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état actuel des libertés religieuses en Corée du Nord

        바르텔레미 쿠르몽(Barthé,,my COURMONT) 프랑스학회 2013 프랑스학연구 Vol.65 No.-

        평양은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국가인데다가, 종교적 자유 또한 지켜지지 않아 많은 비난을 받고 있다. 11년간 이어온 "Open Door"라는 미국 국제 기독교 선교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세계에서 가장 종교를 탄압하는 국가로 목록에 올라왔다. 일반적으로 구하기 힘든 NGO가 모은 증거 자료들을 바탕으로, 이 글을 통해 북한의 종교적 자유에 관한 현재 상황 그리고, 종교의 가르침과 억압에 대한 현실뿐만 아니라 종교적 자유의 관할권 또한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Étude de texte médiéval

        레잔느 피용(Ré,jane FILLO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본 논문은 아더 왕 이야기를 다룬 중세 소설에 관한 것이다. Le Bel Inconnu에서 주인공은 아더 왕으로부터 Galles 왕국의 왕비인 Blonde Esmérée를 구하라는 임무를 맡는다. 그는 이를 위해 수많은 전투를 치르면서, 마법과 환상으로 가득 찬 몽상적 세계 속으로 깊이 잠입해 들어간 후에야 잃어버린 자신의 과거와 함께 자신의 이름을 되찾게 된다. 이 작품의 독창성은 여성의 힘을 극대화하여 나타내 보여 준다는 데 있다. 결국 마녀들에 의하여 뱀으로 변한 젊은 왕비와의 입맞춤을 나누고서 승리하여 그는 드디어 아더 왕에게 돌아온다. 이렇게 하여 원탁의 기사가 된 그의 결혼은 이제는 마법에서 풀려나 다시 번영하게 된 Galles 왕국에서 이루어진다. 이 소설은 이렇게 기사도와 사랑에의 입문을 다루고 있다. 아더 왕 이야기를 다룬 여타의 작품들과는 달리, 이 작품은 여성 인물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작가는 장황하면서도 과장되게 여성 인물들을 그려내고 있다. 그는 주요 인물들 뿐만 아니라, 부수적인 인물들까지도 여성의미를 찬미하며, 그들의 옷차림에 관해서도 아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아더 왕 이야기를 다룬 전형적인 작품들처럼, 여기에서 주요 인물인 요정과 왕비는 여러 다른 여성 인물과 마찬가지로 미지의 미남, 후에는 Guinglain이란 영웅에 의하여 구출되는 희생자로 등장한다. 이 두 여성은 주인공뿐만 아니라 서사의 구성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요정과 왕비는 서로 많은 유사점을 보여주지만, 부나 아름다움, 지위에서 그 차이가 드러나기도 한다. 그리하여 주인공인 영웅은 두 여성 중에서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 몰라 결정을 못하고 망설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요정과 왕비 둘 다 이 영웅과 사랑에의 입문자 역할을 맡고 있는 것 같지만, 결국은 요정만이 그 역할을 한다. 그것은 작가가 실제로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의 마음을 얻기 위하여 작품을 썼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같은 사실은 소설의 구성에 이중으로 접합되어 있다. 말하자면 감정교육이 삽입된 기사도 소설은 그 자체로서 사랑의 찬가 형태의 자서전으로서 통합되어 있다. 즉 이 소설은 사랑의 욕망에서 출발한 글쓰기의 욕망의 결과이기도 하다.

      • KCI등재

        Le désir d'une autre langue

        레미 메테탈(Ré,my Mettetal) 프랑스학회 2014 프랑스학연구 Vol.6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에 관한 두 이야기인 프랑스와 쳉의 『대화』와 아키라미주바야시의 『다른 곳에서 온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를 강조하는데 있다. 두 저작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중한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현대 교수법과 관련된 문제들을 분석할 수 있는 성찰의 매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왜 어떤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가? 이 문제는 그 자체로 신비로운 데가 있다. 쳉과 미주바야시의 저작은 유사하기도 하고, 차이도 있고, 상보적이기도 하다. 두 저작 모두 주체가 실제로 어떤 외국어를 열심히 공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에 대한 관점을 제공한다. 언어에 대한 주체의 얽힘의 문제는 결코 피할 수 없는 문제이며, 본 연구는 언어를 배우고 말하는 주체와 무관하게 언어를 이해할 수 없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위의 두 저작에 비추어보면 외국어를 단지 의사소통의 필요를 채울 목적으로 마음껏 이용하고 처분할 수 있는 도구로 간주하기란 불가능해 보인다. 이러저러한 언어를 말한다는 것은 결코 하찮은 일이 아니다. 우리가 말하는 언어는 의사소통이 채 이루어지기도 전에 항상, 그리고 이미 우리 존재를 구성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Les Incursions du réel dans les romans policiers

