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宋代 儒醫 연구 회고

        최해별(Choi, Hae-byoul) 호서사학회 2018 역사와 담론 Vol.0 No.86

        宋代(960-1279)는 의학이 발전하고 의학 지식의 확산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송대 사대부들은 그 이전 시대와 달리 의학을 천시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많은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송대의 독특한 집단이라 할 수도 있고 문화현상이라 할 수도 있는 ‘儒醫’가 등장한다. 이 논문은 송대 유의와 관련한 학계의 연구를 소개하고 그 경향을 파악하여 동아시아 의학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송대 유의에 관한 연구는 크게 세 가지 경향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대부와 의학에 관한 연구에서 유의를 다루고 있으며 이들 연구를 통해 유의가 어떻게 출현했는지 알 수 있다. 둘째, 유의 집단 자체에 대한 연구로 주로 송대 유의의 개념을 규정하고 그것이 의사의 사회적 지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했다. 셋째, 송대 활동했던 개별인물을 중심으로 송대 유의의 전형을 탐색하는 연구이며 주로 유의들이 어떻게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했는지 살폈다. 송대 유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만과 중국 그리고 구미권에서 두드러졌고 일본이나 한국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살펴보면 80-90년대 유의의 등장과 그 배경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오다 진원붕의 연구로 일단락되었다. 진원붕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유의의 출현 배경과 등장 및 북송과 남송 시기 그 개념의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2000년대 이후부터 송대 의학사 연구에서 유의 문제는 핵심적인 주제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송대 사대부의 의학에 대한 성취와 의학 발전에의 영향 등은 여전히 관심 주제가 되었고 많은 성과들이 나왔으며 그 가운데 유의가 종종 언급되기도 하였다. 그 안에서 유의에 대한 연구는, 유의의 개념과 지위를 규정하려 했던 이전 연구 경향과는 달리 유의 스스로 어떻게 그들의 정체성을 구축하였는지 살펴보는 경향이 나타났다. 송대 유의는 분명 조정의 의학정책과 송대 사대부의 의학에 대한 관심 등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생겨난 개념이다. 통시대적으로 어디에서나 유통되는 개념으로 보기는 어렵다. 명 · 청 시기 또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유의를 볼 때도 그것이 쓰인 역사적 맥락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정된 특수 집단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그 용어가 드러내는 문화적 함의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해 보인다.

      • KCI등재

        困惑與矛盾

        胡坤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2 No.-

        본문에서는 송대에 추천에 관한 법령이 갈수록 엄격해졌지만 그 결과는 폐단을 개혁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폐단이 갈수록 다양해진 현상에서 시작해서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고 아울러 서양의 사회 통제 이론을 받아들여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그리하여 송대에 이러한 현상이 출현한 이유는 먼저 중국 고대 사회에서는 德의 内在적인 통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封建时代의 体制와 중앙집권 정책의 추진이 행정의 과정에서 상부를 행해서 책임을 지는 것이 관원들이 따라야하는 원칙이 되어 이러한 원칙과 관료사회에서 처세하는 방식이 법이 있어도 의지할 수 없고, 법이 있어도 의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조성했다. 이것은 또한 법령이 비록 복잡하지만 집행하기 어렵고 준수하기 어려워서 송대 추천법이 엄격하지만 폐단이 많은 현상을 일으켰다. 이러한 두가지의 원인은 송대의 추천법에만 적용되는 상황이 아니고 거의 모든 중국 고대의 법률 제정과 실시의 상황에 개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중국 고대의 법률 제정이나 실시의 상황에 거의 모두 개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러한 까닭은 荐举制度가 宋代에 실시되면서 법령이 엄격하지만 폐단이 많은 상황은 세 가지의 원인으로 볼 수있는데 그것은 곧 송대에 추천제도를 인사고과의 과정으로 만들었고, 특별히 选人이 京官이 되는 데에는 반드시 추천을 통해야만 실현될 수 있어서 士人들이 科举를 통과한 후에 관료로 살아가는 과정에서 만나는 두 번째 장애가 되었다. 改官한 후에 따르는 거대한 이익과 改官하지 못하여 군색하게 살아가야 하는 사이에서의 대비는 더욱 지나치게 강렬해져서 이 자체가 곧 여러 가지 폐단을 일으키기 쉽게 하였던 것이고, 법령의 层面에서 송대에는 중국 고대 법률제도의 문제점들을 구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곧 추천이 많아질수록 폐단도 더욱 많아지는 추세를 심화시켰다. 本文从宋人对宋代荐举法令愈来愈严密,结果不是救弊,反而造成弊病愈来愈多现象的议论入手,通过对前人研究成果的借鉴并引入西方社会控制理论,对这一现象的产生进行了解释. 认为在宋代之所以会出现这样的现象,首先與中国古代社会不重视德的内在控制有关;其次,封建时代的体制與中央集权政策的推行,造成行政过程中对上负责成为官员奉行的原则,这样的规则與官场处事方式,造成了有法不依、有法难依的情况,这也造成了法令虽繁,却执行难、遵守难,加剧了宋代荐举法密弊多现象的产生. 上述的两条原因不但适用于宋代荐举法令的情况,幾乎可以概括整个中国古代的法律制定與实施的情况. 之所以荐举制度在宋代的实施会出现法密弊多的情况,则取决于第三个原因,那就是宋代将荐举制度纳入到了铨选之中,特别是选人改官必须通过荐举方能实现,成为士人在科举之后,仕途上所遇到的第二大障碍. 改官之后的巨大利益和未能改官的窘迫生活之间的对比又过于的强烈,这本身就极易产生各种弊端,而在法令的层面上宋代又具备了中国古代法律制度的通病,这就进一步加深了荐举法愈多而弊病愈多的趋势.

