서긍의 기록에 부합하는 12세기 1/4분기 경의 고려청자의 발전 양상과 편년 기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tive influence of Song・Jin Dynasty Ding ware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wares were studied. First, the finds excavated from Korean historical sites dating to the Goryeo dynasty have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standards and quality of Ding ware were very high. It is rationalized that the exclusive use of Ding ware by the highest social strat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influence of Ding ware on 12th century Goryeo celadon. Second, it is observed that Goryeo celadon exhibiting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ttributed to Ding ware influence are of high quality, and a majority of these example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kiln sites of Sadang-ri in Gangjin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celadon produced for the royal court. Third, it is argued that the term ‘dingqi zhidu(定器制度)’ as recorded in Gaolitujing(高麗圖經) by Xu Jing(徐兢)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style of Ding porcelain’ rather than understood as the laws governing standards of porcelain production. Fourth, the paper focuses on the formative influence that Ding ware had on Goryeo celadon especially in reference to quality, inscriptions, decorative designs and significance. Based on the above evidence, it is confirmed that Song and Jin dynasty Ding porcelain of the highest quality served as the models that influenced 12th century Goryeo celadon. Fifth, Xu Jing also makes note as is evident in his records of 1123 that state, “The color and brilliance of recent Goryeo celadon has improved in beauty,” referencing the Goryeo celadon produced during the first quarter of the 12th century.

      • KCI등재

        「萬德寺高麗八國師閣上梁文」攷

        정민(Jung, M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8

        본고는 「만덕사고려팔국사각상량문(萬德寺高麗八國師閣上梁文)」을 소개하고, 고려 8국사와 만덕사의 인연, 만덕사에 팔국사각이 들어선 시기와 경과, 그리고 상량문의 실제 찬자가 다산 정약용임을 밝힌 글이다. 고려 8국사의 위패를 모신 고려팔국사각을 만덕사에 건립하면서, 8국사의 자취를 기리고 그 경위를 적은 내용이다. 다산 정약용의 주도로 『만덕사지』의 편찬이 완성되면서 잊혀졌던 만덕사 고려 8국사의 존재가 새롭게 알려졌고, 팔국사각은 이에 발맞춰 만덕사의 새로운 도약을 선언하는 상징적 건물로 자리매김 되었다. 상량문은 유서 깊은 법화도량으로서의 만덕사의 위상을 대내외에 선포하는 선언문적 성격을 띤 글이다. 『만덕사지』는 1813년 작업을 시작해서 1816년에 완성되었고, 상량문은 이듬해인 1817년 3월에 지어졌다. 팔국사각은 1817년 2월에 기공하여 5월에 준공되었다. 8국사의 존재는『만덕사지』를 통해 처음 알려졌고, 이 책의 저술은 전적으로 다산 정약용의 주도 아래 진행되었다. 상량문 또한 철경 응언이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다양한 근거에 바탕하여 다산 정약용이 대신 지은 것임을 밝혔다. This paper refers to 「Manduksa Koryeo Palguksagak Sangryangmun」, the relation between the Koryeo 8 National Monks and Manduksa, the period and progress of the building of Palgugsagak in Manduksa, and verifies that the real author was Dasan Jeong Yak-yong. It contains content in praise of the 8 National Monks cultural assets and the whole story while establishing Koryeo palgugsagak in Manduksa. Through the completion of the compilation of “Manduksaji” led by Dasan Jeong Yakyong, the existence of the Manduksa Koryeo 8 National Monks which had been forgotten was newly announced, and palgugsagag became a symbolic building declaring the new leap of Manduksa. Sangryangmun was a declaration that brought out the prestige of Manduksa as a historical seminary for the Buddhist priesthoo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Manduksaji” was written between 1813 and 1816, and in the following year, March 1817, Sangryangmun was written. Palgugsagak began to be built in February 1817 and was completed in May. The existence of the 8 National Monks was first made known by “Manduksaji”, and the writing of this book was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Dasan Jung Yak-yong. Sangryangmun is also said to be written by Cheolgyeong eungeon, and this study shows that it was written in the place of Dasan Jeong Yak-yong based on various grounds.

