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과 판독성의 정의 유형 분석

        석재원(Seok Jaewon),구자은(Ku Jaeun)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21 글짜씨 Vol.- No.20

        가독성과 판독성은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빈번히 언급되는 용어이다. 그럼에도 그 정의가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아 혼용되거나 오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번역 과정에서 가독성과 판독성, legibility의 readability의 의미가 불규칙하게 연결되어 소통의 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혼란의 원인을 파악하고, 불분명하게 통용되고 있는 용어의 윤곽을 명확히 하여 정확한 소통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타이포그래피 분야에서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가 각각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수집하고 분석해 유형화했다. 연구 범위는 명망 있는 국내외 타이포그래피 연구자가 직접 저술하거나 번역한 단행본 스물세 권으로 선정했다. 국내 서적 열 권과 해외 서적 열세 권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를 정의한 사례만 포함했다.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의 용례는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A 유형에서 가독성은 텍스트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하고 판독성은 낱자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한다. 가독성=readability, 판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둘째, B 유형에서 가독성은 텍스트의 내용 독해 능률을 의미하고 판독성은 낱자 및 텍스트의 형태 인지 능률을 의미한다. 가독성=readability, 판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셋째, C유형에서 가독성은 낱자의 형태 인지 능률, 텍스트 형태 인지 능률, 텍스트의 독해 능률을 모두 포괄하여 의미한다. 가독성=legibility로 번역된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 연구자는 소통의 혼선을 피하고자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가독성·판독성·legibility·readability의 정의가 의도한 바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분명히 인지한다. 둘째, 이들 용어를 사용할 때는 의도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부연한다. 셋째, 번역할 때에는 가급적 원문에서 사용한 용어를 병기한다. The term Gadokseong (가독성, a quality of being readable) and Pandokseong (판독성, a quality of being legible or deciphered) are frequently used terms in the field of typography. Nevertheless, their definitions have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yet in Korea so they are often confusing or misused. The meanings of legibility and readability are inconsistently matched particularly in translation, which sometimes incurs confusion in communic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what causes the confusion and clarify the outline of these terms with unclear use so as to lay the foundation for accurate commun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ed, analyzed and categorized different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respectively in the field of typography. The scope of the research covers twenty-three volumes of books either written or translated by noted Korean and foreign typography researchers. This includes ten Korean and thirteen foreign books which provide concrete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Usage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 follows. First, Type A covers cases in which reada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text forms while legi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forms. Each of the words Gadokseong and Pandokseong is translated as readability and legibility. Second, Type B exhibits cases in which readability means comprehension efficiency of text contents while legibility means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and text forms. Each of the words Gadokseong and Pandokseong is translated as readability and legibility. Third, Type C refers to cases in which Gadokseong has extended meanings of with perception efficiency of letter forms, perception efficiency of text forms and text comprehension efficiency all together. The word Gadokseong is translated as legibility in this category. Thus, a typography researcher is required to make the following efforts in order to avoid confusion of communication. First, be clearly aware that definitions of Gadokseong, Pandokseong, legibility and readability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what is intended. Second, elaborate on what is intended when using these terms. Third, annotate a translated version with terms used in the original text as far as possible.

      • 어린이 사용자를 위한 효율적인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 신문사이트 중심으로 focused on Newspaper Site

