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근현대 종교정책 연구 - 대한제국기의 불교정책과 그 대응을 중심으로 -

        이종우 숭실사학회 2014 숭실사학 Vol.0 No.32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근현대 종교정책 가운데, 대한제국의 불교정책과 그 대응 양상을 파 악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대한제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했을 당시의 불교의 상황과 그 의의를 파악하고자 한다. 조선 말기까지 불교는 지배층에 의해 노동력과 공납물 제공처로 전락하고, 거의 멸절 직전에 이르 렀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처능의 상소가 현종에게까지 전달되었다는 것, 운부가 장 길산 세력과 함께 변란을 도모했다는 것 등은 불교가 나름의 정치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사례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식적으로 오랫동안 유지되던 승려의 도성출입 금지가 풀리게 된다. 이것은 일 본인 승려 사노 젠레이가 김홍집에게 건의한 것을, 김홍집이 다시 고종에게 건의함으로서 이루어 진 것이다. 이것은 일본 불교의 조선 침투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과 일본의 문화 침략의 탐 색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노의 건의가 아니더라도, 승려의 도성출입 금지는 곧 해제될 상황이었다.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고 대한제국이 수립된 후, 광무 6년(1902) 4월, 고종은 칙명을 내려 궁내부에 소속된 寺社管理署에서 전국 사찰에 관한 모든 사무를 맡게 했다. 이어서 7월에는 36조 항의 「국내사찰현행세칙」을 발표했다. 「국내사찰현행세칙」은 이와 같이 여전히 봉건적인 요소가 남아 있었고, 불교의 국가 통제의 의도를 강하게 드러낸 동시에, 이전 시기에 비해서 훨씬 완화된 분위기 속에서 불교계의 자주적인 발전을 보장하였다. 그러나 이 「국내사찰현행세칙」은 도첩의 매매, 승려의 사적 알현, 사찰의 뇌물 증여, 관리서 주사의 관명 매매 등 조선왕조의 정치적 부패 로 인해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에서는 「종교의 선포에 관한 규칙」을 발표한다. 이것은 통감부가 강탈한 대 한제국의 국권 가운데 宗務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융희 2년(1908)에는 「寺刹 財産保護令」에 발표되었다. 이것에 대해서는 당시 불교계의 사찰 재산 보호에 대한 요구를 국가 차원에서 허용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국가의 불교 정책은 어느 정도 완화되었지만, 당시 지배층 의 불교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한제국 수립 이전부터 일본 불교는 승려의 도성출입 금지를 해금하고, 대한제국 불교계와 유대 관계를 맺음으로서, 대한제국 불교를 일본 불교에 흡수하고자 노력하였다. 대한제국의 불교정책 과 일본 불교의 유입에 대하여, 당시 불교계는 친일적으로 변하기도 하였고, 불교정책과 일본 불 교의 유입을 발판으로 불교를 근대화시키고자 노력하기도 하였으며, 경허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불교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불교의 풍토를 혁신하고자 노력하였다. 대한제국 당시의 불교정책은 외래종교와 제국주의 세력의 침탈, 그리고 多宗敎 상황으로 바뀌는 환경 속에서 이전의 불교정책과는 다르게 전개되었다. 또한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불교 역시 일본 불교의 침투와 다른 종교와의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 불교의 정체성을 지키고 교단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종교의 근대화의 모습이었으며, 결과적으로 현재의 불교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ing of religious polices and respond of it by the Buddhism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is paper was written focussing on the season of the Korean Empire. The buddhism situation at this season will be able to be determined by this studying. Generally, it is spoken that the Buddhism had been oppressed by Chosun dynasty’s government. However, this situation faced on turning point that is called the open-door. It means that the territory of religions of Chosun dynasty was changed after the open-door. For example, the concept of the freedom of religion entered into Chosun dynasty, and Chosun society was changed into the multiple religion society by the birth of New Religions, and the inflow of Foreign religions. Especially, Japanese Buddhism started to permeate into Chosun cooperating with Japanese imperialism, and influenced to Chosun Buddhism like the removing the ban of entering into the capital of Buddhist monks. However the establishment still had negative sight of the buddhism. The Korean Empire’s religious policies was made on this background. After establishing the Korean Empire, the Rules for operation of the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was enforced. It means that Buddhism policies became moderate, and ensured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Buddhism. However, after concluding Eul Sa Neuk Yak,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made the Rules for Promulgation of Religions. It means that the right of religious polices was robbed by Japan to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and Sinto became staple religion of the Korean Empire. Some part of Korean Buddhist appropriated to Japanese buddhist, and join forces with them. It was the reason why some Korean buddhist thought that Korean policies of Buddhism became moderate thank to them, wanted to modernize Korean Buddhism. The other part of Korean Buddhist, like Kyoung-Hur, tried to protect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民族軍史)적 의의

