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 참여분석 : PEO모델을 중심으로

        홍소영,장문영,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1

        PEO모델을 이용하여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 여주군내 초등학교에서 지적장애아동 7명, 담임교사 7명, 양육자 7명, 총 21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 월 9일부터 11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학교기능검사를 통한 양적 연구와 관찰,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 여 사용하였다. 지적장애아동의 참여가 어려운 활동을 조사하고 아동, 학교환경, 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교실활동, 운동장(체육시간), 등교 시 낮은 참여정도를 보였고, 교실 내 이동, 화장실 사용, 급식시간에는 상대적으 로 높은 참여도를 보였다. 아동의 낮은 행동적, 인지적 수행능력을 보조해 줄 수 있는 보조도구는 일반교실에서는 사용 이 제한되었다. 결론 : 일상적인 자조기술을 요하는 활동은 높은 참여율을 보인반면, 일반아동들과 집단을 이루어 활동을 하거나, 수정된 교육 과제가 요구되는 활동에는 참여가 낮았다. 따라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인 아동-환경-과제의 상호작용의 이해 및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 개발

        홍소영,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Methods : From March 2017 to July 2019,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focus meeting,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Rash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sons and items fitness,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Results : Among 141 subjects, 9 (6.38%) in time use and 11 (7.80%) in the occupation area were inappropriate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except for the inappropriate subjects, the 3 items were judged as ineligible items, but 1 item of the occupation characteristics was finally delete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grounds. In the analysis of the scale, 4 points were more appropriate than the 5 point scale, and the separation reliability was .86~.94. Finally, 3 categories (time use, occupation area, occupation characteristics) and 18 items were selected.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tool was selected three categories and 18 questions finally, three categories and 18 questions, and was developed on a four-point Likert scale.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BA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ccupational balance.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7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 및 문항적합도, 문항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141명 중 시간사용에서 9명(6.38%), 작업영역에서 11명(7.80%)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시간사용 적합대상자 132명, 작업영역 적합대상자 130명을 대상으로 문항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3개 문항이 부적합 문항으로 판정되었으나, 이론 및 임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작업특성 영역의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문항의 난이도 분석에서 당신은 가정 내에서 다른 사람을 위한 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의 양은 어떠합니까?, 당신은 정규교육이나 관심분야를 위한 교육을 받고 있습니까? 문항이 높은 난이도를 보였다.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리신뢰도는 .86~.94이었다. 최종적으로 3개 범주(시간사용, 작업영역, 작업특성), 18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결론 : 작업균형 평가도구는 3개 범주 영역, 1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균형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를 활용한 정상 성인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작업균형 분석

        홍소영,홍덕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3

        목적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작업균형의 차이를 확인하고,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의 임상 적용을 위한 표준화 점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정상성인 9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OBA 원자료를 활용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작업균형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였다. OBA의 표준화 점수 산출을 위해 성 별 및 연령을 고려하여 Z 점수, 표준점수, 백분위를 산출하였다. 결과 : 성별 및 연령에 따른 OBA 세 가지 영역의 일부 작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p<.05). 첫째, 성별에 따른 시간사용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 돌보기, 일, 여가/놀이, 총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작업빈도에서는 자기관리, 다른 사람 돌보기, 일, 여가/놀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작업특성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 돌보기와 일에서 차 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시간사용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 돌보기, 교육, 여가/놀이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작업빈도 영역에서는 다른 사람 돌보기, 휴식/수면, 교육, 일, 여가/놀이, 사회참여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작업특 성 영역에서는 일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작업균형의 차이에 근거하여, OBA의 세 가지 영역별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였다. 결론 : OBA를 활용하여 20대부터 50대까지의 정상 성인에 대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작업균형에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OBA가 임상에서 작업균형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balance by gender and age of healthy adults and to show a standardized score for clinical application of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33 healthy adults aged from 20s to 50s. The occupational balance by gender and age was analyzed using the OBA raw data of the study subjec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ANOVA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OBA standardized score, the Z score, standard score, and percentile rank wer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and age. Results :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onfirmed in several occupation in the three areas of OBA by gender and age(p<.05). First, in the area of time use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 of others, work, leisure/play, and total score. In the area of occupational frequ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care of others, work, and leisure/play. And in the area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 of others and work. Second, in the area of time use by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 of others, education, and leisure/play. In the area of occupational frequ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 for others, rest/sleep, education, work, leisure/play,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in the area of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work. Finally, based on the difference in occupational balance by gender and age, standardized scores for each of the three areas of OBA were calculated. Conclusion : The difference in occupational balance by gender and age was confirmed for healthy adults aged 20s to 50s by using the OBA. It is expected that OBA will be usefully utilized as an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occupational balance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역량기반 작업치료 전공교육 진단도구 개발

