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 실천자로서 중등 사회과 교사의 가능성 탐색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4

        This study try to research on attribute o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cognition about practical principle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for reveal the possibility of principal agent in alternativ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practical principle of issues-centered education has concordance with the core of ‘Beutelsbacher Consent with popular readability. The comparison between social studies teachers’cognition and the others’on ‘Beutelsbacher Consent’, this study made the secondary analysis from the data by stratification sampling on 412 secondary teachers in Seoul with in 2017 precedent questionnaire. The conclusion of analysis reveal tha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group (concluded history and ethics teacher) have higher general cognition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have more positive orientation for practical principles on ‘prohibition of indoctrination’, and student handle with ‘controversy’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in the valid statistics. So it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possibility have more feasible and positive role than the other secondary teachers’. 본 연구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논쟁학습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실천자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중등 사회과 교사와 비사회과 교사 간의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최근 소개된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핵심 내용이 논쟁학습 실천 기반과 정합하고 대중적인 가독성이 있음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정보원·서울교육정책연구소가 주관한「보이텔스바흐 합의 정신에 기반한 학교 시민교육 현장 적용 방안 연구」(2017)에서 서울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 총 412명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차분석(secondary analysis)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도덕·역사과 포함)은 사회과 교사 집단은 비사회과 교사 집단보다 논쟁학습의 실천 원리에 대하여 높은 인식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사회과 교사 집단은 반복과 주입을 지양하는 ‘강제성 금지’ 원리와 논쟁성 있는 쟁점을 교실에서 다루는 ‘논쟁 재현’ 원리에 대하여 높은 인식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울시 사회과 교사 집단은 타 교과 담당 교사집단에 비하여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논쟁학습의 적극적 실천자로서 잠재성과 가능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공론화를 적용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 -숙의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며-

        구정화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consider the use of deliberation discussions in social studies in terms of democratic civil education. According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versial Issue class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Controversial Issue classes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liberation emphasized in deliberative democracy were derived. On the basis of this, the following eight were suggested as considerations for the Controversial Issues classes by applying deliberation. First, it presents a controversial issue. Second, it organizes students into groups for cooperative learning. Third, the necessity of consensus and the social effect of consensus are presented in class. Fourth, before the students decide the pros and cons of a particular issue, they analyze a wealth of data to the issue/controversy. Fifth, within the group, a detailed list of questions related to the issue of controversy is made and classified into what can be agreed upon and what is to be agreed. Sixth, apply the viewpoint correction activity to have students make all of the pros and cons. Seventh, discuss several times. Eighth, after the discussion, ask students to reflect on the part of the argument made within the group that they did not agree with and why. Ninth, reflect on the student's civil experiences felt during the classes. 이 연구는 숙의 민주주의에 기반을 둔 공론화를 적용하여 사회적 합의를 강조하는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은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역할을 하지만, 더하여 시민사회에서 강조하는 합의적 의사소통을 학생이 경험할 수 있도록 공론화를 적용한 수업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우선 기존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숙의 민주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론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론화를 적용한 논쟁문제 수업방안으로서 아홉 단계의 수업 과정과 그에 따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논쟁문제를 제시하고 학생의 의견을 파악한다. 둘째, 협동 모둠을 구성한다. 셋째, 논쟁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파악하게 한다. 넷째, 모둠별로 논쟁문제 자료를 검토하게 한다. 다섯째, 모둠 내에서 논쟁문제 관련 자유로운 의견 나눔을 하게 한다. 여섯째, 모둠 내에서 무작위로 찬반 의견을 정한다. 일곱째, 모둠 내에서 토론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번의 토론을 진행하도록 한다. 여덟째, 모둠별로 합의하지 못한 부분과 그 이유 등에 대하여 성찰하게 한다. 아홉째, 토론 과정에서 느낀 자신의 시민적 경험을 성찰하게 한다.