      • KCI등재

        明初與高麗、朝鮮有關遼東流人的交涉問題 ― 讀朝鮮文獻《吏文》箚記 ―

        楊曉春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원나라 때 일부 고려 이민들이 중국 요양(遼陽), 심양(瀋陽) 지역에 이주하였고, 원나라 말기에는 그들 중 일부가 고려로 송환되었다. 명나라 초기에 중국의 동북지역에는 여러 정치 세력이 병존하였고 사회가 불안정하여 백성의 빈번한 이주를 초래하였다. 그 후에 일어난 정난의 변(靖難之役) 또한 인구 이동에 영향을 미쳐 명나라와 고려, 조선은 이민 송환문제로 수차례 교섭하게 되었다. 이민 문제는 민족, 국경, 정치, 동북 지역사회 등 많은 내용과 연관되며 중한관계사에서 반드시 주목해야 할 문제이다. 『고려사(高麗史)』, 『명실록(明實錄)』, 『이조실록(李朝實錄)』에 이민 교섭 기록이 많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왕조에서 편찬한 공문서 집성인 『이문(吏文)』에서도 이민 교섭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우리들이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1970년 일본국서간행회(日本國書刊行會) 에서 출판한 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保和) 정리본 『이문』은 현재 이용하기 편리한 판본이다. 『이문』 중 명나라와 고려, 조선의 이민 교섭에 관한 공문서는 총 8건이고 모두 권2에 수록되었으며 각각 홍무(洪武) 9년(고려 신우·辛禑 2년,1376년)11월26일의 『取發李綁帖裡等人戶高家奴咨呈』, 홍무 18년(고려 신우 11년,1385년)11월 초아 흐렛날의 『再催李朵裡不歹等人戶遼東照會』, 홍무 21년(고려 신우14년,1388년)2월25일의 『鐵嶺等處榜文張掛咨』, 영락(永樂) 4년(조선 태종·太宗 6년,1406년)정월 초열흘날의 『公用紙箚等三件禮部咨』, 영락 4년(조선 태종 6년,1406년)5월 일의 『逃軍邊都裡哥等起取等項禮部咨』, 영락 4년(조선 태종 6년,1406년)10월 초아 흐렛날의 『逃軍邊都裡哥等催督禮部咨』, 영락 4년 (조선 태종 6년,1406년)11월 11일의 『催督邊都裡哥等及搬取佟鎖魯阿等禮部咨』, 영락 5년(조선 태종 7년,1407년)11월 초사흗날의 『起取人民及欽賜書籍等件禮部咨』이다. 이들은 모두 홍무, 영락 년간에 고려, 조선으로 보낸 공문서이다. 문서에는 명나라 초기 고려, 조선이 보낸 공문서의 내용도 언급되었다. 이민 교섭과 관련된 사건은 주로 다음의 몇 가지이다. (1) 홍무 9년에 초유(招諭)한 요동(遼東) 사람들이 고려로 도망가서 진행한 교섭(첫 번째 공문서). (2) 홍무 18년에 고려로 송환되어야 할 사람 중 일부가 아직 남아있어 진행한 교섭(두 번째 공문서). (3) 영락 4년에 건문(建文)제 시기 고려로 도망간 명나라 사람을 전부 송환하지 않아서 진행한 여러 차례 교섭(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 공문서). (4) 영락 5년에 홍무 23년 조선에 이주한 3만 백호(百戶)의 송환 문제와 홍무 5년 이래 조선에 이주한 후 돌려 보내지 못한 대량의 이주민 문제로 진행한 교섭(여덟 번째 공문서). 