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 모색 : 종합사회복지관 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장수미,김경미,이지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2

        사회복지학전공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현장에 적용시켜보며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므로 실습은 사회복지사로 성장하는데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실천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기초과목인 사회복지실천론은 실습 전에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선수과목으로서 성공적인 실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교과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해 실천론수업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답을 구하기 위해 서울지역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습을 완료한 사회복지학전공 학생 10명에 대해 6명, 4명으로 구분하여 각 1회씩 총 2차례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고, thematic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에서사회복지실천론의 적용, 실습을 통해 실천론 내용의 이해가 깊어짐, 사회복지실천론 수업과 현장의 간극, 사회복지실천론 교과목의 개선과 변화의 방향(사례를 통한 수업진행과 피드백, 현장의 흐름을 반영, 자기인식 및 자아성찰 추가, 가치갈등에 대한 해결연습등)의 4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실천의 통합을 위해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보완되어야 할 점, 실천론과 현장실습 교과목의 연계를 위한논의와 제언,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 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과 한국교회의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

        최광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본 논문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일반사회복지와 기독교사회복지가 그 차이점을 발견하면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기독교사회복지가 실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 기독교가 사회복지활동에 참여를 많이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사회복지가 기독교 신앙과 다른 입장에 놓여있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가치 충돌이 기독교사회복지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가 무엇인지를 밝혀내기 위해서 포커스그룹 인터뷰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 결과 사상(이념), 가치, 주체, 대상, 동기, 목표, 영역(범위), 방법, 재원 등 9가지 차원에서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사상(이념)’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을 소중히 여기는 하나님 중심의 사상인 ‘신본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고, ‘가치’ 차원에서 ‘진리가 주는 자유’,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평등’,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정의’를 그 가치로 여겨 결국 성경이 제시하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고 밝혀졌다. ‘주체’ 차원에서 교회, 기독교기관, 기독교관련단체, 기독교공동체, 그리고 기독교신자개인이 주체가 되었다. ‘동기’ 차원에서 ‘이웃사랑’이 실천의 동기가 되었고, ‘목표’ 차원에서는 ‘하나님의 나라’가 목표가 된다는 것이 그 차이점으로 나타났다. ‘영역(범위)’ 차원에서 영적 차원도 포함시키는 영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법’ 차원에서 삶을 변화시키는 ‘총체적 회개’가 중요한 방법으로 등장하고, 사회복지학과 인접학문의 이론과 실천 기술에 대한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적용이란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원’ 차원에서는 일반사회복지의 재원 모두와 특별히 교회 지원금 및 성도의 후원금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사회복지의 정체성에 입각하여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to hav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 found between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ried to make sure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I analyzed whether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practised on the basis of the identity. Because many churches of christianity participate in social welfare works nowadays, and the position of general social welfare is different from i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Furthermore the Conflict of values can happen in field of christian social welfare. My purpose to find the ident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s in here. In this research, I selected a method of interview with focus group to find what is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As a result, the fact that 9 categories are different have been founded. Those are thought(or Idea), value, agent, object, motive, scope(or sphere), method, financial resources. In a category of thought, It have been founded that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ake the position of God-centered which regard human preciously as a image of God. And it have been founded that in a category of value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ursue a freedom through the truth, equality as a image of God, and consider a righteousness of kingdom of God as a value of itself. Ultimately, this values agree to it of the Bible. In a category of agent, churches, institutions of christianity, groups connected with christianity, christian community, and christian individuals are main leaders. In a category of motive, to love neighbor is the practical inducement, and in a category of object, the kingdom of God is a goal. In a category of scope, spiritual parts was included partially. In a category of method, overall repentance to change lifestyle made an appearance as a important way, and turned out to select a way to apply the theory and practice skill of related sciences on a basis of a christian view of world. In a category offinancial resources, a whole fund of the general social welfare and both donation of churches and christian individuals is included in. Finally, In analysis of a practice rea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it turned out that christian social welfare have been worked on a basis of the identity of it.

