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학 자료 데이터베이스화의 현황과 과제

        차순철(CHA, Soon-Chul)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현재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고학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는 발굴조사보고서를 중심으로 활발한 자료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들 자료에 대한 2차, 3차 검토 및 분류작업을 통한 세세한 분류와 색인작업 등에 대해서는 많은 과제를 남기고 있다. 고고학 분야에서는 매년 수천 권의 발굴조사보고서와 관련 자료가 생산되고 있다. 기초자료 부분으로 볼 때, 그 어떤 학문 분야보다도 많은 내용이 집적되고 이를 정보화하여 유통하고 있지만, 이러한 자료의 이용부분은 매우 제한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자료의 생산과 유통부분에 있어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세부 분석과 해제를 하는 부분이 아직 덜 이루어진데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생산된 각종 자료들에 대해서는 보고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고, 국공립기관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해석한 보고서도 출간되고 있다. 북한자료에 대해서는 과거 불법출판된 영인본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저작권 계약에 따른 출판물이 발간되고 있다. 그러나 최신 자료의 입수문제는 한계가 있으며, 이들 자료에 대해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를 중심으로 정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자료라 할 수 있는 고고학 발굴조사보고서 이용과 관련하여 발간기관별로 관리되는 점과 PDF를 제공하는 기관이 상이한 점 등은 연구자들이 자료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굴조사보고서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와 이용을 요구하는 의견이 제기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원문정보와 시대별, 유적별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고고학자료에 대한 이러한 검색기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굴조사보고서 등록제도에 추가적으로 해당 보고서의 주요 내용에 대한 검색편리를 위한 표제어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결국 고고학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각종 문화재 관련 보고서자료 등을 인터넷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전문 관리시설의 존재는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러한 시설을 통해서 한국 고고학 자료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한 이용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development of a database for archeological materials currently pushed forward with in Korea, related data have been generously produced centering on the excavation survey reports. However, there are much to be done for th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also the indexing through secondary and tertiary review and classification of such materials. Every year, thousands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nd related materials have been produced. For basic materials, the field of archeology is accumulating more contents than any other academic fields and is digitalizing and circulating them ; however, such uses of the materials are quite limite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data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managed, analyzed in detail, and released properly. The materials produc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oday are made available through report database and newly interpreted versions have been also published mostly by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North Korean materials had been mainly photographic copies illegally published in the past whereas publications are issued based on copyright contracts. However, there are limits in collecting latest materials and such materials have been organized mainly by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The fact that the archeological excavation survey reports which are considered public materials are managed by their publishing organizations and the fact that their PDF versions are offer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are causing inconvenience in using such materials.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use of excavation survey reports are suggested as the solution for such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 to seek after solutions and provide original text information alongside other information by period and remains. The current system for registering excavation survey reports needs to be improved by adding a feature to enter keywords to facilitate the search of main contents of the reports in order to develop a feature for searching archeological data that are available in various forms. Eventually, the professional management facilities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archeological materials and providing a variety of cultural heritage related reports and so on through the internet are deemed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More convenient uses could be provided if Korean archeological material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rough such facilities.