        홍소영,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3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assessment tool that can diagnose competencies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February 2021,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cus meetings,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expert panel. This survey question was selected through the second expert focus meeting for items that meet the conditions of items with a content validity of .29 or higher and a standard deviation of less than 1.0. The final question was selected by conduct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38 questions in this survey. Results : The finally derived assessment items for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consisted of 3 categories and 30 factors. The reliability is with 17 questions of major knowledge application ability, 8 questions of ethical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on skills ability, and 5 questions of attitude and practical ability(α=.978). Conclusion :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presented for objective evalu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major education.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evaluate the major competency of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t will be possible to help develop and reorganize the major curriculum. 목적 : 작업치료 전공교육을 통하여 전공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9년 9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전문가 패널을 통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용타당도 .29 이상, 표준편차 1.0미만 항목 조건을 충족하는 문항에 대하여 2차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본 조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 38문항에 대하여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 최종 도출된 작업치료 전공교육 진단항목은 3개 범주, 30개 세부요소로 구성되었다. 전공지식 적용 능력 17문항, 윤리의식과 의사소통기술능력 8문항, 태도와 실천 능력 5문항으로 신뢰도는 α=.978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는 작업치료 전공교육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제시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작업치료 전공학생의 전공역량을 평가하는데 활용함으로써 전공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개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여가교육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소영,김경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를 위한 여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발달장애로 진단을 받고 발달센터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5~8세 아동의 어머니로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 한 27명이었다. 여가교육프로그램은 무작위로 선정된 실험군 13명에게 실시하였고, 대조군 14명에게는 다과모임을 실시하였 으며, 주1회 총 6주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148.00±12.32)의 여가태도 평균이 대조군의 평균(147.92±17.08)보다 높았으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는 않았다. 세부항목에서 실험군은 인지적태도와 정서적 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p > .05)를 보인 반면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 < .05). 본 연구 결과 여가교육프로그램 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여가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정 보완한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지원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the leisure attitude test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wenty-seve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randomly assigned to participate either in the treatment (13 mothers) or the control (14 mothers) group.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a leisure educ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participated meeting refreshments once per a week for 6 weeks. Pre- and post-program was measured through the leisure attitude. As a result of the study,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 of leisure attitude (p > .05).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a leisure education program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leisure attitude.

      • KCI등재

        교사의 수업반성이 토의수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소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수업반성이 토의수업행동(토의 구조화 행동, 토의 안내 행동, 토의 유지 행동, 토의 평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교직경력 6년의 초등학교 교사 2명을 연구대상으로 주2회 6주간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교사에게 수업반성 촉진방법과 토의법에 관한 교사 연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녹화를 통한 수업행동의 분석, 동료협의, 반성일지 쓰기의 순환되는 수업반성 과정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수업반성은 교사의 토의수업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 교사는 수업반성을 통하여 토의 구조화, 안내, 유지, 평가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개선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수업반성은 교사의 토의수업행동을 질적으로 개선시킨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chers\ discussion behaviors(behavior to organize discussion, behavior to lead discussion, behavior to maintain discussion, behavior to evaluate discussion) through reflection on teaching. To achieve this purposes,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who have been teaching for 6 years. Methods facilitating reflection on teaching and seminars on their discussion were applied to them twice in a week for 6 weeks. The data about reflection on teaching were gathered from resources such as videotapes of recording their classes, debates among the two teachers, and their reflective journal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reflection on teaching affected changes in discussion teaching behaviors such as behavior to organize discussion, behavior to lead discussion, behavior to maintain discussion, behavior to evaluate discussion. The factors affecting discussion teaching behaviors are teachers\ reflection on teaching experiences, teachers\ individuality, seminars on teaching through discussion. Key words : reflection on teaching, discussion teaching behaviors