      • KCI등재

        宋代詩話李白論 -以李白杜甫優劣論爲主-

        우재호,박정순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57 No.-

        성당의 詩仙 李白은 송대 시화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비교적 전면적인 평가가 이루어져, 시화에서 다루어진 이백에 대한 논평은 상당히 풍부하다. 송대 시화에서 다루어진 이백에 대한 평론을 통하여, 송대 시단이 唐詩에 대해 가졌던 인식과 영향의 정도를 탐색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송대 시학 발전의 특색을 체현할 수 있다. 이백과 그의 시가에 대한 더 깊은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이백과 杜甫의 우열론에 대해 초보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백과 두보는 당대의 걸출한 두 시인으로, 문학비평의 각도에서 이백의 시를 논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보를 언급해야 하기 때문에, 이백과 두보의 시가 창작과 예술 형식의 비교는 송대 시화에서 이백 평론의 독특한 한 범주가 되었으므로, 송대 시화에서 李杜優劣論의 논의는 충분히 전개되었다. 송대 시화에서 이백에 대한 평가는 이백 비평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한 부분이므로, 이백 개인에 대한 더 깊은 연구 내지 송대 문화와 이백이 송대 문화에 끼친 영향을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 상당히 의미가 있다. 송대에는 윤리규범과 도덕이성이 문학비평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므로, 송인들이 이백과 그의 시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시기별로 편차가 있다. 따라서 송대 시화에서 이백과 두보에 대한 새로운 평가는 객관적으로 후세의 이백 두보 연구에 깊은 영향을 미쳐, 당송 시의 특질을 더욱 명확히 이해하고 문학발전의 맥락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추숭을 하든지 폄하를 하든지 후대의 이백 시가에 대한 평론은, 이백과 두보 사이의 차이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송인들의 이론을 답습하거나 발전시킨 것이다.