      • 사회복지실천의 임파워먼트 접근에서 온정주의의 침투와 공존

        박선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4 No.1

        1990년대 이후 임파워먼트 접근은 빈곤, 심신질환 및 장애, 폭력 등의 복합적 어려움을 겪는 클 라이언트들을 위한 인간과 인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대표하는 방법으로서 대두되었다. 사회 복지실천가들은 오랫동안 실천가가 주도하여 변화를 일으키는 온정주의에 익숙해 왔다. 온정주 의는 클라이언트가 자력으로 자기 및 사회기능을 향상시켜 삶의 변화를 꾀하는 임파워먼트 접근 에 배리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천가들이 보다 쉽게 취하여 딜레마를 유발하게 된다.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임파워먼트 접근을 하면서도 온정주의를 취하여 긴장과 갈등을 경험하는 현황,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속에 팽배해 온 온정주의와 그 배경을 고찰하고 대응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온정주의의 개념, 휴먼서비스 전문직인 사회복지실천의 속 성으로서 온정적 특성,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접근의 원리와 대비되는 온정주의 의 특성과 사회복지사들이 갈등을 겪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의 역사를 통해 뿌리깊은 온정주의를 파악하고 이와 연관되는 의료모델과 이분법적 사고가 온정주의의 횡 행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셋째, 현재 사회복지실천에서 임파워먼트 모델과 온정주의가 아 닌 온정성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끝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고유 속성으로서 온정성 을 임파워먼트 접근과 조화롭게 하는 방안으로서 온정성의 재개념화, 사회복지실천가의 발견적 훈련을 통한 복합적 인지기능의 향상, 그리고 재귀적 자기성찰의 방법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 : 우리 시대의 대안

        고미영(Me Young, Ko)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0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 실천의 본질을 사회복지 지식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논하면서 우리 시대의 지식에 대한 대안적 사고를 탐색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체계의 관계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온 것을 살펴보고, 이 둘이 상호 영향을 주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사회적 차원에서 지식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사회복지 실천의 내용과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사회복지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쟁을 통해 지식을 결과물로 다루는 인식론과 과정으로서의 지식을 다루는 인식론을 탐구하였다. 이에 실천 과정을 지식으로 구성하는 실천지를 사회복지 실천과 잘 어울리는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시대의 실천을 위한 지식으로 포스트모던의 구성주의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비판적 실재론을 소개하였다. 비판적 실재론은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구조적인 기제를 탐구하도록 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구상하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들이 실천 과정에서의 방향과 행위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구성하도록 해준다. 사회복지사는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면서 사람들과 사회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서 일상적 실천 행위의 실제적인 검증과 동시에 창의적 실천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담화적이고 직관적인 지식을 실천을 위한 지식의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반영성을 지식 구성과 실천에서 활용하도록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and to explore alternative thoughts about social work knowledg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is reviewed following the historical change. The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wo subjects was emphasized as the perspectives of the time and discourse about knowledge defined the nature and the range of social work practice. Different epistemological positions called for different attitudes toward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Social work knowledge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which views knowledge as a product. The other ways of knowing have been ignored and not recommended in social work academia. In this paper, knowledge as a proces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epistemology for social work. Aristotle’s Phronesis is recommended for the proper knowledge for social work practice.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realism as an alternative theory that overcomes the weakness found in constructivism in solving problems such as pover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abuse found in the real world. Critical realism guides social workers to find the causal mechanism of the problem in a social structure. Critical realism strongly suggests social workers to practice reflexively and to find a creative solution. Also, discursive and intuitive knowledg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knowledge for social work in our times.