        ,jane FILLON(레쟈느 피용)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1 프랑스문화연구 Vol.22 No.-

        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프랑스어권의 두 추리소설에 나타난 리얼리즘의 지위와 역할을 분석하는 것이다. 추리소설은 일반적으로 멸시받는 장르이긴 하지만 책과 텔레비전 시리즈물 형태로 대중에게 매우 인기가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초에 역사의 사실성을 강조하기 위해 있는 그대로의 적나라한 리얼리즘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관점에서 리얼리즘이 분명히 독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지만, 작가들에 의한 리얼리즘의 추구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듯하다. 따라서 우리는 프랑스어권 문학을 상징하는 두 작가의 두 작품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하였다. 이 두 작품에서 반복되는 두 주인공들은 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우리는 리얼리즘이 어떤 형태로 시의적절하게 출현하는지 고찰하려고 했으며, 또한 사실성과 신빙성이라는 장르의 핵심적인 목적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 KCI등재

        Les Français et la lecture

        ,jane FILLON(레쟈느 피용)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프랑스문화연구 Vol.21 No.-

        본 논문의 문제 제기는 독서와 사회의 상관성에 있다. 독서를 유도하는 방식은 전형적으로 의사소통의 문제이다. 이 방식은 사회적 메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적 참여에서 비롯된다. 그것은 의미작용을 하며 독자가 새롭게 규정되는 사회적 장치에 부가된다. 독서라는 말의 다양한 뜻은 독서의 분석이 인문학 전문분야에 속하며, 따라서 분류되는 방식의 완전한 기법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서연구방법에 관한 역사적 관점에서 보면 우리는 사람들이 독서의 내용(문학이나 글)을 통하여, 혹은 그것을 습득하는 방법을 통하여 독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제도들(학교.출판사.도서관)에 대한 검토와, 제도의 대상들(책.출판물)에 대한 검토는 독서의 지위를 나타내는 다양한 방식들이다.우리는 양적 및 사회학적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조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조사는 1970년대 초에, 즉 독서가 문화적 실천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기에 생겨났다. 국가권력의 다양한 개입에 힘입어, 독서는 매우 빨리 일반화되고 민주화되었다. 책을 읽지 않았던 사회문화적 계층들이 책을 읽기 시작하였고, 책은 독자의 새로운 실천(도서관 이용과 도서대여 체계)과 상업의 발전 (통신판매의 비약적 발전)을 초래하면서 대부분의 지역으로 보급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독서 인구가 하락하고 독서가 퇴색하고 있음이 여러 조사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새로운 미디어(텔레비전.주간지)의 역할 문제와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여가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독서의 한계에 도달했는가? 그와 더불어, 우리는 독서의 실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자가 서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반대로 그리고 역설적으로 책의 다양한 상업화의 발전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관찰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하게 된다. 사실 우리는 서점이나 전문화되거나 전문화되지 않은 대규모 매장 이외에는 더 이상 팔리지 않는 책의 권위가 떨어지고 있음을 목격할 수 있다. 책은 무기력하고 평범한 독자들에게는 이롭지만 강력한 독자들에게는 해로운 일상생활의 흔한 산물이 되고 있다.