      • KCI등재후보

        민주시민교육이 학생의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이호건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1 후마니타스 포럼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how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process can be organized to develop students' qualities and attitudes as democratic citizens as the school has changed to emphasize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school autonom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ree exampl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ctivitie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analyzing dilemma situations or conflicts that are difficult to reach an agreement and identifying and internalizing conflicting values inherent in them can foster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In other words, by having a socially acceptable attitude toward social issues, i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develop democratic citizenship through value disputes. Second, it helps students develop their qualifications and attitudes as democratic citizens when organizing a democratic civic curriculum centered on solving problems through presenting project-type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mocratic civic education should create a curriculum and school culture that can experience political efficacy, and provide emotional and cultural support for student-led autonomous activities, as well as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본 연구는 학교현장이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민주시민교육 및 학교자치의내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해감에 따라 민주시민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학생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기를 수 있는지 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의 근무교에서 실시한 민주시민 교육활동 중 세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의가 어려운 딜레마 상황이나 갈등을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상충하는 가치들을 파악하여 이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학생의 민주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다. 즉, 사회 쟁점에 대한 사회적으로 수용가능한 태도를 갖춰감으로써 가치 논쟁을 통한 민주적 시민성을 기를 수 있는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프로젝트형 과제 제시를 통해 문제 해결 중심으로 민주시민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학생의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 함양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결과는 민주시민교육을 통해 학생의 시민성을 체화하기 위해 정치적 효능감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학교문화를 조성해야하며, 학생 주도의 자치활동에 대한 정서적, 문화적 지지 뿐 아니라,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사회과 수업에서 동물복지 학습을 통한 민주시민성 함양에 관한 연구

        이진석 ( Jinseok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6 시민교육연구 Vol.48 No.2

        이 연구는 비판인종이론의 사회과 교육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비판인종 이론은 인종문제를 중심으로 교육 현상을 이해하는 학문이자 교육에서의 인종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해당 이론은 미국의 비판법학 분야에서 출발, 현재 교육계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비판인종 이론은 미 법학 계에서 소수인종의 경험을 탐색하지 않으면 실질적 평등을 이루어낼 수 없다는 반성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또한 1995년 사회과를 포함한 교육계에도 소개되었다. 현재 사회과의 학자들은 이 이론을 이용, 사회과 교육에서 인종 문제가 피상적으로 다루어졌음을 비판하고 학생 및 교사들이 인종문제를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위의 주장에 입각, 이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과에서의 인종 문제는 인종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있으나 이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그다지 활발하지 않음을 지적한다. 때문에 이 연구는 비판인종이론을 이용, 사회과를 통해 교사와 학생들이 인종 관련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미국 교육계의 적용 과정 및 비판인종이론의 특징을 서술한다. 여기서 비판인종이론의 특징은 인종 및 인종주의를 중심에 둔 분석, 주류 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을 목적으로 한 연구, 사회 정의의 발전 및 확대에 기여하기 위한 연구, 실질적 증거가 뒷받침되는 연구, 간학문적인 연구를 말한다. 이와 함께 이 연구에서는 비판인종이론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념과 모형이 소개된다. 해당 개념 및 모형은 백인성, 백인특권, 차별의 상호교차성, 주류 내러티브와 대안적 내러티브 및 공동체 문화자산 모형이다. 이들 개념 및 모형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비판인종이론이 사회과 관련 연구 및 실행에 응용되는 예를 제시한다. 이론적으로는 비판인종이론을 통해 다문화교육과 글로벌 시민교육의 융합적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는 성취기준에 백인성등 비판적 인종이론의 개념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교수 학습 분야와 관련 본 연구에서는 쟁점중심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비판인종이론의 개념에 익숙해지는 동시에 관련 문제에 대한 주류 내러티브를 탐색하고 대안적 내러티브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교사 교육에 있어서는 수업 비평을 통해 교사 및 예비 교사들이 대안적 내러티브를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공동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비판인종이론을 이용, 이민자 혹은 그들의 2, 3세들이 그들의 공동체가 지닌 장점을 탐구하고 그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사회과에서 제시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Cruelty to animal has caused a risk that you can go to the disregard for human life. Although the interest in animal welfare is raised, students have not learned animal welfare in school civic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posed the application of the social studies class to cultivate respect for life, caring of others, empathy, etc. through the learning of animal welfare. The subject of animal welfare learning can increase the learner``s motivation because it is always in contact with animals from the day-to-day, the learner has to get an attitude of animal welfare and reflective think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animal abuse faced in life. Respect for life through the study of animal welfare can be uplifting to th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students can cultivate the attitude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positions, and empathy for the pain. It is necessary that we have to apply the animal welfare learning which is good for cultivation of respect for life, humane rights, tolerance, accountability to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hose aim i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 KCI등재

