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중국어 ‘再’와 기타 중복부사와의 혼용오류 분석 및 결합동사 유형 연구

        홍소영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4

        본 논문에서는 현대 중국어 ‘再’의 중복성과 이와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는 ‘又’, ‘也’, ‘还’와의 혼용 오류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再’가 나타내는 이연태, 미연태 의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는데, 학생들의 오답률이 높았던 예문들은 ‘이연태와 미연태 의미로 인한 了자와의 결합여부’ 문제나 혹은 ‘再’가 미연태가 아닌 이연태 의미를 나타내거나’, ‘가설 상황에서의 再 용법’ 등 모두 ‘再’의 상적의미와 관련이 있는 예문들이었다. 본고에서는 ‘再’가 나타내는 미연태와 이연태 의미를 재고찰해 보았는데, 연구 결과 ‘再’는 주로 미래시제에서 미연태 사건에 사용되지만, 비 미래시제에서는 ‘가설문, 습관문, 一V再V’ 구문들에 미연태, 이연태 사건 모두를 서술하는데 ‘再’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再’는 동작, 동태동사와 가장 자유롭게 공기하며, 정태, 순간, 비순간, 심리상태 동사와도 대체로 잘 어울렸지만 속성, 동작상태 동사와의 결합에는 일정한 제약이 있었다. 이처럼 ‘再’자문의 중복의미에는 사건 발생에 대한 시제와 상적 의미, 동사의 의미적 자질, 문장유형 등과도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중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전제로 할 때, 일상생활에서 ‘再’자문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paper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error on the mixed use of repetition adverbs such as ‘也(yě)’, ‘还(hái)’, ‘又(yòu)’ that represent the repeatability or other similar meanings of modern Chinese ‘再(zài)’. The survey shows that students lack the understanding of the ‘aspect’ meaning that ‘再(zài)’ represents. The sample sentences in which the students gave the incorrect answers at a high rate are all for exceptional situations other than the general such as ‘combination with ’了(le)’ due to the meaning of realis and irrealis’, ‘再(zài)’s represented meaning of realis not irrealis’, ‘the usage of ‘再(zài)’ in hypothetical situations’ and etc. As a result of the study, ‘再(zài)’ is mainly used in the future tense to refer to events that have not yet happened, but ‘再(zài)’ used in the non-future tense can be used to describe both realis and irrealis events in ‘the hypothetical sentences, the habitual sentences, and 一V再V sentences’.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再(zài)’ is most freely combined with action verbs and dynamic verbs, and generally goes well with statitive verbs, semelfactive verbs, non-semelfactive verbs, and psychological verbs, but there are certain restrictions in the combination with attribute verbs or action and statitve verbs. As such, the repetition meaning of the ‘再(zài)’ sentences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word ‘再(zài)’, but also by the tense and aspect meaning of the event, and the semantic properties of the verb, so it can be said that ‘再(zài)’ sentences can be accurately used in daily life under the premise of properly understanding these factors in Chinese learning.

      • KCI등재

        給予句的句法和語義分析

        毛海燕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3 No.-

        본 논문은 현대 중국어에서 수여 의미를 나타나는 여러 문장구조의 통사적이고 의미적인 문제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통해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수여의미를 나타내는 '給+V' 형식은 진행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給'는 예기한 목표를 이끌어낸다. 'V+給'형식은 완료태를 표시하며 '給'는 사물이 轉移하는 종점을 이끌어낸다. 'V+給'와 'V+…給'의 차이는 전자는 사물의 전이와 도달이 하나의 통일된 과정이며, 후자는 각기 분리된 과정이라는 점이다. 그 외에 'V+給'형식으로 쓰이는 동사는 모두 외향적인 의미자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受物者를 이끌어낼 때 '給'가 필요한지에 근거하여 送류, 寄류, 잉류 동사로 나눌 수 있다. 그와 반대로 내향적인 의미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들은 뒤에 '給'을 붙일 수 없다. 'V+…給'형식의 동사는 외향적인 동사 이외에 製作과 取得의 의미자질을 가지고 있는 동사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런 동사로 구성된 문장이 수여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또한 동사 뒤의 賓語와 관련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