      • KCI등재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et croissance verte

        장 필립 브루앙(Jean-Philippe Brouant) 유럽헌법학회 2012 유럽헌법연구 Vol.12 No.-

        녹색성장 핵심 요소 중에서, 에너지는 가장 중요한 분야에 속한다. 그러므로 지속적 개발이 관련된 세 영역 중에서 한 분야를 살펴볼 것이다. 에너지의 통제는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나 건축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서 특별한 고용을 창출함으로서 지방 개발을 이룰 수 있는 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에너지의 효율성은, 프랑스에서 에너지의 미납은 중요한 요소인데, 사회적 통합이라는 목적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프랑스에서는 에너지 미납이 45백만 유로에 달한다. 에너지 비용의 총액을 줄이는 것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직접적 지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 통제행위는 광범위하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대기오염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는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생산에 관한 자신의 관할권 영역 안에서 어떠한 것을 할 수 있는가? 지방자치단체가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생산에 관하여 할 수 있는 직접적 행위와 간접적 행위로 구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직접적 행위는 재생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절약에 관한 것이고, 간접적 행위는 에너지 절약이나 재생에너지 개발과 관련한 사항들을 장려하는 것과 그것을 강제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La promotion des énergies renouvelables aboutit à favoriser un modèle de production décentralisé. On peut à cet égard citer les termes de la directive européenne 2009/28 du 23 avril 2009 relative à la promotion de l’utilisation de l’énergie produite à partir de sources renouvelables qui invite à soutenir les phases de démonstration et de commercialisation des technologies décentralisées qui utilisent des énergies renouvelables. Pour présenter l’état du droit positif français, il nous faut dans un premier temps décrire les dispositifs qui permettent aux collectivités territoriales d’agir directement dans la production d’énergie renouvelable et dans la maîtrise de la consommation énergétique. Puis, dans un second temps, nous nous arrêterons sur les dispositifs d’intervention indirecte, visant soit à inciter, soit à contraindre les administrés dans ce domaine.

      • KCI등재

        Représentativité et représentations des minorités visibles dans les manuels de FLE

        장-바티스트 꼬스(Jean Baptiste Causse) 프랑스학회 2015 프랑스학연구 Vol.74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프랑스 출간 FLE 교재에서 가시적 소수자, 즉 프랑스에서 백인다수에 의해 흑인, 아랍인, 동양인 등과 같이 비백인으로 고려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 비율로,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주요 FLE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가시적 소수자의 양상이 오늘날 프랑스 사회의 현실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해석을 내려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주요 네 개 FLE 교재 출판사에서 발행된 교재 중 각 출판사별로 한국 대학의 프랑스어 학습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교재를 한 권씩 선별한 후, 교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자료들(텍스트, 오디오, 그림, 사진 등)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즉 첫 번째 질문이 이들 교재에 등장하는 전체 인물들 중 가시적 소수자로 분류되는 그룹이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가와 관계된다면, 두 번째 질문은 이러한 가시적 소수자들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어떤 양상으로 재현되는가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선별된 네 종의 FLE 교재에서 가시적 소수자들의 재현도, 즉 재현 비율은 사진 자료를 제외하고는 실제 현실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들의 재현 양상으로 보자면, 대개의 경우 이들 가시적 소수자들이 사회적으로 성공한 이들로 묘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편으로 프랑스 사회 내에서 가시적 소수자들의 지위와 영향력 향상을 위한 저자들의 ‘의지주의’가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지만, 프랑스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채 외국인 프랑스어 학습자들에게 프랑스 사회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와 타자성

        손영창(SON Young-Chang)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Cet article est une tentative de mettre en lumière l’hospitalité chez Derrida. Tout d’abord, notre recherche consiste à mener la comparaison entre Kant et Derrida autour du terme de l’hospitalité. Pourz Kant, l’hospitalité est un concept de commerce. Autrement dit, accueillir l’autre, c’est le laisser venir à la condition qu’il respecte l’ordre du pays accueillant et qu’il demeure pendant certaine periode au lieu de s’installer. Par contre, chez Derrida l’hospitalité est caractétisée par son exception: il faut accueillir les étranger sans le critère que le sujet hospitalier pour son tour impose en vue de les sélectionner. En tranférant tout le droit de souverainté à la main de l’Autre, le sujet devient démantelé. Par cette ouverture inconditionnelle sur l’autre, le sujet ne saurait garder le pouvoir souverain et se laisse ouvrir à l’autre sans protection et limite. Comme on l’ a vu, l’hospitalité inconditionnelle n’est pas le concept politique et institutionnel qui nous permet de réaliser l’acte hospitalier et qui s’étabit sur le fond du principe et de la raison. Au contraire, pour Derrida, l’hospitalité inconditionnelle est exposée à l’altérité qu’on ne saurait contrôler. En ce sens, cette hospitalité apparâit incapable de distinguer l’étranger digne de recevoir l’hospitalité et l’ennemi déguisé. Pour Derrida, cette indétermination veut dire que l’hospitalité ne serait pas considérée sans l’hostlité, et il faut risquer de tomber dans la perversion et la trahison sans se réferert à ma bonne volonté de l’hospitalité. Pour cette raison, Derrida, mettant à distance la position de Levinas à l’égard du statut du tiers, considére que l’hospitalité risque de se convertir toujours en perversité dans la proximité. Par contre, on doit remarquer que pour effectuer l’hospitalité le Moi n’a aucun appareil de la surveillance afin de se protéger. C’est pourquoi Derrida, lui-m̂eme, lorsqu’il décrit l’hospitalité, la caractérise comme un événement impossible. Et pourtant malgré cette impossibilité ou dans cette impossibilité, il y aura une possibilté de l’altérité qui ne se réduit pas à la prise du Mê me et au pouvoir souverain du sujet. Ainsi, le sujet, pour sa part, doit prendre le risque de tout perdre et de se laisser attaquer. C’est paradoxalement à travers ce risque que le sujet ayant tendance de se renfermer et de réapproprier l’altérité dans son pouvoir souverain peut se laisser ouvrir à l’autre sans retour sur sa propre noyau.

