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 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 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 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 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 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 KCI등재후보

        韓國儒學史 분류방법으로서의 主理·主氣 개념에 관한 비판적 연구 : 李震相學派와 田愚學派의 論爭에 관련하여

        이종우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6 No.-

        한국유학사의 분류방법으로서 주로 主理派, 主氣派 개념을 쓰고 있다. 이러한 분류방법은 다까하시 도루가 처음 썼다. 하지만 이 개념은 객관적이지 못하고 편파적이다. 왜냐하면 당시에 主理=正學, 主氣=異端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다까하시는 이황=주리파, 이이=주기파라고 분류하였는데 그것은 곧 이황=정학, 이이=이단이 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객관적이지 못한 것이다. 본래 주리, 주기개념은 이황이 四端=主理, 七情=主氣라고 정의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영남유림 柳??은 이이의 理氣설을 主氣論이며 異端이라고 비판하면서 개념의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개념의 변화는 근현대에 이진상학파와 전우학파간의 主理, 主氣논쟁에서 더욱더 잘 드러난다. 이진상학파는 이황의 계승자라고 자처하면서 자신의 心卽理說을 主理, 正學이라 칭하였으나 이이학파의 心卽氣說을 主氣, 異端이라고 비판하였다. 반면에 이이의 계승자 田愚는 心卽氣說을 主理, 正學이라 하고 이진상의 心卽理說을 主氣, 異端이라고 반박하였다. 그후 대를 이어 양학파는 논쟁을 계속하며 서로를 비판하였다. 물론 이황의 四端=主理, 七情=主氣의 용어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당시 다까하시는 主理=正學, 主氣=異端이라고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李滉=主理, 李珥=主氣라고 한 것은 이황을 지나치게 두둔하는 것이며 객관성을 상실한 편파적인 견해이다. 그의 「李朝儒學史に於ける主理派主氣派の發達」은 1928년에 발표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객관성을 잃은 그의 분류방법을 국내학자들이 아직도 쓰고 있다는 것은 문제이다.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ave been writing the school of Churi(主理) and the school of Chuki(主氣). It was begun by Dakahasi Doraw. But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Because it wrote Churi(主理) is the orthodox and Chuki(主氣) is the heterodoxy. Dakahasi Doraw wrote Yi Whang is Churi(主理) and Yi Yi is Chuki(主氣). That is to say, which means that Yi Hwang is the orthodox and Yi Yi is the heterodoxy. Originally, Yi Whang wrote Four clue is Churi(主理)and Seven feeling is Chuki(主氣). he school of Yi Whang of Yoo Cheek critik that Yi Yi is Chuki(主氣) and it is the heterodoxy. Yi Chin Sang claimed the Theary that Heart is Principles is - Churi(主理) - the orthodox and the Theary that Heart is vigor - Chuki(主氣) - the heterodoxy. Yi Chin Sang is the school of Yi Whang. But Cheon Woo claimed the Theary that Heart is Vigor is - Churi(主理) - the orthodox and the Theary that Heart is Principles is - Chuki(主氣) - the heterodoxy. By this, another day continued on the controversy between the school of Yi Chin Sang and the school of Cheon Woo. Dakahasi Doraw has been knowing Churi(主理) is the orthodox and Chuki(主氣) is the heterodoxy. Because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He wrote is the heterodoxy. Because it was not the object and the one-side. He wrote Churi(主理) and Yi Yi is Chuki(主氣). we must repair.

