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사학회(經濟史學會)의 초창기 역사

        이헌창 ( Hun Chang Lee ) 경제사학회 2015 經濟史學 Vol.59 No.-

        이 글에서 1963년 경제사학회의 창립 과정과 1968년 이전까지의 초창기 역사를 정리하였다. 한국경제학회의 분과 활동으로부터 나아가 경제사학회의 창립을 낳은 중요한 계기는 세계경제사학회의 자극, 신진 학자의 활발한 참여, 그리고 조직적인 공동 연구의 요청이었다. 초창기 경제사학회에는 경제학자와 한국사학자도 활볼히 참여하여 교류하고 있었다. 세계 경제사학계의 동향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세계경제사학회에 적극 참여하였다. 초창기 경제사학회는 白南雲의 史觀을 계승하여 발전적 한국사상의 구축을 주요한 과제로 삼았다. 그래서 한국사 시대구분론, 자본주의 맹아론, 개화사상, 개항 이후 기업가사 등의 발표가 이루어졌다. 특히 조선시대 경제사상가와 歐美의 現代經濟史家論에 관한 기획 발표, 그리고 한국사 시대구분론에 관한 공동 연구가 추진되어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활동은 한국사학계에도 자극을 가하였다. 경제사학회는 초창기에 활발한 학술 활동으로 괄목할 성장을 하였고, 1975년 학회지의 발간 이후 제2차 성장기를 맞이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founding process of the Korean Economic History Society and its early history, mainly before 1968. The stimulus of the international societies of economic history, active participation of new young scholars, and the need for collaborative research were important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undation of the Society in 1963. The Society had keen interest in the soholarly exchange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ies of economic history, and Korean historians from humaniti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ety. The Society pursued the development view of Korean history. It carried out pl31llled presentation meetings on economic thoughts of the Choson dynasty and the works of the world-famous economic historians, and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and symposium on the periodization of Korean history. These early academic activities not only reflected the growth of the Society but also reflected responses of Korean historians from humanities. After the publication of Kyunje Sahak from 1975 the Society met the second phase of its growth.

      • KCI등재

        ‘경제학’으로서의 경제사 연구: 『일본경제의 역사』근대 1.2권의 서평

        정진성 경제사학회 2019 經濟史學 Vol.43 No.2

        The series of The history of the Japanese economy has the following features compared to the existing series of Japanese economic history. First, the period of review was greatly expanded to cover almost 10 centuries from the 11th century to 2010. Second, it emphasizes that the economic growth that continues to the modern period began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Third, whil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and economic growth, it deals with structural changes relatively lightly. Fourth, methodologically, the series is actively using econometric methods and economic theories. The third and fourth volumes of the series dealing with modern times explain macroeconomics, the role of government and distribution issues in the Introduction, and the following chapters cover labor, finance, agriculture and land use, industries and, commerce and service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they make little mention of colonies, imperialism and monopolie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weight in the previous series. The History of Japanese Economy has produced many new achievements through active use of economic theories, but as a result, the economic history drawn by The History of Japanese Economy has been strengthened in character as a field of economics, while the economic history as a history has retreated. 『일본경제의 역사』는 기존의 일본경제사 시리즈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검토 시기를 대폭 확장하여 11세기에서 2010년까지 약 10세기에 걸친 초장기를 검토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근대로 이어지는 경제성장이 14~15세기부터 시작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시장경제의 발달과 경제성장을 중시하는 반면, 구조적 변화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다루고 있다. 넷째, 방법론적으로 계량적 수법과 경제학 이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매크로경제에 대한 장기추계를 시도한 점과 마이크로경제학에 기반을 둔 역사제도분석 수법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점이 주목된다. 근대를 다루는 제3, 4권은 서장에서 매크로경제, 정부의 역할, 분배 문제를 다루고 이하 각 장에서 노동, 금융, 농업과 토지이용, 광공업, 상업과 서비스업을 다루고 있다. 반면 기존 시리즈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졌던 식민지, 제국주의, 독점 등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일본경제의 역사』는 경제이론의 적극적 활용에 의해 많은 새로운 성과를 냈으나, 그 결과 『일본경제의 역사』가 그려내는 경제사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서의 성격이 강화된 반면, 역사학으로서의 경제사라는 측면은 후퇴하였다.