      • KCI등재후보

        고전시가 작품의 발굴 동향과 전망

        하경숙(Ha Gyeong 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이 논문은 2000년 대 이후 새로 발굴된 고전 시가 작품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설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새롭게 발굴된 고전 시가 작품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문학적 의미와 그 특질을 알고, 고전 시가의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여 새로 발굴된 고전시가 작품들이 지닌 의미와 위상을 밝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2000년대 발굴된 고전 시가 작품을 중심으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새 자료를 점검하여 장르별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경기체가 <화산별곡>과 <노령별곡>가 발굴되어 영남(嶺南)의 경기체가 전승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한시에서는 과체시와 제화시의 발굴이 주목되었고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와 새로 발굴한 한시 작품들도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익찬공서치계첩(翊贊公序齒稧帖)』의 발굴을 통해 남인 관료들이 지닌 시사의 성격을 알 수 있었다. 최근에 발굴된 『詩調集』에서는 이정보의 시조 작품을 일제강점기 판소리 단가인 <운담풍경>과 관련하여 주목하였고 수록된 15수의 시조들은 당대인들이 즐겨 불렀던 시조 작품으로 서로 유기적 관련성을 짐작할 수 있다. 가사의 발굴은 다양하다. 계녀가사, 기행가사, 규방가사, 애국가사를 통해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상황과 그 변모양상에 민감하게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충무공 가문과 관련하여 발굴된 가사 작품에 대한 세심한 분석이 더욱 필요하다. 새롭게 발굴된 고전시가 작품들 중에서 대체적으로 문학적 특질을 갖추고 있으면서, 변화된 사회의 모습과 의식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 고전시가 작품의 발굴은 질량에서 나름대로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발굴현황을 작성하면서 개별의 작품이 지닌 다양한 특성과 문학적 의미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ed to introduce Korean classical poems newly found after the 2000s and to explain the meanings of them. It intends to find literary meaning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m by summarizing results of research on them and to contribute to exploration of the meanings and status of them by checking the status of them and presenting a prospect of them. It checked new materials found from 2000 to 2016 - mainly Korean classical poems found in the 2000s -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genres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works. It was possible to find that Kyunggichega (long songs created after the middle of the time of the Goryeo Dynasty) “Hwasanbyeolgok” and “Noryeongbyeolgok” were found in the middle of transmission of Kyunggichega of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嶺南). As for Chinese poem, attention was given to the finding of Kwashi (科詩) and painting poems; and Song Man Jae’s “Gwanuhi (觀優戱)” and newly found Chinese poems have great significance. Among them, through the finding of Ikchangongseochigaecheop (翊贊公序齒稧帖) it was possible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nificance the Southerner officials had. A book of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詩調集), which was recently found, paid attention to Lee Jeong Bo’s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in relation to “Undampunggyeong”, a short pansori song created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15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s included in the book were songs that the people of that time enjoyed singing - it is possible to guess at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15 works. A variety of lyrics were created. Through Gaenyeo Gasa, Gihaeng Gasa, Gyubang Gasa, Aeguk Gasa, it was possible to come to know in detail social, historical, and literary contexts and the aspect of changes of the contexts. Among the lyrics found, a more careful analysis of lyric works related to Admiral Yi Sun-sin’s family is needed. Among the Korean classical poems newly found, they generally have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contain how the changed society was and what consciousness it had. As for the finding of Korean classical poems, to date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quantity somehow or other. Creating a table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inding, it was possible to find in detail various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meanings of each work.

