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장형 패키지 상품에서 세상에 단 하나뿐인 여행작품까지: 전 지구적 IT의 발전에 따른 한국 여행산업 및 호스트-게스트 구조의 변화

        이민영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3

        This research analyzes the process of producing from factory-style package tours to the only one travel art in the world: the changes of the structure of Korean travel industry and the expansion process of host-guest connectivity with glob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research about Korean international travel culture, recognizing this industrial change is necessary, but existing anthropological researches about tourism has bee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hosts meeting guests, based on the classical anthropological theory. This research is the first trial to analyze the travel industry as an important anthropological field. At the beginning stage of Korean travel industry, about 30 years ago, mass produced package tours by big travel agencies dominated the market, but the Korean system based on low-priced mass production has reached the limit. The popularization of internet around 2000 made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hosts and Korean guests possible, and the global travel culture software appeared around 2010 made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hosts and Korean guests possible. And because of the social media, influencers who are hosts/guests and tour packages producers appeared, and finally the connectivity of hosts and guests are getting expanded crossing borders of industries. This paper researches Korea having different geographical, linguistic, cultural features and showing dynamic progress of IT and travel culture, and lights up the process of industrial, cultural changes with globalization in Asia. This research would provide insights about the essence of cultural changes caused by globalization and tourism. 본 연구는 공장형 패키지 여행상품에서 세상에 단 하나뿐인 여행작품을생산하기까지 전 지구적 IT의 발전에 따른 한국 여행산업의 구조 변화 및 호스트-게스트 연결성의 확장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한국인의 해외여행문화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산업적 변화에 대한 인식이 필 수적이지만, 관광에 대한 기존의 인류학적 연구들은 호스트-게스트라는 관 광인류학의 고전적 틀에 기반하여 호스트와 게스트가 직접적으로 만나는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어왔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인류학에서 비교적 소홀 하게 다루어왔던 여행산업이라는 영역을 하나의 중요한 인류학적 현장으 로 분석하는 첫 시도이다. 30년 전, 한국 해외여행산업의 초기에는 대형 여행사의 대량생산 패키지 여행상품이 시장을 지배하였으나, 저가 패키지 대량생산 시스템 위주의 한국적 시스템은 점점 한계점에 이르렀다. 2000년 이후 대중화된 인터넷은 한국인 호스트-한국인 게스트의 직접 연결을, 2010년대부터 발전한 글로벌 여행 문화 소프트웨어는 현지인 호스트-한국 인 게스트 연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발전으로 호스 트 혹은 게스트이자 여행제작자인 인플루언서들이 출현하였으며, 산업의 경계를 넘어서는 호스트-게스트 연결성의 확장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서구에 비해 해외여행산업의 지리적, 언어적, 문화적 경계가 비교적 확실하고, IT과 여행문화의 급속한 변화를 잘 보여주는 활발한 여행시장으 로서의 한국에 주목한다는 점뿐 아니라, 서구와는 다른 근대관광의 역사를 가진 아시아 지역이 전 지구화와 함께 겪는 산업적, 문화적 변동과정을 밝 힌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여행산업과 여행문화뿐 만 아니라, 전지구화와 관광으로 인한 문화 변동의 본질까지 이해하는 통 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

        김태우(Kim, Taewoo)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생의학 현장과 한의학 현장에서의 복수현지조사를 바탕으로, 두 의료에서 관찰되는 인식과 실천의 차이는 기준을 가진 비교로서는 제대로 드러낼 수 없음을 보이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를 통해 비교불가문화연구의 인류학을 예시해 보고자 한다. 생의학과 한의학의 분지의 양상은 의료인과 환자사이 첫 대면에서부터, 상담, 그리고 효능에 대한 협상에 이르기까지 전면적이다. 분지의 조건들은 몸을 바라보는 관점, 그 관점을 바탕으로 한 진단과 치료방법론, 그리고 효능을 구하는 방식에까지 다층적이다. 여기에 역사가 그 분지를 다차원으로 만든다. 본 논문에서 비교불가능성을 강조하는 것은 인류학적 연구가 추구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기준을 상정한 비교연구가 가져올 수 있는 특정 문화에 대한 규정, 예단을 넘어서기 위한 인류학적 고민의 결과물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Drawing on the multi-sited fieldwork of biomedicine and Korean medicine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the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divergence of the two medicines cannot be articulated with a comparative approach. In so doing, it aims to exemplify an anthropology of incommensurability. Biomedicine and Korean medicine thoroughly diverge from the first encounter of a practitioner and a patient, through a consulting session, to the negotiation of efficacy. The conditions of divergence are multi-layered by different medical perceptions, dissimilar diagnoses and therapies based on the perceptions, and the various ways of achieving efficacies. Historical trajectories of the two medicines make the divergence even multi-dimensional. With emphasis of incommensurability, this study does not attempt to give up understandings of other cultures. Rather, it aims to overcome the issues of comparative studies that tend to define other cultures with fixed criteria.