이상으로 공문서 8건의 기록과 기타 문헌의 내용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이민 교섭 과정에서 나타난 일부 분쟁은 대부분 이민 귀속에 대한 양국의 인식 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홍무 20년(1387년)에 “철령(鐵嶺)에서 비스듬히 북쪽과 동쪽과 서쪽은 본디 개원(開原) 소속이니, 소관(所管)의 군민(軍民), 한인(漢人), 여진(女眞)인, 달달(達達)인, 고려(高麗)인을 그대로 요양(遼陽)에 소속시켜야 한다. 개원(開原), 심양(瀋陽), 신주(信州) 등의 지역에 구거(舊居)와 산업(産業)이 있는 자는 복업(復業)하도록 한다” 는 명태조의 성지(聖旨)를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몽원(蒙元)시기 고려 이민이 동북 지역에 대량으로 유입되었고, 명나라 초기 30년 동안 동북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등은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양국 사이에 이민 교섭 문제로 심각한 충돌이 발생하지는 않았다. 蒙元時期,有數千戶高麗移民進入中國遼陽、瀋陽地區;元末,其中部分高麗移民遷回了高麗。明初,遼東地方存在多種政治勢力,社會動盪,更加劇了中國和高麗、朝鮮之間人口的頻繁遷移。而此後的靖難之役,則再次加劇了人口遷移。爲此,明朝與高麗、朝鮮之間屢屢進行了人口遣返的交涉。人口交涉問題,涉及民族、邊界、政治、社會等多個方面的內容,是中韓關係史上值得注意的一個問題。除了《朝鮮王朝實錄》(《李朝實錄》)有非常詳實的記載、《高麗史》和《明實錄》略有記載外,朝鮮王朝所編纂的公文彙編《吏文》一書,保存了有關人口交涉的一些公文,提供了人口交涉中的一些細節信息,尤其值得注意。 《吏文》中有關明朝和高麗、朝鮮有關人口交涉的公文共8件,均載於卷二,分別是洪武九年(高麗辛禑二年,1376年)十一月二十六日《取發李綁帖里等人戶高家奴咨呈》、洪武十八年(高麗辛禑十一年,1385年)十一月初九日《再催李朵里不歹等人戶遼東照會》、洪武二十一年(高麗辛禑十四年,1388年)二月二十五日《鐵嶺等處榜文張掛咨》、永樂四年(朝鮮太宗六年,1406年)正月初十日《公用紙箚等三件禮部咨》、永樂四年(朝鮮太宗六年,1406年)五月 日《逃軍邊都里哥等起取等項禮部咨》、永樂四年(朝鮮太宗六年,1406年)十月初九日《逃軍邊都里哥等催督禮部咨》、永樂四年(朝鮮太宗六年,1406年)十一月十一日《催督邊都里哥等及搬取佟鎖魯阿等禮部咨》、永樂五年(朝鮮太宗七年,1407年)十一月初三日《起取人民及欽賜書籍等件禮部咨》。均爲洪武、永樂年間明朝發往高麗國、朝鮮國的公文,但其中也引及高麗國、朝鮮國發往明初的公文的部分內容。從具體內容看,與原居遼東地方軍民遷入高麗、朝鮮相關的人口交涉,主要涉及以下三件:(1)洪武九年關於已經招諭的遼東人民有逃亡高麗的交涉(第一件公文);(2)洪武十八年關於高麗遣返的人口中還有遺留的交涉(第二件公文);(3)永樂四年、五年關於建文時期(更改年間、革除年間)逃往朝鮮的大批人口尙未全部遣返的多次交涉(第四、五、六、七、八件公文); 結合《朝鮮王朝實錄》等文獻進行分析,可知上述人口交涉記載最爲集中的部分――建文年間逃入朝鮮的遼東軍民,絶大部份都在明朝的交涉之下從朝鮮返回了遼東。我們還可以看出,人口交涉中的一些爭端的發生,很大程度上是因爲雙方對人口的歸屬的認識有所不同――雖然洪武二十年(1387年)明太祖發了道內容是“鐵嶺迤北迤東迤西,舊屬開原所管軍民漢人、女直、達達、高麗,仍屬遼陽,若係開原、瀋陽、信州等處原有舊居産業,聽從復業”的聖旨。蒙元時期大量的高麗移民進入遼東、明初三十年間東北亞政治局勢的不明朗等等,則又加深了事態的復雜程度。當然,人口交涉問題幷未使雙方發生嚴重的衝突。