      • KCI등재

        宋代詩話李商隱論

        우재호,박정순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0 No.58

        宋代 詩話에서는 李商隱의 독특한 詩歌風格, 시인이 드러내고 있는 情性才華 및 用事 등 구체적 시법에 대해 비교적 충분한 평론을 전개하고 있어서, 후인들이 이상은의 시가 세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송대 시화에서 이상은 시가에 대한 평론을 천술하고자 하는 목적은 송대 시화에 담긴 이상은 평론의 핵심 관점을 제시하여, 송대 시화가 어떻게 이상은론을 심화하여 후세 시학에 풍부한 이론적 범주를 제공하였는지를 검토하는데 있다. 송초에는 西崑體의 영향력이 대단하였으나, 서곤체는 내용이 공허하였고, 이상은 시의 화려한 수식과 기교만을 단면적으로 추구하였다. 그러나 서곤체는 단지 晩唐 시풍에 대한 단순한 회귀였지만, 진정한 ``宋調``가 성립할 수 있는데 상당한 공헌을 하였다. 서곤파가 이상은 시가를 추존하고 모방하는데 있어서는, 송인들이 이상은에서 위로 杜甫까지 소급하는 당시 전승의 길을 어느 정도 개척하였다. 이상은 시는 西崑詩派를 통해 宋代에 전면적으로 소개되었으며, 송인들은 西崑體를 통하여 이상은 시를 이해하였고, 동시에 이상은 시와 서곤체의 차이를 인식하였으니, 이것으로부터 송대시화에서 어떻게 이상은 시를 평가하였는지 그 관점을 탐색할 수 있다. 이상은은 시에서 高情遠意한 풍격을 드러내었으며, 宋人들은 대체로 이를 인식하였다. 詠史詩 및 敍志述懷의 작품이 이와 같을 뿐만 아니라,더욱 많은 卽景寄興의 小詩에서도 李商隱 시의 ``高情遠意``를 볼 수 있다. 이상은은 고인의 典故를 자신의 붓 아래 펼쳐내어 자유로이 구사하였는데, 시대의 선후를 불문하고 모두 그의 詩境 중에 출현한다. 이상은 시의 뛰어난 곳은 바로 用事가 深僻한 곳에 있다. 비록 말은 뛰어나지만 뜻이 미치지 못하는 곳은 그의 단점이 있는 바이지만, 송인들은 도리어 이를 기이하다고 여겨 본받았다. 이상은은 用典의 구사를 통하여 함축적이고도 깊이 있게 抒情言志의 창작 목적을 달성하였다. 송대시화에서 이상은 시가에 대한 평론은 칭찬도 있고 폄훼도 있지만, 이 속에는 송대 시학발전의 궤적이 담겨 있다. 서곤체에서 江西詩派로 대표되는 송시 시풍의 확립에 이상은 시작이 미친 영향은 상당히 크다. 송인들은, 특히 송대 중기 이후에는, 學杜의 각도에서 이상은의 시작을 받아들였다. 송대시화에서는 이상은 시의 典麗精工한 사장과 委婉多諷한 풍격이 긴밀하게 결합되었음을 긍정하였다. 또한 이상은 시는 宋人들이 수립한 用事의 전범이 되었다. 宋代詩話에서는 이상은 시가에서의 用事 기교의 가치에 주의를 기울였을 뿐만 아니라, 원숙한 시가 창작수법 속에 담겨져 있는 복잡한 정감 또한 매우 중시하였다.

