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形+名"、 "名+形"之間的句法語義聯系

        박종임 ( Jong Im Park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6

        본고는 "형용사 + 명사"、 "명사 + 형용사"간의 문장의미의 연관성(句法語義聯系)을 선행된 연구를 기본 바탕으로 정리 분석 하였다. 현대한어 형용사는 성질과 상태를 표현하는 실사(實詞)로써 단어의 품사 분류 기준에 의하여 성질형용사(性質形容詞)와 상태형용사狀態形容詞)로 분류되며, 성질형용사와 상태형용사를 살펴보면 성질형용사는 관형어표지인 "的"가 동반되고, 대다수가 이음절 성질형용사이다. 단음절 성질형용사는 전형적인 성질형용사이고, 이음절 성질형용사는 상태형용사의 성질을 갖는 형용사다.전형적인 성질형용사에는 관형어 표지인 "的"를 동반하지 않으며 직접 관형어(定語)가된다. 상태형용사는 대다수 관형어 표지인 "的"를 동반한다. 본문은 "형용사 + 명사"、"명사 + 형용사"간의 의미(語義)의운용과 어법의 분석을 중심으로 형식과 의미상결합(意義相結合)、 정태적결합(靜態)과동태적결합(動態的結合)、 묘사(描寫)와 해석상결합(解釋相結合)의 원칙에 따라, 형용사가 구체적인 문장일 때 혹은 구체적인 언어환경(語境)일 때 "形+名"의 조합과 의미특징에 대해 세분화하여 분석 하였다. 또한 "형용사+명사", "명사+형용사" 간의 문장의미의 연관성, "형용사"와 "명사"의 조합유형과 기능에 대한 대칭과 비대칭에 대한 문제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 KCI등재

        現代韓語偏正式"形+名"結構

        박종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는 현대한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어법구조이다. 편정결구(편정결구(偏正結構))의 구성(構成), 기능(功能)과 운용(運用)은 많은 언어학자들이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적지 않은 학자들이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어법기능과 편정결구(偏正結構)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같다고 주장한다. 邢公原선생은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偏"이라 하였다. 그것은 어법기능상의 중심어기 때문이고, 전체 구(詞組)의 어법기능을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결정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관형어(定語)、상어(狀語)를 첨가하거나 혹은 취소하여도 어법기능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주덕희(朱德熙)、호명양(胡明揚) 선생들도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만약 좀 더 깊이 있게 분석을 해보면 명사성편정결구(偏正結構)중 관형어(定語)를 첨가하거나 취소하면 중심어의 어법기능이 조금은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호비기(好脾氣)" 이것은 편정결구(偏正結構)의 술어(謂詞)의 어법 기능)이 있고, 술어가"타마마진비기(他瑪瑪眞脾氣)" 라면, 이것은 술어가 없는 어법기능이다. 본문은 주로 형용사(形容詞) +명사 (名詞)를 조합한 편정결구(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에 대해 논하였고, 형용사에 관형어를 첨가하거나 또는 취소 했을 때 중심어의 어법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現代漢語短語的句法結構功能有各種不同的類型. 如果把短語的功能分爲名詞性工能, 動詞性功能和形容詞性功能三類的話, 那馬短語中就不僅有單功能短語, 例如述賓短語和連動短語都只具有動詞性功能, 同位短語只具有名詞性功能;也有雙功能短語, 如述補短語機有動詞性功能("走進來", "洗得滿頭大汗"), 也有形容詞性功能("好得欣"、"淸楚極了");還有多功能短語, 卽包括名詞, 動詞, 形容詞三種功能的, 如聯合短語和偏正短語. 偏正結構是漢語中一種常用的語法結構, 他的構成, 功能和運用, 學者們已作了比較充分的硏究. 不少人認爲偏正結構的語法功能和他中心語的語法功能是相同的邢公原先生指出:"我們把定語、狀語稱爲``偏``, 是因爲他們在語法功能上屬於中心語的, 整個詞組的語法功能取決於中心語的語法功能, 定語狀語的增加或取消對語法功能沒有影響. "朱德熙先生也認爲, "從結構上說, 偏正結構的核心是中心語, 因爲偏正結構作爲一個整體, 語法功能和中心語是一致的. "胡明揚先生說"向心詞組是整個詞組的功能相當於詞組中心語的功能, 如偏正詞組的功能與中心語的功能相同". 這些學者的論述闡明了偏正結構在語法功能上的共同規律. 但是, 如果進一步分析, 我們會發現, 在名詞性的偏正結構中, 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的語法功能有時會産生一些影響. 如:"好脾氣", 這一偏正結構具有謂詞的語法功能, 能作謂語(他瑪瑪眞好脾氣), 但其中心語"脾氣"就不能作謂語(他瑪瑪眞脾氣), 沒有謂詞的語法功能. 本文主要討論形容詞加名詞組成的偏正結構(簡稱爲形名結構), 形容詞定語的增加或取消對中心語語法功能的影響情況.

