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박모란,유성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경험회피는 다차원적인 심리적 개념으로 외상 경험자들의 심리적 기능과 역기능 모두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가장 고통스러운 외상경험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웹 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 한 번 이상의 외상 사건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만 18세에서 30세 이하의 대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MEAQ),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D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본 연구를 위해 번안한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의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회피행동, 고통혐오,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 고통감내의 7요인이 추출되었고 요인별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하위요인 중 고통혐오와 고통감내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성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경험회피 하위요인 중 회피행동, 지연행동, 주의분산/억제, 억압, 부인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경과시간을 통제한 후에는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경험 후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하더라도 고통을 회피하지 않고 다루는 능력이 외상 후 성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Experiential avoidance i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associated with either dysfunctional or functional adaptations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wofol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Posttraumatic Growth (PTG) in college students with lifetime history of traumatic even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would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PTG even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time elapsed since the most distressing traumatic event. Secondly, the study aimed to validate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in trauma-exposed college students in Korea. A total of 619 undergraduates who have exposed to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time includ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web-based survey assessing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MEAQ),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Diagnosis Scale, Korean version (PDS-K).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even factors of the MEAQ including behavior avoidance, distress aversion,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denial, and distress enduranc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distress aversion and distress endurance factor of the MEAQ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controlling for PTSD symptoms and elapsed time since the trauma. Other factors such as behavior avoidance, procrastination, distraction/suppression, repression, and denial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TG after adjustment. Findings indicated that people who reported psychological growth following traumatic experience were less likely to engage in distress aversion and more likely to have ability to tolerate distress.

      • KCI등재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고아라 ( Go Ara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221명 대학생에게 성인애착,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경험회피, 소셜미디어 중독 경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애착불안이 경험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경험회피는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불안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 대학생의 경우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자대학생의 애착불안과 소셜미디어 중독경 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하였고, 애착회피와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경험회피가 완전 매개하였다. 즉, 여자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애착회피 경향이 있을수록 경험회피에 주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남자 대학생의 경우는 성인애착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경험회피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애착 유형과 성차에 따라 차별적인 처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college students is prevalent, and its relationship to attachment and experiential avoidance is unknown. A growing body of research examines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where users ca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meaningful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For the study, 221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a paper surve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adult attachment,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media addiction.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at, if any,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three mentioned abov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dia addi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achment style(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ttachment anxiety, the subse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attachment anxiety had a direct influence on social media addiction and simultaneously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in the case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and social media addiction was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Specifically, the attachment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 attachment avoidance was totally mediated by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media addiction. It means that the social media addiction of female students are influenced by both insecure attachment style and the experiential avoidance may be need to be emphasized to a greater extent than male student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s was not verifi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media addiction, the differential interven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and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다차원적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윤정민,홍정순 열린부모교육학회 2019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 및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다차원적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지역의 36개월 미만 자녀를 둔 어머니 603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스트레스척도, 다차원적경험회피척도, 스마트폰 중독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38.3%가 스마트폰 중독군으로 분류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3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주요용도는 메신저 사용, 카페, 블로그활동 순이었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연령, 학력, 자녀 수, 육아 형태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직업 유무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와 다차원적경험회피,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는 각각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다차원적경험회피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다차원적경험회피 하위 요인의 병렬매개분석 결과 고통감내, 지연행동, 회피행동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인간 외상경험이 있는 대학생의수치심, 경험회피와 PTSD 증상 간의 관계

