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고찰: 일본 북해도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하경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2010, studied about how to understand and sugges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the ease of Japanese teenagers being able to have a closer and easier approac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ouse interest and systematic education effect through performance, viewing, and practice. In other words, field of performance and viewing can lea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rough selecting different repertories such as dance with theme or singing with lyrics. Field of education and practic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amulnori and kayagem experience. Also, by using various references, it will be a chance for Japanese teenagers' systematic and deep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education example of Japan, provides bright future and directivity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this pape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xpected to become a successful ca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y enforcing specialized education with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form. 본 논문은 2010년 실시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토대로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전통음악을 어떻게 이해하고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 전통음악은 다른 나라의 음악에 비해 일본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비교적 쉽고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전통음악의 교육은 공연 및 감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및 실습을 통하여 체계적인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공연 및 감상 영역은 테마가 있는 무용과 가사가 담긴 병창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정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 및 실습 영역은 사물놀이와 가야금 체험학습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일본 청소년들에게 보다 폭넓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교육 사례는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밝은 미래와 방향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교육은 앞으로 이와 같은 현장 교육 경험을 토대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어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면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성공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음악교사 인식 및 경험 연구

        신혜경(Hae-Kyung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관한 인식 및 경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 예비음악교사 144인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일상 활용, 스마트교육 일반, 전공 및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기기 소지는 스마트폰의 비중이 우세했으며, 강의 중 스마트기기 활용도는 개인 학습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경험한 대학 스마트교육의 장점은 학습 및 과제 부담 감소, 문제해결능력 개발과 시·공간적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은 학습 몰입 방해로 나타났다. 학교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이해의 정도는 개략적이었다. 스마트교육의 공유와 연결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반면, 학습자의 자기 주도 및 조절 능력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음악교과 고유의 스마트교육 가능성과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응답한 스마트 음악교육의 장점은 접근성과 편리성, 학습자의 흥미, 수업 참여도 향상, 실음 학습을 통한 성취감, 연주 능력 제한의 문제 해결로 나타났다. 난점으로는 음악 수업의 예술적 질 저하가 크게 부각되었으며, 이외에도 관련 교수 역량 부족, 학생 통제, 스마트기기 앱의 한정적 기능 등이 제기되었다. 이상에 근거하여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regarding smart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areas including daily usage of smart devices, general smart education, smart education specified in music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144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smartphones definitely dominated pre-service music teachers possession of smart devices. They implemented smart devices less frequently in classes than in their privatestudy sessions. Second, they considered that smart education in college would help reduce learning- and task-burd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overcom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while they perceived distractions caused by smart devices to be drawback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ir understanding was superficial. They considered the elements of sharing and connection in smart education to be its most positive aspects, and decrease in learner s self-control ability to be a negative aspect.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potential present in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via th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but they had few actu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advantages of smart music education we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crease in learners’ interes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chievements based on experiencing real sound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of drawbacks, the artistic quality of music lessons was greatly emphasized. Lack of teaching ability in smart education, student control, and the limited functionality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were also mentioned.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gaps between perceptions an dexperiences regarding smart education in music-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 탐색을 통한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

        윤성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Music subject education is a social substance that was originally mass produced while maintaining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s based on demand and supply between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group. Thus it sh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its uniqueness as a subject on the premise of the educational universality and suggestion of the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which cannot help being comprehensive due to demand and supply, and produce specific and implicative results called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That is, its ultimate goal was to mock produce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It first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loring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as education by music, analyzed eight objectives or characters that concerned the character of the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provided the results. In the conclusion chapter,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mock produced in the study represent the definition, need, and objective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an essential sense rather than just something about music education. 음악교과교육은 소비 집단과 생산 집단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기적으로 양산된 사회적 실제이다. 따라서 음악교과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적 보편성과 교육적 시사성을 전제로 교과적 고유성을 함의해야 한다. 이 연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광범위할 수밖에 없는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을 탐색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이라는 구체적이며 함축적인 결과물로 만들어 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즉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에 있다. 이 연구는 음악에 의한 교육으로의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에 대해 탐색하여 이론적 배경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해당하는 8개의 목표 또는 성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연구 방법을 취한다. 한편, 결과 장에서 모의 제작하여 제시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은 음악교육에 대한 것이 아닌 본질적 의미에서의 음악교과교육의 정의, 필요성과 목적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관점에서 중등학교 음악 교사의 역량 강화에 관한 논의

