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안 동림서원의 건립과 변천에 대한 연구―『동림서원지』를 중심으로―

        김승대 ( Kim Seung-dae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동림서원은 반계 유형원을 배향한 유일한 서원이었다. 최근 필자는 부안김씨 담계 종중에서 『동림서원지』 등 고문서 4건을 발굴하였다. 이를 통해 동림서원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동림서원은 1693년(숙종19) 부안 소산면 파산에서 반계를 배향한 남인 계열의 ‘반계사’, ‘파산서원’으로 출발하였다. 1711년(숙종37) 유문원과 김서경을 추가 배향하였고, 1737년(영조13)에는 상서면 동림으로 이건하였다. 1789년(정조13) 김회신을 추가 배향하고, 1794년(정조18)에는 강당을 창건하였다. 동림으로 옮긴 후 동림서원은 부안김씨 문중서원의 성격을 많이 내포하게 되었다. 또한, 『재임안』·『서재 유생안』·『양사재 계안』은 19세기 동림서원의 양상을 잘 나타내고 있다. 1868년(고종5) 서원이 철폐된 후, 현재 1908년, 1939년에 세워진 ‘동림서원 유허비’와 건물 주초석만이 남아있다. 향후 고문서 번역, 본격적인 고증과 문화재 지정 검토, 인근 반계 유적과 연계한 활용방안 등이 검토된다. Donglim Seowon(東林書院) in Buan was the only Confucian academy in the country to commemorate Bangue(磻溪) Yu Hyeong-won(柳馨遠). Recently, I discovered four ancient documents, including “Dongnim Seowonji(東林書院誌)”, from the Buan Kim Clan. Donglim Seowon started in 1693 as ‘Bangye-sa(磻溪祠)’ and 'Pasan seowon(巴山書院)' in commemoration of Yu Hyeong-won in the Pasan village of Sosan-myeon, Buan-gun. In 1711 the Yu Mun-won and Kim Seo-gyeong were additionally commemorated, and in 1737 they moved to Donglim Village in Sangseo-myeon. In 1789, Kim Hoe-sin was additionally commemorated, and in 1794, an auditorium was established. After moving to Dongnim Village, Donglim Seowon was largely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of Buan Kim's Munjungseowon. In addition, ‘Jaeiman’, ‘Seojae Yusaengan’ and ‘Yangsajae Gyean’ are documents that show various aspects of Donglim Seowon in the 19th century. The Confucian academy was abolished in 1868. Currently, only the monument and the foundation stone of the building erected in 1908 and 1939.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translation of ancient documents, the full-fledged review of historical records and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the historical site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nearby Bangue Yu Hyeong-won.