        미국에서 논쟁 수업을 둘러싼 논의 -민주주의 시민교육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진아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4

        Recently, as history educators in Korea have focused on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I investigated how/what the U.S. scholars discussed about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in the history classroom. Despite a variety of topics surrounding these areas, I particularly focused on 1) the rationales for teaching controversy, and 2) the definitions of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which could be the fundamental ground for expanding discussion about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 As for the rationales, I found that teaching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in the U.S. is valued as an effective way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 also found that the U.S. scholars have argued that teaching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closely reflects the discipline of history. The definition of a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 however, was highly debatable, because the viewpoint of whether one topic is controversial or not is deeply related to political power, ideologies, and social discourses in specific situations. Moreover, history educators’ definitions of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vary depending on specific political and social settings. By focusing on major discussions in the U.S., I hope that history educators in Korea compare and contrast different layers of discussions surrounding teaching controversial historical issu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n clearly grasp particular aspects in Korea. 논쟁 수업에 대한 국내 학계의 관심에 발맞추어 미국에서는 논쟁 수업을 둘러싸고 어떠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역사 교과의 논쟁 수업에 관해서는 다양한 화두들이 존재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그러한 화두의 가장 밑바탕이 되는 1) 논쟁 수업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 그리고 2) 논쟁적 주제를 정의하는 문제를 둘러싼 논의에 집중하였다. 관련 문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미국의 역사교육에서는 논쟁 수업이 민주주의 시민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그리고 역사학의 본질을 제대로 살린 교육 방법으로서 옹호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연 무엇이 논쟁적 역사 주제인지를 결정하는 문제는 정치 권력과 사회적 담론, 이데올로기 등을 반영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매우 논쟁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 교과와 확연히 구분되는 역사 교과의 논쟁적 주제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찾기 힘들었고, 논쟁적 역사 주제에 대한 정의 또한 각 사회의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른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 역사교육에서 논의되고 또 실천되고 있는 논쟁 수업의 지형을 한걸음 떨어져 조망해 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및 문항 분석을 통한 역사 영역 적용 검토와 개선 방안

        신소연(So Yeou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는 현행 통합사회 교과에 역사 영역이 적용되고 있는 양상을 검토하여 2028년 이후 통합사회 수능 문항 출제 과정에서 역사 영역을 통합적 관점 하에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하려는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 2023학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통합사회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통합사회 교과서의 서술 분석이 필수적이나 발간 전이므로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현행 교과서를 활용하였다. 2015·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은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변화의 폭을 최소화하였으므로 현행 교과서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무리가 없다는 판단이다. 결과 2022 개정 통합사회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에는 역사 영역이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었으나 전국연합학력평가 문항에는 사실상 반영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가장 큰 원인은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역사과의 관심의 부족함으로 생각되지만 수능 필수 한국사로 인하여 통합사회 과목에서 역사 영역이 약화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는 일각의 견해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결론 통합사회 수능 문항에 역사 영역을 적용하기 위해 역사 영역이 포함된 성취기준 분석 및 양질의 평가 내용 요소 추출 방식을 모색하는 동시에 적합한 문항 유형을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통합사회 교과에 현재 역사과에서 논의가 활발한 민주시민 양성 및 논쟁성, 생태환경사 등의 내용을 타 교과와는 차별적인 역사과의 관점에서 적용하는 방안을 궁구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history domain to the integrated society subject and prepare a plan to apply the history domain practically under an integrated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the integrated society SAT after 2028. Methods To this end,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and the items of the 2023 National Federation Academic Assessment Integrated Society Evalu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integrated social curriculum reflected a large part of the historical domain, but they were not actually reflected in the questions of the National Union's academic evalu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apply the historical domain to the integrated society SAT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and extract evaluation content elements, develop appropriate question types, and ultimately seek ways to apply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controversy, and ecological envi-ronmental history, which are actively discussed in the current history departmen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 조직시민행동(OCB)의 등장배경에 대한 고찰