      • KCI등재

        철학적 개념으로서 ‘주리(主理)’ㆍ‘주기(主氣)’ 재고찰: 역사적 맥락과 지각론적 함의

        김우형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7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controversy surrounding the concepts of ‘juri’ (主理, centering principle) and ‘jugi’ (主氣, centering matter-energy) discussed in Korean Neo-Confucianism,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s philosophical concepts by critically reconsidering the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those concepts. Because the first usage of juri-jugi schemes in ‘modern’ period can be found in Jang Ji-yeon, the existing view that Takahashi Toru ‘devised’ them for the interpretation of Joseon Confucianism is wrong. It is Yi Hwang who used the concepts of juri and juri for the first time. More importantly, he initially used them as a predicate to explain the distinction between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but soon created a frame of confrontation between two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Accepting this frame, Yi I established his jugi position by ‘gi-issuance-only theory’. If Yi Hwang’s ‘mutual-issuance theory’ as juri position emphasizes rationalism, subjectivism, and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a priori principle, Yi I’s theory lays stress on empiricism, objectivism, and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empirical material. In the course of Joseon Neo-Confucianism, juri-jugi schemes continued to be used until Jeong Yak-yong and Choi Han-gi, and the difference i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and the way of thinking is more and more clearly recognized. When considering the their origin in ancient philosophy of China, the mainstream of philosophical thought was jugi, while juri mode of thinking can only be found in Mencius' metaphor of “good nature is like water flowing down.” In the future, researchers need to explore the juri-jugi schemes in more depth and use them for comparative philosophy. 본고는 한국성리학의 ‘주리(主理)’와 ‘주기(主氣)’ 개념에 관련된 ‘근대’ 학술에서의 역사적 맥락과 구체적인 사정을 고찰하고 그 개념들이 지닌 인식론적 함의를 조선시대 사칠논변을 중심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철학적 개념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학술에서 주리‧주기 개념과 관련된 장지연과 다카하시 도루의 논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장지연의 저작으로부터 이 개념들의 용례를 추출하여 조선성리학에서의 지각론적(인식론적) 함의를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이 개념들의 고대철학적 연원을 맹자와 고자를 중심으로 간략하나마 추적해 보았다. 주리‧주기 도식의 ‘근대적’ 연구에의 최초의 활용은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 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조선유학사 해석을 위해 다카하시가 고안한 것이라는 기존의 인식은 잘못된 것이었다. 그러나 주리‧주기 개념을 처음 사용하고 그것에 학문적 입장으로서의 의미까지 부여한 인물은 이황이다. 이황은 주리와 주기를 처음에 각각 사단과 칠정을 설명하는 술어로서 사용했지만, 곧 지각내용을 설명하는 두 가지 지각론적 관점이라는 프레임을 만들어냈다. 기대승과 달리 이이는 이러한 지각론적 프레임을 수용하되, 자신의 주기론적 입장을 ‘기발이승일도설’로 정립시켰다. 그것은 이황의 주리론(호발설)의 합리주의적이고 선험주의적인 경향에 비교할 때, 기에 근거한 경험주의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이 후 조선성리학 전통에서 주리‧주기는 정약용과 최한기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되어 왔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지각론적 입장과 사유 방식의 차이는 분명하게 인지되기에 이른다. 주리주기의 중국 고대철학적 연원을 고찰할 때, 주류적인 중국철학적 사유는 주기였으며 단지 맹자의 “인성이 선함은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과 같다”는 은유에서 주리의 사유를 발견할 수 있다. 정이와 주희, 이황 등은 이러한 맹자 철학의 주리적 측면을 발전시킨 것이다. 앞으로 철학 연구자들은 주리‧주기 개념을 숙고하여 동서 비교철학 등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효석의 『주리야』연구