      • KCI등재

        중국 현대 문예 매체에 발표된 김광주의 문예 비평에 대한 소고 - 신 발굴 중국어 자료들을 중심으로 -

        김철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7 No.-

        본 논문은 조선과 중국의 현대문학이 기틀을 마련해가던 20세기 30년대 초반, 김광주의 상해지역 문필활동과 관련하여 최근 중국에서 새롭게 발굴한 자료들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그 학문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중국 상해지역에서 발행되었던 신문·잡지에김광주가 중국어로 발표한 문학 및 영화예술과 관련한 발표작 6편이 처음 발굴되어 중·한 현대문학 교류 양상을 이해하는 데에 주목을 끌고 있다. 본 논문은 해당 자료들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 소개와 함께 그 문학적·자료적 가치에 대해 나름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새로 발굴된자료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첫째, 이번에 발굴된 자료들은 김광주가 중국에서 중국어로 발표했거나 번역한 글들로서아직까지 학계에 알려져 있지 않은 자료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 현재까지 김광주는 중국 현대문학을 한국어로 국내에 번역 소개한 번역자, 수용자, 전파자로만 알려졌었다. 이런 상황에서중·일·한 문학과 서양의 영화예술을 중국어로 소개, 비평 또는 번역한 자료가 발굴되었다는것은 그의 역할을 새롭게 다면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된다. 둘째, 새로 발굴한 자료들은 김광주의 중국행적과 문필활동 상황을 좀 더 확실하게 규명해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최소한 1935부터 1938년까지의 문필활동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근거들을 찾은 셈이다. 그리고 그의 중국에서의 행적에 대한 연구에도 일정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셋째,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료들은 김광주의 문학적 성향과 중국문학에 대한 인식은 물론자국문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들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자료라는 데 의미가있다. 넷째, 본 논문에서 논의된 문예비평 자료들은 중국 현대문학과 한국 현대문학에 대한 김광주의 독자적인 비평태도와 인식을 담고 있는바, 그가 확보한 대 중국문학 타국(他國) 문학인의 시각과 대 한국문학 타역인(他域人)의 시각은 당시 중·한 현대문학을 중간자적 입장에서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는데도 일정한 도움이 된다. The period of the early 1930s i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structure independently. The paper focuses on some data new-found in this period about Jin Guangzhou as research object to excavate their academic value and significance. There are totally 6 articles about literature and film art written in Chinese by Jin Guangzhou found by the author in newspaper and magazines published in Shanghai area in 1930s, which can help us do further analysis on modern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ry communication status at that time. In this paper, based on introducing the content of these data, the author gives out evaluation and conclusion on their value in fields of literature, art and document, which mainly reflects in the following 4 aspects. I. As the first discovered Chinese works, the data new-found are all articles created or translated in Chinese by Jin Guangzhou, which with important value and significance. Before this, he was only considered as a translator who translate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to Korean language and introduced them to South Korea. Which is more important, these data reflect that he can also introduce, evaluate and translate Korean literature, Chinese literature and foreign film arts by writing articles in Chinese. II. They are conducive to research the track and literary activities of Jin Guangzhou in China. We can know more about his information of literary activities and track in China during 1935-1936 in China based on these data. III. The data in this paper are conducive to research Jin Guangzhou’s literary tendency, and his understand or attitude to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IV. These data reflect the unique attitude and understand to contemporary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and give us some revelation on understanding contemporary literature then. In a word, the data in this paper have not been known by academic circles, and they will be important by providing revelation and help on researching Jin’s literary tendency and track in China

      • KCI등재

        발굴조사 자료의 3차원 기록화 연구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 자료를 대상으로-

        허의행 ( Heo Ui Haeng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60 No.-

        고고학 발굴조사에서 3차원 기록은 현재까지 단순한 방식으로 기록되어 왔는데, 즉 주요 유구, 유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 기록이 대부분 이었다. 현재 그 기록은 유적과 유구, 유물 그리고 옛날과 지금의 지형 모두에 적용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의 처음과 마지막의 조사과정을 3차원 기록화하여 그 유용성과 활용의 다양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3차원으로 기록된 자료는 다양한 분석과 활용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유적과 지형에 대해서 는 입지분석 및 GIS를 통한 공간분석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유구와 유물에 대해서는 수치적 분석 뿐 아니라 형태와 각각의 속성에 대한 여러 비수치적 분석 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이처럼 발굴조사의 3차원 기록 자료는 기존의 2차원으로 제작된 자료보다 활용도 면에서 이점이 매우 크다. 특히 당시 문화와 사회상, 구체적인 유구 유물의 형태 등을 디지털로 복원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및 전시자료로 제공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3차원 기록 자료를 내포한 디지털 전자보고서의 제작을 같이 진행할 수 있다면 연구와 교육, 2차적 활용의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이웃한 여러 나라들에서는 3차원 기록화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우리 학계에서도 고고학 조사와 연구에서 더 이상 보조적 수단으로서 3차원 기록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연구와 활용의 주요한 주제로서 구체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pplication of 3D records in archaeological sites is limited to produce scanned records of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Currently, its use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documenting ancient and modern landscapes as well as sites, features, artifacts in 3D. This paper presents a study case to apply extensive 3D recording techniques to Gwangamri and Dongchonri excavation cases. Its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to archaeological surveys are addressed. 3D recorded data can be utilized further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application methods. It enables to apply a location analysis,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the variables of shape and physical components. 3D recorded data has a greater potential for applying various analyses than 2D data. In particular, it provides a base dataset to reconstruct the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to their original forms as well as the past society’s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in digitized format. Such digital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educational supplementary and display objects. Furthermore, publication of electronic excavation reports including 3D recording data will lead to promote research, education and contents application of excavated data. Development of 3D recording has been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eighbouring countries. It calls to consider application of 3D recording as a main research subject rather than a simple supplementary data in the field of Korean archaeology.