        조필군 ( Cho Pilgun ) 미래군사학회 2021 한국군사학논총 Vol.10 No.2

        대한제국은 당시 해양세력인 일본의 침략을 거부하고 동시에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종주국으로 여겨왔던 중국으로부터의 자주독립을 병행하면서 대륙세력인 러시아를 선택했던 것이 결국 국권의 상실로 이어졌다. 하지만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황제가 ‘러시아를 선택하여 대한제국이 실패했다’는 역사적 평가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대한제국의 성격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대한제국군과 육군무관학교의 민족군사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군사력 증강을 위한 대한제국의 군사예산의 규모, 군사기구의 개편과 군사력 강화는 부국강병을 위한 핵심정책 사안이었다는 점에서 광무개혁의 산물이었다. 둘째, 항일독립운동사와 민족군사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국군은 대한제국군에서 의병으로, 의병에서 독립군 및 광복군으로 계승되어 오늘의 국군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국군의 뿌리는 대한제국군까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대한제국군의 군제개혁은 근대적 군사체제를 확립하고자 자주적 입장에서 실행하였다는 점이다. 고종 시대의 재조명과 대한제국의 평가는 현재까지도 내재적 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으로 양립한 상태에서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라는 점에서 고종시대와 대한제국의 평가는 이와 같은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민족군사적 관점에서의 재조명이 필요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도 한민족의 역사는 끊이지 않았으므로 민족군사적 관점에서 대한민국국군의 뿌리를 대한제국군까지로 확장함으로써 민족군의 정통성을 계승한 군대임을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Korean Empire refused the invasion of Japan, the maritime power of that time, and attempted its independence from China that had been regarded as the suzerain state for long historically at the same time to go for Russia, the continental power, which led to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after all. However, the historical evaluation that emperor Gojong caused ‘the failure of Korean Empire by going for Russia’ in the era of Korean Empire needs to be reexamined. Paying attention to it, this author has drawn the ethnic arm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rmy of Korean Empire and the Korean Empire military academy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mpire. It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cale of military budget in Korean Empire to strengthen its military power, rearrangement of military organizations, and the enhancement of military power were the products of Gwangmu Reform as those were the issues of core policies for the sake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econ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story of anti-Japanese independent movement and military history of ethnic army, today’s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has originated from the army of Korean Empire, loyal army,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Korean liberation army ; therefore, to discuss the root of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we have to go down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Third, the reformation of the military system in the army of Korean Empire was done in the autonomous standpoint in order to establish a modern military system. Regarding the reexamination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evaluation of Korean Empi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have kept arising up until now while the 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and that of colonial modernization coexisted. In the viewpoint of ‘ All history is the present history’, evaluation on the era of emperor Gojong’s reign and Korean Empire should be re-spotlighted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 army history, not remaining in that dichotomous thinking. Also, because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did last ev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needs to be reestablished that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is the army transmitting the legitimacy of ethnic armed forces by extending it up to the army of Korean Empire.

      • KCI등재

        대한제국시대 출판법의 제정과 출판검열의 법-문자적 기원

        송민호(Song, Minho)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대한제국에서 1909년에 제정된 법률인 출판법의 제정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지향적인 힘들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밝히기 위해서는 우선 대한제국시대 구축된 법체계의 특수성을 거론해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한제국의 이전 시대였던 조선은 대단히 강력한 왕권 국가였고 대한제국 역시 이러한 성격에서 그리 멀지 않았다. 따라서 대한제국 시대에 제정된 법률들은 실질적으로 왕의 권위를 법-문자의 권위로 이전한 것이 아니라 왕의 권위에 대한 연장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고종이 실각하고 실질적으로 대한제국의 통치권한이 일제로 넘어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왕의 통치적 권위가 소멸하면서 이는 법률이라는 문자의 권위로 이전되었다. 대한제국시기에 제정된 출판법은 바로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제정된 법률이다. 그것은 1907년에 제정된 보안법, 신문지법과 마찬가지로 조선이래의 왕도정치에서 왕의 권위로 가능했던 통제적 국면을 법-문자의 권위로 이전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시도는 당시 인민들의 생체적 감각에 있어서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이었다. 이른바 법-문자의 성립을 통한 권위의 이전은 또 다른 형태의 폭력을 배제하고서는 가능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사례로 출판법이 제정되기 이전에 출판법의 적용 대상이 된 『금수회의록』의 저자 안국선의 경우를 분석한다. 안국선은 1908년 출판법이 제정되기 이전에 경찰에 피착되었고, 그가 쓴 『금수회의록』은 압수되었다. 이 사건은 통감부에 의한 통제 구도가 본격화되던 시기에서 출판법의 제정을 예비하기 위한 경찰 권력의 의도적인 행위였다고 볼 여지가 큰 것이다. 이 사건 이후로 출판법의 제정은 급속도로 이루어져 대한제국말기의 통제 구도를 본격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본 논문은 당시 출판법의 내용적 측면에서 특수성을 분석하고 그러한 특수성이 어떠한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왔는가 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try to clarify the variety of powers around the enactment of the publishing law, which was enacted in 1909 in the Korean Empire. To say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peculiarities of the process system was built in Korea Empire. Joseon era, as the era before the Korean Empire, had been powerful kingship nation, the Korean Empire was also very was not far from this. Therefore, the law that has been enacted in Korean Empire era was only the extension of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not the transition from the authority of the king to the law-literal authority. After Gojong had been ousted and the sovereignty of Korean Empire had gone to Japan substantially, the authority of the reign of King which disappears in earnest was transferred to the authority of the word law. Publishing Law, which was enacted in the Korean Empire, was just a law that has been enacted from such historical background. It was the attempt to transfer controlling aspects was possible in the authority of the king in the royal road politics of Korea since Joseon, to the law-literal authority as well as well the Security Law(保安法) and the Newspaper Law(新聞紙法), which was enacted in 1907. Certainly, these attempts was not able to accept naturally in bio-political sense of the people at the time. It was not possible to exclude violence in the another form in the so-called ‘transfer the author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law-character.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 of Ahn Guk-Seon, the author of “A story on animal debates(禽獸會議錄)” who was he subject to the publishing law before the publishing law. Ahn Guk-Seon got arrested by the police before the 1908 publishing law is enacted and books, “A story on animal debates(禽獸會議錄)” which he wrote, were seized. This incident seemed to be a deliberate act of police power for Tong-Gam prefecture(統監府) of Japanese Imperialism to prepare the establishment of publishing law at the time and build the control composition. After this Incident, the enactment of the publishing law progressed rapidly and contributed to full-scale control composition in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era. In this paper, we has investigated such a substantive results particularities brought, analyzing the peculiarities of the content of publishing law at the time.