        민경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8

        Music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outstanding teaching methods that can deliver music-related contents in an easy-to-understand and clear manners to help students cultivate musical abilities and acquire related knowledge. Even if a teacher has superior musical capability and expertise, students may perceive him very differently. In other words, when a teacher is not capable of effectively delivering the course content or has failed to properly prepare course materials, students might perceive him as an unenthusiastic teacher. Music teachers should provide music education in an easy-to-understand and joyful manner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key elements of music teaching methodology in detail for successful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eachers should lead to improve students’ musical abilities through various class materials while they are watching, listening and moving. In that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key elements of music teaching methodology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for successful music education. The key elements include the followings: accurate knowledge of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s, understanding of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course content and establishing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Music teachers should strengthen their music education competencies by realizing relevant details based on such elements. 음악 교사는 음악과 연관된 내용을 쉽게 그리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뛰어난 지도방법적 능력을 소유함으로써 학생들이 음악적 능력을 배양하고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음악 교사의 음악적 능력 및 전문 지식이 매우 우수하다고 할지라도 지도하는 방법에 따라 학생들로 하여금 전혀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즉, 교사가 전달 표현력이 부족하거나 혹은 수업 자료를 제대로 준비하지 않았을 때, 학생들로부터 비열정적인 교사로 비춰질 수 있다. 음악교사는 성공적인 음악 수업을 위하여 음악교과교육학적 지식을 분명히 이해하여 음악을 쉽고 즐겁게 전달해 주어야 한다. 이점에서 이 논문은 중등학교 음악 교사들의 음악교과교육학적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고, 공신력 있는 문서들을 바탕으로 중등학교 음악 교사들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음악교과교육학적 지식들과 이에 따른 세부 요소들을 설정한 후, 이에 대한 근거와 당위성 그리고 타당성을 확고하게 수립하기 위해 음악교육학적 혹은 교육학적 맥락에서 논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과 함께 이 논문은 연구 대상을 ‘음악 교사로서 자기 계발의 중요성’, ‘교육과정과 학습자 이해의 능력’, ‘교수․학습 전략의 역량’으로 크게 세 가지로 정하고, 이에 대한 각각의 세부 요소들을 설정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세부 요소들은 중등 음악 교사들이 음악교육자로서의 자기 계발의 중요성을 깨닫고, 교육과정과 학습자의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며, 또한 교수․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는 데에 필요한 음악교과교육학적 역량을 강화시켜 주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김은애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0

        Because of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medicine and economic society, etc. the whole world is facing the age of aging, and the importance of elderly educ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Among fields of elderly education,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insignificant; music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Nevertheless,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o formulate systematic theories of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or to indicate a direction for the very future. The only role of music for the elderly that has been found to date is a therapeutic function at the public level, such as 'a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But the Korean society, which is turning into a super-aged society at a rapid pace - not a mere aged-society anymore - should be new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nior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a major part of senior education). Furthermore, the meaning of such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should not be merely 'a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at the public level showing several symptoms caused by aging, but should be expanded to another level - systematic, continued music education should be delivered even to the elderly in a more active, pre-emptive response. In recognition that music can influence positively the elderly who are entering the twilight of their liv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ystematic theories of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first. This thesis intends to look at examples of elderly education in Germany, which began to be active in taking academic awareness of aged-society and in conducting research on it much earlier than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exploration of the examples a new paradigm for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will be presented. 과학과 의술의 발달, 산업과 경제의 발달 등으로 인해 현재 전 세계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추세에 있다. 노인교육 가운데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은 적지 않고, 그 중에서도 음악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음악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나 나아갈 방향 제시는 아직도 요원하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의 역할은 현재까지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와 같은 대증적 차원에서의 치료적인 기능이 전부인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고령화 사회’를 넘어서서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노년교육과 그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는 노인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노인 대상의 음악교육의 의미는 인간의 노화현상에 따른 여러 증상들에 대한 대증적 차원에서의 ‘음악치료’ 수준에 머물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하에 노인에게도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음악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차원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인생의 황혼기를 맞는 노인에게 음악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노인 대상의 음악교육을 위한 체계전인 이론이 먼저 연구되고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보다 훨씬 앞서 고령사회에 대한 학문적 인식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독일의 노인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노인음악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 인식 및 효능감 조사연구

        신혜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5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s, understanding,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ith respect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 the central focu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in which 140 pre-service music tea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multicultural attitudes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Second, what do pre-service music teachers understand by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fficacy in a multicultural teaching environment? Fourth,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on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ticularly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showed a positive multicultural attitude overall. Regarding the teachers’ multicultural views, there were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daily interest groups dealing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teachers understood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Third, the teachers showed a generally high level of multicultural efficacy; they tended to show a greater teaching efficacy level in multicultural attitudes,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factors than nurtur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problem finding and solving abilities, and developing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Fourth, the teachers agreed that the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human relation-centered. In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music teacher training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also provided. 본 연구는 중등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와 인식, 교수효능감에 관한 다면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가? (2)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어떠한가? (3)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4)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음악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중등예비음악교사 140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러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다문화태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다문화교육 이해도에 관하여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 대상의 범위와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습성취도에 대해서는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 다문화교육에 의한 역차별 현상과 다문화교육의 초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였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태도, 관점, 인간관계 항목에 비하여 비판적 사고, 문제의 발견 및 해결, 교재개발 관련 내용의 문항의 효능감이 낮았다. 특성 변인 중 예비교사들의 다문화태도에 의한 다문화교수효능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다문화교육과 다문화음악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모두 조화로운 현 사회유지 및 발전에 목표를 두어야 한다는 관점에 우선순위를 두었으나 하위 순서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방은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music education of the Nuri curriculum, the state of their music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of having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elected teachers, it's found that they were mostly cognizant of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But they weren't satisfied with their own music education or replied that music education was difficult to conduct. They cited their own musical qualifications as the reason, and another reason was that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y received focused on theme-based singing rather than their musical growth. Whether they felt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exiting curriculum and the Nuri curriculum in the domain of artistic experience was analyzed, and they answered there were few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practice. They replied that they were in need of help from experienced experts in music education to offer quality music education. As for the state of music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m replied they offered singing-centered activities. Concerning needs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music education should be practical enough and be easier to understand and apply, and they also wanted to be provided with plenty of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they replied tha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the form of workshop by experienced experts in music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를 개별면접의 방법으로 심도 있게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반면에 자신이 수행하는 음악교육에 대해 만족하지 않거나 음악교육이 어렵다고 응답해 해주었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자신의 음악적 자질 및 교사 양성과정에서 교사자신의 음악적 성장보다는 주로 주제중심의 노래 부르기 위주로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느끼는 한계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교사들이 기존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간의 수행 시 느끼는 차이에 대한 체감 정도는 그 질적 내용과 실제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질 높은 음악교육의 수행을 위해 실제를 겸비한 음악교육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해주었다. 음악교육 운영 실태는 대부분 노래 부르기 위주의 활동이라고 응답해 주었고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와 관련해서는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보다 더 실제적인 음악활동 내용과 교수활동 자료가 제공되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질 높은 음악교육의 수행을 위해 실제를 겸비한 음악교육 전문가를 통한 워크샾 형태의 현직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해주었다.