      • KCI등재

        11-19세기 일본과 한국의 경제성장과 ‘소분기’: 『일본경제의 역사』 중세 ,근세의 서평을 대신하여

        김재호 ( Jae Ho Kim ) 경제사학회 2019 經濟史學 Vol.4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17년에 출간된 岩波講座 『日本經濟の歷史』에서 제시된 일본 중세 ·근세의 경제를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같은 시기 한국경제와 비교하는 것이다. 수량적 비교를 위하여 한국의 인구, 농업 생산, 인구 밀도, 도시화율, 조세부담률, 임금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고 새롭게 추계하였으며, 경제성장의 원천과 패턴을 비교하기 위하여 양국의 정치제도와 토지소유권을 비롯한 제도적 차이에 주목하였다. 한국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14-15세기에 농업 생산이 증가하였는데,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한 일본과 대조적으로 한국은 16세기 이후 성장이 지속되지 못하였다. 특히, 16세기 말 전쟁의 충격으로 농업생산이 위축되고 1인당 농업 생산도 격감하였다. 17세기에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였지만 18세기 중반에 정점에 도달한 이후 정체하였으며, 그 결과 19세기에 양국의 농업 생산과 1인당 농업 생산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게 되었다. 16세기부터 시작된 양국 간의 ‘小分岐’(little divergence)는 근원적으로는 시장경제의 발달, 농민공동체의 자치 능력, 토지소유권의 보장, 정부의 재정 능력 등의 차이가 원인이었다. 조선왕조는 민간의 경제 활동과 재정 운영에 있어서 시장경제와의 접촉을 가능한 제한하고자 하였으며 조선왕조의 집권성과 시장경제의 낮은 수준은 그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농업 생산에 있어서는 생산 증가를 유인하는 인센티브라는 점에서 일본에 비하여 불리하였다. 인구의 상당 부분이 노비 신분이었으며, 조세납부의 책임이 농민들의 단체가 아닌 지방관에게 부여되었고, 지주제가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농업 생산이 정체하는 가운데 인구 증가로 인해 가중된 인구 압력은 지방장시를 대상으로 하는 상공업 인구를 증가시켰을 것이지만 도시화율이 매우 낮고 중소 도시나 농촌의 부업의 발달이 저조하였기 때문에 인구 압력을 해소하기는 어려웠다. The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Japanese middle age and early modern economy presented in the Iwanami Lecture History of the Japanese Economy published in 2017 with the Korean economy focusing on ‘economic growth’. In order to compare quantitatively, the researches on population, agricultural production, population density, urbanization rate, tax burden and wage of Korea are summarized and newly estimated. And to compare the sources and patterns of economic growth, the study pays attention to institutional differences originated from political system and land property rights. In Korea, like Japan, agricultural production increased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In contrast to Japan, which continued to grow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the impact of the war at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sharply depressed agricultural production and reduced per capita agricultural production in Korea. They recovered to pre-war level in the seventeenth century but stagnated after reaching its peak in the mid-eighteenth century. As a result,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production and per capita agricultural production of both countries became more significant. The ‘little divergence’, which started in the sixteenth century, was originally due to the gap of development of the market economy, the autonomy of the farmers’ communities, the guarantee of land ownership, and the fiscal capacity of the government. The Chosun dynasty tried to limit contact with the market economy i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private sector and financial administrations of the government, and the low level of the market economy and the central dominance of the Chosun dynasty made it possible. In agricultural production, Korea was disadvantageous to Japan in that a large part of the population was a slave, and the responsibility for paying taxes was given to provincial governments, not farmers’ organizations, and the sharecropping system was highly developed. While agriculture production was stagnating, the population pressure increased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population targeting the local markets, but it was difficult to solve the population pressure problem because the urbanization rate was very low and th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or rural job opportunities was poor.