      • KCI등재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

        김종준(Jongju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57 No.-

        본고는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을 살펴 보았다.대한제국기라 함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를 말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이발견되는 것은 1899년 황성신문이 발간된 이후다. 이 시기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언론과 상소 등을 통해 성균관에 대한 기대를 표출하고 있었다. 보수 유생들이 성균관의 복권을 주장하고 있었던 데 반해 개신유학자층은 부국강병과 문명화의 관점에서 성균관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정부는 겉으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1904년 들어 대한제국 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통감부라는 새로운 정치 권력이 등장했다. 국가적 위기감 속에서 지식인들의 발화도 늘어났다. 그런가운데 통감부는 기본적으로 성균관에 대해 방관자적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확장 속에서 성균관에 대한 기대감은 커져갔고, 통감부도 나름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의 변화 속에서 각 세력의 입장이 복잡하게얽혀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본고는 성균관을 둘러싼 담론에서 두 가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1904년을기점으로 성균관 담론이 변화한다는 점이다. 1904년 이전까지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전통 유학에 기반하여 고등교육기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개신유학자층은 신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국민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1904년 이후에도 보수 유생 본고는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을 살펴 보았다.대한제국기라 함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를 말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이발견되는 것은 1899년 황성신문이 발간된 이후다. 이 시기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언론과 상소 등을 통해 성균관에 대한 기대를 표출하고 있었다. 보수 유생들이 성균관의 복권을 주장하고 있었던 데 반해 개신유학자층은 부국강병과 문명화의 관점에서 성균관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정부는 겉으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1904년 들어 대한제국 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통감부라는 새로운 정치 권력이 등장했다. 국가적 위기감 속에서 지식인들의 발화도 늘어났다. 그런가운데 통감부는 기본적으로 성균관에 대해 방관자적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확장 속에서 성균관에 대한 기대감은 커져갔고, 통감부도 나름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의 변화 속에서 각 세력의 입장이 복잡하게얽혀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본고는 성균관을 둘러싼 담론에서 두 가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1904년을기점으로 성균관 담론이 변화한다는 점이다. 1904년 이전까지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전통 유학에 기반하여 고등교육기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개신유학자층은 신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국민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1904년 이후에도 보수 유생들은 여전히 전통적 유학 교육의 장으로서 성균관을 구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생들은 대한제국 정부의 학교 설립 조칙을 수용하며, 국가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위해 고등교육기관이 필요하다는 분위기에 호응하였다. 국가주의적 교육관은 󰡔황성신문󰡕과 󰡔만세보󰡕 등의 신문과 각종 학회지에서 더욱 명료하게 전개되었다. 이들은 정부의 성균관 방치를 규탄하고, 성균관 구성원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교육관 자체가 국가주의화 하는 속에서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들고자 하는 여론도 강렬하게 일어났던 것이다.둘째, 대한제국 정부와 통감부 모두 성균관 정책 입안을 정치적으로 접근했고,이는 당대 성균관에 관한 담론들과 일정하게 조응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대한제국 정부가 유생층을 포용하기 위해 유교를 종교화하겠다고 선언하고 성균관의 위상 제고 표방을 포기하지 않았던 것처럼 통감부도 기본적으로 유생층의 포섭이라는 정치적 목적 하에 성균관에 대한 정책을 수립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감부 설치 초기 교육 업무를 담당했던 시데하라는 순차적으로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들겠다고 밝혔고 이는 이전 대한제국 정부의 정책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토 통감은 시데하라를 경질했고, 성균관 정책도 보류시켰다.그러다가 1907년 황태자의 성균관 방문, 1908년 순종의 성균관 방문을 계기로성균관학칙을 개정하여 학과 체계를 신식으로 정비하였다. 이는 실업 분야의 보통교육에 주력한다던 통감부 교육 정책에 위배되는 일이었다. 따라서 통감부 시기 성균관 정비는 교육 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외부 정치적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around Sungkyunkwan turninginto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Great Han Empireand found two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changes to the discourse of Sungkyunkwan around 1904, before which both conservativeand reformed Confucian scholars reached an agreement that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should be founded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Relatively speaking, reformed Confucian schola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ew science and took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education, in which they were different from their conservative counterparts. Even after 1904, conservative Confucianscholars still designed Sungkyunkwan as a place of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Confucian scholars, however, responded to the atmosphere of a need fo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to react to the royal edict on school establishment from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and survive in the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The nationalistic view of education developed in an even clearer manner in newspapers such as Hwangseong Shinmun and Mansebo and all kinds of journals. They denounced the way the Government neglected Sungkyunkwan and urged the members of Sungkyunkwan to have an awakening. A strong public opinion emerged to make Sungkyunkwan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as the view of education itself was becoming nationalistic.Secondly, both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and Residency-General made a political approach toward the formulation of Sungkyunkwan policy, which corresponded to the Sungkyunkwan discourses of the times in some constant fashion. Just like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declared to turn Confucianism into a religion to embrace the Confucian scholars and never gave up its claim for the heightened status of Sungkyunkwan, Residency-General seems to have set policies for Sungkyunkwan basically under the political goal of embracing Confucian scholars. Being responsible for education affairs in theearly days of Residency-General, Shidehara announced a plan of turning Sungkyunkwan into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n a sequential manner. His plan did not stray off the old government policy of Korean Empire much. Residency-General Ito, however, replaced Shidehara and put the Sungkyunkwan policy on hold. After the CrownPrince's visit to Sungkyunkwan in 1907 and King Sunjong's visit toit in 1908, the its school regulations were revised with its subject system arranged in a new mode, which went against the educational policy of Residency-General that tried to focus on common education inthe field of business. It is thus natural that the arrangement of Sungkyunkwan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followed the external political purposes rather than the internal perspective of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Residency-General. Som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and their reformed counterparts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Confucian education.