        김선화,김지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2 기초조형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사용자가 구매자, 소비자, 창조자의 역할을 함께 겸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인터페이스 상에서는 매체간의 환경적 차이와 소홀했던 사용자인 그 대상의 차이에 대한 인터페이스 타이포그래피 환경에 관한 연구이다. 인터넷상에서 그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잠재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지면과 화면상에서 가독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 화면상에서 가독성이 높은 서체의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아직까지는 제한적인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요 목적이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인 정보기반사이트 중에서도 사용자간의 비교와 매체간의 비교가 가능한 어린이 신문사이트를 중심으로 그 서체 환경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MS사의 ‘Windows'와 한컴사의 ’한글 97‘에서 제공하는 트루타입 폰트 중 8종(기본서체 4종: 굴림체, 돋움체, 바탕체, 궁서체/응용서체4종: 엽서체, 오이체, 샘물체, 가지체)의 서체를 중심으로 서체별 글자크기, 행간, 글줄길이 환경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본서체 4종 중 ’돋움체‘, 응용서체 4종 중 ’샘물체‘가 가독성이 높은 서체로 선택되었다. 전체적으로 글자크기 12pt/행간 160%/글줄길이 15cm가 화면과 지면상에서 가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독성이 높은 서체(돋움체, 샘물체)일수록 서체 환경에 따라 더욱 분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면보다 화면에서 가독성이 높고 낮음의 차이가 뚜렷히 나타났다. 이렇듯 어린이들은 성인과 다르게 탈모네꼴 글자인 샘물체를 특히 화면상에서 높은 가독성을 보였다. 이는 송 현의 ’한글 자형학‘에서 탈네모꼴 글자체가 변별성을 극대화하여, 오독 유발 요인이 극소화된 서체라고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서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화면 환경에서 이와 같은 사실이 분명히 증명되었다. 또한 매체를 달리하였을 경우에 같은 서체에서 가독성이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으며, 응용서체의 경우 매체를 달리 하였을 때 지면상에서 가독성이 높았던 서체들이 화면상에서도 모두 샘물체에서 가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본서체와 응용서체 상관관계‘에서는 지면상에서 기본서체와 응용서체의 가독성이 높은 서체가 일치하는 경향이 있지만, 다른 특별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화면상에서는 모든 기본서체가 응용서체 중 샘물서체에서 모두 높은 가독성이 나타나는 것은 ’매체별 비교‘에서의 결과와 연관성이 있음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웹상에서 한글의 가독성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 왔지만 이제 어린이와 같은 변별 계층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본 연구의 특징적인 결과인 탈네모꼴의 서체에서 나타난 높은 가독성은 샘물체라는 서체에 국한된 결론으로 이해하기보다 특화된 사용자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가독성이 뛰어난 서체와 그 서체 환경을 제시하는 것에 더 큰 목적과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웹상에서의 효율적으로 정보전달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지원 및 개발 또한 필수적이며, 이와 같은 기술 지원 연구의 발전이 지속되고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간다면 현재의 웹 사이트는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orts on the smooth communication has been continued from Gutenberg period to media era, today.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studies on the difference between medium or users, even though the user is a buyer and creator in interface surroundings. For making up the inefficient communication this study dealt with readability on website for children, especially comparing the readability on paper and on screen and analyzing the typo surrounding on screen.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icient typography surroundings-front size, leading, and length of sentence-each font on the basis of children's newspaper-site which is available the comparison between on and off line media, and 8 kinds of fonts and (basic fonts such as Gulim, Dotum, Batang and Kungeo, and applied fonts such as Yups대, Ow-e, Sammul and Kaji) which are the true-type fonts of Hangul97 by Microsoft and Hancom. Sammul has the highest readability and 12point font size, 160% leading and 15cm length of sentence is the most efficient typography surroundings on the both of paper and screen. The font that has high readability represents the more dea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ypography surrounding, and more on screen than on paper. Children can read easily Sammul font, anti-square type contrary to adults, which represents the needs for study on the efficient communication way each special medium and user. For the effective and various communications on website, the study for the special user will be continued as well as technical development and support.