        이정아,박경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2

        A empirical study in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PTSD symptoms of people with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is not enough in the nation and especially, many-sided analysis on impa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not enough.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blem on how we can Moderate effects which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s well as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lated to trauma of them have on PTSD symptom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hame, experience avoidance and PTSD symptoms. Second,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impacts on PTSD symptoms at the same t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had Moderating effects in relationships between shame and PTSD symptoms. According to this, shame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impacts on PTSD and especially, the conclusion was drawn that experiential avoidance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empirical data on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possibilities that experiential avoidance can function as a factor affecting psychopathology such as PTSD were confirmed. 국내에서 대인간 외상경험자의 수치심과 경험회피, PTSD 증상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충분하지 않으며, 특히 경험회피의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대인간 외상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관련 수치심과 경험회피가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들의 관계를 조절할 것인지를 확인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치심, 경험회피, PTSD 증상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치심과 경험회피는 동시에 PTSD 증상에 영향을 미치며, 경험회피는 수치심과 PTSD 증상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수치심과 경험회피는 PTSD 증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경험회피는 치료적 개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심, 경험회피, PTSD 증상 간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고 특히 경험회피가 PTSD 등의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공지혜,하정희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college students. The data from 306 undergraduates in Seoul metropolitan and nationwide were us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testing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but rejection and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 did not show direct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Second, covert narcissism showed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warmth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ut also overprotection parenting attitud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dn't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all 3 parenting attitudes(emotional warmth, rejection, overprotec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spectively. Fi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vert narcissism and rejection sensitivity would play sequential double mediation roles in the relation between 2 parenting attitudes(emotional warmth, overprotec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spectively, but wouldn't play in sequential double mediation roles in the relation between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and experiential avoid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d a basis for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scene and discussed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수도권 및 지방소재 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4명 에게 수집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8명을 제외한 총 306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변인들 간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는 경험회피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거부 및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경험회피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애정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양육태도(애정, 거부, 과보호) 모두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거부민감성은 애정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보였으나, 거부적 양육태도와 경험회피의 관계에서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의 시사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검증-외상경험을 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인재,양난미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anxiety,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verify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relation to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264 students of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Daegu, Gyeongsangnam-do were participated and Rumination Scale and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trait meta mod scale(TM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correlation analysis, adult attachment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urthermore, experiential avoida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th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results from the measurement model showed good fitness. Third, as a result of X2 test comparing a research model and two competition models, a competition model which showed only double mediation path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selected. Fourth, adult attachment anxie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Fifth, through bootstrapping for indirect effect test, it was foun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had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s further understanding into student trauma and can be utilized to help focus on patient care during counseling sessions that are specific to trauma. 본 연구는 성인 애착 불안, 외상 후 성장, 경험회피 그리고 정서인식명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성인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대구 및 경남지방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외상경험이 있으며 주관적 고통의 정도가 일정 이상인 26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외상경험 질문지, 성인 애착 척도, 경험회피 척도,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그리고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 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인 애착 불안은 정서인식명확성, 외상 후 성장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경험회피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경험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 외상 후 성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측정 모형 검증 결과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과 2개의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χ² 차이검증을 이용하여 비교 검증 한 결과,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을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이 이중 매개하는 경로만 설정한 경쟁모형이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모형을 선정하였다. 넷째, 구조 모형에서 성인 애착 불안은 경험회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험회피는 정서인식명확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고 정서인식명확성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부트스트랩을 통해 간접효과를 본 결과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은 성인 애착 불안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이중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외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내담자가 외상을 보고하는 상담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 경험회피의 매개효과와 문제중심 대처의 조절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2

        Experiential avoidance means that individuals are not likely to be in contact with private events such as unwanted thoughts and feelings when they occur and take actions to alter the situations that occasio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experiential avoidance is a strong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n interaction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problem-focused coping has influence on depr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04 undergraduates in two universitie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ull mediation model of experiential avoidance was identified to be better than partial mediation model, and the pathway from life stress to experiential avoidance accounted for 58%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affected depression. It mean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to lea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s strong when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high, but the positive effect is little when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low. These results present that experiential avoidance is a much stronger variable to intervene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than problem-focused coping. 경험회피는 불편한 생각이나 감정 같은 사적 경험이 일어날 때 이에 접촉하지 않고, 이 경험이나 이것을 일으키는 상황을 바꾸려고 행동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회피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유력한 매개변인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경험회피가 문제중심 대처와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시와 충청북도에 소재한 2개 대학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20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험회피의 완전매개 모형이 지지되었고 생활 스트레스에서 경험회피에 이르는 경로는 우울 전체 변량의 약 58%를 설명하였다. 둘째, 문제중심 대처는 경험회피 수준과 상호작용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감소를 가져오는 문제중심 대처의 긍정적 효과는 경험회피 수준이 높을 때에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험회피 수준이 낮을 때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경험회피가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의 영향력을 능가하는 강력한 중재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