      •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3 No.-

        최근 사회복지실천(Social Work Practice)에 대한 연구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하게 증가하고 있다. 실증분석에 기초한 연구와 더불어 방법론적으로 더욱 정교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만 패러다임의 흐름과 관점, 그리고 이론과 모델은 아직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모델이 커다란 변화 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의 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모델은 지식정보사회에서 개인 및 사회, 그리고 국가 간의 상황변화에 따른 사회변동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 이데올로기(Ideology)와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근간이 되는 전통적 방법론을 역사적으로 전개하면서 사회복지실천의 시대적 변화의 당위성을 찾는다. 특히 사회복지실천 발달현상으로서의 통합적 방법과 문제해결과정모델의 등장배경 및 이론적 기반을 통해 역량강화모델의 유용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이론으로 대두되고 있는 독일의 사회학자 Jurgen Habermas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인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복지실천에 대해 이론적 함의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실천의 발달원인에 대한 고찰과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researches on Social Work Practice are actively increas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more elaborate research is performed methodologically along with a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However, a flow & perspective and a theory & model in paradigm are in the situation that the model of traditional Social Work Practice is being applied yet without a big change. However, the existing theory and model in Social Work Practice have limitation in understanding a social change according to a situational change among individual, society and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ideology, which had influenced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Social Work Practice, and searches for necessity of a historical change in Social Work Practice while historically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ology,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of Social Work Practice. Especially, it examines usefulness of Empowerment Model through the integrative method as the developmental phenomenon in Social Work Practice, and through the appearance background and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model, and considers theoretical implication on new Social Work Practice through communication theory, a German sociologist Jurgen Habermas's critical theory, which is being emerged as new theory of Social Work Practice. In conclusion, the aim is to suggest new theoretical frame through consider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a cause for development in Social Work Practice.

      • 역동적 인간복지(Human Welfare) 논리 개발과 전략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3 No.-

        우리사회가 지속가능한 복지사회의 염원과 복지국가를 추구하고 있지만 온갖 사회문제에 직면해 위험사회와 불확실성의 사회로 급속하게 변하고 있는 가운데 문제 해결의 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 해결의 실마리는 인간복지실천에 있다. 인간복지실천은 인간과 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실천적이면서 가치지향적인 접근에서 출발한다. 특히 위험사 회의 사회변동 다양성과 가치변화에 따른 개인의식의 혼돈, 현대사회의 특수성을 이해하 고 복잡성을 헤쳐나갈 다학제적 접근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적 영역이 많이 확장되었고 학문적 깊이 역시 간학문적 접근으로 사회복지 전문성은 정신분석학에 뿌리를 두었다. 인간 의식과 행동의 현상학적 측면을 대상으로 한 기존 심리학의 한계에서 근본적인 정신현상인 무의식을 발견하면서 오늘날 인간복지실천의 바탕을 형성하여 왔다고 본다. 그러나 신프로이트학파와 프랑크프루트학파의 비판에 의해 현대적 의미의 정신분석학 거대담론은 사회복지영역에서 시대 변화에 따른 전문성과 이론적 토대가 요구되기 때문에 정신분석을 새롭게 조명하여 인간복지실천의 이론적 체계 및 역동적 논리 개발을 통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인간과 사회는 과학기술 문명으로 끊임없이 역동적으로 진보하는데 특히 ICT사 회 가속화는 기계와 인간이 공존하는 새로운 특이성의 세계를 추구하면서 위험사회의 위기는 더욱 인간의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 기계화와 자동화 등으로 현대사회를 살아가 는 인간의 사회생활은 원자화되었기 때문에 인간복지의 실천은 더욱 강조된다. 우리 인간은 고도의 지능을 가지고 내면적 세계와 자연환경과 인위적인 사회라는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는 유기체이다. 러시아의 심리학자 비고츠키는 생각을 내면화한 그것 자체의 역동성을 가진다는것 을 발견하여 새로운 심리학적 사고와 연구모형을 제공했다. 인간성장을 구성하는 복잡한 변화들에 대한 이론은 인간의 내면적 성장이 단지 단편적인 변화들의 점진적인 축적이 아니라 주기성, 여러 기능들의 발달에서의 불균등성, 변형(metamorphosis), 혹은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의 질적인 변화, 외적요소와 내적요소의 합성, 적용 과정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복잡한 변증법적 과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인간의 진화적 변화와 사회적 변화를 모두 통합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자기 이해에서 출발하여 자기발전 및 자아실현을 위한 창조적인 정신활동을 실천하여 인간 본연의 내적 확신 혹은 내재적 동기를 찾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21세기 인간사회는 실존 상황에서 극적이면서 아직 예견되지 않은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들로 인한 인간복지 영역의 전문성이 더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의 융복합시스템으로 급하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인간복지실천의 논리와 전략으로 인간의 실존적 개념의 재해석이 인간 복지 차원에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정신분석학의 현대적 의미와 인간의 기본적 필요 충족을 위한 실존적 개념의 인간치유기술인 의미치료(Logo Therapy)와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y) 그리고 긍정심리치료(Positive Psychology Therapy) 등 휴먼서비스는 인간복지실천 영역에서 전문성과 이론적 틀을 구축하여 위험사회와 불확실성 사회에서 개인과 사회의 역할을 규명하는 논리와 전략이 필요하다. 