      • KCI등재

        정동(情動)의 수사와 매혹된 관객들-대한제국의 멜로드라마적 재현과 식민의 문화적 기억

        김기란 ( Kim Ki-r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3

        이 글에서는 기존의 사료(史料)가 아닌 새로 발굴된 1900년대 『제국신문』 자료, 특히 「잡보」와 증언 기록을 바탕으로 대한제국의 문화적 기억이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일본 제국주의의 자장 안에 존재했던 대한제국의 역사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확장되는 침략과 식민의 역사에 다름 아니다. 일본 제국주의를 경험한 근대 동아시아 역사의 갈등의 본질이 문화적 기억과 닿아 있다면, 대한제국에 대한 기억들이 집단정체성의 의미를 지닌 문화적 기억으로 정식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당대 일상에서 경험되고 증언되고 기억되어 회자된 사건을 기록했으나 지금까지 발굴 공개되지 않았던 개별적 증언 기록들에 주목했다. 그것을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지금, 여기의 문화적 기억이 구성된 방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에서는 역사적으로 대한제국의 시대이자 일제의 패권주의에 의해 동아시아의 근대가 구성되기 시작했던 1900년대, 멜로드라마적 속성들이 대한제국에 대한 지금, 우리의 문화적 기억을 구성하는데 일종의 사회적 상징코드로 반영된 점에 주목했다. 새로운 세계(구체적으로는 근대 세계)의 고난과 불안정성을 갈등 요소로 선택하고 전근대적 윤리와 도덕을 지닌 선한 사람들을 통제 불가능한 힘과 대면케 하는 멜로드라마의 속성은 일견 근대와 일제라는 착종된 모순된 현실을 동시에 선택할 수 없었던 대한제국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시대와 연동된 멜로드라마적 재현은 일종의 사회적 코드로 기능했고, 사회적 정동효과를 끌어내기도 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멜로드라마적 재현이라는 사회적 틀 혹은 문화적 도구를 통해 매개되는 기억의 방식, 곧 새로 발굴된 기억(memory)의 내용이 아니라, 기억하기(remembering)라는 행위에 주목했다. 지금, 여기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기억으로 전승된 기억이 그 시작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묻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 분석틀로 삼은 ‘멜로드라마적’이라는 속성은 대한제국 시기 사회적 상징코드로 부상하여 대중적 호응을 획득했고,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와 유사하게 일종의 문화적 도구로 기능하며, 대한 제국의 문화적 기억을 매개하는 사회적 틀로 작동했다. 대한제국에 대한 문화적 기억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상징코드로 작동한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구조는 가학적 반식민주의, 무기력한 근대성과 멜랑콜리와 같은 정서를 결집시켰고, 그것은 지금, 여기의 대한제국에 대한 역사적 지(知)를 구성하는 내용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역사를 기억한다는 행위는 치열한 기억의 전쟁을 필요로 한다. 근대 동아시아 일본 제국주의의 자장 속에 존재했던 대한제국의 문화적 기억의 장은 지금, 우리에게 망각될 수 없는 논점을 드러낼 때 그 탐색의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이지만, 그것을 기억하는 것은 지금, 여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In the late of the 1980s, memories began to emerge in a history study as a new way. It is a question of how the past was remembered. The problem on the existing East Asia historical description is that it has been established as a national history of the nation's national history linked to the ideals of national unity. Based on national history, the monopolistic descriptions and historical concepts based on national history have completely alienated the East Asian nations, which have suffered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lso visible in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modern East Asia history shows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can not be built by an nation history. The history of the Korean Empire existed inside the Japanese imperialism. As the nature of the conflict on the modern East Asian history touches the cultural mem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ocess of constituting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So the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based on the newly discovered historical records, especially the Jabbo(social section) in Jekuk-Sinmun, testimony, and documentary records of the Korean Empire to discuss the collective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The article noted that melodramatic representation as the form of a social symbol code and a social framework reflected the Korean Empire. It functioned as a cultural tool to commemorate, configurate, and pass down cultural memories like a monument.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cultural memories of the Korean Empire, melodramatic elements and structures as social symbol codes produced sadistic anti-modernity and melancholism and they are related to the forming of the historical knowledge about Korean Empire. Remembering history requires a fierce memory war. The field of the cultural memory of the Korean Empire which existed in the Japanese Imperialism can now be meaningful when it presents an unforgettable argument in history. History is a passing time, but remembering is the problem about now and here.

