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화엄종華嚴宗과 용수사龍壽寺

        한기문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 KCI등재

        조선 후기 불석제佛石製 불상과 조각승 승호勝湖‧경옥敬玉

        송은석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It wa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Buddhist stat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t Gyeongsang area that Buddhist statues were made of the soft stone called zeolite. This unusual stone, known as ‘Bulseok, Stone for Buddhist Statue’, was quarried in Bulseok-san Mountain (or Bullyeong-san Mountain) on the east beach of Gyeongju and was created to Buddhist statues by monk- sculptors such as Seungho in the nearby area centered on Girim-sa Temple. Buddhist statues made of Bulseok were distributed to some temples near the shoreline in Jeolla area that was easy to navigate by ships. And it was transported by land route to the temple in Gyeongsang area near Gyeongju. Sculptors Seungho(승호) and Gyeongok(경옥) were directly connected to Hyeonjin and Cheongheon school such as sculptors Seungil(승일), Huijang(희장), and Dou(도우) that made many Buddhist statues in the Gyeongsang area since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y inherited the styles of Hyeonjin and Cheongheon school but formed their own unique styles too. The body, which has a shoulder broader than the upper body, gives a feeling of sturdiness, and the face with a wide jaw and a strong lower mouth is a new formative characteristic developed by Seungho and Gyeongok. They also had a different way of expression on the width between knees, upper eyelashes, earlobes, lower body garments etc. Subsequent generations linking monk-sculptors Seungho and Gyeongok are mainly active in the early 18th century. It was confirmed that many monk-sculptors were active in the Seungho school, such as Sangnyun(상륜), Sujong(수종), Suyeon(수연), Beopjong(법종), Sungsik(숭식), and Yeocheol(여철). However, it is estimated that only very few monk-sculptors are active in the Gyeongok school. Monk-sculptor Jeongdo(정도) is only believed to be Gyeongok’s successor.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 불상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제오라이트라는 무른 재질의 돌로 만들어진 불상이 등장한 일이다. ‘불석’으로 알려진 이 특이한 돌은 경주 동해변의 불석산(또는 불령산)에서 채석되었으며, 기림사를 중심으로 한 인근 지역에서 승호 등의 조각승들에 의해 불상으로 가공되었다. 불석제 불상들은 배로 이동하기 쉬운 해안선 부근의 사찰이라면 멀리 전라도까지도 유통되었으며, 경상도 내륙 지역 정도로 가까운 곳의 사찰에는 육로가 이용되었다. 불석제 불상의 조각승 승호와 경옥은 모두 조선 후기 17세기 전반부터 경상도 일대에서 활발한 조상 활동을 전개하였던 승일‧희장‧도우 등 현진‧청헌파 조각승들에 이어져 있었다. 이들은 현진‧청헌파 조각승들의 작풍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작풍을 형성하였는데, 상체에 비해 어깨가 넓어 다부진 느낌을 주는 몸이나 턱이 넓고 하관이 튼실한 방형의 얼굴은 승호와 경옥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조형감이었다. 승호와 경옥은 또한 하반신 무릎의 폭, 윗눈썹, 귀의 이수, 하반신 옷자락 등 여러 면에서 서로 이질적인 작풍도 갖고 있었다. 승호와 경옥을 잇는 후속 세대 조각승들은 18세기 전반에 주로 활동하였으나, 다수의 조각승들이 활동한 것으로 조사된 승호파와 달리 경옥파에서는 현재 단 1명의 조각승만이 활동한 것으로 조사되어 대조적이다. 승호파에서는 조각승 상륜‧수종‧수연‧법종‧숭식‧여철 등 많은 조각승들이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것이 밝혀지고 있지만, 경옥파에서는 조각승 정도 한 사람만이 활동한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그러나 경상남도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여러 구의 경옥풍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경옥파 조각승들은 좀더 추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