        이현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6 No.-

        Until now, it has been known that the serial publication next to 「JURIYA(9)」 was not found, and also 「JURIYA(8)」 is left out. However. HoySuk Lee's Novel 『JURIYA』 had been serialized in SINYOSUNG(Modern Girl) from march, 1933 to march, 1934. One of this study's purposes is to correct the misapprehension that 『JURIYA』 is an unfinished text. Most of critics conclude that HoySuk Lee broke from DONBANZA GROUP(the proletariat literature writers' companion) after publishing 『Don』(1933) and swang to the world of lyricism or love and lust. But such that opinion is needed to call in question, because 『JURIYA』 shows how JURIYA's political awareness of a socialist movement grows. In addition to this fact 『JURIYA』 is a very important text to understand 『SUNGWHA』 and 『GEORIEUMOKGA』(a pastoral song on street) 『JURIYA』 shows the conflict between ‘a socialist movement and aesthetic inclination through the various images such as an 'Neung-Geum(apple)' and a public market. Thus this study examine an aspect of HoySuk Lee's literature, "groping and intention" through analyzing 『JURIYA』. 『JURIYA』 that portrays "her general growth" represents the diverse images about female character's class, movement, and sexuality. The female characters in HoySuk Lee's literature are liberal women, who are called by name of nation intermediated by one's wife and one's mother at home. Therefore they are free from the ideology that women should be a wise mother and good wife. At the same time they are relatively set free from 'the illusion for sweet home' that is produced by the modern cultural goods. In conclusion JURIYA is a character who pursue her own sexuality rather than motherhood or a champion of revolution's wife. She leaves home to free herself from the ideology of traditional 'family'. This means that she is not confined in the home where the rearing and reproduction labor are enforced. 이 글은 『주리야』를 분석 대상으로 이 작품을 꼼꼼하게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리야』 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에 앞서 완결 연재본인 「주리야(10)」을 중심으로 이 작품이 미완의 장편이라는 오해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주리야』는 그 동안 「주리야(9)」 이후의 연재본을 찾지 못한 채로 있었을 뿐만 아니라, 「주리야(8)」도 누락된 것으로 알려져 미완의 장편 소설로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효석은 『신여성』지 33년 3월호에 「장편소설 주리야(1)」을 연재하기 시작하여 다음 해 3월에 「장편 소설 주리야(10)」을 끝으로 『주리야』를 완결한다. 더 나아가 이 글은 『주리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효석 문학의 “모색과 지양”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리야』는 ‘운동과 취향’(혹은 ‘사상과 심미’) 사이의 갈등과 모색을 능금 이미지과 공설시장 이미지 등 다양한 표상들 을 통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이효석 문학 연구는 이효석이 「돈(1933)」 이후로 동반자적 경향에서 벗어나 ‘애욕’ 혹은 ‘서정’의 세계로 ‘전향’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주리야』는 이효석이 초기소설에서 보여준 세계와 너무 쉽게 그리고 발 빠르게 ‘전향’하고 있다는 속단에 의문을 갖게 한다. 『주리야』는 초기 소설이 보여준 동반자 작가의 의식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후 발표된 두 편의 중편 소설 성화 와 거리의 목가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작품이다. 『주리야』는 주리야의 “반둥건둥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여성 인물의 계급․운동․성에 대한 표상이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재현되어 있다. 이효석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가정에서의 ‘~의 아내’와 ‘~의 어머니’라는 매개적 위치를 통해 국민으로 호명되는 ‘현모양처’의 이데올로기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동시에 이효석 소설의 여성 인물들은 근대적 문화 상품의 행복한 꿈으로 작동하고 있는 ‘스위트홈’의 환상/이념에도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주리야 역시도 모성이나 투사(혹은 동지)의 아내나 애인이기보다는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추구하는 인물이다. 주리야는 전통적인 ‘가문’의 논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출한 인물이지만 양육과 재생산 노동이 강조되는 ‘가정’과 ‘주부’의 세계로 쉽사리 포섭되지 않고 있다.