      • KCI등재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헌법사적 관계와 그 의미

        허완중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4

        The Korean Empire is connected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 constitutional history. In 1907, when the Japanese forced Gojong to abdicate and disbanded the troops of the Korean Empire, the Righteous Army arose and waged an all-out war with the Japanese army. This has never been attempted by the Korean Empire’s armies, and the war between the Korean Empire and Japan began. In particular, the ‘Creativity Army in 13 provinces’, created by the Righteous armies captains, insisted that they are a fighting organization under public international law while developing an operation to conquer Seoul. At this time, the medical soldiers and the Korean people recognized the War in the Righteous Army since 1907 as an international war between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army. The Righteous armies who were no longer able to work in the country due to the Japanese repression were scattered to Manchuria and Russian Maritime Territory, and there were no more forces left to resist Japan. The Righteous armies within the Russian territory united into one, forming the ‘Righteous Army in 13 provinces’ in 1910. With the formation of the ‘Righteous Army in 13 provinces’, the Righteous Army and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s, which had different tactics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finally established a united front. The ‘Righteous Army in 13 provinces’ requested Gojong to asylum in the Russian Maritime Territory, and Gojong was also willing to exile, but Gojong’s exile was not realized. However, the plan of the Maritime Government in exile was realized without Goj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Government’ in 1914. When the ‘Korean Liberation Army Government’ was dismantled due to Russian oppression, some of its main figures moved to Shanghai and formed the Shinhan Revolutionary Party in 1915 with independence activists there, to elect Gojong as party leader and to exile Gojong to establish an exile government. However, it was discovered by Japanese and failed. Since then, due to the changes in the world situation and the deaths of the main figures of the monarchist, in 1917 there was the ‘declaration of unity in the Great East’ to establish a provisional government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In 1918, Gojong tried to set up an exile government in exile to Beijing, but his death did not make it happen. However, through the March 1st Revolution in 1919, a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in Shanghai, gathering the will of the Korean people. Since t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engaged in active military and diplomatic activities to the extent possible as an exile government. These activities were recognized by the Allied Forces, and the Republic of Korea became independent with the surrender of Japanese in 1945, and by enacting the constitution and establishing a government in 1948, the Republic of Korea stood tall as a whole country. As suc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ucceeded the Korean Empire and fulfilled its role as a link that connects it to the Republic of Korea. In particular, the constitutional historical attempts and efforts leading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ere made in the course of the Korean Empire’s war with Japan, and the existence and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learly show the identity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Republic of Korea. 대한제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헌법사적으로 연결된다. 1907년 일제가 고종을 강제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시키자 일어난 정미의병은 일본군과 본격적인 전쟁을 벌인다. 이는 대한제국 군대가 한 번도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이로써 대한제국과 일제의 전쟁이 시작된다. 특히 정미의병장들이 모여 만든 13도 창의군은 서울 진공 작전을 전개하면서 자신들이 국제공법상 교전단체임을 주장하였다. 이 당시 의병이나 대한인민은 1907년 이래의 의병전쟁을 대한제국과 일제 사이의 국제전쟁으로 인식하였다. 안중근 의사가 자신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을 일본군을 상대로 벌이는 독립전쟁의 하나로 이해한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일본군의 탄압으로 국내에서 더는 활동을 할 수 없게 된 의병들은 만주나 연해주로 흩어졌다. 노령 안의 의병 세력을 하나로 통합하여 1910년 13도의군을 편성하였다. 13도의군 편성으로 항일투쟁에서 서로 전술이 달랐던 의병 계열과 애국계몽운동 계열이 비로소 공동전선을 구축하였다. 13도의군은 고종에게 연해주 망명을 요청하였고, 고종도 망명할 의사가 있었으나 고종의 망명은 실현되지 않았다. 다만, 연해주 망명정부 수립 계획은 1914년 대한광복군정부 건립으로 고종 없이 실현되었다. 러시아의 탄압으로 대한광복군정부가 해체되자 그 중심인물 일부는 상해로 넘어가 그곳의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1915년 신한혁명당을 조직하여 고종을 당수로 추대하고 고종을 망명시켜 망명정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일제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이후 세계정세 변화와 복벽주의 중심인물들의 사망으로 1917년 국민주권원칙을 바탕으로 임시정부를 설립하자는 대동단결선언이 있었다. 그리고 1918년 고종은 북경으로 망명하여 망명정부를 세우려고 하였으나 그의 사망으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1919년 3·1 혁명으로 대한인민의 뜻과 의지를 모아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세웠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망명정부로서 가능한 범위에서 활발한 군사활동과 외교활동을 벌였다. 이러한 활동은 연합군의 인정을 받아 대한민국은 1945년 일제의 항복으로 독립하였고, 1948년 헌법을 제정하고 정부를 수립함으로써 온전한 국가로 우뚝 섰다. 이처럼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대한제국을 계승하고 이를 대한민국으로 이어주는 연결고리로서 기능하였다. 특히 대한제국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데까지 이어진 헌법사적 시도와 노력은 대한제국이 일제와 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이어진 것으로서 이것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존재 및 활동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의 동일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 KCI등재