      • KCI등재

        煌丕昌天銘 航海圖紋 高麗銅鏡에 새겨진 배의 국적

        김성준(KIM, Sung-June)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5 No.-

        한국 선박사에서 고려 선(船)은 사료의 부족으로 역사 속에 가려진 존재였다. 특히 1984년 완도선의 발굴 이후 현재까지 고려선이 계속 발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 시대의 원양선박에 대한 자료는 2005년 중국에서 발굴된 펑라이(蓬萊) 고려고선(高麗古船) 외에는 전혀 없다. 이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청동거울에 새겨진 배에 관심을 갖도록 했다. 한국선박사 연구자들은 고려동경에 새겨진 배를 고려선으로 간주하고 이 배의 선형에 대해 다양하게 해석해 왔다. 이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 발굴된 航海圖紋 銅鏡 30점(한국 23점, 중국 7점)에 새겨진 배의 외형(船形, ship’s hull shape)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동경 중 대표적인 선형의 배 2점씩을 선정하여 Photosho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배의 외곽선을 딴 뒤, 이를 겹쳐보았다. 그 결과 중국과 한국에서 발굴된 황비창천명 항해도문에 새겨진 배는 모두 동형선으로 확인되었다.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중국에서 고려로 유입되어 널리 유행한 것을 감안하면, 동경에 새겨진 배를 고려선박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삼족오문 항해도문경(德壽 4927; 덕3194)은 평면형 저판 및 선수미, 중첩된 삼판, 갑판과 외판 접합부에 보이는 멍에(橫梁) 등 여러 면에서 원양항해용 평저선형 고려선박으로 볼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기원지인 중국에 비해 고려에서 널리 모방, 변형, 재창조되어 활발하게 주조, 국내 유통 및 중국(금)으로 까지 수출되었다는 점이다. 유리판(于力凡)의 견해를 받아들인다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은 북송의 徽宗(재위 1100-1125) 황제의 聖德을 讚揚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그러나 이배근의 견해를 원용하면, 고려에서는 항해도문안을 태조 왕건의 조부인 作帝建의 설화로 해석하여 태조 왕건을 龍孫으로 지체를 높이기 위한 상징물로 활용했을 개연성도 있다. 이것이 황비창천명 항해도문 동경이, 중국에서 고려로 유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려에서 이를 모방 및 변형하고 독창적으로 재창조하여 널리 유통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이 되었을 수 있다. 이는 차후의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과제다. The details about the Koryo ship have been somewhat obscured in the past mainly due to lack of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materials in the history of the traditional Korean ship. Especially, since the excavation of the Wando-ship in 1984, the information about the ocean-going vessel during th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have not been found outside of the Penglai Koryo ship which was excavated in Penglai, China, in 2005. This situation sparked an interest for researchers in the sailing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containing an inscription of 4 Chinese characters(煌丕昌天), ‘Brilliant, Massive and Glorious Heaven.’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ships has identified the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as a Koryo’s ocean-going ship. From these inscriptions, researchers have been to shed some light about the Koryo ship’s structure.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shape of the ship engraved on 29 bronze mirrors excavated in both Korea and China. The author selected two representative ships on the bronze mirror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after outlining each ship’s shape through use of Photoshop program, the outlines of the ships were superimposed upon one another. As a result of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 ship inscribed on the bronze mirrors excavated in both Korea and China had the same shape. Considering that the bronze mirrors were inscribed on a sailing ship that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Song(北宋), China and were widely imported into Koryo through its trade with the Northern Song and the Jin(金), the inscribed vessel cannot be regarded as a Koryo vessel. However, the sailing ship, carved on the bronze mirror(Collection No. Deoksoo 4927) posses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an be classified as a flat-bottomed ocean-going ship of Koryo in various aspects such as a flat bottom, flat bow and stern, sailing pole, overlapped side plates, and some indications of a Meongae(upper transverse beam). Compared to its Chinese origin, the bronze mirror inscribed on the sailing ship had been extensively molded, imitated and transformed in Koryo. According to YU Lifan(于力凡), the sailing ship was originally carved onto the bronze mirror for the purpose of praising and promoting the Emperor Huizong(徽宗, reign 1100-1125)’s virtue in the Era of the Northern Song. However, in Koryo, it was probable that the tale of Jakjegeon(作帝建), a grandfather of Wang Geon(王建), might be added to illustrate that Wang Geon, a founder of Koryo dynasty, was an offspring of the YONG(龍, Asian Dragon). This may have bee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within which, despite the bronze mirrors inscribed on the sailing ship were introduced through the Northern Song and the Jin, those were copied, reproduced and circulated far and wide from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through the 14th century in Koryo. This is, however, area in which more clarity is needed, hence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고려 내투 발해인들의 처치 지역 검토 -고려시기 유적 출토 발해계 막새기와를 중심으로-

        박순우(Park Soonwoo) 백산학회 2019 白山學報 Vol.0 No.114

        이글은 고려를 찾은 내투 발해인들이 고려 사회에 어떻게 정착해 나갔는지 해명되지 못한 주제를 문헌 기록과 고고학 발굴 자료를 활용하여 규명하려는 글이다. 고려 전기에 내투 발해인들이 처치(處置, 處地)됐다고 추정되는 지역을 문헌 기록과 고려-거란 전쟁간 확인되는 ‘발해항호’를 근거로 추정해보았다. 내투 발해인들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정착지가 필요했고, 고려 정부의 입장에서는 이들의 정착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 정세가 불안정했던 북방에 대비할 필요가 있었다. 반면 고려가 거란의 침략을 격퇴하고 안정을 구가하기 시작한 현종대 후반부터는 발해인뿐 아니라 이종족 내투자들 모두 한반도 중부 이남에 배치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요나라 시기 유적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와 고려시기 유적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를 발해 상경성 출토 연화문 수막새와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안양사지 와 원지동 원지(院址) 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가 요나라 시기의 유적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와 흡사하고, 발해시기 상경성에서 출토된 연화문 수막새의 문화적 요소(모티프)를 계승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당시 안양사가 고려 왕실과 매우 밀접했다는 사실, 원지동 원지 역시 원(院)의 시대적 성격상 고려 조정의 끊임없는 관리가 필요했다는 점에서 내투 발해인들과의 연관성을 높게 추정하였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Balhae refugees -who came to Goryeo- managed to settle down o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only scarce records surviving the passage of time, the issue is yet to be fully explored. I tried to utilize existing records and recently announced archaeological findings. In the early half of the Goryeo period, there are only one or two references to the whereabouts of the Balhae refugees after they entered the Goryeo realm. Yet references to the so-called ‘surrendered Balhae households,’ which can be found in records documenting the aftermath of the Goryeo-Khitan war, suggests certain possible locations that would have become their eventual settlements and satisfied the needs of both sides, which needed a place to live (Balhae refugees) and had a border to defend (the Goryeo government). Then later on, when Goryeo was able to successfully fend off Khitan’s further invasions and restore stability to the people’s lives, since the later periods of king Hyeonjong’s reign to be exact, all the foreign tribal refugees -including the Balhae ones- seemed like they were relocated to more southern loc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Meanwhile, I also tried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certain lotus-patterned Sumaksae tiles found in various regions. When compared with the lotus-patterned Sumaksae relics excavated from vestiges that belong to the Khitan Liao period as well as Goryeo, relic from the Balhae dynasty’s Sang’gyeong-seong capital vestige reveals some striking similarities. For example, the lotus-patterned Sumaksae tiles found from vestiges of the Buddhist monastery An’yang-sa and the Weon(院) facility at Weonji-dong (both in Goryeo) resemble certain features of the ones found from the Liao-period vestiges, while they seem to have inherited certain cultural motifs from the Balhae ones as well. Considering the fact that An’yang-sa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ryeo royal family, we can see that the Balhae culture infiltrated the highest level of Goryeo culture as well.