      • KCI등재후보

        19세기말 서원 강회를 통한 학파의 분화와 학설의 형성과정 -주리사상을 중심으로-

        정순우 ( Chung Soon-woo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2 No.-

        본 논문에서는 19말 조선의 강회(講會)가 사상의 분화(分化) 과정에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지를 주리(主理) 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이 제기한 심즉리(心卽理) 이론은 그의 사상적 모태 역할을 하였던 퇴계학파(退溪學派)로부터 맹렬한 비판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미묘한 시점에 열린 산천재(山天齋) 강회(講會)는 한주 이진상의 주리론이 과연 남명학파(南冥學派)와 노사학파(蘆沙學派)의 중심부로 무난하게 진입할 수 있는지를 알려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 모임은 사상사적으로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이 모임에 주빈으로 참가한 박만성(朴晩醒)의 경우 이진상이 해설한 태극도설(太極圖說)과 심설(心說)에 대해 본격적인 비판을 제기하였다. 반면 조성가(趙性家)와의 토론은 이진상이 노사학파(蘆沙學派)와의 만남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 강회에 참여하였던 후산(后山) 허유(許愈)는 스승인 이진상의 학설을 경상우도(慶尙右道) 지역에 뿌리내리고, 그의 사상을 남명 학파와 노사 학파 내부에 전달하는데 특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어서 열린 선석사(禪石寺) 강회는 그 동안 퇴계 학파의 강력한 영향권 내에 경상우도 지역의 학문적 지형도(地形圖)가 재편되는 첫 단서를 보여 준다. 도산서원(陶山書院)의 원장(院長)을 역임하였던 이종기(李種杞)가 퇴계의 전통적인 학설을 대변하였다면, 장복추(張福樞)는 퇴계학과는 사상적 성향을 달리하고 있던 여헌(旅軒) 학파의 주리론을 표방하였고, 이진상의 심즉리(心卽理) 설은 주리론의 또 다른 분화과정을 제시해 주고 있었던 것이다. 선석사(禪石寺)의 강회는 영남(嶺南) 주리론의 분화과정을 잘 알려 준다. 한편 도산서원(陶山書院)의 학자들이 주관한 오천강회(浯川講會)는 퇴계의 주리철학이 이진상의 학설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정치적 당파의 색깔을 뛰어 넘어 퇴계학파의 주리론(主理論)과 사상적 흐름을 공유하는 화서(華西) 학파의 장담강회(長潭講會)는 주리철학이 서양을 배척하는 척양(斥洋)의 논리로 전환하는 과정을 드러낸다. 이렇게 19세기 말 각각의 지역에서 진행되었던 강회는 서로 다른 이념적 지평을 유지하면서도, 상호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과 공감의 장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ole of Ganghoe(講會)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ideas, focusing on the flow of Chu-li(主理) philosophy. The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proposed by Han Ju(寒洲) Jinsang Lee(李震相) faced fierce criticism from the Toegye School (退溪学派), which served as the birthplace of his ideology. The Sancheonjae(山天齋) lecture(講會), held at such a delicate point, is a lecture that shows whether Hanju Lee Jinsang's theory of Chu-li(主理) can safely enter the center of the Nammyung(南冥) school and the Nosa(蘆沙) school. Although this meeting had a very peaceful atmosphere on the surface,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a major conflict in ideology. In the case of Park Man-seong (朴晩醒), who participated in this meeting as a guest, he raised a full-fledged critique of the Taegeukdo theory(太極圖說) and the heart-seol (心說) explained by Jinsang Lee.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with Seong-ga Cho(趙性家) provided an opportunity to materialize Lee Jin-sang's meeting with the Nosa School. In particular, Husan(后山) Huo Yu (許愈), who participated in this lecture, took a special role in establishing his teacher Jin-sang Lee’s doctrine in the Gyeongsang-u-do province and transmitting his ideas to the Nammyung School and the Nosa School. The lecture at Seonseoksa(禪石寺) Temple, which was held next, shows the first clue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academic topographical map of Gyeongsang-Udo(慶尙右道), which had been within the strong influence of the Toegye School. Lee Jong-gi(李種杞), who served as the director of Dosanseowon (陶山書院), consistently represented the traditional doctrine of Toegye(退溪). In the case of Jang Bok-chu(張福樞), he argued for the Chu-li theory of the Yeoheon(旅軒) school, which had a different ideological inclination from the Toegye School. Now, Jinsang Lee's theory of Simjeonri(心卽理) became a clear sign suggesting another differentiation process of Chu-li theory. The lecture at Seonseoksa Temple contained the process of eruption of Chu-li thought in Yeongnam(嶺南) province. Meanwhile, the Ocheon Ganghoe(浯川講會) organized by the scholars of Dosanseowon(陶山書院) tells how Toegye's Chu-li philosophy responds to the theory of Lee Jin-sang. And the Jangdamganghoe(長潭講會) of the Hwaseo(華西) School, which shared the ideological flow with the Chu-li philosophy of the Toegye School beyond the color of political factions, turned the Chu-li philosophy into a logic that rejected Western ideology and cultur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lectures held in each reg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ere a forum for discussion and sympathy to seek a new spirit of the times while maintaining different ideological horizons and mutually influencing each other.