      • KCI등재

        명,청시기 서원 강회의 발전 과정에 관한 일 고찰

        박종배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3

        본 논문에서는 크게 명대 중기와 명말·청초 두 시기로 나누어 중국 서원 강회의 발전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명대 중기 이후 서원의 회강 전통을 부흥시키고 강회 제도를 발전시키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담약수(1466-1560)와 왕양명(1472-1529) 등 심학(心學) 계열의 학자들인데, 특히 서원 강회의 제도화와 보편화에 가장 뚜렷한 족적을 남긴 것은 왕양명과 그의 제자들이었다. 주자학 일통의 시대를 끝내고 심학의 시대를 열고자 하는 왕양명과 그의 제자들의 노력은 적극적인 강회 활동의 전개로 이어졌고, 가정 4년(1525) 9월의 용천사 중천각강회를 시작으로 각지에 서원을 세우고 강회를 조직하여 명대 중엽 이후 강회 전통의 확립과 강회의 제도화·보편화에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명말·청초의 서원 강회는 이른바 ‘천하동림강학서원(天下東林講學書院)’을 중심으로 ‘심학에서 이학(理學)으로의 전환’과 ‘강학에서 정치로의 확대’라고 하는 변화가 이루어진다. 17세기 이후의 강회 전통은 당대 최고의 서원으로 명성을 날렸던동림서원의 주도 하에 형성되었는데, 동림서원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 관중서원과 인문서원, 자양서원, 수선서원 등 많은 서원들이 선명한 학술적 특색과 정치적 경향을 띠고 적극적인 강회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시기에 심학에서 이학으로의 전환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는 휘주(신안) 지역의 자양서원과 환고서원의 강회였다. 특히 청대에 들어와 환고서원에서 존공종주(尊孔宗朱)의 기치를 내걸고 순치 원년(1644)부터 건륭 6년(1741)까지 총 124회의 신안 6읍 대회를 개최한 것은 명·청시기 서원 강회의 역사에서 특기할 만한 사건이다. 本論文分別考察了明代中期與明末淸初兩個時期中國書院講會的發展過程. 据論文的考察, 對於明代中期以後的書院會講傳統復興和講會制度發展做出最大貢獻的人物是湛若水、王陽明等心學者. 尤其是王陽明和王門後學, 對於講會的制度化和普遍化做出了巨大的貢獻. 王陽明自身極力從事於書院講學二十多年, 爲了顚覆朱子學而打開心學的時代, 王陽明和王門弟子們積極展開了講會活動.從嘉定四年(1525)九月的龍泉寺中泉閣講會開始, 陽明學派四處創建了書院而組織了講會. 這對於講會的制度化和普遍化的促進起到了深遠的作用. 到明末淸初, 以所謂的天下東林講學書院爲中心, 中國書院講會進入新局面. 這個時期講會的特點在於由心學轉向理學、由講學而汎化爲政治的新風氣. 這種新傾向是在當代影響力最大的東林書院領導下形成的. 這個時期, 關中書院、仁文書院、紫陽書院、還古書院等屬於以東林書院爲代表的一個有着鮮明學術特色和政治傾向的天下東林講學書院的範圍內. 由心學轉向理學的最典型的書院就是徽州紫陽書院和還古書院. 特別是淸初還古書院, 從順治元年(1644)到乾隆六年(1741), 在尊孔宗朱的講會宗旨下展開了總124次的新安六邑大會. 這是明淸時期中國書院講會史當中的一大事件.

      • KCI등재

        명대 말기 학술공동체와 정치 네트워크 연구 - 동림과 복사를 중심으로 -

        신현승 ( Shin Hyun-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중국 명청시기 유교 학술공동체로서의 서원과 강학 네트워크는 획일적 같음을 지양하지 않았다. 오히려 다함께 학술과 정치를 자유롭게 논했다고 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중국 명대 중기부터 본격화된 서원과 강학 제도의 발전과 전개 양상을 살펴볼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담약수(湛若水, 1466-1560)와 왕수인(王守仁, 1472-1529) 등 양명심학(陽明心學) 계열의 학자들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또 명대 말기 양명학 진영에서의 활발한 학술 논쟁과 여러 학술 유파의 등장에 관해서도 이 둘의 존재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확실히 명대 중기 이후 서원 강학의 제도화에 가장 크게 공헌한 것은 역시 양명학파, 즉 왕수인과 그의 제자들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양명학 좌파)과의 격렬한 학술 논쟁을 전개한 주자학 계열의 동림학파 및 주자학·양명학의 절충과 융합을 시도한 즙산학파의 유종주를 빼놓고서도 명말청초의 중국 유교사상사를 이해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이 논고는 중국 전근대의 서원과 강학의 전통을 연구범위의 시야에 넣으면서 명대 말기에 이르러 활화산처럼 흥성한 서원과 결사 및 강학의 유교 학술적, 정치적 양상 등에 관하여 동아시아 전근대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한 사례로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중국 