      • KCI등재

        博物学视野下的宋代琼花诗研究

        후미영 한중인문학회 2022 한중인문학연구 Vol.77 No.-

        Viburnum has a unique image among the many flowers in ancient China, which has aroused great interest in the literati of the Song,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repeatedly mentioned in various genres. Previous studies on viburnum were mainly limited to text search. This study interprets viburnum's poem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history among 130 poems about viburnum by 101 poets of the Song Dynasty. First, this study sorts out the history of natural history in the pre-Song Dynasty and the prosperity of botanical writing in the Song Dynasty. Then, this study discusses the differences between viburnum, barringtonia, and hydrangea macrophylla among the Song people and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ll these three flowers are different." Finally,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analysis of the multiangle interpretation of the viburnum image by the people of the Song dynasty from the point of view of natural history. This study found that the image of viburnum in the poems of the Song Dynasties has undergone a process of change, from a white love flower to a fairy who is demoted to the world, and then to a guardian of the homeland. With the en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viburnum image became a hero who withstood minority nationality and sacrificed for the country. The study of Song Dynasty viburnum poems can not only broaden knowledge of botany, but also can clarify the dispute between viburnum, barringtonia and hydrangea macrophylla from Song to Qing Dynasty, and advance research on Yangzhou's local culture. More importantly, it is also helpful for literature students to use knowledge of natural history to interpret poetry. 중국 고대 문학에서 활용된 여러 가지 화훼 제재 중, 경화(瓊花)는 매우 특이한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송, 원, 명, 청 시기 문인들이 시사를 비롯 여러 문체에서 즐겨 사용하였던 제재이기도 하다. 필자는 그중 송대 시인 101명의 경화시 130수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시들 안에서 송대 문인들이 중시하였던 박물(博物)의 전통이 계승되는 면모를 발견하였다. 아울러 사물에 대한 변별 의식과 특히 양주(揚州) 지역에 대한 문화적인 인식 또한 이 작품들 안에서 구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송대 지방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 문화적 인식과 지역 명물과 명승지에 관한 기록을 통해 당시 문인들이 고도로 융합된 사고를 하였으며 그것이 그들의 창작으로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송대 문인들의 경화시에는 그때 당시 정치의 흥망성쇠, 이민족과의 전쟁 등 여러 역사적 사건에 대한 그들의 관점과 의식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연구들이 다소 고증에 치우쳐 있는 경향이 있어, 본고에서는 박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송대 경화시를 분석 및 고찰해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송대 이전 시기의 박물학 발전사 및 송대 문인들의 식물을 제재로 하는 창작이 흥성하게 된 원인과 배경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송대 문인들이 경화, 옥예화(玉蕊花), 취팔선 (聚八仙)등 세 가지 꽃에 대해 각각 다르게 인식하고 제재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송대 시가 창작에 있어서 활용된 경화의 이미지는 일련의 변화 과정이 있었다. 먼저 하얗고 귀여운 꽃에서 인간 세계에 쫓겨 내려온 선녀로 변하였고, 다시 고향을 지키는 파수꾼으로 바뀌었다가, 마지막에는 남송의 멸망에 따라 이민족과 맞서 싸우는 용사와 순국 충신의 이미지로 변화하였다. 이런 이미지의 변화를 통해 당시 문인들의 의식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고를 통하여 박물학 연구와 문학 연구에 있어서 ‘경화시’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소개할 뿐만 아니라, 송대부터 청대 심지어 근대에 이르기까지 문인들 사이에 있었던 경화, 옥예화, 취팔선과 관련된 논쟁을 해결하는데 조금이나마 실마리를 제공하였기를 기대한다. 또한 지방 문헌 분석을 통해 송대에 문화 중심지였던 양주에 대한지역적 이해를 넓히고, 아울러 경화시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을 시도하는데 일조하였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