      • KCI등재

        스마트폰 색채에 따른 시니어의 가독 특성

        이윤진(Younjin Lee),성지현(JiHyun Sung),민혜성(HyeSeong Min),박영경(Yung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최근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니어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특히,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사용률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비해 시니어 세대는 시지각적 측면에서 색채의 인식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시니어를 위한 스마트폰 화면의 색채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을 알아보고 시니어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배경색과 글자색의 조합에 따른 가독성을 평가하여 시니어층의 시지각 특성이 반영된 스마트 콘텐츠용 색채 가이드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니어군 50명과 일반군 15명이 스마트폰에 제시되는 98개의 가독성 평가용 화면을 < 잘안보인다 ? 보인다 ? 잘보인다 >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가독성은 배경색과 글자색 간의 명도차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을 연령별로 비교한 결과,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작은 명도차에서도 가독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차가 커질수록 두 집단 모두 가독성은 증가하지만 시니어군은 일반군에 비해 명도차에 의한 가독성이 작은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경색과의 조합에 따른 글자색의 가독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일반군이 시니어군보다 높은 가독성을 나타냈으며, W색상 배경에서는 이와 같은 일반인 우위의 경향을 보인 반면, Bk색상 배경에서는 W색상일 때 보다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시니어군의 경우 밝은 배경의 어두운 글자 조합보다 어두운 배경의 밝은 글자 조합의 경우가 가독에 용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가 작은 경우, 시니어군의 가독성이 일반군에 비해 높다는 특이점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시니어군에게 R색상 글자는 배경과의 명도차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가독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recent increasement of senior population, the senior market is expanding in scale and in particular, senior targeted smartphone penetration and usage has upsurged. In comparison, for the senior generation in terms of perceptual, the range of colors reduces and therefore, study for color on senior targerted smartphone screen is required. In this study, the visual attributes and the senior targeting smartphone scr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color combination effecting the readability is evaluated to be reflected for color guide basis material.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are as follows; Nintyeight smartphone screens were shown to the senior group of 50 people and general group of 15 people for readability assessment using a rating scale of <not seen well ? seen ? well seen>. In result, readability was found to have relationship with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Comparison of the color comb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age readability,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scores for lower brightness difference than the senior group. Also, with higher brightness difference, although both groups showed increase of the readability, the senior group showed smaller increase than the general group. Secondly, comparing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ext color, the general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senior group in general, for W background the general group showed tends to lead while senior showed higher readability for Bk than W background. Therefore, for the senior group, a combination of a dark background with bright letters had better readability than a bright background with darker letter combination. In addition, R color letters that has small bright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the senior group showed higher readability than the general group.

      • KCI등재

        한글꼴의 속공간 넓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234개 낱자를 중심으로

        전은선 ( Jeon¸ Eoun Sun ),김성계 ( Kim¸ Sung Ky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본 연구에서는 바탕체 낱자의 속공간 넓이의 평균비율을 이용하여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첫째, 선행자료 분석을 통하여 세리프가 있는 네모틀 글꼴 3종의 낱글자(234개)를 선정하여 속공간 넓이를 구한다. 둘째, 가독성 실험을 위하여 제작된 샘플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도출된 글꼴별 속공간 넓이에 가독성 실험평가 결과를 대입하여 한글꼴의 속공간 넓이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에 가독성이 높은 글꼴들의 속공간 넓이는 66.06~75.02%이고, 가독성이 높은 낱자들의 평균 속공간 넓이 70.67%로 도출되었다. 이는 탈락한 낱자들에 비하여 속공간 넓이가 비교적 넓은 편이며, 여백과 혼합되어 나타난 회색의 농담은 독자의 시선을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가독성이 높은 글자의 속공간 넓이는 외부 요인과 균형을 이루면서 5가지 요인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가독성이 낮은 글꼴들에서는 2가지의 특징이 나타났는데 첫째, 한양(HY)세명조와 YD윤명조110은 속공간 넓이(77.29~78.54%)가 아주 넓게 나타났다. 둘째, 산돌명조네오EB, YD윤명조160, 한양(HY)특견명조는 속공간 넓이(46.63~50.07%)가 아주 좁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속공간 개념이 본문 활력의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속공간 넓이와의 관계를 통하여 검증할 수 있었다. 더불어 가독성에 관련된 연구 중 속공간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재한 현실에서 속공간의 넓이가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검토를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attempted on how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Batang was formed and how they affect legibility. Experimental method,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data, three characters (234) of square fonts with serifs are selected to obtain the area of the inner space. Second, a survey is conducted with samples prepared for the legibility experiment. Third, by substituting the legibility experimental evaluation result into the derived space width for each font, the effect of the inner space width of Hangul fonts on legibility is analyze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fonts with high legibility was 66.06~75.02%, and the average width of inner space of characters with high legibility was derived as 70.67%. Compared to the dropped letters, the inner space is relatively wide, and the gray shades mixed with the blanks played a role in moving the reader's eyes. And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of the letter with high legibility was balanced with the external factors and scored high in five factors. Also, two characteristics appeared in fonts with low legibility. First, the inner space (77.29~78.54%) was very wide in Hanyang (HY) Semyeongjo and YD Yunmyeongjo 110. Second, Sandoll Myeongjo Neo EB, YD Yun Myeongjo 160, and Hanyang (HY) Special Myeongjoo had a very narrow inner space (46.63-50.07%).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concept of inner space is an important factor suggesting the direction of vitality of the text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width of inner space.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n empirical review was conducted on how the width of the inner space affects legibility in the absence of existing studies on the inner space among the studies related to legibility.