송명대 서원과 강학의 제 양상에 관하여 유교 학술공동체라는 측면에서 인식하고 명대의 서원과 강학의 양상이 어떠했는지, 또 명대 서원의 존재 의미 및 강학의 주요 내용인 유교적 학술 담론과 현실 정치적 담론이 어떠했는지 등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여기에 더해 명대 말기 주요한 학술·정치 네크워크로서 동림학파와 소동림(小東林)이라는 불리는 복사(復社)의 전개 양상에 관해서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Academies as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Networks during the period of Ming and Qing, China did not aim at the uniform sameness. Rather, they freely discussed studies and politics altogether.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academ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which became earnest since the mid-Ming Dynasty of China, it is no doubt that we cannot skip the figures in the line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like Zhan Ruoshui (1466-1560) and Wang Shouren (1472-1529).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not to mention the two persons either concerning the appearance of active academic debates and various academic schools from the camp of Yangmingism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Definitely, those who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cademy since the mid-Ming Dynasty was Yangming School, that is, Wang Shouren and his pupils. On the other hand, it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s of China during the late Ming period and the early Qing period without Donglin School in the line of Zhuxiism, who actively developed fierce academic debates with them (Left-wing of Yangmingism)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who attempted the compromise and fusion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This study understood the Confucian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of the academy, incorpor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lourished like an active volcano in the late Ming Dynasty as an example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ies during the pre-modern times in East Asia, putting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ditions during the pre-modern times of China into the scope of research. Thus, this study recognized all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Song and Ming Dynasties, in terms of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and discussed the aspects of the academy and teaching and learning during the Ming Dynasty and the raison d'etre of the academy during the Ming Dynasty and Confucian academic discourse and the real political discourses, which are the main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Donglin School as an important academic and political network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Fushe, which is also called Xiaodonglin.

