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 : 송암 권호문의 <독락팔곡(獨樂八曲)> 연구

        김병국 ( Byong Kuk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韓國思想과 文化 Vol.33 No.-

        이 연구는 송암이 <독락팔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독락(獨樂)의 의미를 세밀히 밝히고, 이 독락(獨樂)의 개념을 바탕으로 ``마음의 득실을 잊고 그 뜻을 즐긴다.`` 것의 의미와 <독락팔곡>에서의 그 구체적인 실현양상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아울러 <독락팔곡>이 송암의 관유온유(寬裕溫厚)함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살폈다. 우선 송암의 <독락팔곡>에 쓰인 독락(獨樂)의 의미는 ``가슴 속에 얻은 것은 물(物)에 따라 변하지 않고 언제나 호연하게 그대로 있어, 안으로 돌이켜보아도 거리낌이 없고 위로 하늘을 우러러보거나 아래로 땅을 굽어보아도 부끄러움이 없는 것``이며 이것은 독선을 통하여 "가슴 속의 즐거움으로부터 미루어 물에 미침에 이른다면 곧 천지 만물이 모두 나와 일체이니, 어느 하나도 나의 즐거움 속에 있지 않는 것이 없다."의 즐거움이다. 이 때 독락(獨樂)의 그 즐거움은 그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 속에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송암이 독락(獨樂)하는 것은 그 뜻으로 그것은 ``마음의 득실을 잊는 것``이며, 그 뜻을 즐긴다는 것은 ``마음의 득실을 잊도록 하는 그 뜻``을 즐긴다는 것이다. 마음의 득실을 잊는다는 것은 세상살이에서 득실을 따지는 마음 곧 기심을 잊는다는 것으로 송암에게는 활로에 대한 마음을 잊는 것이다. 송암은 <독락팔곡>에서 학문연구를 통해 인의를 추구하며 이를 통해 마음의 자득을 얻어 마음의 득실을 잊고 그 뜻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송암의 <독락팔곡>은 관유온유(寬裕溫厚)함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퇴계의 온유돈후를 계승한 것으로 송암이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송암은 관유온유(온유돈후)를 바탕으로 하기에 편안하지 못한 마음을 노래로 만들면서도 그 희로애락의 마음이 적절함을 얻어 그것이 노래에 나타날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 적절함이란 송암이 <독락팔곡병서>에서 말한 ``말 가운데 뜻이 있고 뜻 속에 아름다움이 있다``고 했을 때의 그 아름다움인 것이다. 송암은 이러한 <독락팔곡>을 불러, 그 속에 들어 있는 뜻을 펴서 성정을 기르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in details the meaning of ``dokrak``-enjoying with a thought without considering personal interests-and its practical realization in Songam`s Dokrakpalgok, which is based upon the attitude of the kwanyouonyou. Dokrak in Dokrakpalgok means the attitude in which introspecting oneself and looking up and down under the sky, one can find nothing to be ashamed of because once one bears anything in mind, any situation cannot change it. The attitude can be achieved by the life of the dokseon, where all things in the universe is identified with oneself and where one can enjoy everything. This can be shared with those who come to the understanding. When Songam says ``dokrak``, he means the thought to forget any personal interests. Enjoying the thought means ``to ignore any personal interests and to have a fun with the thought``. Forgetting any personal interests makes him not to be an opportunist who is interested in any gains and loses of a thing. As for Songam, this meas to forget any interest in entering into any government positions. He makes a scholastical studies in Dokrakpalgok, pursue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forgets any gains and loses out of them, and enjoys the thought. Songam`s Dokrakpalgok demonstrates the kwanyouonyou, which is inherited from Toege`s onyoudonyou, and practices the thought in reality. Even though he fails to sing any convenience for the kwanyouonyou, he can keep a proper attitude for feelings of joy and anger in his work. The proper attitude means the beauty where a thought is in the words and the beauty is in the thought. He tries to pursue the beauty and to keep his calmness in Dokrakpalgok.