      • KCI등재

        高麗 · 몽골(元) 관계 연구에서 『元高麗紀事』의 활용과 가치

        김보광(Kim Bo-kwang)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9

        『원고려기사』는 제목 그대로 元과 高麗 사이의 일을 시간순으로 漢字로 기록된 책이다. 元文類, 經世大典, 元史 등의 원대와 관련된 많은 자료들이 수집, 채록된 永樂大典의 일부이다. 즉 文廷式이 淸末에 남아있던 『영락대전』의 일부에서 몽골과 고려와의 관계에 대한 부분을 抄出하여 1900~1904년 사이에 『元高麗紀事』로 작성하였다. 이것이 국학에 관심이 많고 당시 元代史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기던 王國維에게까지 전해졌고, 왕국유가 이를 1917년에 간행하여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 책은 1216년부터 1301년까지 양국 사이의 관계를 戰爭, 使臣, 三別抄의 진압, 日本 정벌, 耽羅 등을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다. 전체 세 부분으로 序文, 本紀, 附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附錄은 탐라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다. 이미 오래 전부터 이 책을 주된 연구 자료로 활용해 오고 있었다. 하지만 의외로 이 책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으며, 관계 연구에 별다른 제약없이 활용할 수 있는 지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 하지만 淸代 考證學的 전통을 바탕으로 앞서 언급한 관련 자료들의 취합으로 이루어진 『원고려기사』는 근대적인 역사학의 방법을 공부한 文廷式, 王國維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그 편찬 과정과 근거 자료들에 대해서 신뢰할만하다고 생각된다. 더욱이 『원고려기사』는 자료의 결핍으로 고전하는 몽골제국 관련 연구에 귀중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현재 그 형태를 찾을 수 없게 된 『경세대전』의 편린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는 문헌학적인 가치도 더불어 지니고 있다. The Chronicle of the Yuan-Goryeo Relations(Yuankaolijishi, 元高麗紀事) is a valuable source book which provides fundamental primary sources on the relations between Goryeo and Yuan dynasties. This book was complied by Wen Tingshi(文廷式) around 1904, and published in 1917 by Wang Guowei(王國維) in China. These two Chinese scholar had a very intellectual background. Especially, Wang studied modern history, psychology, philosophy and other modern fields of study in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ronicle deals with the Yuan-Goryeo relations from 1216, when the two dynasties encountered first, to 1301. Most of contents are on wars, delegations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 punitive expedition to the rebellion of Sambyeolcho(三別抄) or to Japan. The book is composed of three parts; introduction, body, and appendix. The text is mainly excerpted from books from the Literary collection of the Yuan(Yuanwenlei, 元文類), the Yongle Encyclopedia(Yongledadian, 永樂大典), or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Yusnshi, 元史). I presented, in this article, how this Chronicle was compiled and edited. Then I argued that this Chronicle provides reliable sources on the early Goryeo-Yuan relations, the period when the lack of historical resources has troubled many historians. This book is also valuable in the philological aspects: it might help restoring the lost the Grand Canon for Governing the World(Jingshidadian, 經世大典) from which not a few parts of the Chronicle were excerpted.