개인이 사회에 의해 형성되고 인간의 실존 그 자체가 사회의 형성과 그 사회의 역사적 발전에 토대가 된다는 엄연한 사실에서 인간의 진정한 복지를 실현해야 할 것이다. Now, South Korean society longs for a sustainable welfare society and pursues a welfare state, but faces a variety of social issues, turning rapidly toward the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These emerging situations require multilateral approaches to any solution of questions. A possible clue for the solution lies in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starts from practical and value-oriented approaches to human being and society. In particular, it may involv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finding out a solution for complexity by understanding any confusion of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diversity and value shift in risk society. In multidisciplinary aspect, social welfare specialty based on psychoanalysis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It could be a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s after it found ‘unconscious’, a fundamental mental phenomenon in the boundary of conventional psychology that focused on phenomenological aspects of human consciousness and behavior. However, it is required to develop any flexible specialty and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basis of criticisms from neo-Freudian and Frankfurt school. That is why we need to newly spotlight psychoanalysis and establish a new strategy by developing a theoretical system and dynamic logics of human welfare practice. In addition, human being and society have entere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ociety where human being coexists with machine owing to development of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In pursuit of a new specific world, we face an ever-accelerated crisis of risk society. Owing to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our social life in contemporary society became further atomized than ever, so it requires underlining the practice of human welfare. As human being, we are an organism that has advanced intellectual abilities enough to interact with one another in inner world as well as outer (spatial) world like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society. Lev Vygotsky, a Russian psychologist, found that internalized thinking could be dynamic in itself, so he provided a new psychological thinking and research model. Based on theories about complex changes comprising human growth, he maintained that inner growth of human is not simply a gradual accumulation of fragmented changes, but a complicated dialectical process that is characterized by periodicity, disproportionate development of functions, metamorphosis (or qualitative change from a form to another form), synthesis of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and application process. This way, Vygotsky synthesized human evolutionary changes with social changes all around. In details, he thought that those changes of human being start from their self-understanding, so they may practice creative mental activities for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find out any natural inner confidence or internal motivation in human being, and exert their potential power. In this context, our contemporary hum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aces dramatic but unforecast changes that human being has to undergo as existential being. Also, these changes have more demands for specialty in human welfare. Particularly, our contemporary society turns rapidly and overall into a system of convergence that encompasse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so re-construction about existential concepts of human being becomes more underscored on the rise as a part of logics and strategy for human welfare practices. Thus, we need to establish certain specialty and theoretical framework in the field of human welfare practices differentiated with contemporary implications of psychoanalysis as well as human services, which involve human healing techniques based on existential concepts for satisfying fundamental needs of human being (e.g. logo therapy, existential therapy and positive psychology therapy), so that we may develop logics and strategy to make clear possible roles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our society of risk and uncertainty. Hence, it is important for us to achieve a real welfare of human being in that individuals are formed by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itself become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our society to form and develop historically.