      • KCI등재

        한국문학에 나타난 ‘독락(獨樂)’의 의미

        이진규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3

        이글은 ‘독락(獨樂)’이라는 말을 사용한 중국의 사마광을 비롯하여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사마광과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의 ‘독락’에는 표면적으로는 자연을 벗삼아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홀로 즐기며 자득하고자 했던 모습이 표현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민락’의 세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과인을 바탕으로 한 ‘여민락’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왕도정치의 실현을 촉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마광은「독락원기」에, 이언적은 한시 ‘독락’과 당호(堂號)를 ‘독락당’으로, 권호문은 불편한 심사를 자신과 결부시켜 노래하면서「독락팔곡」이라고 하였다. 박인로는 이언적 사후에 ‘독락당’을 찾아가 그가 ‘당시 하시던 닐’을 ‘다시곰 思想하’며 그를 추숭하는 형식으로 가사「독락당」을 지어 노래하였는데 이는 선가자로서보다는 유자로서의 신념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 이처럼 그들에게 사용되었던 ‘독락’이라는 말은 조선조 다른 유자들의 작품과 기록을 통해서도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dokrak(獨樂)’ through the records and literary 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Lee Eon-jeok, Kwon Ho-mun and Park In-ro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Sima Guang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fter retiring from politics, Sima Guang built the ‘Garden of Solitary Enjoyment(Dule yuan 獨樂園)’ and wrote an essay devoted to this garden(「Dule yuan ji 獨樂園記」) to cultivate his mind and pursue solitary enjoyment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his poem also reveals his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meaning enjoyment with the people, and criticism of the reality. Lee Eon-jeok, a scholar of Joseon Dynasty, renovated his father’s pavilion and named it ‘Dokrak-dang(獨樂堂).’ Kwon Ho-mun wrote 「Dokrakpalgok(獨樂八曲)」 to describe his state of mind. Park In-ro visited ‘Dokrak-dang’ after the death of Lee Eon-jeok and honored him with a gasa(traditional Korean verse), 「Dokrakdang」 by “thinking about what he had done there during his lifetime.” His work embodies his beliefs as a 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as a writer. The word, ‘dokrak(獨樂),’ which was used by the scholars described above, seems to describe the pursuit of solitary enjoyment by devoting themselves to learning and cultivating mind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it also embodies their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based on criticism of the reality.

      • KCI등재
      • KCI등재

        "행위자의 귀환"과 송암 시가의 재해석

        하윤섭 ( Yun Sub H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1 No.-

        16세기 후반, 예안 지역에서 퇴계 이황(1501-1570)의 젊은 제자들은 ‘科擧之學’과 ‘性理之學’ 사이에서, 그리고 전자를 희망하는 어른들의 기대와 후자를 희망하는 자신들의 신념 사이에서 방황과 갈등을 거듭하다 급기야는 후자를 선택하는 이들이 지속적으로, 그리고 집단적으로 배출되고 있었다. 권호문 역시 그들 중 하나였으니, 과거를 포기했다는 이유만으로 저들을 낮잡아 ‘패배자’라 부를 수 없다면 우리의 권호문 또한 마찬가지이다. 송암 시가에 대한 재래의 논의들은 그의 작품을 해석하는 데 있어 거업에의 실패라는 사회경제적 소인을 중요한 전제로 삼았다. 하지만 인간이란 존재는 어떠한 대상에 나름의 의미가 부여되었을 때 경제적 논리나 쾌락의 원칙을 뛰어넘어 자신이 부여한 의미의 추구를 위해 그러한 것들을 과감히 포기하기도 하는, ‘의미적 동물’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송암의 시가작품들을 읽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그의 작품에 드러난 자긍과 자부 내지는 과거의 경험에 대한 담담한 읊조림 등을 거업에의 실패에 따른 미련이나 불평보다는 개인의 도덕적 수양[道學]이 사회의 조화와 안정에 직결된다는, 그리하여 사회적 공명의 추구보다는 학문적 당위의 추구가 훨씬 더 가치 있다는 의미화 작업에 기인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in the Yean region, the young disciples of Toigye Lee Hwang (1501~1570) had repeated their wanderings and conflicts between the state examination and the Neo-Confucianism and between the high expectations of the adults who had hoped for the former and their creeds that had hoped for the latter. At last, the people selecting the latter were being discharged continuously and in groups. As, Kwon, Ho-moon, too, was one of them, if it is definite that they cannot be called the "losers" by underestimating them, our Kwon, Ho-moon, too, was the same. In interpreting his works of art, the conventional discussions on Songam``s classical poetry had the socio-economic factor called "the failure in the state examination" as an important premise. But, the existences called the "human beings" are the meaningful animals that, when a meaning has been given to a certain subject, boldly abandon such things in order to pursue the meanings given by themselves by going beyond the economic logic or the principle of pleasure. In this manuscript, while keeping in mind such points, it was intended to read the classical poetry works of art by Songam. As a result,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self-esteem, the pride, the calm reciting regarding the experience of the confusing past, etc. are not the disguises intended to ideologically escape from the lingering attachments, complaints, or these resulting from the failures with regard to the work. The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moral cultivation of the individuals is directly related to the harmony and the stability of the society. So, the conclusion was made again that the pursuit for the academic appropriateness and not the pursuit for the social justice causes the signifying task which is said to be much more valu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