      • KCI등재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조성기,민경훈,E.J.Cho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21

        The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subject.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we first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research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various references about character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Also, we analyzed the requests of music teachers and various music experts through a survey and an interview. On the based of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 presented by discussion the ways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subject.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it takes effort to promote and guide people into understanding that music subject is a good way of creating character education. Second, it need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arious programs to guid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for each domain of music educational a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the methods that apply ‘conversations and discuss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subject. Fourth, it is important to set the character elements that are suitable to music education for the activation of character education. Fifth, support is needed to training and organizing community for teacher. 본 연구는 음악 교과교육에서 인성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 및 인성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를 위한 기초를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초·중등학교 음악교사와 다양한 음악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면담을 통하여 요구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고찰과 요구분석을 토대로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를 논의하여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첫째, 음악교과가 인성 교육을 위한 가장 적합한 교과임을 홍보하고 안내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둘째, 음악교육에서의 각 활동 영역별로 인성 교육방법을 안내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고 셋째, 인성 교육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음악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와 토론’을 적용한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으며 넷째, 음악교과에 적합한 인성요소를 추출하여 인성교육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고 다섯째, 음악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 연수와 커뮤니티 구성 등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 개발

        민경훈,권수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0

        The biggest problem among the difficulties faced by art & culture educators in the music field after obtaining their second-degree certificate is the "lack of cooperation with school teacher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er training materials to help art & culture educators in the music field understand the music curriculum. To this end, after deriv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ype of music program and the component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ramework of the music program teaching guidance model that can be applied in collaboration with school teachers was developed. 이 논문은 음악분야 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교교사와 문화예술교육사가 서로 협력하여 수업할 수 있는 음악분야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학교 현장에서 음악분야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문화예술교육사들이 겪는 어려움들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부족과 이로 인한 학교교사와의 협력 부족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다. 첫째,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학교교사와 문화예술교육사 간의 협력수업을 문헌 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문헌 연구를 통해 음악 프로그램 유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셋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교사와 문화예술교육사가 서로 협력하여 수업할 수 있는 음악분야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음악분야 문화예술교육사들이 학교의 교육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문화예술적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특수학교 음악교육의 의미와 2015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민경훈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3

        이 연구는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에게 적합한 양질의 음악교육을 제공해 주는데 가장 큰 바탕이 되는 특수음악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파악하고, 이와 연관된 2015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함께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특수학교에서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그리고 이에 따른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2011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새롭게 변화된 내용들을 점검해 보았다. 2015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음악과의 특성을 고려하여 음악적 표현, 음악적 감수성, 음악적 소통능력, 창의융합능력의 4가지 교과역량을 선정하고, 교육과정을 표현, 감상, 생활화의 3가지 영역으로 구분해서 각 영역별로 핵심개념, 내용, 내용요소, 기능을 진술한 것이다. 또한 성취기준의 내용을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축소시켜 학습의 부담을 경감시켰다는 것도 특징이다. 이 연구가 특수학교 음악교사들로 하여금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줌으로서 특수학교의 현장에서 음악수업의 질적 변화를 유도하고 또한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pecial music education that becomes the chief cornerstone in providing high-quality music education suitable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carry out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related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Together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at special school was discussed. Second,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direction of revising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the accompanying direction of developing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Third, new changes were checked through comparison with 2011 music curriculum.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is to select 4 types of subject-specific competency, i.e., musical expression, musical sensitivity, musical cmmunication skill and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music, and classify the curriculum into 3 categories of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opularization, and set forth the key concept, content, content element and function according to category. Besides, another feature is alleviation of study load by reducing the cont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mparison with previous curriculum.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 for inducing the qualitative change of music class at special school by increasing the special school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 curriculum, and furthermore, will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improv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and developing a text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