      •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조직화사업의 전문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고찰

        남화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 No.-

        지역사회복지관이 기존의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의 기능에서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이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필수적인 목적사업으로 인식됨에도 대부분의 기관들은 이에 대한 경험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할 이론적 연구도 부족하다. 지역사회조직화와 관련된 학문적 개념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으며 관련 이론과 모델을 적용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일부 제시된 실천모델의 경우에도 이론적 뒷받침이 없고, 실천되는 일련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자별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 지역사회조직화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실천모델을 뒷받침하는 이론 제시와 실천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천모델, 실천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조직화 사업의 전문적 실천을 위해 수행해야 할 과제와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조직화의 개념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들에 대해 학자들 간에 정립이 요구된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은 제시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지역사회조직화 실천과정에 다각적으로 활용해 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조직화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차원에서 조사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교육훈련의 과정을 마련해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공식적, 비공식적 지역주민의 조직과 사회기관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공동의 노력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킹 하는 역할도 지역사회복지관을 거점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hen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provides the existing social welfare services, though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is perceived as a necessary means to solve social problems, most of the organs are not only lack of the experiences, but also lack of the theoretical researches to support the project. Scholastic concept on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is not sufficiently logical, and there are also few researches appling related theories and models on it. Some of the practical models are not supported by logic and do not fully include a series of the process as well. Therefore, this research redefines the concepts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by scholars. And it also offers the logic to support the practical models, and presents applicable practical models and practical process which are fit for the field.The results presents that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should execute following suggestions and directions. Firstly,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should be clearly defined among the scholars. Social workers should try to apply the presented theories versatilely through the practical processes. Secondly, to boost the community organizing project, we need the system to support the research and study, and to provide consistent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organ level. And lastly, it should be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that consolidates the network between the local community organs and social organs, and makes efforts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ogether through both the formal and inform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을 위한 복지국가의 역할- 우리나라가 나아갈 방향을 중심으로 -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우리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는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한국형 복지국가를 구축하여야 한다. 복지국가의 존재는 바로 세금이라는 공적자원인데 이러한 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는 복지제도의 정비와 사회적 책임의 규명이 시급하다. 특히 단기간에 경제대국으로 급성장하면서 발생한 사회문제는 이데올로기적 사회갈등과 정책의 오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제는 문제의 해결을 개인 및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정부가 나서서 새롭게 조명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복지국가는 독일과 영국의 보수적 정치 이념이 혼합된 형태로 생애주기별로 발생하는 욕구에 사회적 자본이 투입된 복지국가 형태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의 세부적 논제를 통해 한국형 복지국가 형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경제 구조의 결합이 바로 복지국가 체제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정치적 합의에 의해 최소한의 생활수준 보장을 넘어 불평등 및 양극화를 해소하여 사회의 모든 계층이 보편적인 복지체제에 통합되어야 한다.둘째,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사회통합형 복지국가를 지향하여야 한다. 특히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공동체 혹은 지역 커뮤니티 개발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지역 거버넌스(Governance)를 구축하고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사회적 자본 형태의 복지국가이다. 사회적 자본의 핵심은 신뢰와 공정, 공감과 협력, 조정과 소통이 근간이다. 신뢰와 공정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며 공정사회 실천의 근본이다. 공감과 협력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계층과 세대 간의 연대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조정과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변화와 사회통합에 따른 복지국가의 역할은 복지국가의 재편의 함의를 통해 사회계급, 빈부 등 불평등을 해소하고, 탈이념적 문화적 역동에 따라 비효율적 측면을 제거한 사회적 자본 형태의 거버넌스(Governance)를 실현하는 것이다. Our society is being demanded a change into new paradigm along with a rapid change. A Korean-style welfare state needs to be implemented in all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existence of welfare state is just the public resource called tax. Still, it is imminent to consolidate the welfare system and to closely examin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effectively executes this policy and ensures quality of life. Especially, a social problem, which occurred with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 in the short term, can be considered to result from a conflict in ideological society and from an error in policy. The government now will need to take the lead in newly illuminating the solution of a problem with the focus on a role in an individual, a family and community. Accordingly, the welfare state in Korea will need to be equipped with a welfare-state form that is thrown the social capital in a desire, which is caused by life cycle, as a form that is mixed the conservative political ideology in Germany and England. Suggesting the form of Korean-style welfare state through the detailed topic in social change and social integr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can be said to be just the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state system. All the classes in society need to be integrated into the universal welfare system by resolving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eyond the security of the minimum living level by the political agreement. Second, there is a need of pointing to the social-integration welfare state in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Especially, there is a need of implementing community governance in a new concept dubbed the development in local community centering on culture and of increasing quality of life in local residents based on decision-making. Third, it is the welfare state in the form of social capital. The core in social capital is based on confidence & fairness, sympathy & cooperation, and mediation & communication. The confidence and fairness ar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progress and are the foundation of practicing fair society. Sympathy and cooperation can be mad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disadvantaged and the solidarity between class and generation. Also, there is a need of resolving social conflict and of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mediation and communication. In conclusion, a role of welfare state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social integration is what resolves inequality such as social class and rich & poor through implication of reorganizing welfare state and is what realizes governance in the form of social capital, which removed inefficient aspect according to the post-ideological cultural dynamic.