      • KCI등재

        일반 : 명대(明代) 말기(末期)의 유교(儒敎) 강학(講學)과 유종주(劉宗周)의 강학(講學) 활동

        신현승 ( Hyun Seung Sh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이 논고는 중국 明代 末期 講學의 다양한 양상을 시야에 넣으면서 이 시기에 활동한 즙山 劉宗周(1578~1645)의 유교 講學 활동에 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劉宗周 자신의 학문 발전단계 및 講學 시기를 초기와 중후기로 나누고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劉宗周가 陽明學 좌파의 이론을 배제하면서 ‘주자학·양명학 절충론’이라는 학문세계를 어떻게 구축하게 되었는지, 또 그 자신의 그와 같은 학문세계 구축의 토양을 講學 활동 참가 및 지역의 학술교류라는 시점으로부터 생각해 보았다. 講學 시기 劉宗周의 활동 양상과 인적 네트워크 혹은 학술 네트워크는 후대 즙山學派를 형성케 해준 하나의 계기가 된 것만은 사실이다. 또 명말청초기 劉宗周 후학들이 江南 浙東學派의 연원 및 계보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문제의식을 양성한 토양으로서 劉宗周의 講學 활동을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우선 明代 末期의 유교 講學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미리 살펴보고, 劉宗周의 講學 시기를 초기(1604년 전후)와 중기(1622년 전후) 및 후기(161년 전후)로 나누어 초기(東林書院 시기)와 중기(首善書院 시기)에서의 講學 참가 경험과 제 양상 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후기의 證人書院 시기를 다루면서 그 講學의 제 양상과 증인서원의 두 주역 劉宗周와 陶奭齡의 학문적 성향, 그리고 그와 같은 학술적 경향에 따른 최후의 결별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aimed to revie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by Jishan Liu Zongzhou (1578~1645) active in this period. In other words, it divided the stages of his own academic develop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middle and later stages and inquired into each stage. Through this, it inquired into how Liu Zongzhou constructed an academic world of ‘a compromise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excluding the theory of the left wing of Yangmingism and the soil for him to build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cal academic exchange. It is true that, during hi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at least, the aspects of Liu Zongzhou’s activities and social or academic network were an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formation of the Jishan School to posterit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Liu Zongzhou as the soil that cultivated a critical mind in Liu Zongzhou’s younger students so that they can secure legitimacy of the origin and genealogy of the Jiangnan Zhedong School during the Mingmo-Qingchu period. Thus, this study, first, inquired into ho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developed in the late Ming dynasty, divided Liu Zongzhou’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stage (around 1604), middle (around 1622) and the later part (around 1631) and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and various aspects in the early stage (Donglin Academy period) and the middle stage (Shoushan Academy period). Then, dealing with the Zhengren Academy period in the later stage, it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its teaching and learning, academic tendencies of two leading figures, Liu Zongzhou and Tao Shiling of Zhengren Academy and the process of their final breakup due to such academic trends.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부안지역 반계 유형원 유적보존과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이동희 ( Lee Dong-hee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부안 우반동은 반계의 9대조 유관이 받은 사패지로 알려져 있다. 유관은 태종때 전라감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반계는 32세 때, 1653년(효종 4) 조부 유성민의 3년상을 치르고 우반동으로 이거하여 20여 년을 살면서 『반계수록』을 편찬하였다. 그의 실학과 부안 우반동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반계 유적으로는 그가 살았던 집터와 우물, 후학을 양성했던 서당터, 군사훈련 때 썼다는 돌기둥, 그를 배향한 동림서원지가 있다. 집터인 논자락, 그 위로 공원부지가 조성되고 1974년 우반동 입구에 세운 반계선생비가 옮겨져 있다. 반계서당은 복원되어 있으며, 동립서원터에는 유허비와 주춧돌만 남아 있다. 문화재로는 반계서당 일원만이 지정되어 있다. 현재 반계유적 보존과 활용이 산중턱의 반계 서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중턱에 자리하여 인적이 드물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사람들이 찾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마을에 있던 고택을 복원하거나 반계 관련 시설을 설치하여 반계 유적 보존과 활용의 거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1992년 경지정리 전만해도 담장 등 고택 흔적이 남아 있었다. 서당 또한 콘텐츠가 필요하다. 현재는 빈 건물만 있고 그 안에 아무런 전시물도 없다. 동림서원지는 정비하여 우반동 유적과 연계시켜야 한다. 또 반계 유적과 주변의 자연과 문화유산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부안은 들과 산, 바다를 끼고 있어 자연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고려청자를 비롯한 문화유산의 보고이다. 반계 유적을 자원화하고 반계 실학을 계승하여 지역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호남실학원을 설립하는 것이다. 그래서 호남실학원이 호남지역의 실학을 연구하고, 반계유적 보존과 활성화의 거점이 되며, 나아가 전북과 호남정신을 연구 조사하는 센터가 되어야 한다. Yu Hyeongwon moved to Wubandong in Buan in 1653, where he liv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wrote his most famous book, Bangyesurok. His ruins include the residence where he lived, the site of the seowon where he taught younger students, the stone pillar he used during military training, and the Dongrim Seowon remains, where he is enshrined. At present, only Bangye Seodang is restored an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ite are being carried out, but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untain. So it is very rare for people to se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ore his residence in the village house or to install the facilities related to Bangye and utilize them as a base of his relics. The development of new cultural contents regarding Bangye Seodang is also required. Currently there is only an empty building and there are no exhibits in it. Dongrim Seowon site should be maintained and connected with Wubandong relic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Bangye site and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heritage in linkage with each other. It is most effective to establish a Honam silhak institute to develop Bangye site as a cultural resource and succeed his scholarship to revitalize local culture. The institute, in this way, should be a base for studying silhak in Honam area, becoming a base for revitalizing Bangye site, and researching Jeonbuk and Honam Spirit.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기조강연) 반계 유형원의 학문세계와 그 영향"