      • KCI등재

        현대 일본경제사의 새로운 시도: 『일본경제의 역사』 현대 1·2권의 서평

        여인만 ( Inman Yeo ) 경제사학회 2019 經濟史學 Vol.43 No.2

        이 글은 이와나미서점에서 간행된 『일본경제의 역사』(전 6권) 중 현대를 대상으로 한 5권 및 6권에 대한 서평 논문이다. 5권은 1937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6권은 1973년부터 2010년까지를 각각 대상 시기로 하고 있다. 이 시리즈의 각 권은 대상 시기의 성장률 추이 및 그 요인을 분석하는 서장과 노동, 금융, 농업, 광공업, 상업 및 서비스라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성장회계를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시리즈와 비교할 때 이 시리즈는 일본경제사·일본경제론 연구자 이외에 노동경제학·공간경제학·국제경제학 등 근대경제학 분야를 전공하는 연구자가 다수 집필에 참여하고 있고, 현대 일본경제를 1972년을 경계로 고도성장기와 저성장기로 구분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고 팩트 파인딩이 부족하여 현대 일본경제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인정하기 힘들다. 근대경제학자를 위한, 근대경제학자에 의한, 1937-2000년간 일본경제에 근대경제학을 적용해 본 시리즈라고 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the Japanese Economy, which consists of six volumes, was published in Iwanami Press in 2017. This paper is a review on 5 and 6 volumes for the contemporary Japanese economy. Volume 5 covers 1937 to 1972 and volume 6 covers 1973 to 2010, respectively. In both volumes, the introductory chapter analyzes the growth rate trend and its causes. And, Both volumes consist of five chapters: labor, finance, agriculture, manufacturing, commerce and service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these book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author’s major is not confined to in Japanese economic history, but include various fields of theoretical economics such as labor economics, spatial 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Next, the contemporary Japanese economy was divided into the post-1972 high growth period and the pre-1972 low growth period. However, it is hard to admit that these books have given new knowledge to the study of contemporary Japanese economic history due to the lack of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ack of historical fact finding. These books, written by and for theoretical economists, can be said to have applied economic theory to the Japanese economy from 1937 to 2000.

      • KCI등재

        '내재적 발전론'에서 '경제성장론'으로: 근현대 한국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재호 경제사학회 2022 經濟史學 Vol.4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economic history research undertaken after the paradigm shift from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o economic growth theory in the mid-1980s. It focused on uncovering the aspects of the studies from the opening port(1876) to the 1980s by dividing it into the opening-port period, the colonial period, the 1950s following the liberation(1945), and the high growth following the 1960s. In general, the nationalistic and political perspective has waned, while quantitative and positive researches have advanced. As interest in estimating economic growth or economic change grew, numerous time series were organized, most notably national accounts and GDP. Growth accounting was undertaken, and studies on the institutions that underpin economic growth, such as the Korean cadastral survey, were also conducted. Interest in nationalist concerns has waned, while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 in the market economy have gained prominence. Not only macroeconomic developments have been actively studied, but also microscopic empirical investigations on individual businesses. As scholarship into the colonial period and particularly after the liberation has increased, so have long-term studies spanning multiple eras. Comparative researches were prompt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economic history, but interest in modernity judgment waned. To further future research, not only should studies based on the paradigm of economic growth theory be deepened and enlarged, but also the paradigm itself must be reviewed. To have an image of Korea s economic history as a whole, more studies should be made on economic issues of the period or area where quantitative measurement is difficult. Nationalistic problems must also be appropriately studied,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state power and political process into economic history research. Above all, a balance between economic history and general history is important. 이 글의 목적은 '내재적 발전론'에서 '경제성장론'으로 연구의 패러다임이 전환하기 시작한 1980년대 중반 이후, 특히 1990년대 이후 최근까지의 근현대 한국경제사 연구를 조감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전망하는 것이다. 개항 이후 1980년대까지를 개항기, 식민지기, 해방 이후 1950년대, 196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로 구분하여 연구의 양상을 드러내 보이는 데 주력하였다. 전반적으로 민족주의적, 정치적 관점이 퇴조하고 수량적, 실증적 연구가 진전되었다. 경제성장 또는 경제적 변화의 측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다양한 시계열이 정비되었으며 무엇보다 국민계정과 GDP가 추계되었다. 성장회계가 시도되었으며, 경제성장의 근본 요인이라고 인식된 제도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민족자본에 대한 관심은 퇴조하였으며 시장경제에서 활동하는 주체인 기업과 기업가가 주목받게 되고 식민지 조선에 진출한 일본인 회사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국민계정 추계와 관련된 거시적 연구와 병행하여 개별 기업에 대한 미시적인 실증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식민지기, 특히 해방 이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여러 시기를 아우르는 장기적 연구가 진전되었다. 한국경제사의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서 비교연구가 촉발되었으며 근대성 여부에 대한 관심은 감소하였다. 연구의 진전을 위해서는 경제성장론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연구가 한층 심화되고 확장되어야 하겠지만, 패러다임 자체에 대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 한국경제사의 전체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수량적 측정이 어려운 시기나 영역, 그리고 경제성장 외의 경제 문제에 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민족 문제도 적절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권력과 정치 과정에 대한 연구를 경제사 연구에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 경제사 연구는 역사학과 경제학 두 분야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고 양자의 균형을 취할 필요가 있다. 시대구분과 같이 한 사회를 총체적으로 인식하는 노력이 감퇴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성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평논문(批評論文) : 조선왕조 재정과 시장의 관계 재론;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이헌창 편, 2010)에 대한 비평