      • KCI등재후보

        '유적'에서 '생활문화'로 : 현대 일본사회에서 문화관광의 새로운 전개 Transformation of Cultural Tourism in Modern Japan

        권숙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3 비교문화연구 Vol.9 No.1

        This paper explores recent changes in cultural tourism in Japanese society. Many observers and researchers of Japan have suggested that cultural tourism is undergoing a meaningful shift which can be summarized into such related phrases and campaigns as "om Monuments to Living Cultures""om Dots to Lines"or "om Sightseeing to Experiencing"In this context, many local agencies and groups try to create various products that are allegedly geared to changing tastes and needs of tourists. A neighborhood organization in Aizu Wakamatsu City which has done various efforts to produce touristic attractions in their region is reviewed as a concrete example. As a concluding analysis, factors that bring about transformation in cultural tourism, meanings of the increased interest in 'wholistic' culture or living cultures, issues of authenticity and the so-called "del"ulture, and possibilities of cultural tourism as "ternative"orms of tourism are discussed.

      • KCI등재

        낭만과 현실 사이에서

        김주영(Kim, Joo Yo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청주 수암골에서 진행된 문화예술사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빈곤의 재현 양상을 분석한다. 빈곤을 재현하는 행위자로 문화예술사업 기획자, 예술가 그리고 수암골 주민을 살펴봄으로써 이 세 주체가 어떻게 빈곤을 재현하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빈곤의 재현 양상은 골목길, 농촌적인 마을 공동체에 대한 이견(異見), 빈곤에 대한 오인과 선택적인 인식, 이를 통해 나타나는 빈곤에 대한 의도치 않은 비가시화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낭만과 현실이라는 기획자, 예술가, 주민 사이의 빈곤에 대한 인식의 간극은 서로 간에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되면서 문화예술사업의 의도와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사업은 계속되고 있으며, 세 주체 간의 동상이몽 역시 지속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문화예술사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기획자, 예술가, 주민 사이의 빈곤에 대한 다른 방식의 재현이 현실로서 빈곤의 문제를 보이지 않게 만들고 있음을 비판하고자 한다. 오늘날 철거와 재개발의 악몽에서 벗어난 달동네가 보존형 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다른 방식으로 박제화, 상품화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poverty from a culture and art project in Suamgol, an urban impoverished area called Daldongnae in Cheongju, Korea. This study observes the project planners, artist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key agents to the project, and examines how they represent povert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These diverse expressions of poverty are found in alleys, from different understandings toward rural-like village communities, and misconceptions or selective perceptions of poverty. As shown in this study, this process unintentionally misrepresents poverty. Whereas the planners, artists, and local residents present poverty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poverty in reality disappears. The residents of this Daldongnae went through forced demolitions and redevelopment, and finally survived their nightmares. Now, however, a new paradigm called preservation development objectifies and commercializes their lives and poverty in reality in a whole different way.