      • KCI등재후보

        Readability and its implications on translation- an empirical study into genre fiction versus literary fiction

        박한성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08 통번역학연구 Vol.12 No.1

        가독성은 번역학에서 비교적 덜 연구되어진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독성이 번역학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장르 픽션(genre fiction)과 문학 픽션(literary fiction)의 가독성이 다르다는 가설을 검증하며 그 결과가 번역학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는 것이다. 영어를 비모국어로 구사하며 통번역을 전공, 부전공, 복수전공으로 공부하는 11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장르 픽션에 속하는 John Grisham의 The Partner와 문학 픽션에 속하는 Jane Austen의 Pride and Prejudice를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읽기에 걸린 시간, 이해도 측정 문제의 정답률, 어휘 문제의 정답률이라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장르 간 가독성의 수준 차이를 비교했으며 그 결과 두 텍스트 사이에 가독성의 수준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어휘적 난이도가 텍스트 차원의 가독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가독성에 대한 학자들의 여러 가지 정의 중에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한 일차원 적인 정의가 아닌 텍스트와 텍스트 수용자의 관계라는 2차원 적인 정의가 번역학에는 더욱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동일한 텍스트라 할지라도 텍스트를 받아들이는 수용자(번역사)의 읽기 능력, 사전 지식 여부, 동기 여부에 따라 텍스트의 가독성이 달라진다. 출발 텍스트와 도착 텍스트 사이의 동일한 가독성이 번역 등가의 요소로 고려돼야 하며 어휘적 측면에서 가독성을 평가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Annual Report Readability, Firm Performance, and Earnings Management

        Sangno Lee(이상노)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6

        본 연구는 사업보고서 가독성, 기업성과, 이익조정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은 Gunning fog index, Korean language index, Accounting fog index, Word count index 네가지로 측정하였으며, Korean language index를 제외하고 높은 인덱스 값은 가독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성과를 손실여부, 이익, 음의 이익변화로 측정하였 때, 손실기업과 이익은 가독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이 높은 기업은 가독성이 높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독성과 이익조정간의 관계에서 이익조정은 재량적 발생액, 재량적 발생액 절대값, 실제 이익조정으로 측정하였으며, 재량적 발생액 절대값과 실제 이익조정치는 accounting fog index와 음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재량적 발생액의 절대값의 음의 유의한 결과는 이익조정이 크게 수행되는 기업일수록 가독성이 높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이익조정의 음의 유의한 결과는 실제 이익조정을 통해 이익을 높인 기업일수록 가독성이 높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기업성과가 좋지 않거나 이익조정을 통해 이익이 축소될수록 기업은 가독성이 낮은 사업보고서를 제출한다는 난독화 이론(obfuscation theory)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annual report readability and firm performance and earnings management. The readability of annual reports is measured with four proxies including Gunning fog index, Korean language index, accounting fog index, and word count index where the high indexes of readability show lower readability except for Korean language index. When firm performance is measured with loss firm, earnings, and negative earnings change, loss firm and earning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adabil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firms with higher earnings tend to provide easy readable annual reports. Then, in the test of the association between readability and earnings management which is measured with three proxies including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bsolute accrual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absolute earnings management and real earnings management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association with accounting fog index. The negative association of absolute earnings management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larger earnings management are likely to provide easy readable annual reports. The negative association of real earnings management indicates that the firms with positive real earnings management are likely to provide easy readable annual reports. Overall, the results support the obfuscation theory that when firm performance is poor or earnings management is carrying out negatively, firms are likely to provide less readable annual reports.