      • KCI등재

        기고 : "주기主氣" 개념의 딜레마, 그리고 실학實學과의 불화

        한형조 ( Hyong Jo Han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1 다산학 Vol.- No.18

        시험 삼아 조선 유학의 지형도를 그린 이후, 몇 가지 의문과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 가운데 ``주기主氣``를 둘러싼 문제가 가장 첨예하다. 무엇보다. ``주기``라는 용어가 애매하고 모순되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 가령 주기의 대표자로 우리는 율곡을 꼽는데, 놀랍게도 정작 율곡이나 그 계열들은 (가령 17세기 남당 한원진이나, 한말의 간재 전우 자신들을 결코 주기로 정위하지 않았다는 이의제기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는 개념의 층위를 구분하자고 제안한다. 주기이든 주리이든 공히 리理를 최고의 근원이자 가치로 한다는 점에서, ``리학理學``의 우산umbrella 아래 있다. 실제 이 용어는 오랜 연원을 갖고 있는 주자학의 자기정위이다. 주기-주리는 리학理學 안의 ``하위분지(下位分枝, sub division)``임을 기억하자. 이때 주기는 "리理보다 기氣의 가치를 우선한다"가 아니라 "기의 현실적 작동을 중시하는 사유"의 뜻을 갖는다. 가치와 의미는 그 상위의 리가 쥐고 있다. 그렇다면 주리主理 또한 "리의 현실적 작용을 강조하는 유파"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주기``는 유학자들에게 경멸의 주홍글씨였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져서 거기 붙들릴 필요가 없다. 지금의 시대는 신체와 몸의 욕구를 존중하고, 현실의 변화에 따른 실용적 적응을 건전하게 생각하기에, ``주기``의 이름은 훈장이지 낙인이 아니다. 오히려 ``주기``에 대한 과도한 찬양, 넘치는 기대가 문제이다. 주기가 실학적 성향을 갖고 있으며 조선 후기 개혁 마인드의 토대라는 오래된 기대가 있지만 그러나 사태는 정반대이다. 율곡에서 남당으로 이어지는 ``주기`` 라인의 사고는 놀랍게도, 다른 리학의 갈래보다. 더 ``보수적`` 성향을 노정했다. 그들은 경전의 지식을 고수하고 재래의 예禮의 이상을 현세에 구현하려는 종교적 열망과 책임감에 불탔던 사람들이다. 그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의 욕구와 개성을 억압하고, 주어진 사회 계급과 신분 질서를 존중하고, 가족이나 직업에서 주어진 역할 ``의무``에 헌신하라고 독려했다. 조선 유학에 있어, 주기는 이른바 실학의 기대와 멀리 있고, 실학은 주리의 계열에서 발전했다. My paper mainly explains why and how I use the 主理-主氣framework in this philosophical map of Joseon Confucianism. The terms 主理-主氣are not monopolized by Prof. Takahashi; I find them to be only two trends among six types, which I have analysed "philosophically," not "genealogically." I would like to clarify two false impressions which still prevail. Ironically, 主氣 scholars didn`t identify themselves as 主氣, because the label means "to respect bodily desire first"-condemned in the past, however admirable in modern times. Again, it is an irony that today, we admire 主氣scholars as "realists," and hence we are ready to link the school with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But 主氣, especially in late Joseon, was not "Practical" whatsoever; rather it was Anti-Practical. The core issue is that this term is inherently confusing. Is there a way to resolve this issue? It is easy to fall into the fallacy of interpreting 主氣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This sounds like an anti-Confucian claim because Confucian scholars hold fast to the primary principle of "理is put before 氣." If 主理 is translated as "the tendency to empha-size 理," then every single Confucian scholar of Joseon would be a 主理 scholar. This perplexity has led to the following statement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of 主氣 in order to solve this puzzle. 主氣 is under the umbrella of "理學" in that 理 is the highest basis. Let us not forget that 主氣 and 主理 are sub-strata of 理學. In this sense, 主氣 means to "the thinking that emphasizes the practical movement of 氣" under the sub-strata of 理, and not "the tendency to emphasize 氣 more than 理." If we distinguish the different levels thus, confusion outlined above should be resolved. And 主氣 is not a demeaning term, and it should not longer be used as such. Hasn`t the world changed to the point where the body and its desires are respected nowadays? Furthermore, prac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everyday life makes 主氣more appropriate for today`s living. Rather, excessive praise and great expectation of 主氣 is the issue. People have assumed that 主氣 is closely related to Practical Learning(實學) and is the foundation for the reform-minded in late Joseon. But the actuality was far from it. 主氣 train of thought is surprisingly more "conservativ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Noron Faction`s orthodox 主氣 in late Joseon. The Noron Faction was not interested in building industries, improving systems, or learning new ideas and things from foreign civilizations. Why? Because they clung tenaciously to the Classics and were fired up with religious fervor to realize the propriety outlined in the Classics in this world. They insisted that their members suppress any individual desires, respect social status and their respectively order in the scheme of things, and be self-sacrificing in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them in the family or at work. In conclusion, 主氣 is the furthest from so-called Practical Learning(實學), which, surprisingly enough, developed from the 主理 tradition. There must have been a reason for this paradox. How should we resolve this paradox?