        試析宋代“無名醫”的緣由

        楊小敏(Yang, Xiao­Min),王中良(Wang, Zhong­Lia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중국 고대사회의 群體에 관한 연구는 계속해서 학계에 관심을 받았던 분야로서 關士, 농민, 상인, 吏人, 유민, 유망민, 천민, 거지, 여성의 군체 및 지위 등이 모두 연구의 대상이었다. 중국 고대 “醫者”群體에 대해서도 현재까지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있어서 醫事制度나 儒醫 및 女性 醫者 등이 비교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전통 중국 고대사회에서 의료종사자 가운데 전형이 되는 “名醫”가 당시의 사회와 같은 걸음을 하지 않고 명확한 낙후성 혹은 단계성을 가지고 있는가? 혹은 그렇게 된 원인이나 배경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 관심을 가진 연구 성과는 매우 드물었다. 학술계에서 “의료사” 연구의 시야를 역사적 연유로 향하면서 고대사회의 “의료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단순하게 연구하고 토론하거나 “의료기술의 문제”를 약간의 의학 서적들을 해석하거나 제도상의 문제를 정치적인 문제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의료 환경의 문제”를 더욱 깊이 있게 해석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송대에는 누가 명의가 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단순한 “의료기술의 문제”와 “제도의 문제”를 구분하면 곧 “의료 환경의 문제”라는 점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송대 의료 환경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면 宋代는 중국 고대 의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전화 시기이며,醫事制度가 전대의 제도를 계승한 기초 위에 전에 없던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校正하고 정리하고 새롭게 저술한 의학 서적의 수가 전대와 비교해서 훨씬 많으며, 藥物學 등 방면의 새로운 견해는 후세의 의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송대 처럼 醫藥學이 大發展을 이루었던 시기에 춘추시대의 扁鵲, 東漢時期의 華?, 唐代의 孫思邈 等과 같은 유명한 명의가 없었는가 하는 점은 저자로 하여금 정말로 송대에는 이들과 같은 “名醫”가 없었는가에 대하여 의구심을 갖게 하였다. 그와 같이 민간에서 언급하는 대단한 명의 혹은 神醫의 경지에 이른 명의가 송대에는 정말로 없었는가? 본 논문에서는 송대 사회의 의학발전의 개황에서 출발하여 중국고대 의학의 발전과 전승의 특징에 대하여 종합하고 그 이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About Chinese ancient social group, was the research hotspots, relevant scholars, farmers, businessmen and women groups, the status of women, clerks, knave, gangsters, pariah, beggars become research object. The ancient Chinese doctor’s group also has quite a lot of research achievements that the medical institution, Confusion physician, female doctors relatively be concerned, but seldom people concerned why famous doctor in the Chinese ancient social medical has obvious hysteresis and phases rather than with the then social synchronization. Along with the academic circles have outspread “medical history” the study field to the history, researching of the ancient society’s “medical problem” can’t simply discusses, or make “medical technology problem” dissolve into several Ancient Books of TCM, make the “system problem” dissolve into political problems, but also dissolve more research is needed ancient “medical environment problem”. This paper concerns of the Sung Dynasty who as “famous doctor” issues, different from simply “medical technology problems” and “system problem”, which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medical environment problem”. Specific to the Sung Dynasty is discussed content, because the Sung Dynasty is the ancient Chinese medical history of important turning period, not only the medical system in the former generation of foundation are unprecedented height, and calibration, sorting and writings of the Ancient Books of TCM for far more than the former dynasties, pharmaceutical, etc to later generations medical original also has profound influence. But it is puzzling that in this medicine big development period, does not seem to appear with Bian que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Hua tuo in the Eastern han, Sun simiao in the Tang Dynasty etc equate medical experts. Those fantastic “famous doctor” in the folk gossip, certainly isn’t appeared in the Sung Dynasty? This article is going to from the social medical development situation, combining with ancient Chinese medical development and inheriting characteristics, and try to analyze why “No Famous doctor” in the Sung Dynasty.

      • KCI등재

        因感与矛盾 : 宋代芽孝法密弊多理象的街液

        胡坤 전북사학회 2009 전북사학 Vol.0 No.34

        법률의 疏密과 사회治亂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작업은 그 역사가 아주 오래된 것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많은 학자들이 법률이 세밀해지는 것이 각종 사회의 모순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고 동시에서 서양의 사회통제이론을 적용하여, 宋代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것에 대해서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송나라 사람들이 송대 薦擧制度의 법령이 점점 엄밀해진 결과 그 폐단을 없어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폐단을 만들어냈다고 지적한 것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하였다. 송대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첫째, 중국 고대사회에서는 덕이 내재된 통제를 중시하지 않았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두 번째로는, 봉건시대의 체제와 중앙집권정책의 추진이 행정과정 중에서 상향적 책임을 관원들이 명령을 받들어 수행하게 하는 원칙을 만들어냈고, 이러한 규칙과 관료사회의 일처리 방식은 법은 있지만 그것에 의거하지 않거나 법은 있지만 의거하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었다. 이것은 동시에 법령은 세밀해졌으나 오히려 집행하는 것과 준수하는 것을 어렵게 하였으며, 이로써 송대 추거제도가 법령이 세밀해질수록 폐단은 많아지는 현상이 더욱 격화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두 가지 원인은 송대 천거법령의 정황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모든 중국고대의 법률제정과 실시정황을 거의 다 개괄할 수 있다. 송대에 추천제도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법령이 세밀해질수록 폐단은 많아지는 현상을 초래한 원인은 세 번째 원인을 통해서 규명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송대에는 천거제도가 銓選체제 안에 포함되었기 때문인데 특히 選人을 추천하여 관직을 제수하는 과정은 반드시 천거를 통해서만 실현되었기 때문에 士人들은 科擧후에 관직생활을 하면서 두 번째 큰 장애물을 만나게 된다. 선인으로 관직에 추천된 후에는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였을 때에는 궁핍한 생활을 하게 되는 것의 차이는 너무나 뚜렷한 것이어서 그 자신이 각종 폐단을 너무나도 쉽게 만들어냈고, 법령의 영역에서 송대는 중국 고대 법률제도의 일반적인 폐단을 갖추었다. 이것은 한걸음 더 나아가 천거법이 많아질수록 병폐도 많아지는 상황을 더욱 심화시켰다.