      • KCI등재

        일본어 텍스트의 가독성 레벨 분석 - 구舊일본어능력시험 기출문제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기반으로 -

        김유영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3 No.-

        Text readability is a statistical measure of the level and the difficulty of the text, and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This work aimed to extract only those factors that can be quantified in a Japanese text from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may affect the readability of the text, which were then used to analyze the level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Through these processes I verified the validity of each of the factors, and have developed a formula that forms the core of the readability level analytical system. Specifically, by using Pierc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JLPT reading section Corpus’, which consists of 437 reading texts extracted from the last 20 years of previous JLPT, I propose that ‘Morpheme number per sentence’, ‘Kanji percentage’, ‘N4 grade Kanji percentage’, ‘N3 grade Kanji percentage’, ‘N2 grade Kanji percentage’, ‘N1 grade Kanji percentage’ are applicable readability metrics for Japanese text. Using the above readability metrics, the readability was calculated by performing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following Japanese text readability formula. [Japanese text Readability Level Formula] - AR2: 0.7848, p-value: < 2.2e-16 y=4.041029 - 0.011292x1 - 0.022071x2 - 0.016339x3 - 0.026349x5 - 0.046882x6 -y : Japanese text level = Readability -x1 : Morpheme number per sentence,x2 : Kanji percentage, x3: N4 grade Kanji percentage, x4 : N3 grade Kanji percentage, x5 : N2 grade Kanji percentage, x6 : N1 grade Kanji percentage 텍스트 가독성은 텍스트의 수준 및 난이도를 평가하는 통계적 척도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일본어 텍스트의 가독성 레벨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도 텍스트 영역에서 수치화 할 수 있는 요인들만을 추출하여 이를 통계적 기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요인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독성 레벨 판정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가독성 레벨 공식을 개발했다. 구체적으로 최근 20년간의 구舊JLPT(1급~4급) 독해ㆍ문법 영역 중 독해 지문만을 선별하여 구축한 ‘JLPT 독해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피어스 상관분석을 수행하여, 텍스트의 ‘문장 당 형태소’, ‘한자비율(%)’, ‘N4급 출제기준 한자 비율’, ‘N3 출제기준 한자 비율’, ‘N2 출제기준 한자 비율’, ‘N1 출제기준 한자 비율’을 변수로 설정하고, 다시금 다중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일본어 텍스트 가독성 공식을 산출했다. [일본어 텍스트의 가독성 레벨 공식] - AR2: .7848, p-value: < 2.2e-16 y=4.041029 - 0.011292x1 - 0.022071x2 - 0.016339x3 - 0.026349x5 - 0.046882x6 -y : 일본어 텍스트 레벨-x1 : 문장 당 형태소 수, x2 : 한자비율(%), x3 : N4급 출제기준 한자비율(%), x4 : N3 출제기준 한자비율(%), x5 : N2 출제기준 한자비율(%), x6 : N1 출제기준 한자비율(%)

      • KCI등재

        Readability and its implications on translation - an empirical study into genre fiction versus literary fiction

        Park, Han-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08 통번역학연구 Vol.12 No.1

        가독성은 번역학에서 비교적 덜 연구되어진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독성이 번역학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 실험을 통해 장르 픽션(genre fiction)과 문학 픽션(literary fiction)의 가독성이 다르다는 가설을 검증하며 그 결과가 번역학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는 것이다. 영어를 비모국어로 구사하며 통번역을 전공, 부전공, 복수전공으로 공부하는 11명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장르 픽션에 속하는 John Grisham의 The Partner와 문학 픽션에 속하는 Jane Austen의 Pride and Prejudice를 비교하는 실험 통해 읽기에 걸린 시간, 이해도 측정 문제의 정답률, 어휘 문제의 정답률이라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장르 간 가독성의 수준 차이를 비교했으며 그 결과 두 텍스트 사이에 가독성의 수준에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를 통해 어휘적 난이도가 텍스트 차원의 가독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가독성에 대한 학자들의 여러 가지 정의 중에 텍스트만을 대상으로 한 일차원 적인 정의가 아닌 텍스트와 텍스트 수용자의 관계라는 2차원 적인 정의가 번역학에는 더욱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동일한 텍스트라 할지라도 텍스트를 받아들이는 수용자(번역사)의 읽기 능력, 사전 지식 여부, 동기 여부에 따라 텍스트의 가독성이 달라진다. 출발 텍스트와 도착 텍스트 사이의 동일한 가독성이 번역 등가의 요소로 고려돼야 하며 어휘적 측면에서 가독성을 평가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디지털 문자매체의 확산에 따른 인쇄 매체상의 서체와 가독성의 상관성 변화- 2022년 현재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 비교 실험 -