      • KCI등재

        고려전기 義天撰 『圓宗文類』 所收 불교 문헌의 현황과 전승

        박용진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7 No.-

        This study looks into the handing down and utilization of the Wonjong -Munryu in the 11~12th century East Asia. In Song the Wonjong-Munryu was handed down after 1087 and the utilization of the Wonjong-Munryu can be found in Shihui’s(師會) Huayan yisheng jiaoyi fenqizhang fuguji(華嚴一乘敎義分 齊章復古記).The.exchange of the Wonjong-Munryu is stated in the Daegakgusa-munjip(大覺國師文集). The exchange mostly occurred through Song trader(宋商). The Wonjong-Munryu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Buddhism in Song and was utilized by Jingyuan(淨源) and his successors, Shihui, Shanxi(善熹) and others. The Wonjong-Munryu was first recorded in Japan in Toiki dento mokuroku (東域傳燈目錄) in 1094. Indeed, its name was cited in many books published in Japan up until the 18thcentury, though mostly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Importan tmaterials citing the name of the book were associated with Avatamsaksa Sutra and Acvaghosha's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The tendency to cite the said book is viewed as an attempt to make up for materials that were not passed onto Japan based on wiliness for accep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exchange, exchanges between East Asia countries - Goryeo , Song, Japan, and Liao遼 - were largely focused on economy and culture. The countries engaged in mutual exchanges of information concerning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Commentaries. For instance, the monk Uicheon once asked Japan for its information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while Japan secured Buddhist literary works based on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Buddhist Commentaries published by the Gyojangdogam . It is significant that such exchanges of information on the Buddhist Commentaries served to complement the political and economic exchanges carried out between East Asia countries.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편찬한 『圓宗文類』는 현재 일본의 龍谷大圖書館에 『원종문류』 권1의 간본, 권14와 권22의 필사본, 京都大에 권14와 권22의 필사본이 전존하며, 金澤文庫에는 권20의 사본 일부가 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안동 보광사 佛腹藏의 『圓宗文類』 제22권 丁遜의 「法界觀門鈔序」 1張이 전한다. 이외에 일본의 『일본불교전서』에는 『원종문류』의 인용이 산견된다. 『원종문류』에 수록된 장소는 현전 간․사본에 수록된 것과 현전하지 않지만 인용을 통하여 장소명을 알 수 있는 것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원종문류』 권1은 내제 「諸部發題類」로 장소의 서문류는 모두 22건이며, 「華嚴經」, 「圓覺經」, 「般若經」, 「楞嚴經」 등의 장소이다. 『원종문류』 권14 「諸文行位類」에서는 지엄과 법장이 찬술한 『탐현기』, 『오교장』, 『수현기』, 『공목장』, 『지상문답』이 확인된다.『원종문류』 권22의 「讚頌雜文類」에서는 讚文․法界觀頌․華嚴結社 등으로 화엄경 관련 찬문 등 26건이 수록되어 있고, 이 가운데 11건이 장소와 관련이 있다. 『원종문류』를 인용한 여러 불서에서 확인되는 장소는 주로 일본의 자료에서 찾아지는데, 『東域傳燈目錄』에 처음 확인된 이래 18세기까지 인용 기록이 찾아진다. 대부분 『화엄경』과 『기신론』 관련 주석서이며 기타는 단순한 서명의 인용에 그친다. 『원종문류』 소재 章疏의 동아시아 유통과 意義는 고려와 송 그리고 일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고려는 『원종문류』에 수록된 章疏가 『新編諸宗敎藏總錄』에 44부가 확인된다. 의천에 의해 송나라에 전해진 장소로는 지엄의 『수현기』, 법장의 『탐현기』 징관의 『貞元新譯華嚴経疏』, 종밀의 『華嚴綸貫』 등 다수이며, 주요 화엄 교학서로 송대 화엄 교학의 재흥에 기여한 바 크다. 遼나라의 佛敎 찬술로 「大方廣佛華嚴經隨品讚」, 志福의 「釋摩訶衍論通玄鈔」, 道弼의 「諸宗止觀」 등 3종이다. 이외에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義釋演密鈔」, 「大方廣佛華嚴經談玄決擇」, 「顯密圓通成佛心要」, 「釋摩訶衍論贊玄疏」, 「釋摩訶衍論通玄鈔」, 「釋摩訶衍論通贊疏」를 수용하였다. 『원종문류』에 수록된 장소의 일본내 유통과 전승에 대해서는 고려 교장도감의 원간본인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貞元新譯華嚴經疏』, 그리고 고려 흥왕사 간행 교장의 일본 전승의 주요 사례인 「釋摩訶衍論通玄鈔」 등 장소의 유통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고려와 송․요․일본은 각국의 章疏 정보가 상호 교류되었다. 특히 각국은 전존 장소 이외에 新出 장소나 逸傳 장소에 대해서는 자국의 교학의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교류사적으로는 대장경 이외에 불교 경전의 주석서인 장소의 교류로서, 동아시아 제국의 정치경제적 교류를 보충하는 문화적 교류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 연리문에 나타난 색소지에 관한 연구 : 연리문에 사용된 색자토의 수축률저감과 안정화를 중심으로