      • KCI등재후보

        프랑스 학교의 역사-지리-민주시민교육 연구

        황성원(HWANG Sung-Won)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1 프랑스문화연구 Vol.23 No.-

        Dans cette étude, nous voulons savoir le contenu des programmes nationaux dans l'enseignement de l'histoire-géographie à l'école, également au collège et au lycée. En France, l'éducation civique est ajoutée à l'histoire-géographie dans l'enseignement secondaire. Notre étude recouvre non seulement les programmes, mais aussi les accompagnements qui ont des fonctions de donner des informations pratiques aux enseignants et de les guider pour varier des pratiques pédagogiques. Les enseignants ont l'autonomie pour le choix de leurs méthodes éducatives. Enseigner l’histoire et la géographie, c’est chercher à fournir aux élèves une vision du monde et à exercer une mémoire. aidant à constituer le patrimoine culturel qui permet à chacun de trouver son identité. Les finalités de l’enseignement, qu’elles soient culturelles, civiques et intellectuelles, demeurent identitques et sont communes à l’histoire et à la géographie ainsi qu’à l’éducation civique, juridique et sociale. Nous constatons que le programme scolaire encourage l'intégration des matières, c'est-à-dire entre l'histoire et l'histoire de l'art ou entre la géographie et la biologie etc. Afin, pour que les programmes affichés au Bulletin officiel soient réalisables, ils sont nettement délimités tout en préservant la liberté pédagogique des enseignants.

      • KCI등재

        프랑스-알제리 관계

        김태수(Tae Soo KIM) 프랑스학회 2016 프랑스학연구 Vol.75 No.-

        Le passé colonial hante toujours les relations franco-algériennes suscitant tant de malentendus et de rancoeurs entre les deux rives de la Méditerranée, générateurs des crises diplomatiques entre Paris et Alger. Dans cet article, on tente d'abord de restituer l'histoire des relations des deux pays autour des enjeux mémoriels du passé colonial depuis la présidence du général de Gaulle jusqu'au début de celle de François Hollande. L'accent sera mis ensuite sur le contexte politique et social dans lequel cette question litigieuse surgit immanquablement au moment où Paris et Alger se mettent à engager dans une véritable réconciliation en perspective d'un futur traité d'amitié franco-algérienne. On essaie également de mettre en exergue le processus par lequel emergent ces conflits mémoriels et la question de "repentance" française qui vont envenimer progressivement les relations des deux pays. On cherchera ensuite l'origine des “guerres de mémoires” dans la montée en puissance des collectives “nostalgériques” - ceux des pieds-noirs rapatriés et des harkis - ainsi que leurs puissants lobbies politiques en crescendo à la faveur des mémoires de l'Algérie française depuis les années 2000 en France. Cet essai se termine par quelques remarques, à l'instar d'une revue de l'opinion publique française, sur l'avenir de ce dossier de la réconciliation franco-algérienne hypothéquée actuellement par une islamophobie rampante dans la société française, aggravée par une série des attentats islamistes perpétrés à Paris en 201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