      • KCI등재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한자경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조선유학사에 대한 주리·주기의 분류는 과연 타당한가? 이 문제는 주리·주기의 분류가 식민사관의 창시자 타카하시 토오루에 의해 학문적으로 확립되었다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비판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결론은 한결같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왜 타당하지 않은지를 정확히 밝히려면, 타카하시가 주리·주기로 분류할 때의 분류기준을 찾아내어 그 기준이 왜 적절하지 않은지를 밝혀야 하는데, 그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본고에서는 타카하시가 따른 분류의 기준은 혹자가 논하듯 규범성의 원천도 아니고 또 혹자가 논하듯 리의 실재성도 아니며, 바로 리의 활동성이라는 것을 논하였다. 리의 활동성은 곧 리의 주재성이고 자각성이며, 우주창발의 근원성이고 우리 마음의 영성이다. 이러한 리의 활동성을 인정하는가(주리) 아닌가(주기)의 차이는 퇴계가 고봉을 보고 느꼈던 차이이고, 퇴계학파가 율곡학파를 보고 알아낸 차이이다. 따라서 주리와 주기의 분류는 조선유학자들 자신이 만든 분류이지 타카하시 토오루가 비로소 생각해낸 분류가 아니며, 리의 활동성을 인정하는 퇴계적 관점에서 보면 언제까지나 타당한 분류이다. 오늘날 우리가 주리·주기의 분류를 부당한 분류라고 여기는 것은 우리 자신이 이미 리의 활동성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린 주기론자(유물론자)의 관점에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유중교는 왜 이항로의 심설을 조보(調補)했는가?