        조일묵 한국도자학회 2013 한국도자학연구 Vol.10 No.1

        Thepurposeofthisstudyisthestudyofhow theGoryeoDynastyceladonMarblingWares pigment.TheGoryeoDynastyMarblingWaresmeansthedoughenoughtoseethepatternof white clay and brown clay,celadon and dark-brown clayand ceramics,carved molding,the innerpartandtheouterpart. The pattern appears clearly thatrepresentthe beauty ofthe Goryeo Dynasty the Marbling Wares pigmentwhich contain a certain amountofiron oxide.The Marbling Waresshrinkage and drying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the iron oxide contentand a lotof deformationanddamagetothevesselsoflarge sizeorelaborateandverydifficulttohandle. Manydifficultiesand these difficultiesto the pottersworkperformed Marbling Waresmakesit difficulttoswitchtotheadvancedoperation.Therefore,thisstudywasrelatedtothestabilization ofthestudyofthesevariationsandtopreventdamageto. Notbeing sold in the countryisrelativelyinexpensive and easyto purchase and use iron oxidepigment,pigmentstabilizationexperimentswerecarriedout.Asaresult,itwasfoundthat shrinkage,dependingonthecontentofironoxide.Actsasthecauseofshrinkagedeformation anddamage.Therefore,inordertopreventdeformationandbreakageoftheironoxidepigment mixture ofclayand 50% and calcined at1260°C,whetheritagain each clayto step 6from 50% up to 10% by adding firing.As a result,the difference between the shrinkage ∓ was reducedto2%.Pigmentstabilization. XRF equipmentraw materials and find outwhere suspected dark-brown clay was found MarblingWaresoftheGoryoDynastyofthe12thcenturyGoryeoDynastyMarblingWaresthe production the GangJin-gun DaeGu-myeon SaDang-riindicators survey components were analyzed.Same way as the above experiments and experimentalresults ofdark-brown clay colorandshrinkage,thesameresultswereobtained. TheresearchcouldsolvetheproblemsoftheGoryeoDynastyofMarblingWaresproduction methods shrinkage problems and how to stabilize the pigment. So the Marbling Wares productionsand the use oftraditionalmaterials and contributed much to look forward to the succession. 본 연구는 고려시대 청자에 나타난 연리문 색소지에 관한 연구이다.고려시대 연리문은 백 색의 백토와 갈색의 청자토 그리고 검정색의 자토 3종류의 흙으로 문양이 나타날 정도로 반 죽하고 성형한 후 안과 밖을 깎아낸 도자기를 총칭한다. 고려시대 연리문 색 소지는 일정량의 철이 함유되어있어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나 아름다움 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이러한 연리문은 철분 함량의 차이에 따라 수축,건조 편차가 심 해 정교하거나 큰 크기의 기물에는 변형과 파손이 많아 다루기가 무척 어렵다.이러한 취약함 이 연리문 작품을 시행하는 작가들에게 많은 애로사항으로 나타나고 있어 더 이상 진보된 작 업으로의 전환이 어렵게 된다.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변형과 파손을 방지하는 안정화 에 관련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색소지의 안정화를 위해 비교적 저렴하고 구매가 쉬운 국내에서 판매 되고 있는 산화철을 이용해서 색소지 실험을 시행하였다.그 결과 철의 함유량에 따라 소성수축이 심하게 나타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건조수축이나 소성수축의 차이는 변형과 파손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변형과 파손의 방지를 위해 산화철을 백토와 50% 섞은 색 소지를 1260℃로 하소하고 그것을 다시 각각 백토에 50% ~ 10%까지 6단계로 첨가하여 소성 실험한 결과 소성수축에 차이를 ±2%로 감 소시켜 색소지의 안정화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12세기경 고려시대 연리문이 제작된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일대의 지표조 사를 한 결과 고려시대 연리문의 검은색 계열 자토의 출토지로 추정되는 광산을 발견하고 그 원료를 XRF장비로 성분 분석하였다.동일한 방법으로 자토를 실험한 결과 색상과 수축에서 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려시대 연리문 제작방법의 최대 문제점인 소성수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색소지를 안정화 시킬 수 있었다.또한 이를 통해 연리문 작품제작 및 전통재료의 활용과 계 승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시대 외교문서의 양상과 수사학