        김경석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7 經商論集 Vol.34 No.2

        조직시민행동(OCB)은 매우 다양한 학문적 전통들을 하나로 통합하는 학제적 개념이다. 따라서 등장 25주년이 되는 이 시점에 이르기까지 연구자들은 그 명확한 개념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적쟎은 혼돈을 겪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OCB라는 개념의 본원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시 말해 OCB라는 개념이 태동하게 된 그 이론적 근거들을 하나하나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OCB의 동장 배경 혹은 개념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일조하려는 연구목적을 지니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문헌들을 검토해 본 결과 OCB는 경영학 분야의 만족성과논쟁, 사회심리학 분야의 친사회적행동, 그리고 정치철학 분야의 공공시민정신이라는 삼자의 결합이 낳은, 이론적으로는 물론 실제적으로도 매우 흥미로운 개념임이 드러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OCB는 반세기 이상 지속된 만족성과논쟁 즉 조직구성원의 만족과 조직유효성간의 함수관계에 대한 재해석의 과정에서 비롯되어 친사회적행동 및 공공시민정신이라는 여타 사회과학의 연구업적들을 흡수함으로써 성립된 그 착상이 매우 기발한 개념이라 정리할 수 있다.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means individual behavior that is discretionary, not explicitly recognized by the formal reward system, and that in the aggregate promotes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organization. When we think about the significance of OCB, the first thing that comes to mind is its theoretical value, for this construct has broaden the domain of job performance. Its practical value is also worthy of notice. Many scholars suggest that OCB is a meaningful source of organizational slack available to increase overall performance, for it requires no additional resources. But, despite the dramatic quantitative increase worldwide, some scholars are criticising the ambiguous conceptualization of OCB. In fact, there exist at least three different definitions of OCB.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OCE. To trace its conceptual background will be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fuller OCB phenomenon in organizations. In short, we could understand that OCB is an interdisciplinary construct that integrates the various heritag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social psychology, and political philosophy. Specifically OCB is an outcome of satisfaction-performance controversy.

      • KCI등재

        덩정라이(鄧正來)와 사회과학논쟁 -중국(법학)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임상범 ( Sang Bum L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6 No.-

        Deng Zhenglai, A Hayek specialist, ha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bate among Chinese social scientists in the 90s, and yet currently there is no research on him in South Korea. Nonetheless he made important arguments in the fields of social and political sciences in China. He asked three questions. The first was on how to guarantee independence in creation of social science knowledge. The second was on how to create China`s own academic tradition. The last was on how the Chinese intelligent can contribute to the humanity`s future amid the current transformation of laws and social structure in China. For these questions, he suggested ``an ideal picture of the China Law,`` emphasizing the role of the political science in Chin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Of course, at a first glance, the research of Deng Zhenglai seems to be an amalgamation of various Chinese and Western ideas. Further, he exaggerates his role and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may result in questioning the originality of his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author believes such characteristics of Deng Zhenglai can help understand the modern Chinese people, sometimes contradictory and yet full of ambitions, and certain contemporary Chinese scholars who seem to exaggerate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