        유지웅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7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why Yoo Joong-gyo adjusted and supplemented the theory of the mind by his teacher. Inside the Hwaseo School, there were disputes between Kim Pyeong-muk and Yoo Joong-gyo due to the latter’s attempt at adjusting and supplementing Lee Hangro's theory of the mind. Kim pointed out that Yoo misunderstood their teacher's theory of the mind and refuted him again, which led to the arguments over the theory of the mind in the school.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mind and the bright virtue based on the theory of Li and Qi, Yoo pointed out that one could talk about the bright virtue principally to Li but might face problems with talking about the mind principally to Li. The main reason that he tried to adjust and supplement Lee's theory of the mind wa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Chosun's Neo-Confucianism with the theory of his school. Lee’s way of explaining the mind mainly based on Li could be misunderstoo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Learning of Yangming. This misunderstanding might be a serious blow to the academic legitimacy of their school. As a matter of fact, this misunderstanding was raised continuously by the Ganjae School, which was the biggest group of literary people in the late of the Chosun. Yoo thus decided to provide active explanations about this misunderstanding that could be caused by his teacher's theory of the mind based on the theory. He made a clear distinction in nature as a rule of the mind in order to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ality of the mind. According to him, when the mind performs its main business, it can be the realization of Li’s Jujae(主宰). In this case, the mind can be called principally to Li. It is certain that the realization of moral good by the mind is eventually the Jujae outcome of Qi by Li, which allows for explaining the mind principally to Li. 이 논문은 한말 기호학계에서 전개된 심설논쟁(心說論爭)에서 학파(學派)간의 논쟁이 아닌 자파(自派)의 학설과 관련하여 논쟁이 있었던 화서학파(華西學派) 내부논쟁에 주목한다. 특히 유중교가 이항로의 주리적(主理的) 심설(心說)을 조정하고 보완[調補]하려 했던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확인하고 있다. 한말 기호학계에서는 성리설과 관련하여 기존의 전통적 입장과는 다른 학설이 제기되면서 학문적 분열 현상이 전개된다. 특히 심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해석이 주요 학문적 쟁점으로 부상하게 되는데, 그 결과 당시 기호학계에서는 간재학파가 중심이 된 ‘심시기’와 화서학파가 중심이 된 ‘심주리(心主理)’의 심설로 양분되어 심설논쟁(心說論爭)이 전개된다. 하지만 한말 기호학계에서는 간재학파와 화서학파와 같이 학파간의 논쟁 뿐 아니라 자파의 심설과 관련해서도 논쟁이 있던 학파가 있었는데 바로 화서학파이다. 화서학파의 종장인 이항로는 심을 리와 기의 합임을 전제하지만 심의 본체는 리이기에 리를 중심으로[主理] 심을 해명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심주리설이 화서학파 심설의 종지로 계승된다. 하지만 이항로 사후 화서학파 심설의 종지와 관련하여 김평묵과 유중교간에 논쟁이 발생하는데 논쟁의 발단은 유중교가 이항로의 심설이 주리적(主理的)으로 치우친 것을 조정하고 보완하려 했기 때문이다. 유중교는 심과 명덕(明德)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해석에서 명덕은 주리(主理)로서 말할 수 있지만, 심까지도 주리의 측면에서만 해명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유중교는 ‘심은 믿을 수 없는 것(心不可恃)’이라고 말한다. 이는 곧 심 그 자체는 도덕행위의 기준, 법칙, 준칙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준칙으로 삼아야 할 대상이 있으니 그것이 바로 성이라는 것이다. 즉 이항로가 심의 본의(本義)를 리를 주로 하여 해명하지만 여기에서 올 수 있는 인기위리(認氣爲理)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심과 성을 물(物)과 준칙(則)으로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향, (香)렴, (廉)집(集)》, 주리정(周履靖)의 여성시에 대한 향유