      • 송대 『다록(茶錄)』과 『대관다론(大觀茶論)』의 비교 분석

        유수현 ( You Su-hyeon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8 한국예다학 Vol.6 No.-

        본고에서는 송대 茶書인 채양의 『다록』과 휘종의 『대관다론』에 나타난 구성과 주요내용에 관하여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중원은 당대 육우의 『茶經』을 시작으로 다서가 출간되었으며, 宋代에는 중국 고대 다서의 30%를 치지할 정도로 많은 다서가 간행되었다. 송대의 문인들은 그들의 詩賦나 論策 등의 문학적 재능과 정서를 차라고 하는 매개체를 통해 더욱 풍부하게 하였던 것이다. 특히 송대에 출현한 채양의 『다록』은 저술 연대가 1051년(석간본은 1064년)으로 육우의 『다경』이 출간 된지 400여 년 후에 찬술하였고, 『대관다론』(1107-1110)은 채양의 『다록』이 출간된 후 약 60여 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편찬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다서의 편찬자와 구성 및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송대에 출간한 『다록』과 『대관다론』은 송대의 차산업과 차문화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사료로 된다. 두 다서의 공통점은 茶事의 변화에도 전통이 유지되고, 차이점으로는 제조 방법의 발전과 차의 변화에 따른 점다법의 변화 등이 있다. 『다록』에서는 차를 炙茶하였으나 『대관다론』에서는 적차에 관한 내용이 없다. 특히 『대관다론』에서는 『다록』, 『동계시다록』, 『품다요록』등을 섭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송대의 차문화는 중국 역사상 절정이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수준에 있었다. 그렇지만 당시의 출간사정과 광대한 지리적 범위를 고려한다면 특히 다서의 유통과 지식교류가 원활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사정으로 송대에 지어진 채양의 『다록』과 휘종의 『대관다론』은 대체로 찬자의 경험과 견문을 토대로 하여 저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mpar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the composition and major contents of the Chinese Song Dynasty’s literature on tea, Chaeyang’s Darok and Emperor Huizong of Song’s Daegwandaron. This Chinese era saw the publication of various literature on tea, beginning with Yuku’s Dagyeong, and the Song Dynasty’s numerous publications on tea accounted for 30% of ancient China’s documents on tea. Regarding tea affairs, the literati further enriched their literary talents and emotions on poetry and essays through the medium of tea. In particular, Darok by Chaeyang in the Song era was compiled in 1051, which was compiled 400 years later than Lu Yu's Cha Jing. Daegwandaron was compiled some 60 years later than Darok. This study examined the compilers, composition and common points of the two tea documents. The author Chaeyang was an officer in charge of tea affairs in Bukwon, Geonan. The Song-era-published Darok and Daegwandaron are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in studying Song’s tea industry and tea culture. These two documents share some handed-down traditions in common despite the changes in tea affairs, while they are different due to the change in brewing tea according to the change in tea affairs an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s and tea change. Darok mentions the baking of lump tea, while Daegwandaron does not. This alone suggests a change in tea affairs. In addition, the tea records of Chaeyang and Emperor Huizong included many quotations from ancestors’ records. In particular, Daegwandaron mastered Darok, DonggyesiDarok, Pumdayorok, and Bukwonbyeollok. Song’s tea culture was the highest level to the extent that it reached the highest point in Chinese history. However, considering the publication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the expansive geographical range,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distribution of documents on tea and the exchange of knowledge were facilitated. Therefore, Chaeyang’s Darok and Huizong’s Daegwandaronare are generally understood to have been compiled based on their experience and findings.