      • KCI등재

        제2시와 제3시 설법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인식의 특징-『해심밀경소』 티벳어역 속 신발굴자료에 대한 소개를 겸해

        장규언(JANG, Gyu-eon) 불교학연구회 2014 불교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은『 해심밀경(解深密經)』의 이른바‘삼시교판(三時敎判)’에 등장하는 제2시『반야경(般若經)』과 제3시『해심밀경(解深密經)』간의 관계에 대한 원측(圓測, 613-696) 인식의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근래에『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서품(序品)」 교체론의 티벳어역(대응하는 한문이 생략된 부분) 속에서 새로 발굴한 자료들과 원측 저작 속에 산재하는 관련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원측 교판론(敎判論)의 해석학적 전제, 료의(了義)와 불료의(不了義) 판단의 기준, 그 이면의 불교사에 대한 인식 등을 차례대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주제와 관련하여, 󰡔해심밀경󰡕의 주석가 원측은 「무자성상품」의 삼시 교판의 해석학적 전제에 따라 (1)무상과 료의는 공이라는 설법 주제를 공유하지만, (2)상이한 청중의 수행적 지향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설해진 가르침이며, 또 (3)논쟁과 야기와 종식이라는 관점에서 양자 간에는 ‘결과적으로’ 우열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했음을 밝혔다. 둘째 주제와 관련하여, 원측에게 있어 제2시 불료의와 제3시 료의의 차이는 ‘설법 주제[所詮]’ 자체의 차이가 아니며 설법 주체 측면의 중생의 근기에 따른 설법 방식의 차이와 함께 설법 수용 측면의 ‘설법 효과의 차이’(=부정적 유산의 유무)를 의미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주제와 관련하여, 신발굴자료를 중심으로 양자의 차이와 동일성에 대한 앞선 원측 인식이 기반하고 있는 교리적 또는 불교사관적 근거를 조명하여 원측이 스스로 공(空)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유식(唯識)의 료의의 입장에 서서 제2시 ‘무상(無相)’을 제3시 ‘삼성(三性)’과의 관계 속에서 ‘료의’로 재해석함으로써 양자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려 했음을 지적하였다. 또 위의 연장선상에서 제2시 ‘『반야경』이 삼성을 설하고 있기 때문에 료의’라는 원측의 일면 파격적인 주장도 ‘궁극적 진리[勝義]의 관점’에서 무상은 삼성을 설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함을 밝혔다. 이상 양자의 관계에 대한 원측 인식은 제3시의 관점에서 제2시를 포괄함으로써 양자 간의 연속성과 궁극적 동일성을 강조하려는 경향이 우선 두드러진다. 하지만 동시에 원측의 마음속에는 제3시 료의가 제1시 설법이 유발하게 되는 유집의 극단과 제2시 설법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무집의 극단을 모두 변증법적으로 지양(止揚)했다는 점에서 제2시 무상보다 더 높은 가르침이라는 우열 의식이 여전히 존재하는 듯하다. 이것은 어쩌면 논쟁의 종식이라는 관점에서 완전한 가르침으로 인식된『해심밀경』을 최고 권위로 인정하는 ‘유가행(瑜伽行) 사상가’ 원측의 운명에 기인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In this paper, I illuminate some characteristics of Woncheuk'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presented in Sa.dhinirmocana-s.tra. For this, based on some newly identified materials (parts of the section Discourse on Essence of Buddha's Teaching (教體論) of "Seo pum" (序品; Ch. Xu pin, Introductory Chapter); omitted in classical Chinese) in Ḥphags pa dgoṅs pa zab mo ṅes par ḥgrel paḥi mdo rgya cher ḥgrel pa, the Tibetan version of Haesimmilgyeong so (解深密經疏; Ch. Jieshenmijing shu, Commentary on Saṃdhinirmocana-sūtra), written by Woncheuk (圓測 613-696; Ch. Yuance), and related materials in his works, I present some hermeneutical premises of his view on the Three Buddha-cakras, his interpretation of the criteria of discrimination between nītārtha and neyārtha, and his views o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thought. First, as a commentator on Saṃdhinirmocana-sūtra, Woncheuk, according to the hermerneutical premises of Three Buddha-cakras, presents that (1) the common theme of both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are Emptiness (空), so there is neither superiority nor inferiority between them, but (2) from the viewpoint of either ending or creating disputes, the Third is actually superior to the Second Budda-cakra. Second, he further interprets that the criteria of discrimination between nītārtha and neyārtha is not the theme of Buddha-cakra itself, but both the differences of the speaker's pr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hearer's abilities, and the effects of preaching on the part of the hearer. Thir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newly identified materials mentioned above, I illuminate that Woncheuk, from the standpoint of a Yogacāra thinker who thinks that only his school really understands Emptiness, reinterprets Emptiness as nītārtha based on his own hermeneutical horizon that Emptiness itself, in fact, penetrates through Three Characters (三性), therefore integrating both the Second and Third Buddha-cakras as one. Futhermore, extending the line of thought above, I reveal that his sensational opinion that the Second Buddha-cakra,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s are also nītārtha is understandable in that from the viewpoint of Ultimate Truth (勝義諦), Emptiness is conceived to be Three Characters. In conclusion, Woncheuk's view, first of all, is characterized by the emphasis on the continuity and ultimate sameness between the two Buddha-cakras in terms of including the Second from the standpoint of the Third Buddha-cakra. But at the same time, the status of the Third Buddha-cakra is actually higher in his mind than the Second since the former is a perfect teaching that overcomes the negative extremes of the latter. I believe that this derives from his fate as a Yogacāra commentator who regarded Saṃdhinirmocana-sūtra as one of the supreme canonical authorities.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 · 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박혜영(Park, Hey-Yeong)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 · 기록 · 보존 · 전시 · 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 · 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 · 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 · 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 KCI등재