        정민경 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語文學誌 Vol.47 No.-

        本篇文章首先介紹明末編輯者周履靖的女性詩文總集《香렴集》的基本情況與文獻價値. 《香렴集》共12卷,收錄4位明以前女詩人,薛濤, 李冶, 上官昭容, 花예夫人與6位明末女詩人桑貞白,六聖姬,朱仲한,馬相蘭,趙今燕, 薛素素. 《香렴集》雖然爲胡文개所提起,但中國和國內연究界幾乎沒有注目,本篇文章最初具體介紹. 《香렴集》保存了壹些其他文獻裏조不到的稀少資料,具有壹定的史料價値. 而且《香렴集》收錄了周履靖所作的和答詩,可以探索周履靖和答詩的內在意義. 和答詩的內涵分爲三個部分進行分析,第壹,女性情感的交流,第二,反映非主流文人的情況,第三,諷刺時流和世態. 明末未入仕的士人追求可以代替科擧和官職的某種각色, 非主流文人往往把才女當做可以表現自我的他者. 我們通過對《香렴集》的理解可以更具體地把握明末非主流文人對女性詩的認識和享有.

      • KCI등재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 이해의 공과 과

        한자경(Han, Ja-K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9 No.-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유학사 연구는 광범위한 문헌자료수집 및 고증과 분석의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근대적 연구의 효시이지만 식민사관 확립이라는 불순한 의도에 따라 조선유학사를 왜곡한 측면도 있다. 특히 그가 주장한 ‘주리ㆍ주기 분류법’은 최근 우리 철학계에서 극복되어야 할 식민사관의 잔재로 간주되어 많은 비판을 받아왔고 학자들은 그것을 대치할 새로운 분류틀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조선유학에 대한 주리ㆍ주기 분류법이 갖는 긍정적인 철학적 의미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주리ㆍ주기의 분류기준으로서의 리발(理發), 즉 리의 운동성과 활동성을 인정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는 조선 유학 내 사칠논쟁의 핵심물음일뿐 아니라, 서양 라이프니츠와 예수회소속 마테오리치 간의 논쟁이기도 하고, 또 아베가 구분하듯 일본 에도시대의 하야시학파와 야마자키학파의 입장차이이기도 하며, 나아가 최근 모종삼이 주장하듯 주희와 양명의 관점차이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혔다. 리발을 인정하는 입장과 리발을 부정하는 입장을 주리.주기로 분류하는 것은 조선성리학자들 스스로 의식한, 철학적으로 상당히 의미있는 분류법이며, 결코 다카하시가 비로소 임의적으로 고안해낸 분류법이 아니라는 것을 논하였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가 다카하시의 식민사관 비판에 몰두하다가 자칫 주리ㆍ주기 분류의 본래적인 철학적 의미까지 부정해서는 안된다는 것, 다시 말해 우리 유학사에서 의미있게 전개된 사칠논쟁의 핵심인 리발의 철학적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Takahashi-Toru’s studies on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during the Chosun dynasty mark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studies founded on a vast collection of literature materials and research methods of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has distorted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during the Chosun dynasty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a colonial view of history. Takahashi’s classification system of Ju-Li (主理) and Ju-Ki (主氣) in particular has been severely criticized by some philosophers in Korea as the vestiges of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we must overcome, Scholars have been seeking a new classification system to replace it. In this thesis, however, I have emphasized the positiv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Ju-Li and Ju-Ki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realm of Confucian studi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etween Ju-Li and Ju-Ki is based on whether one approves of the mobility and activity of Li, the Li-Bal (理發). This was the core question in the Four-Seven-Debate of Cho-sun Confucian studies, and also comprised the controversy between Leibniz and Matteo Ricci of Jesuits in the West. In addition, it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ces of the Hayashi school and Yamajaki school of the Edo era in Japan according to Abe, and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ances of Ju-Hui and Yang-Myung as Mo Jong-Sam has recently argued. Classifying the stance that approves Li-Bal and that disapproves Li-Bal as Ju-Li and Ju-Ki is a meaningful system of classification which the Neo-Confucianists of Chosun have also acknowledged; the classification was not an arbitrary one that Takahashi devised on his own. Thus I have asserted that we should not negate the authentic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classification of Ju-Li and Ju-Ki while being preoccupied with criticisms of Takahashi’s colonial view of history. In other words, I have argued that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Li-Bal, which is the main concept of the Four-Seven-Debate that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history of Confucian studies, should not be overloo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