      • ‘제3의 길’로 바라본 한국 복지정책

        임기홍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7 No.-

        본 논문은 좌파와 우파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는 ‘제3의 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역대 정부들의 복지정책을 논의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우선 앤서니 기든스의 사상과 주장하게 된 배경, ‘제3의 길’이 제시하는 기본 입장, ‘제3 의 길’ 정치 순으로 ‘제3의 길’이 표방하는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제3의 길’이 주장하는 복지국가, 사회복지정책을 간단히 살펴본 후에 역대 정부들의 복지정책이 ‘제3 의 길’을 어느 정도 수용하고 받아들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제3의 길’과 관련하여 한국적 맥락에서 제기되어야 할 복지정책의 과제를 제 시한다. ‘제3의 길’을 통하여 좌파와 우파 이념이 아닌 모든 국민이 복지 혜택을 누리고, 복지 이념에 따라 살아가는 새로운 길을 정부는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welfare policies of successive govern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ird path that is being re-evaluated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is intensifying. Therefore, this thesis will first examine the ideas of Anthony Giddens, the background of his assertions, the basic position presented by the ‘Third Way’, and the contents of the Third Way in the order of politics of the Third Way. Next, after briefly reviewing the welfare state and social welfare policies advocated by the Third Path, we will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welfare policies of successive governments have embraced and accepted the Third Path.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thesis presents the tasks of welfare policy that should be raised in the Korean context in relation to the third way. Through the Third Path, the government will have to create a new way for all citizens to enjoy welfare benefits and to live according to the welfare ideology rather than the left or right ideology.

      • 칼빈의 기독교사회복지에 나타난 이념과 실천에 관한 연구

        이경재(Lee Kyung Jae)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6 No.2

        This study is the ideology and practic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ppeared in Calvin's theology. Calvin signposted to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the ministry in Geneva in the 16th century as a reformer against the Catholic. Calvin's Christian social welfare ideology was to a viewpoint of human nature and state. The viewpoint of human nature in Calvin's theology based on the Bible as loving neighbors, he strenuously insisted that the state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se neighbors. Calvin instituted deacon system in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this deacon system is to form 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deacon is one of those in charge of distributing alms from the church and care for the poor to manage the common chest of the poor. Christian social welfare to Calvin specifically enforced. First, Through the workhouse was practicing charity and relief features and help those in need of Christian medical work. Second, and aided to religious refugees from France, etc. Deacons and the Bourse Francaise. Third, the Geneva Academy that Calvin established was the face as a school social worker. This Academy was to train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ministers. Fourth, Calvin replaced the usury the private financing for redistribution of wealth within the bibl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is study the sure ideology and various practic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ppeared in Calvin's theology has presented the implications in the contemporary Christian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se at the time, of course, with his theology has had a huge impact down to modern times. 본 연구는 칼빈의 신학사상에 나타난 기독교사회복지의 이념과 실천에 관한 것이다. 칼빈은 종교개혁가로서 16세기에 제네바에서 목회사역을 통해 기독교사회복지에 방향제시를 하였다. 칼빈의 기독교 사회복지 이념은 인간관과 국가관에 있다. 여기서 칼빈은 인간관을 성경에 근거하여 이웃 사랑이라고 구정하며, 국가관은 이러한 이웃 사랑에 대해 국가가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칼빈은 사회복지 전달체계에서 집사제도를 활용하여 교회 집사제도가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형성하게 한다. 집사는 교회에서 구제물자를 분배하고 가난한 자들을 돌보고 빈민 구제금을 관리하는 일을 맡은 사람들이다. 칼빈은 구체적으로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을 시행한다. 첫째, 구빈원을 통해서 기독교 의료사업의 기능과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자선과 구호의 기능을 겸한다. 둘째, 프랑스 구호 기금 등을 통해 종교적 난민들에 대한 원조를 하였다. 넷째, 고리대금업을 성경적으로 해석하여 건전한 사금융으로 양성, 부의 재분배에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찰한 칼빈의 이웃 사랑에 관한 확고한 복지이념과 다양한 사회복지실천은 현대 기독교사회복지에 있어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칼빈의 기독교사회복지에 대한 이념과 실천은 그의 신학 사상과 더불어 당시는 물론 현대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