      • KCI등재

        中國 宋代 金銀器와 花卉文化

        안나연 ( An¸ Na-yeon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4 No.-

        화훼문은 감상의 대상인 화훼를 인간의 조형능력을 사용해 조합하여 예술 전반에 사용한 장식문양을 일컫는다. 이러한 화훼문은 宋代(960~1279)부터 실제 화훼의 모습을 반영하여 예술 전반에서 단독적인 장식제재로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대 금은기의 조형과 문양에서 화훼가 적극 반영되는 점에 주목하여, 화훼문이 유행하게 되는 원인과 사용양상을 송대 사회에서 유행한 화훼문화와 결부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南宋代 窖藏 및 무덤 출토품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茶, 酒具와 首飾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송대부터 보편화 되었던 화훼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화훼가 상징하는 의미와 관련된 茶, 酒文化가 있었고, 머리나 몸에 화훼를 지녀 신분을 드러냈던 송 사회를 반영하고 있었다. 이처럼 금은기를 통해 화훼문화를 조명하는 것은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송대 금은기의 성격을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동시에 송대 도시문화의 특징이 어떻게 금은기에 반영되었는지도 살펴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송대 화훼문화와 화훼문은 동아시아로 전파되는 과정에서 遼와 高麗 금은기에 보이는 화훼문에도 일정 부분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어 중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Flower pattern refers to the decorative patterns used on overall art fields and the flowers, which are the object of appreciation, are made into the patterns by using and combining the formative techniques. Such flower pattern appears as the independent decorative materials in the art fields starting from the Song Dynasty (宋代, 960~1279) in reflection of the actual flow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point on active application of flowers on shapes and patterns of gold and silverwares made during Song Dynasty and tried to examine the reasons why such flower patterns became popular and how they were used by combining with the flower culture that trended in the whole society during the Song Dynasty. Especially, this study targeted on teaware (茶), drinkware (酒具), and hair ornament (首飾) that take the highest proportion among excavated articles and hoards from Southern Song Dynasty. The flower patterns were widely used starting from the Song Dynasty and the flowers with social meanings were expressed in a realistic way. This is because tea culture (茶文化) and drinking culture (酒文化) were associated with the symbol of flowers. In case of, hair ornaments (首飾), the flower pattern reflected the Song Dynasty’s society where people revealed their positions by putting flowers on hair or body. Spotlighting on the flower culture with gold and silverwares holds significance in clarifying the features of Song Dynasty’s gold and silverwares which were not researched previously. At the same time, flower culture shows how the characteristics of Song Dynasty’s urban cultures were reflected on the gold and silverwares. In addition, the flower culture and flower pattern from Song Dynasty are significant as they are partially associated with the gold and silverwares from Liao Dynasty (遼) and Goryeo Dynasty (高麗) in the process of getting spread to East Asian regions.