        구본영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4

        Myeongjo has been known as the most readable Hangul typeface. This base on the theory that the serif of Latin letters increases readability and the experiment of Ahn Sang-soo in 1980. Therefore the Myeongjo is applied to the main text on most print media. However, familiarity is also known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readability. In the 1980s, Myeongjo was the most familiar font, whereas for young people in 2022, the familiarity with Myeongjo and Gothic font chang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text contact through digital media. This implies that the readability according to the applied typefaces has changed. Therefo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adability of Myeongjo and Gothic fonts targeting young people in the 2022. To this en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nd conducted in the same way as possible as the experiment in 1980. However, because of changed typesetting environment, the Myeongjo, typed by phototypesetter, was replaced with a Batang which is one of Myeongjo fonts input digitally by various companies and a Gothic was replaced with a Doteum which is also one of various Gothic versions, and InDesign CC2022 was used to typeset. As a result, the letters applied Gothic was read more per unit time than Myeongjo. However, as a result of the T-test, it was found that P>0.05 was not significant, so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eadability of Gothic font was higher than that of Myeongjo font. However, the results were contradictory to the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1980, confirming that the change in familiarity also changed the readability. 명조체는 가장 가독성이 높은 한글서체로 알려져 왔다. 이는 라틴문자의 Serif가 가독성을 상승시킨다는 이론과 1980년 안상수의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인쇄 매체상의 본문에는 명조 계열의 서체가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익숙성 역시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명조체는 1980년대 일반인에게 가장 익숙한 서체였던 반면, 2022년대 청년층에게는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문자 접촉 빈도의 상승으로 명조체와 고딕체에 대한 익숙성에 변화가 일어났다. 이는 서체에 따른 가독성에도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년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명조체와 고딕체의 가독성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1980년에 실시된 실험과 가능한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설계·진행하였다. 다만 문자 조판환경의 변화로 사진식자기에서 타자되었던 중명조체는 바탕체로, 고딕체는 돋움체로 대체하였고 인디자인을 이용하여 조판하였다. 또한 문장의 난이도나 개인별 독서능력 차이에 의한 간섭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Cross Over Design으로 실험을 설계했다. 그 결과 고딕체가 명조체에 비해 단위시간 당 4.52% 더 많은 글자를 읽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T검증 결과 P>0.05로 유의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나 고딕체의 가독성이 명조체보다 높다는 것을 확증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980년에 실시된 실험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 익숙성의 변화가 가독성에도 변화를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우수등재

        우리말 사업보고서 가독성 연구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태진 ( Taejin Jung ),임승연 ( Seung Yeon Lim ),이우종 ( Woo-jong Lee ),조미옥 ( Meeok Cho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영문 기반의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을 측정한 기존 연구의 결과가 우리말 사업보고서에도 확장가능한지 가늠해보기로 한다. Li(2008)의 연구 이후, 회계와 재무분야의 많은 연구에서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을 비롯한 기업공시의 언어적 특성(linguistic features)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졌으나, 상이한 전자공시체계로 인한 분석의 용이성 차이 때문에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Li(2008)의 방법론을 차용하여 국내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우리말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을 측정하고, 이익특성 변수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낮은 이익을 보고하는 기업의 경우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 이익의 지속성 역시 떨어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익조정 유인이 큰 기업들의 사업보고서의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문 기반의 사업보고서 가독성을 분석한 Li(2008)의 연구 및 후속 연구들의 결과가 우리말 기반의 사업보고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말 사업보고서의 가독성과 관련된 텍스트 분석의 확장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assesses feasibility of annual report readability research in Korea. Using three different readability measures commonly used in accounting and finance literature (e.g., Flesch ease index, Fog index, and the length of annual report), we find that firms with lower earnings make their annual reports more complex and thus less readable. Additionally, we find that firms with less readable annual reports have less persistent positive earnings. We also present evidence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that annual reports are less readable for firms just meeting or beating earnings benchmarks. Furthermore, the relation between annual report readability and corporate earnings is attenuated after IFRS adoption. Lastly, to check the validity of annual report readability measures estimated by using the Korean alphabets, we re-estimate our main analyses using alternative annual report readability measures (e.g., alternative Fog indices, average sentence length, and file size of annual reports); these results are robust to the alternative readability measures. In sum, we provide first large sample evidence of how annual report readability is related to attributes of corporate earnings in Korea, thereby being suggestive of feasibility of annual report readability research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