      • KCI등재
      • KCI등재

        삶의 중요한 일부로서의 스마트폰: 직장인·대학생 대상 설문조사와 여자대학생 대상 현장연구

        이용숙(Lee, Yongsook),이수현(Lee, Suehyun)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과 20~40대 직장인 500명의 스마트폰사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연령대별/성별로 살펴본 후, 여자대학생에 중점을 두어 스마트폰이 어떻게 이들의 삶의 중요한 일부가 되고 있는지 논의했다. 연구자 2명과 연구보조원 36명이 자신과 주변인의 스마트폰 사용방식을 참여관찰하고, 80여 명과의 심층면담과 4회의 FGI를 실시했다. 스마트폰과 가장 밀착된 삶을 사는 것으로 나타난 여자대학생들은 57%가 하루 5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했다. 스마트폰사용으로 소요시간이 늘어난 활동은 취미생활, 쇼핑/관련정보검색, SNS, 사진찍기 등이고, 줄어든 활동은 혼자서 생각하기, 독서, 가족/친구와 함께하기, 교육/학습활동 등이다. 이들은 스마트폰을 ‘필수품’으로 여기고, ‘친구’, ‘일상/생활’, ‘또 하나의 나’ 등의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이들은 ‘무의식적’으로나 ‘재미/현실도피’를 위해 스마트폰을 과다사용한다고 느꼈으며, SNS에 게시할만한 사진을 찍고 친구의 게시물에 반응을 보여야 하며 연락에 즉시 답해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받았다. 스마트폰의 편의성/휴대성/즉각성은 사용자의 삶을 스마트폰 중심으로 개편시키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martphone usage of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in their 20s, 30s and 40s. We discussed how smartphones are becoming an important part of their lives, focusing o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tend to spend the most time on smartphones. For that purpose, three types of studies were conducted: 1) A questionnaire survey with 500 participants, 2) participant observation by two researchers and 36 research assistants who focused on their own smartphone usage as well as the smartphone usage of their friends/family members and 3) in-depth interviews with 80 college students and 4 focus group interviews at a coed university. The research foun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tend to use their smartphones much more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Indeed, 57%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ed smartphones more than five hours a day. Activities that showed an increase in terms of time consumption due to smartphone usage were 1) hobbies, 2) shopping, 3) social media, 4) taking pictures and 5) travelling/searching for travel-related information. Using smartphones led to less time spent on the following activities: 1) thinking alone, 2) reading, 3) spending time with family or friends and 4) education/learning activities. College students felt anxious without their smartphones and considered them a necessity. Moreover, many gave meaning and value to their smartphones labelling them a ‘friend’, an ‘everyday life companion’, and ‘another self’. At the same time, however, students were found to be stressed because of their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They felt that they were spending too much time on their smartphones either ‘unconsciously’, ‘for fun’ or ‘for escape.’ In particular, ‘SNS applications’, often used for ‘killing time’, and ‘communication applications’, which put students under pressure for ‘immediate reply’, were the top two causes of smartphone-related str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venience, mobility and the spontaneity of smartphones deeply influenced the lifestyles of their users. Socio-structural causes of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19세기 전통지식의 지속과 변화의 관점에서

        조숙정(Jo, Sook-Jeo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1

        이 글은 흑산도 어민들의 해양 지식에 관한 연구로서, 특히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적 분류 방식을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21세기 초 흑산도에서 수행한 경험적 자료에 대한 분석과 19세기 초에 저술된 『자산어보』에 대한 문헌 자료 분석을 비교 검토한다. 그럼으로써 조선 후기 흑산도 어류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전통지식이 200여 년이 지난 현대 흑산도에서 어떻게 지속되고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21세기 흑산도 어류의 민족생물학은 놀라울 정도로 『자산어보』에 기록된 그것과 많은 부분에서 닮아 있었고,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전개돼 온 것으로 보인다. ‘괴기’란 물에 사는 동물로서 몸에 비늘이 있고 지느러미로 헤엄쳐 다니는 것으로 인지된다. 이 어류의 원형성을 토대로 고래류와 오징어류는 21세기에도 여전히 ‘괴기’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상괭이, 범고래, 돌고래가 ‘고래’로 인지된 것은 상대적으로 근래의 변화로 밝혀졌다. 한편, 원형성에서 먼 주변부에 위치했던 새우, 해파리, 해삼, 군소, 미더덕 등은 ‘괴기’ 범주에서 배제되었다. 육지에서 들어오는 외부 지식이나 과학지식은 일부 어류 분류의 토착지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해양환경의 변화는 섬사람들의 어로활동 및 어류 목록에도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marine knowledge of Heuksan islanders, especial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ethnobiological classification of Heuksan fishes. I compare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conducted in the early 21st century in Heuksan Island and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data of Jasan Eobo written in the early 19th century. I examine how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the names and classification of the Heuksan fish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inued and changed in the more than 200 years of modern Heuksando. Fish is conceptualized as an animal that lives in water and has scales on its body and swims in its fins. Based on the prototypicalty of fish, cetaceans and cephalopod are still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ish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shrimp, jellyfish, sea cucumber, and sea hare which were located far from the prototype category are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fish. It is a relatively recent change that a finless porpoise, a killer whale, and a dolphin were recognized as a whale.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the arrival of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coming from the land are also causing changes in the islanders’ fishing and fish list.