        장지연(張志淵)의 「황례편(皇禮篇)」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황제례의 의미

        정현정 ( Chung Hyun-j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장지연은 대한제국 선포에 앞서 고종이 황제의 지위에 오를 것을 요청한 이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고, 국가전례 정비 기구인 사례소의 일원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사례소가 폐지된 뒤 황제국 의례인 『대한예전』 편찬 작업을 완료하여 고종에게 올렸다. 대한제국 수립 후 3년째인 1899년, 장지연은 환구단 제사에 조상을 함께 배향하는 ‘교배(郊配)’와 선대 왕의 존호를 높이는 ‘추존(追尊)’이 행해지지 않음을 들어 황제국으로서의 의례가 미비함을 지적하며 「황례편」 제1과 「황례편」 제2를 작성한다. 「황례편」 제1에서 장지연은 교제사에 조상을 배향하는 것에 담긴 ‘보본반시’의 의미를 확인한다. 즉 제왕이 하늘에 제사하고 더불어 조상을 배향하는 것은 존재의 근원에 대한 반추와 성찰의 극치로서, 유가의 이념이 반영된 제천 의례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장지연은 황제의 조상에 대한 배향이 누락된 대한제국의 환구제에 문제제기하며, 제왕이 존재의 근원, 그리고 인간적 가치의 근원에 대한 반추와 성찰을 통해 자신이 만물과 인간이 성립하고 번영해 온 역사의 끝에 존재하고 있고, 조상들이 책임져 온 일을 온전히 계승해야 할 임무가 있음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황례편」 제2에서 장지연은 주나라의 무왕을 비롯하여 역대의 제왕들이 천자의 자리에 오른 즉시 조상의 칭호를 추숭하였음을 밝히며 대한제국 선포 이후 3년째가 될 때까지 고종이 선대 왕들을 황제로 추존하는 예를 거행하지 않은 것을 비판한다. 제왕의 효는 조상의 이름을 높여 부르고 그에 걸맞게 대우함으로써 자신만을 지고의 위치에 두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추존이라는 예에 담긴 유가적 이념이다. 장지연은 ‘천자7묘’의 묘제에 의거하여 태조와 고종의 4대조, 그리고 이조(二祧)를 황제로 추존할 것을 제안한다. 황제국 의례 제정의 맥락에서 장지연에게 대한제국은 유가적 제왕의 나라였다. 따라서 대한제국의 국가전례는 바로 천자국 예제의 수준과 규모에 맞게 정비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장지연은 대한제국이 황제국 의례를 통해 삼대 성왕의 통치를 계승하고 유가 이념을 온전히 담지한 천자국으로 올라서기를 갈망한 것이다. Jang Ji-yeon was one of those who appealed Kojong’s elevation from king to emperor. And as an official of Saryeso, he pubilshed Daehan-yejeon, the book regarding national rituals. In 1899, on The third yea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Daehan Empire, Jang Ji-yeon wrote Hwanglyepyeon and criticized the emperor for not performing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and not honoring ancestors as emperors. According to the Hwanglyepyeon, performing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means returning to and repaying the origin of all existence and human life, therefore emperor reflect on his duty through performing the ritual. In addition, the ancient emperors honored their ancestors as emperors as soon as they ascended the throne, and did not put only themselves on the supreme position. Jang Ji-yeon urged Kojong should perform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in the Sacrifice to Heaven at the Round Altar, and should honor his ancestors as emperors according to Emperor's Seven Chambers System. He desired the Confucian ideology to be reflected in the rituals of the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 KCI등재

        혼돈의 정치 * : 대한제국을 바라보는 다른 하나의 시각

        윤대식(Dae Shik You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8 동서연구 Vol.20 No.2