        농악문화유산으로서 물질·비물질 자료의 활용가능성 타진: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을 중심으로

        박혜영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29 No.-

        If Nongak as a cultural expression is an artistic activity of transmission community that has communicated emotions and thoughts and evoked empathy, the process in which Nongak has been excavated and recorded and also recreated to satisfy five senses is another creative behavior producing an aesthetic value in a certain social condition. Today, artistic techniques of Nongak are more elaborated and the material foundation of i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nduct the performance, is also repeatedly changed based on technolog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not only artistic forms but also experiences of transmitters have been communicated or the tradition has been represented and recreated involve many kinds of technology. Such a fact is also reflected by excavation, recording, preservati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Nongak. The spectrum and cultural foundations of Nongak may be commonly called the Nongak culture. This paper dealt with Nongak continuously recreated by the community and the whole of culture around it as the ‘Nongak culture’, a comprehensive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d on activities of the performance and material elements that allow it, by extending them to the entire material culture constituting Nonga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ultural heritance of Nongak by dividing it into material/immaterial culture data, discussed excavation research, recording and exhibition, suggested some specific cases and sought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ransmissions of skills and performing arts. It emphasized collection and necessity of material culture data, reproduction,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immaterial culture data previously excavated and examined, and connectivity between use of the cultural heritage of Nongak and education of it. The performance of Nongak is a manifestation of the communal character of the transmission group. Therefore, a lot of kinds of material culture data used by persons who engaged in Nongak are public artifacts and resources rather than consumables. Cultural inheritance and identity which have been passed by the transmission group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and cultural knowledge flourished by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re embedded in them. They are nothing but a rediscovery of future heritage that connect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Such an exploration of a new transmission channel crossing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by using digital media beyond spheres of local tradition or transmission between generations is also a strategy for Nongak to take root in daily life of ordinary people again. 농악이 문화적 표현물로서 감정이나 사유를 전달하고 공감을 이끌어내는 전승공동체의 예술행위라면, 농악을 발굴하고 기록하며, 오감을 만족시키도록 재가공하는 과정 또한 사회적 여건 속에서 미적가치를 생산해내는 창조적 행위이다. 오늘날 농악의 예술적 테크닉이 수려해지는 것은 물론, 연행을 가능케하는 물적 기반도 기술력을 바탕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예술적 형식 뿐 아니라 전승자의 경험을 전달하거나 전통을 재현하고 재창조하는 일련의 과정에 온갖 첨단의 기술력이 동원된다. 농악의 발굴․기록․보존․전시․교육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농악을 둘러싼 문화적 스펙트럼과 이를 배태한 문화적 기반들을 통칭하여 농악문화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공동체에 의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농악과 농악을 둘러싼 총체적인 문화 전반을 아울러 ‘농악문화’라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다루었다. 농악의 행위 그 자체와 더불어 이 연행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적 구성요소들을 농악을 이루는 물질문화로서 주목하였다. 농악문화유산을 물질․비물질 자료로 구분하여 살피고, 발굴조사와 기록 및 전시 사례를 제시하며, 기․예능의 전승활동에 있어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물질 자료의 수집과 그 필요성, 기존에 발굴․조사된 비물질자료의 재생산과 보존 및 전시, 농악문화유산의 활용과 교육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다. 농악의 연행은 전승집단이 지닌 공동체성의 발현이다. 그러기에 농악인들이 사용하던 각종 물질자료들은 소모품이기 이전에 공적 유물이자 자원이다. 여기에는 전승집단이 누대로 이어온 문화적 고유성과 그리고 경험의 축적으로 꽃피워온 문화적 지식이 배어있다. 농악문화유산의 생명력을 살리는 작업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미래유산의 재발견에 다름 아니다. 세대 간 전승이나 지역적 전승권역을 뛰어넘어, 디지털 매체들을 활용하여 시공간적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전승활로를 모색하는 것은 농악을 서민대중의 일상생활 속으로 다시금 뿌리 내리게 하는 전략이기도 하다.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정리현황 검토