        정구복 ( Jeong Gubok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이 글은 한국 실학의 창시자인 반계 유형원(1622~1673)의 학문적 성격을 주로 살펴본 것이다. 그의 학문은 대단히 광범위 하였고 그 저서가 70여 책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그의 저서 중 현전하는 책에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그가 45세 때에 쓴 『동국여지지』로서 이는 우리나라 전국의 군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저술(9권)이고 다른 한 책은 31세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49세 때에 완성한 국가통치제도론인 『반계수록』 26권이다. 이들 현전하는 두 책을 통해 그의 학문적 관심, 성향, 그리고 그 중심 논리를 추론해 보았다. 이 두 책은 다룬 내용은 크게 다르나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저술이다. 『동국여지지』는 『반계수록』이란 저서를 쓰기 위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국여지지』는 조선 후기에 큰 학문경향을 띈 역사지리학 발전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이 책에서 그가 전국의 지리와 국토, 역사를 사랑하고 존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서 그가 추구하는 것은 문학적 표현보다 사실적 기록을 존중하는 학문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국의 지리지를 자신의 저술로 주장하지도 않아 역사지리학의 공적 개념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이 찬자임을 명시하지 않았고 내용을 후대 사람들로 하여금 보완하도록 한 조처가 이를 말해준다. 『반계수록』은 그가 20년에 걸쳐 완성한 국가개혁안이었다. 이는 국가경영학이란 학문 분야를 새롭게 개척한 것이다. 그의 국가 통치제도 개혁론의 근본 정신은 “모든 사람이 자기 몫을 차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근본 정신을 고대의 『주례』에서 찾았지만 그렇다고 그가 고대사회로 복귀하자는 것은 아니었다. 그의 개혁안은 사욕(私慾)이 배제되고 천리(天理)가 구현된 통치제도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천리는 당시의 철학인 성리철학에서 가장 중시한 핵심 개념이었다. 성리학이 자기 수양을 위해서 강조하던 천리의 실현을 개인차원에서 사회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대시켜 끌어 올린 것이다. 그의 학문적 영향은 그가 장기간 살았던 지역 전라도 지역의 후배학자들에게 준 영향과 그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용인시를 중심으로 하는 서울 경기지역의 학자에게 준 영향으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전라도지역에서는 그의 학문보다 행실과 인품을 사모하여 서원을 세워 매년 제사를 올렸으니 부안의 동림서원이 그의 사후 20년만에 세워졌고, 그의 역사지리학은 전라도 순창에 살았던 신경준(1712-1781)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개화기까지 이지방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경기도 서울 권의 영향은 그의 국가경영학이 성호 이익(1681-1763), 다산 정약용(1762-1836)에 의해 계승 발전하였고, 안정복(1712-1791), 홍계희(1703-1771) 등에게 큰 학문적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저술 『반계수록』은 조선시대 당파에 구애되지 않고 모두 칭찬되었고, 영조 46년 1770년에 경상도 감영에서 목판으로 출간되어 조선시대의 준 법전으로 인정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angye Yu Hyeongwon (1622~1673). He authored about 70 books but only two books are extant. One is 『Donggukyeojiji(東國輿地志)』 in 9 volumes and the other is 『Bangyesurok(磻溪隧錄)』 in 26 volumes. He wrote the former at the age of 45 describing the human geography of Joseon and the latter from the age of 31 to 49 discussing the ruling system of it. From the two extant books, his academic interests, disposition and the central logic can be inferred. The contents of the two books are different but closely related. 『Donggukyeojiji』 was the result of organized data to write 『Bangyesurok』. 『Donggukyeojiji』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geography of late Joseon period. From the book, his love and respect for the land and history of Joseon can be identified. He used realistic descriptions rather than literary expressions. He did not claim himself as an author of the book. Instead, he took geography as a public subject and allowed the contents to be supplemented by the future generations. That reveals the public concept of historical geography. 『Bangyesurok』 was a national reformation plan completed in 20 years. An academic discipline of national management was pioneered. His reformation principle of a ruling system was 'Everyone should have his own share.' He claimed the principle originated from 『Jurye 周禮』 but didn't mean to return to the ancient society. His reformation plan was to build a ruling system following natural law (天理) without selfish interests. Natural law was the core concept of Neo- Confucianism at that time. Neo-Confucianism emphasized natural law for self-discipline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from the individual dimension to the social one. His academic influence has succeeded in Jeollado province where he lived for a long time an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entering Yongin where his tomb exists. In Buan, Jeollado, Dongrim Seowon memorial hall was constructed in the 20th year after his death to cherish his behavior and character rather than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has held an annual memorial rite. His historical geography influenced Shin Gyeongjun(1712-1781) in Sunchang, Jeollado and other local scholar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Gyeonggido province and Seoul, his national management succeeded to Seongho I Ik(1681-1763) and Dasan Jeong Yakyong(1762-1836) and influenced An Jeongbok(1712-1791) and Hong Gyehui(1703-1771) greatly. 『Bangyesurok』 was praised regardless of factions and published in wood block printing in 1770 (Yeongjo the 46th year) by the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It was recognized as a quasi-law book in Joseon period.