      • KCI등재

        중국어 관계표지 ‘又A又B’의 ‘A’와 ‘B’에 대한 연구 - ‘A'와 'B'가 형용사 일 때 -

        JINYINGYU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5 No.-

        . 본 논문은 한.중 번역과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급교육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 병렬관계표지 ‘又A又B’의 사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연구이다. 중국어 관계표지 ‘又A又B’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흔히 ‘又A又B’의 전체적인 의미 문법 음율 화행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는 실제 언어 교육 현장에서 지도 효과가 크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존 연구와 달리 ‘又A又B’의 ‘A'와 'B'에 초점을 두고 실제 자료를 근거로 본 격식에 들어갈 수 있는 형용사에 대해 일일이 점검한 후 학습자들에게 본 격식에 들어 갈수 있는 형용사와 들어 갈 수 없는 형용사를 제시하고 또 이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귀납을 시도하여 중국어 교육과 한.중 번역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중국어의 유사 관계표지의 차이점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중국어 관계표지 `우(又)A우(又)B`의 `A`와 `B`에 대한 연구 - `A`와 `B`가 형용사 일 때 -

        김영옥 ( Jin Yingyu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文學 Vol.85 No.-

        본 논문은 한.중 번역과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급교육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 병렬관계표지 `又A又B`의 사용 오류를 줄이기 위한 연구이다. 중국어 관계표지 `又A又B`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흔히 `又A又B`의 전체적인 의미 문법 음율 화행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는 실제 언어 교육 현장에서 지도 효과가 크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존 연구와 달리 `又A又B`의 `A`와 `B`에 초점을 두고 실제 자료를 근거로 본 격식에 들어갈 수 있는 형용사에 대해 일일이 점검한 후 학습자들에게 본 격식에 들어 갈수 있는 형용사와 들어 갈 수 없는 형용사를 제시하고 또 이에 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귀납을 시도하여 중국어 교육과 한.중 번역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중국어의 유사 관계표지의 차이점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현대중국어 "A착(着)VP"구조에 대한 통사분석

        양영매 영남중국어문학회 2015 중국어문학 Vol.0 No.69

        In modern Chinese, some adjectives can accompany “着” a dynamic postposition, and the adjectival phrase “A着” can combine with a verbal phrase to make the “A着VP” structure. The “A着VP” structure is frequently used in actual linguistic discourse, but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it.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types of the “A着VP”structure through analyzing the syntax of the structure and the adjectives and verbs appearing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A着VP”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a connection, modification and predicate-object relation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着” and “VP”. Most of the adjectives appearing in this structure are qualitative adjectives but some may be conditional adjectives. It was confirmed that action verbs with semantic features of [+human description] and [+controllable] mainly appeared.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에 나타나는 중첩과 유경계의 연관성에 대한 대조적 연구

        심지영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reduplication', which is commonly present in various languages, also brings out common functional effects. By presenting the Korean and Chinese examples in which reduplication results in the bounded effect, we aim to validate the theory and arrange the background resources for inter-language contrastive analysis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looks into the following four linguistic phenomena.

      • KCI등재

        “NP+容易/难+V”中“容易”、“难”的词性探讨

        Guo, Xingyan,백지훈 중국학연구회 2017 中國學硏究 Vol.- No.81

        This study examines the lexical categories of ‘容易’ and ‘难’ in ‘NP+容易/难+V’ phrases which are frequently used phrases in the Chinese language. To identify the lexical categories of ‘容易’ and ‘难’ among these phrases, there have been different views as verbal affixes, adjectives and adverbs. This article believes that recognizing lexical categories of ‘容易’ and ‘难’ is an important precondition in analyzing the hierarchical structures, syntactical features and meanings of the two phrases. The previous disagreements on their lexical categories in past studies ar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functions of ‘容易’ and ‘难’ were only observed within limited areas instead of being looked into in different structures and various contexts. This study contradicts previous views regarding ‘容易’ and ‘难’ as verbal affixes or adverbs. Instead, it suggests that they are adjectives that indicate modality and by doing so, it provides firm grou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P+容易/难+V’ phr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