      • KCI등재

        탈근대기 무형문화재 정책과 민속 문화의 정치학

        이훈상(Hoon Sang Le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0 비교문화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policy of Invisible Cultural Heritage centering on the personal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of Gasanogwangdae and folklore as its basis. Transcendental cognition of folk culture based on nationalism has dominated Korean folklore for a long time and has become the basis of policy of Invisible Cultural Heritage. The policy was to preserve a particular cultural art as a valuabl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worthy of transmission and categorize it as an invis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support it and control for modern nationa state building. This study illuminates the close relationships interworking among folklore, policy of invisible cultural heritage, and regime folk in the narrative form of autoethnography. In the process, the personal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of the 1970s is extended into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modern nation state building. Furthermore, the formation of folk knowledge in the space of modern city is also discussed. This study emphasizes further self-introspection for the contemporary post modern world.

      • KCI등재
      • KCI등재

        “라코리아(La Korea)”: 미 서부 교외의 한인 집중거주지 형성과 교육담론에 투영된 재미한인사회의 다양성

        정은주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25 No.2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s of differentiation and of assimilation of Korean ethnics in American suburbs, spaces called to represent American middle class life. Specifically it focuses on a typical white upper-class quarter in the LA northeastern region, and examines how the particular locality affects the Korean residents’ relationships, behaviors, and identities. Traditional discussions on immigrant space have seen immigrants’ moving to the suburbs as a sign of assimilation or having such an aim. I problematize this assumption and show how diverse the ethnic Koreans in this particular suburb not only in their immigrant particularities but also in their level of acceptance or of resistance to the local culture. In this particular ethnoburb, differentiation and diversities among Korean ethnics were revealed through the discourse of education just as it was the major pulling factor to the locality. Inquiring into the lives of Korean Americans through the framework of ethnoburb enables us to see,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looking at Korean Americans as a single community, not only their intra-ethnic relations and behaviors but also how their lives are weaved with other groups to make their inner diversity. 이 글은 교외화와 인종별 · 민족별 거주지 분리를 특징으로 하는 미국도시형성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주류 중산층의 공간적 재현이라 일컬어지는 교외 거주지에서의 한인사회의 범주화 및 동화의 역학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로스엔젤레스 북동부에 위치한 전형적인 백인 부촌에 한인이집중거주하며 형성되는 장소의 성격은 어떻게 이들의 관계와 활동 및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거주지가 형성하는 재미한인 삶의 맥락을 분석한다. 종래 이민자가 교외를 거주지로 선택하는 것은 곧 주류 사회문화에의 동화를 반영하거나 동화를 목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되어왔다. 그러나 이 글은, 경제적 조건이 향상됨으로써 교외로 이주하는 것을 주류문화에의 동화로 해석하는 일반화에 문제를 제기하며 미국 교외화의 역사적맥락 속에서 특정 에스노버브 내 한인의 다양한 모습을 분석한다. 이 글에서 다룬 특정 한인 에스노버브에서 드러나는 한인 내 다양성은 이주세대나 언어능력, 한국문화에 대한 익숙함과 불편함의 정도 뿐 아니라 로컬문화에 대한 수용 또는 저항의 정도에 따라 이루어졌고, 그 지표들은 이들을 이 지역으로 모이게 한 것이 교육인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 담론을 통해수렴되고 표현되었다. 교외집거지를 통해 재미한인의 삶을 고찰하는 것은한인사회를 단일한 공동체로 상정하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한인 간의 관계와 활동 뿐 아니라 타인종 및 타민족 집단과의 일상적 관계를 살피고 그대응의 차이가 다시 한인 내 다양성 형성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볼 수있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