      • KCI등재

        부안지역 반계 유형원 유적보존과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이동희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Yu Hyeongwon moved to Wubandong in Buan in 1653, where he liv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wrote his most famous book, Bangyesurok. His ruins include the residence where he lived, the site of the seowon where he taught younger students, the stone pillar he used during military training, and the Dongrim Seowon remains, where he is enshrined. At present, only Bangye Seodang is restored an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ite are being carried out, but i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mountain. So it is very rare for people to see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ore his residence in the village house or to install the facilities related to Bangye and utilize them as a base of his relics. The development of new cultural contents regarding Bangye Seodang is also required. Currently there is only an empty building and there are no exhibits in it. Dongrim Seowon site should be maintained and connected with Wubandong relic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Bangye site and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cultural heritage in linkage with each other. It is most effective to establish a Honam silhak institute to develop Bangye site as a cultural resource and succeed his scholarship to revitalize local culture. The institute, in this way, should be a base for studying silhak in Honam area, becoming a base for revitalizing Bangye site, and researching Jeonbuk and Honam Spirit. 부안 우반동은 반계의 9대조 유관이 받은 사패지로 알려져 있다. 유관은 태종 때 전라감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반계는 32세 때, 1653년(효종 4) 조부 유성민의 3년상을 치르고 우반동으로 이거하여 20여 년을 살면서 『반계수록』을 편찬하였다. 그의 실학과 부안 우반동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반계 유적으로는 그가 살았던 집터와 우물, 후학을 양성했던 서당터, 군사훈련 때 썼다는 돌기둥, 그를 배향한 동림서원지가 있다. 집터인 논자락, 그 위로 공원부지가 조성되고 1974년 우반동 입구에 세운 반계선생비가 옮겨져 있다. 반계서당은 복원되어 있으며, 동립서원터에는 유허비와 주춧돌만 남아 있다. 문화재로는 반계서당 일원만이 지정되어 있다. 현재 반계유적 보존과 활용이 산중턱의 반계 서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중턱에 자리하여 인적이 드물고 접근성이 떨어지는 등 사람들이 찾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마을에 있던 고택을 복원하거나 반계 관련 시설을 설치하여 반계 유적 보존과 활용의 거점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1992년 경지정리 전만해도 담장 등 고택 흔적이 남아 있었다. 서당 또한 콘텐츠가 필요하다. 현재는 빈 건물만 있고 그 안에 아무런 전시물도 없다. 동림서원지는 정비하여 우반동 유적과 연계시켜야 한다. 또 반계 유적과 주변의 자연과 문화유산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부안은 들과 산, 바다를 끼고 있어 자연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고려청자를 비롯한 문화유산의 보고이다. 반계 유적을 자원화하고 반계 실학을 계승하여 지역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은 호남실학원을 설립하는 것이다. 그래서 호남실학원이 호남지역의 실학을 연구하고, 반계유적 보존과 활성화의 거점이 되며, 나아가 전북과 호남정신을 연구 조사하는 센터가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