        일반적으로 대한제국의 출현과 멸망을 그역사적ㆍ정치적 맥락에서 접근한다. 이로부터 대한제국의 성격을 규정할 수 있고, 황제인 고종의 의도와 목표가 무엇이었는지에 따라서 “어떻게 대한제국과 황제를 평가할 것인가?”도 결정할 수 있다. 이 글은 황제를 비롯한 당시 모든 정치주체들이 명확한 문제의식과 목표를 가졌던 것이 아니라 ‘혼 돈’ 상태에 놓여 있었던 것이 아니었는지를 추론해 보는 것이었다. 왜냐하면 당시 정치적 과제가 근대국가의 건설에 집중되어 있었고, 내부적으로 체제의 정비와 외부적으로 열강의 간섭과 침략을 어떻게 배제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과 근대 또는 전제와 입헌 어느 것이든 당시 정치주체들이 한쪽으로 경도되 었거나 양자를 절충ㆍ회통했다는 평가를 내리기보다 그들 모두 어느 것도 정확히 이해 하지 못하고 ‘혼돈’ 그 자체에 놓여 있었을 지도 모른다는 추론도 가능할 것이다. 그근거는 대한제국과 황제출현의 이념적ㆍ법적 토대로서 대한국국제에서 찾아진다. 대한국국제는 대한의 국호를 헌법으로 명문 화한 최초의 헌법적 위상을 지닌 것으로 독립된 주권을 천명했다고 평가받지만, 그 실질은 황제의 전제권이 갖는 무한성과 불가 침성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대한 국국제에 기초한 대한제국은 근대적 입헌주 의에 기초한 국민국가체제로의 발전을 담보 하거나 왕권에 대한 포괄적이고 불가변적 제약도 담보하지 못함으로써 이전 경국대전 체제의 순기능을 계승하지도, 근대적인 민주주의를 적용하지도 못했다. 즉 새로운 것으로 과거에 대해 전적으로 부정하지도 못하고, 과거의 규준으로 새로운 상황을 전적 으로 극복하지도 못함으로써 모든 단계에서 자가당착을 보여주었고, 이로 인해 대한제 국의 탄생과 황제의 존재도 그 혼돈의 결과 였기에 멸망과 식민지 전락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었다. It have been approached on the appearance and fall of Great Han (大韓) Empire in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 But this study contains the deduction that all power elites including Kojong(高宗) who was an emperor might be falling in the state of chaos. The chaos means why they could not decide whether tradition or modernity as a heuristic of new regime. Maybe they did not understand the modernity from outer world. Otherwise did they understand their own traditional possession? The answer also may be ‘No’. Because they made the empire which consolidated emperor’s absolute power. Kukje(國制), which was the constitution of the Great Han empire, emphasized the infinity and inviolability of emperor’s power. That means that empire failed to succeed the traditional vitality and choose the modern rationality. The Emperor and all the power elites fell into the state of chaos. Finally empire was destined for Japanese colony.

      • KCI등재

        대한제국기 연향에서 정재 준비와 공연의 변모

        조경아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5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change of court dance called chŏngjae 呈才 in the Imperial Korea 大韓帝國 period's (1897-1907) the court banquet in terms of preparation and results of performanc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ŭigwe 儀軌 and Chŏngjae mudo holgi 『呈才舞圖笏記』 in the reign of Emperor Kojong 高宗皇帝. The Emperor Kojong had held a Court banquet in 1901 and 1902 to strengthen imperial prestige thru Confucian ceremony. Chinch'anso 進饌所 or Chinyŏnch'ŏng 進宴廳, the bodies which administers the court banquet had been installed in Kyobangsa 敎坊司 or Changnyewŏn 掌禮院. The number of government official had not much been increased during Imperial Korea period. Also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court banquet held in 1902 was the longest one preparing the court banquet, but other cases were similar with before Imperial Korea period. The the court banquet had been prepared similarly as case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because the body administering the court banquet had tent to following the precedents. The portion of ŭinyŏ 醫女 and ch'imsŏnbi 針線婢 was high in the election of female dancers known as chŏngjae yŏryŏng 呈才女伶 in the Imperial Korea. Also the sŏnsangi 選上妓 had been playing a role in chŏngjae. 16 sŏnsangi had played chŏngjae in 1901, 31 in April of 1892, and 37 in November of 1902. They were mostly from South P'yŏngan province and South Kyŏngsang province, and it was in succession of the trend of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number of rehearsal for naeyŏn 內宴 in the Imperial Korea the court banquet had been increased by one after the Emperor Kojong ascended the throne. The expense of clothes for chŏngjae yŏryŏng had been increased also. The cost for the court banquet had been payed by the body in Chinch'anso, and it had been payed by T'akchibu 度支部 later than in the Emperor Kojong. From the external view point of chŏngjae, at first, it showed a expanding tendency of the performance event. Secondly, the number of chŏngjae yŏryŏng and boy dancers called mudong 舞童 had tended to be increased also. From the internal view point, at first, there was some change in chŏngjae akchang 呈才樂章. The change for words to be harmonized with imperial prestige had happened in this period. It had been intended to escalate imperial authority by changing a part of akchang. Secondly, display of dancing was almost same as earlier of in the reign of Emperor Kojong. 고종대 대한제국기 이전과 이후에 정재를 준비하는 과정과 정재 공연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를 의궤와 홀기 기록을 통해 살펴보았다. 대한제국기에에 연향 담당기관인 진찬소나 진연청은 교방사나 장례원에 설치되었다. 이는 대원군이 집권하던 시기에 종친부에 설치되거나, 고종의 친정 이후 군영에 설치되었던 경향과 다르다. 예악이 중심인 연향을 효율적으로 준비하려는 목적이 앞선 듯하다. 연향을 담당하는 임시 관원인 당상과 낭청 수는 대한제국시기에 증가되지 않았다. 또한 연향을 준비하는 기간은 임인년(1902) 11월 진연이 116일로 고종대를 통틀어 가장 길게 준비되었으나, 나머지는 황제국 이전과 비슷했다. 정재 여령의 선발은 대한제국시기에 대체로 의녀와 침선비의 비중이 높았으나, 선상기도 여전이 정재의 한 역할을 담당했다. 신축년 진연과 임인년 4월 및 11월 진연에서도 선상기가 정재 공연에 참여했다. 따라서 대한제국기에 선상기가 정재를 담당하지 않았다는 기존의 논의는 사실과 다르다. 대한제국기 정재의 연습 방향은 이전의 것을 쓰는 대원칙 아래 창사의 연습을 중시했는데, 조선후기를 계승한 측면이 강하다. 습의는 예외없이 외연보다 내연을 위한 습의가 많았다. 그러나 내연의 경우 고종황제 즉위 이전보다 황제 즉위 이후에 습의가 한 차례씩 많아졌다. 정재 의상을 새로 만드는 경향은 대한제국 시기에 와서도 지속되었으며, 정재여령의 복식비 지출도 일부 증대되었다. 연향의 비용을 대한제국 이전에는 왕실의 권력기반이 되는 부서이자 진찬소가 설치된 곳에서 부담했다면, 대한제국 이후에는 대부분의 비용을 탁지부에서 지불했다는 특징을 보인다. 정재의 외적인 측면에서 변화를 살펴보면 형식이 확대되는 측면이 있었다. 첫째로, 공연종목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선후기에 외연보다 내연의 정재공연이 많았는데 유독 임인년 11월의 연향에서는 내연보다 외연에서 더욱 많은 정재가 공연되기도 했다. 둘째로, 정재 여령과 무동의 수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로, 정재별 구성인원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정재의 내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정재악장에서 큰 변화는 없었다. 공연자나 연향의 대상의 격에 맞게 글자를 변화시키는 현상이 있었지만 이는 헌종 이후의 전례를 따르는 것이다. 다만 황제의 격에 맞는 글자의 변화는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둘째, 춤사위에서도 거의 변화가 없었다. 결국, 정재는 대한제국기에 황제의 위상에 걸맞도록 공연 종목과 공연자를 증가시키는 형식적 확대를 시도했고, 내용적으로는 황제의 격에 맞는 정재악장의 부분적 변화를 꾀한 것이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사(史) 검토 및향후 연구과제