        최상기(崔尙基)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1 No.-

        1차 사료가 부족한 한국 고대사 분야에서 목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咸安城山山城에서 출토된 대량의 목간들은 중고기 신라의 정치, 경제, 군사 등을 살필 때 빠뜨릴 수 없는 소중한 실물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산산성 목간 관련 간행물, 연구성과들이 다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번호 부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연구 과정에서 오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 요인이다. 발굴보고서, 현장설명회 자료집의 경우 한 간행물 안에서도 번호 부여 방식이 여러 가지이며, 각 간행물마다 매번 목간 번호가 1번부터 시작하므로 일관적인 파악이 어렵다. 《韓國의 古代木簡》, 《韓國木簡字典》은 현재까지 연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본 자료집이다. 그러나 다른 간행물들과의 연속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부여한 번호도 아직 문제점이 있어 그 형식을 한국에서 출토된 목간들에 일괄 적용하기 어렵다. 여러 종류의 번호 부여 방식이 혼재한 상황은 연구성과의 작성 단계부터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연구사의 신속, 정확한 파악도 곤란하다. 번호부여 방식을 비롯해 성산산성 목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학문후속세대의 연구 지속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과제이다. 차후 새로운 번호 부여 방식을 마련할 때에는 해당 목간의 출토 장소, 출토 연도, 일련번호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틀을 갖춰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료발굴에 의한 연구사 수정- 강소천의 동요를 중심으로