      • KCI등재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

        홍소영,Hong, So-Young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및 제도 내에서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전국의 152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31일부터 2019년 6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 제도 인식도, 역할과 수행 인식도를 분석하였고, 근무연수, 근무지역, 업무 분야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에 대한 인식은 2.93±1.049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커뮤니티케어제도의 중요도는 3.94±0.799점, 제도 내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는 4.34±0.763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업무의 중요도는 낙상 예방(4.63±0.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행도는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훈련 (3.94±0.8), 신체 기능 증진훈련(3.94±0.8)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 업무중요도와 수행 인식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노인 커뮤니티케어제도 내 작업치료사의 역할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Methods :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52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from May 31, to June 24, 2019.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awareness, role and performance awarenes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working days, working places, and the field of work. Results : The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as low at 2.93 ± 1.0 but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 care system was 3.94 ± 0.7 and the importanc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system was 4.34 ± 0.7. Fall prevention (4.63 ± 0.7) was the most important in occupational therapist's jobs, and performance was high in instrumental activity daily living training (3.94 ± 0.8) and physical function training (3.94 ± 0.8).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basic data on job task importance and performanc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elderly community care system.

      • KCI등재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 개발과 적용 효과 분석

        홍소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노래를 활용한 영어수업모형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교수효율성에 근거한 지시적 교수모형에 기초하여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61명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개발한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노래 활용 영어수업 모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자가 개발한 노래 활용 영어수업은 일반적인 영어수업에 비하여 초등학생의 말하기능력, 듣기능력 및 학습흥미의 향상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연구자가 개발한 노래 활용 영어수업 모형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교수효율성에 기초한 지시적 수업 모형에 따른 노래활용 영어수업모형은 교실 수업 개선 및 학생들의 말하기,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흥미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English Instruction Model through song and to find the application effects of English Instruction Model through song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s, researcher developed English Instruction Model through song based on Direct Instruction and examined its effects on learner\ 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res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61 students of 3rd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classified into two group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articipated in english instruction through song and comparison group were participated english instruction through textbooks. Experimental period were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learner\ 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rest post-test. And the result of the post-test were analyzed by t-test,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english instruction through so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learning with english instruction through textbooks. Second, learning interest with english instruction through so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learning with english instruction through textbooks. Because english instruction through song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and help learners to memorize basic expressions for a long time and the words of songs can be transferred as real-life expressions. Consequently, English Instruction Model through song based on Direct Instruction was effective on learner\ 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interest.

      • KCI등재

        유아기 아동 어머니의 시간사용과 작업균형분석

        홍소영,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3

        목적 : 이 연구는 2009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생활시간을 분석하고, 작업 영역별 수행 시간량을 통한 작업균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통계청의 2009년 생활시간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69명의 시간사용량 을 분석하였다. 작업영역을 수면, 일상생활활동, 육아, 노동, 여가로 재분류하였고 각 영역별 시간사용량을 기준 으로 작업균형집단과 불균형집단을 분류하였다. 작업균형집단과 불균형 집단의 시간사용에대한 차이를 알아보 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영역별 작업균형 시간범위는 수면이 370~550분, 일상생활활동은 100~230분, 육아는 40~300분, 일 은 210~560분, 여가는 100~360분 이었다. 작업균형집단은 불균형집단에 비해 육아시간이 줄어들었고, 수면과 여가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고, 장애가 있 는 자녀를 둔 가정의 가족지원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홍소영,이준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bility and balance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 Methods : From July to August in 2003, we have performed MVPT, Berg balance test, One-legged Standing test on 35 hemiplegic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 and who were under Occupational Therapy in 4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pears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 0.493 between the Berg Balance Test and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test, which indicates high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dynamic balance sustain ability. (p<0.01).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ne-leg standing test and the visual perception ability test, r=0.407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open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unparalyzed side of the body, r=0.345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close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unparalyzed side of the body, and r=0.332 in the case that the subjects close their eyes and support themselves on the paralyzed side of the bod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bility and static balance sustain ability (p<0.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at visual perception ability affects balance sustainability for hemiplegic patients. Therefore, visual perception ability of the patients should be evaluated in the early stages, and functional prognosis of the patients should be predicted, and the patients should be subject to visual perception ability training programs, thereby leading to anticipation of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목적 : 편마비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균형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연구방법 : 2003년7월1일부터 8월30일까지 35명의 편마비 환자에게 MVPT, 버그균형검사, 한발서기 검사를 실시하고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균형유지능력과 시지각 능력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 편마비 부위, 장애형태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령, 유병 기간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 버그 균형검사와 MVPT간의 상관관계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한발서기검사와 MVPT간의 상관관계는 눈을 뜨고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선 경우와 눈을 감은 경우, 눈을 감고 마비된 쪽으로 선 경우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론 : 편마비 환자에게 있어 시지각 능력과 균형유지 능력 간에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환자의 시 지각 능력을 평가하여 환자의 기능적인 예후를 예측하고 시지각능력 훈련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