      • KCI등재

        중국 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 사례와 양상

        최주연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5 No.2

        Bronze mirrors found in pagodas were regarded as simple offerings and thu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studies. Furthermore, the few studies on bronze mirrors enshrined in pagodas have focused on the line-engraved mirrors found in the pagodas of the Kingdom of Wuyu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mirrors enshrined in the pagodas. This study assumes that the bronze mirrors found in many pagodas in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were enshrined for a specific purpose. To explore this assumption and accurately understand the artifa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location and method of enshrinement. The number of bronze mirrors enshrined in pagodas increased during the Kingdom of Wuyue, with the mirrors expressing statues and inscriptions related to Buddhism rather than being simple offerings. This shows that the purpose of the bronze mirror changed. The influence of the Kingdom of Wuyue continued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the pattern of bronze mirror enshrinement changed due to the culture and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The most common types of enshrined bronze mirrors were plain, and bronze mirrors from the Dang dynasty were also used consistently. Plain bronze mirror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this period despite the lingering influence of the Kingdom of Wuyue because it was less laborious to engrave images and inscriptions such as the inscription of Buddha. Additionally, bronze mirrors were valued during this period because of the attention toward the imitation of the archaic bronze(仿古銅器) of the Song dynasty and the influence of the emperor. Moreover, it is believed that bronze mirrors were enshrined in pagodas as offerings as they were deemed valuable at the time. There was a change in the method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pagodas during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During this time, bronze mirrors that were positioned on the floor or in iron boxes were intentionally attached to walls or hung from the ceiling. This method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ttaching to walls or the ceiling(嵌入鏡) and hanging from the ceiling(懸鏡). A typical example of hanging a bronze mirror from the ceiling can be seen in the Jingzhisa Temple Pagoda, and Teng County’s Fushengsa Temple Pagoda contains an example of attaching a bronze mirror to the ceiling. The methods of hanging or attaching bronze mirrors to the ceili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ethods employed in Chinese tombs. Song dynasty burial chambers had a high and wide structure, so to defend against evil spirits(辟邪用), bronze mirrors were used to protect the burial rooms. Bronze mirrors were, therefore, placed high to illuminate the burial room. This was achieved in the ways mentioned above. As underground chambers became wider and higher, mirrors also protected the important areas of the chambers and illuminated the interiors.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methods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the pagodas during the Kingdom of Wuyue and the Song dynasty arose from the method of enshrining bronze mirrors in tombs at the time. Thereafter, pagodas, such as the Miaojuesa Temple Pagoda, in which the placement of a bronze mirror was actively considered from the design stage were constructed. 탑에서 발견된 동경은 단순 공양품으로 여겨져 동경 연구에서도 크게 관심 받지 못했다. 그리고 탑 내 봉안 동경 연구는 오월국 탑에서 발견된 선각불상문경에 집중되어 있어, 탑 내 봉안 동경에 대한 전반적 특징을 알기 어려웠다. 그렇기에 본고는 오대~송대 시기 많은 탑들에서 발견된 동경이 목적을 갖고 봉안되었을 것으로 생각했으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봉안 위치와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오대 오월국시기에 탑 내 동경을 봉안하는 사례가 증가했고, 동경은 단순한 공양품이 아닌 목적을 갖고 불교와 관련된 도상이나 명문이 새겨져 있는 봉안품이었다. 이는 동경의 사용 목적이 변화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송대까지 영향을 끼친다.송대는 오월국의 영향이 꾸준히 이어지면서도 송대 문화와 사회 분위기로 인해 동경 봉안 양상도 변화한다. 봉안된 동경의 종류는 소문경이 다수를 차지하며, 당대 동경도 꾸준히 사용되었다. 소문경은 오월국의 영향으로 선각불상문과 같은 도상과 명문을 새기기 용이했기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또한 당대 동경은 송대 방고동기에 대한 관심과 황제의 영향으로 인해 귀하게 여겨져 탑을 조성할 때 당경을 공양품으로 봉안한 것으로 추정된다.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은 그 방식에서 변화가 있었다. 당대 지궁 바닥이나 철함 내 놓아두던 동경은 의도적으로 벽에 붙이거나 천장에 매달아 놓았다. 이 방식을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여 벽이나 천장에 감입하는 방식(감입경: 嵌入鏡)과 천장에 매달아 놓는 방식(현경: 懸鏡)으로 분류했다. 천장에 매달아 놓는 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하북 정지사탑(靜志寺塔)이 있으며, 천장에 감입한 예로는 하남(河南) 복승사탑(福勝寺塔)이 있다. 이렇게 동경을 천장에 매달고 감입하는 방식은 중국 묘실과의 관련성이 높다. 송대 묘실은 넓고 높은 구조를 갖고 있어, 벽사용 동경을 이용해 묘실을 지키고자 했다. 그렇기에 높은 곳에 동경을 두어 묘실을 비추게 했으며, 이는 앞서 언급한 두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탑 역시 지궁이 넓고 높아짐에 따라 지궁의 중요한 부분을 지키고, 내부를 밝게 비추고자 했다. 따라서 오대~송대 탑 내 동경 봉안 방식은 당시 묘실에 동경을 봉안하던 방식을 차용했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 섬서(陝西) 묘각사탑(妙覺寺塔)과 같이 적극적으로 설계 때부터 감입을 고려하여 동경을 놓을 자리를 마련해 놓은 예도 등장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