        水谷淸佳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is study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ch became active in 2000s,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egories of 1) Music Studies, Dance Studies 2)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3) Gisaeng System and History 4) Other Related researches, and reviewed the accumulative research results and limitations. This study also reviewed database on modern newspaper related to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nd online utilization method to suggest predetermin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In comprehensive analysis on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le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approaches from various Korean studies fields, most researches such as music studies, dance studies,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and history on Gisaeng mainly took place in 2000s and the researches on related field significantly slowed down after 2010. In 2010s, there was no review or utiliz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cluding digital database of modern newspaper published during Daehan Empire Period,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in Korean History Database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Classics] of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lso, there are rich accumulations of numerous news articles and historical material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academic field. Thus, there should be additional and complementary researches and active researches on preceding researches to make [History of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o settle as the part of [History of Korean Wome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ew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fter 2000s. In addition, various Gisaeng-related records that are not found on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s in Daehan Empire Period are in Japanese newspaper,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relying on Korean newspapers to discover and actively utilize the newspapers published by Japanese and newspapers in Japanese language. The phased process on establishment of licensed prostitute system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volved prostitute abolition policy in 1899, formation of district for prostitution in 1904,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testing in 1906, and taxation on prostitute in 1906. However, Gisang was not related to such process and Gisaeng was regarded to have contrasting social properties compared to prostitute. On September 25, 1908, 「Gisaeng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Modern Gisaeng System」 while 「Prostitute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individually. As a result, Gisaeng and prostitute were clearly differentiated in terms of law, policy, and society.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해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1)음악학․무용학, 2)여성학․역사학, 3)기생제도 및 변천사, 4)기타 관련연구 이상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축적된 연구성과와 한계점 등을 고찰하고,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련된 근대신문 DB구축현황과 온라인 활용방법을 제공하여 이들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향후 선결 연구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양한 한국학 분야에서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음악학, 무용학, 여성학, 역사학, 기생제도사 등 대부분의 연구가 2000년대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고, 2010년 이후로는 관련분야의 연구가 매우 주춤한 실정이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근대신문들의 디지털 DB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데이터베이스의 「한국사료총서」, 고전번역원의 「고전원문」 등 기존 연구들에서는 검토․활용된 바가 없고, 아직 학계에 공개되지 않은 다양한 대한제국기 기생 관련기사 및 사료들이 매우 풍부하게 축적되어 왔다. 따라서 2000년대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현 상황 속에서 「대한제국기의 기생사」가 한국여성사의 한 부분에 실제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들에 대한 추가․보완적인 연구와 제분야에서의 연구적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대한제국기(1897~1910년) 한국인 발행 신문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다양한 기생관련 기록들이 당시의 일본어 신문들에도 다수 실려 있기 때문에 한국어(구(舊)한글, 국한문) 신문들에 대한 의존의 한계에서 벗어나,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일본인 경영신문과 일본어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기생관련 기사의 발굴 및 적극적인 활용 또한 실제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