        이동순(Lee, Dong-so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강소천은 1920년대 어린이 잡지와 여러 신문에 동요를 투고하면서 소년문사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동요시집 『호박꽃초롱』에 백석이 쓴 「호박꽃초롱서시」로 인하여 문학계의 큰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강소천의 『호박꽃초롱』은 일제하 한글사용이 금지된 시기에 발행한 순한글 동요시집이었다. 그는 이후 동화를 창작함으로써 동요와 동시, 동화를 쓴 작가로 아동문학계의 걸출한 작가가 되었다. 그는 한국전쟁기에 월남하여 꾸준히 어린이들을 위한 작품 활동에 전념하였다. 그는 아동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자리에 있었다. 그래서 강소천의 동요 15편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밝혀진 사실들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보완하면서 강소천 문학 연구에 일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사를 수정하였다. 크게 작품명의 확인, 서지사항과 필명사용시기, 간도용정에 머문 시기, 동요목록 중심으로 등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연구사를 수정 보완하였다. 그리고 강소천 동요목록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여 후속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In 1920s, Kang so-chun started to work as a writer, contributing children’s songs to several children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he drew attention from the Korean literary circle with ‘Prologue to A Lantern of Pumpkin Flower’ written by Baek Seok in his book of children’s poem ‘A Lantern of Pumpkin Flower’. Kang so-chun’s ‘A Lantern of Pumpkin Flower’ is a book of children’s poem that he wrote in pure Kore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which the use of Korean was prohibited. Later he wrote children’s stories, becoming a prominent writer, who produced songs, stories and poems for children, in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Defected to South Korea during Korean Civil War, Kang so-chun had steadily devoted his time and energy to creative works for children. He turned himself into an significant writer in children’s literature.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found new facts while discovering his 15 children’s songs, supplemented previous studies on his works, and modified history of research to be of a help in a research into Kang so-chun s literature. At large,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earch history of his literature by confirming the names of his works, bibliographical details, the point of time when he used his fan name, the duration of his staying in Youngjeong in Kando, and the list of children’s songs. In addition, this study organized the list of his children’s songs in an easily accessible manner, expecting it will be helpful for following studies.

      • KCI등재

        민속문예학 연구의 지형과 지평

        김헌선(Kim, Heon Seon)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이 연구는 민속문예학의 학문적 지형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아울러서 장차 바람직한 연구를 위해서 어떠한 지평을 확장하는가 하는 점을 논하기로 한다. 실증주의를 극복하고 민속문예학이 등장한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해서는 자료를 발굴하고, 비교연구를 하며, 동시에 학문의 용합과 복합을 위한 논의를 하는 정향점을 추구해야만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는 중간적 논의를 한 것에 불과하다. 이 연구는 중간 보고서이다. 자료를 발굴하는 것은 학문의 영원한 숙제이다. 학문의 기초가 되는 자료 작업은 항상 지속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자료 작업의 충실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비교 연구가 진행되는데 알려진 지역보다 알려지지 않은 지역의 자료에 의거하여 이것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려지지 않은 지역이라고 함은 사라진 곳을 포함한 미개척지의 자료이다. 동시에 기왕에 알고 있는 지역의 자료라고 할지라도 관점을 달리하여 연구하고 비교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필요한 작업은 학문의 전공이 주는 장벽을 제거하고 이것을 확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학문에서 필요한 융복합적 관점의 의식을 제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한 분야의 다양한 관점을 통해서 이를 확장하고 연구하는 것은 학문의 통합적 관점을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가 있다. 이 점에서 연구의 입체적 관점은 새롭게 가능한 작업이 되는데, 학문의 융합과 복합적 관점이 새로운 연구의 지편을 열 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속문예학은 과거의 학문일 수 없다. 독일학문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필요한 여러 영역 가운데 영미학문 위주의 관점을 청산할 수가 있는 우리 학문의 중요한 동반자이다. 그런 점에서 민속문예학의 학문적 관점은 우리 민속학을 새롭게 할 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cademic terrain of Folk Literature. Along with it, the future is to discuss how to expand the horizons of any desirable for research that. Overcome positivism, the advent of Folk Literature and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Excavation and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and cloves that are discussed for the study of yonghap and complex at the same time, must pursue a comparative study. In that sense, this study is the middle of the discussion is merely This study is an interim report. Of study excavated material that is eternal homework. Always the work material that is the basis of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In that sense, you must have a fidelity material. Comparative Study progress which it is desirable to study this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 of the unknown than known local area. Material including unknown region referred to as the lost frontier. Since you know the area of data, even if a different perspective to research and compare the job requirements at the same time. Necessary work is needed to expand it and remove the barriers that academic majors. In order to do so, to raise awareness of the required convergence in the academic perspective of complex work is required. And extended it through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the field of research that can be integrated perspective of the discipline needed to work. Newly available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of the research work, which at this point seems to be the convergence of disciplines and multiple perspectives be able to open a new study jipyeon Folk Literature of the past can not study one. Is an important partner of our study of the Anglo-American academic-oriented perspective, which can be liquidated in several areas that needed to be derived from traditional dokilhak inquiries. Folk Literature of the academic perspective, our folklore from that point can be up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