        송병우(Song, Byung-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에서 받은 것은 289건이다. 고려왕조에서 대부분 중국의 여러 왕조로 외교문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일본국에 보낸 문서가 3건 나타난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도 대부분은 중국 왕조들의 것이지만, 일본과 태국에서 보낸 것도 있었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문서는 ‘표(表)’, ‘서(書)’, ‘주(奏)’, ‘첩(牒)’, ‘자(咨)’, ‘기타’, ‘전(箋)’, ‘신(申)’, ‘장(狀)’의 형식을 띤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는 ‘조(詔)’, ‘첩(牒)’, ‘칙(勅)’, ‘책(冊)’, ‘서(書)’, ‘자(咨)’, ‘문(文)’, ‘록(錄)’, ‘명(命)’, ‘관고(官告)’, ‘제(制)’, ‘책(策)’, ‘관자(關子)’, ‘고신(告身)’, ‘주(奏)’, ‘표(表)’의 형식을 띤다. 외교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수사학적 틀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교문서의 유형이다. 그것은 ‘칭찬’, ‘권유’, ‘변호’로 대별할 수 있는데, 외교문서에서 사용되는 논거를 보여준다. 둘째 외교문서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문채적 특징이 있다. 이는 문서에 나타난 표현의 방법과 관련되는데 외교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성적 의사소통과 감성적 의사소통이다. 이성적 의사소통에서는 논거와 논증 형식이 중요하고, 감성적 의사소통에서는 ‘호감’의 획득이 중요하다. 물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 두 방식의 조화로움이다. 넷째, 외교문서의 구조, 즉 문장 구성방식이다. 문서의 구성 형식은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득의 효율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This paper is to survey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Koryo History and to suggest a frame for a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documents. The number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had sent to neighboring countries are 204 items and Koryo had been recieved 289 items from them. The Koryo dynasty sent mostly documents to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to send to Japan. Also the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are mainly those of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of other countries: two of Japan and one of Thailand. There are the genres of ‘表’, ‘書’, ‘奏’, ‘牒’, ‘咨’, ‘箋’, ‘申’, ‘狀’ and ‘the rest’ in the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send to. There are the genres of ‘詔’, ‘牒’, ‘勅’, ‘冊’, ‘書’, ‘咨’, ‘文’, ‘錄’, ‘命’, ‘官告’, ‘制’, ‘策’, ‘關子’, ‘告身’, ‘奏’, and ‘表’ in w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from. The rhetorical frameworks to be able to analyze documents are as follows. Frist, it is a types of the documents. This types are categorized as three kinds: praise, invitation, and defense. This three types show an argument in documents. Second, it is expressive means contributing to persuasion shown in documents. Third, it is a method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n the former, argument and argumentation are very important and in the latter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 favorable impression. Undoubtedly, a harmony of the two factors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s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good documents. Finally, it is a structure of document contributing to persuasion. A structure of the documents is related not only to beauty of a literature but also to effective persuasion.

      • KCI등재

        고려전기 <禮賓省牒>의 書式 복원과 외교상 의미

        김보광(KIM, Bo-kwa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현재 고려가 일본에 1079년에 문종의 질병 치료를 위해 의사를 요청한 <1079예빈성첩>과 고려가 남송으로 몽골에게서 탈출한 남송인 3인을 송환한 <1259예빈성첩> 등 두 건의 예빈성첩 사례가 轉寫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를 토대로 牒이 고려만의 문서 형식이 아니라 당대 이래 동아시아 諸國에서 널리 사용되는 문서이며, 고려는 주변의 나라들과 牒을 통해 외교적인 소통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牒이 외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국서로, 일종의 외교문서였다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당송대, 특히 사마광의 『서의』와 『경원조법사류』에 기록된 송대 牒式을 정리하였다. 양자의 비교를 통해 기본적으로 서식 구조가 같지만 약간의 차이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079예빈성첩>, <1259예빈성첩>과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의 두 첩문 사례 또한 송대 서식과 유사하며, ‘當省’과 같은 표현이 있어 고려의 실정에 맞도록 변형하여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초부터 당대 문서나 『서의』의 등장 사례로, 고려가 성종대에 서식을 마련하였을 것이라는 점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빈성첩>은 첩을 소지한 일행의 방문 목적이 공식적임을 보증하면서 고려의 요청 등을 전달하는 외교적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1079예빈성첩>과 <1259예빈성첩>이 각기 일본과 남송으로 고려가 보낸 첩인데, ‘牒’과 ‘牒上’, 서명한 관직자의 차이 등을 통해 고려가 송과 일본에 대해 등차를 두어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牒에 담겼다고 보았다. 이는 고려가 인식하는 외교 관계에서의 等差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orm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Goryeo through the ‘Yebin-Seong-Cheop(禮賓省牒)’ that appears between Goryeo and Song. For this purpose, the format was restored by comparing the cheop issued by Goryeo to Japan in 1079 and to Southern Song(南宋) in 1259 in the name of Yebinseong .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Goryeo adopted the Tang(唐) China’s cheopsik(牒式, document form) and had a connection with the Song dynasty regulations. As Goryeo had no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 or Japan, Yebinseong effectively served as a diplomatic agency at the forefront with these countries. That is why Yebin-Seong-Cheop appeared in the diplomatic process. Furthermo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documents, it could be inferred that Goryeo also had a more favorable perception of Song than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