        전세훈(Jeon, Se Hoon),이지연(Lee, Jee Y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정서조절곤란 수준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경험회피는 우리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했을 때, 부정적인 정서를 제거하고 심리적 고통을 회피하려는 노력이지만 오히려 중독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회피와 같은 부적응적인 대처방식이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험회피가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미치는 매개효과가 정서조절 곤란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부정 정서 척도, 경험회피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인터넷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SPSS 18과 SPSS macro인 PROCESS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정서와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이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internet addiction. Self-report measures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and internet addiction test were completed by 293 university students in capital area.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SPSS macro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ternet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 experiential avoidanc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eat test for mediating effects, negative affect affected internet addict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as a result of the test moderated mediation effects, interaction of negative affect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affected experiential avoidance, an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ha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ich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rough experiential avoidance.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경험적 회피(Experiential Avoidance)와 회피적 반응의 관계: 행동적 회피, 감추기 및 거리두기를 중심으로

        김환,이훈진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2

        경험적 회피 개념의 이론적 정교화 및 타당화를 위해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는 대학생 905명에게 정서이해 및 표현에 의한 대처 척도를 실시해 사적 사건의 회피 유형 중 행동적 회피, 감추기 및 거리두기를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 유형들과 우울, 편집 성향, 자존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세가지 회피 유형 중 행동적 회피가 부적응 지표와 가장 상관이 높았다. 연구2에서는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구분된 세 가지 회피 유형 중 어느 것이 경험적 회피 개념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지를 알아보았다. 경험적 회피는 행동적 회피와 관련성이 높았지만 감추기 및 거리두기와는 관련성이 높지 않았다. 연구2에서의 감추기 및 거리두기는 한 시점에서 측정된 것이었기 때문에, 연구3에서는 대학생 42명이 3주간 작성한 정서일기를 통해 반복적인 감추기 및 거리두기 시도를 측정하고, 이것과 경험적 회피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반복적인 거리두기 시도는 경험적 회피와 관련이 있었으나, 반복적인 감추기 시도는 경험적 회피와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Three studies were performed to elaborate and validate the concept of experiential avoidance(EA). In the study 1, we classified three types of avoidant responses - concealing, distancing and behavioral avoidance, and measured depression, paranoid traits, and self-esteem in a sample of 905 university students. Among three types of avoidant responses, behavioral avoidance had highest correlation with maladjustment indexes. In study 2 using 169 university student sample, we tested which type of avoidance is most 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EA).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correlation with behavioral avoidance, but not with concealing or distancing. Study 3 was schedu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udy 2, which is about single time measuring of concealing and distancing score. Study 3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use of concealing and distancing. Through mood diary written by 42 university students, we measured the repetitiveness. The finding of study 3 wa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distancing, but not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repetitive conceal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서희,원성두 한국임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tic experiences in social situation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279 college students. Study show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Adolescence traumatic experiences in social situation and social anxiety. In other words, among people who experienced trauma in childhood․Adolescence on social situation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develops to avoid or escape from further trauma. This leads individuals to use experiential avoidance, an emotional coping strategy for social situations where they will be evaluated, which can eventually increase social anxiety.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과 성인기 사회불안의 관계를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79명(여자: 199명, 남자: 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회고적인 방식으로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은 외상경험 질문지로 측정하였다. 또한 현재 경험하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경험회피, 사회불안은 각각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수용행동질문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로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경험회피는 아동․청소년기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기에 사회적 상황에서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타인에게 평가 받는 것과 관련된 완벽주의를 발달시키게 되며, 이러한 완벽주의로 인해 부정적인 정서 경험을 회피하도록 하여 사회불안을 증가 및 유지시키게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