        손병규 ( Byung Giu Son ) 경제사학회 2012 經濟史學 Vol.52 No.-

        낙성대경제연구소의 연구 성과물인 『조선후기 재정과 시장: 경제체제론의 접근』은 조선왕조의 재정시스템을 군주제라는 특성에 기반을 둔 국가재분배의 경제체제로 이해한다. ``국가재분배``란 국가 단위로 재원이 총괄적으로 파악되고, 중앙정부의 인지 하에 일괄적으로 징수·축적되며, 공공업무의 수행이나 농업재생산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기관으로부터 민에 이르기까지 재원이 ``재분배``되는 이념에 근거한 경제활동이다. 전제국가에서 재원의 재분배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의 경제활동, 즉 ``재정``과 그리고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갖는 ``시장``은 경제를 통합하는 2대 분배기구이다. 이 책은 궁극적으로 그 양대 분배기구의 상호관계를 중앙재정과 서울시장에서 밝힌 것이다. 이 일련의 연구가 가지는 연구사적 의의는 조선왕조 경제체제를 단지 세계사 발전단계의 일반론에 대입시켜서 이해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 이 연구들은 조선왕조 경제체제의 자체적인 운영원리를 발견하고 그 역사적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럼으로써 근현대사회의 경제체제와 관련된 특성을 제안하기도 한다. 조선왕조의 재정시스템은 정규의 재정부분을 중앙집권화하면서도 개별 분산적인 비정규의 재정부분과 役制의 운영이 병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들은 그러한 특성을 각 재정부문, 그리고 그 시장과의 관계에서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중앙집권화되어 공식화한 중앙재정에 편중되고, 비정규의 재정부분과 오래된 재정운영 방식의 병존상황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없지 않다.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특성을 밝히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시장경제통합으로 전환``된다는 근대 이행의 구조적 파악으로 단순화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조선왕조 경제체제를 생각할 때, 역제를 포함하여 비정규적 재원부분의 자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운영이 집권적 재정운영에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점, 그렇지만 국가가 시장의 물류를 지속적으로 통제함으로써 그러한 경제체제를 유지하였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State Finance and the Market in Late Choson Korea: An Economic Systems Theory Approach", studied by Naksungdae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tries to understand the state finance system of Choson Dynasty as a monarchy`s state redistribution-centered economic system. ``State redistribution" is an economic activity that all the financial sources are comprehensively inspected, unitarily collected, and redistributed by the state for guaranteeing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affairs and agricultural reproduction. In this mechanism, ``finance`` and ``market`` are the two major institutions of redistribution. This book ultimately aims at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institutions of redistribution through in-depth studies of central finance and Seoul Market. This book`s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goes beyond applying the lens of modern capitalism or the conventional way of understanding the economic system of Choson Dynasty. The studies included in this book focus on finding some unique features of the Choson Dynasty`s economic system and meticulously tracking its historical transformation. They find that this economic system has a dualistic character of centralizing official state finance and decentralizing unofficial state finance and labor services. Each chapter analyzes such a critical feature in terms of each sector of state finance and their respective relations with its market. These studies, however, excessively focus on the centralization of official state finance and moreover, show some markedly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co-existence of the official and the unofficial state finance systems. Even though it tries to show the primary features of the state finance system of Choson Dynasty, it also oversimplifies them as another case of modern capitalistic transition in the end. When analyzing the economic system of Choson Dynasty, the authors should notice that first, the autonomous and flexible management of unofficial finance sectors ironically helps the centralized finance management; and second, the state controlled market as a part of state finance system to maintain such a subtle mechanism.

      • KCI등재

        박정희 정부 초기의 한미 경제협력 교섭

        주익종 ( Ikjong Joo ) 경제사학회 2017 經濟史學 Vol.41 No.1

        이승만 집권기의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와 원조 규모와 품목, 환율 등에서 갈등을 벌였다. 박정희 정부 역시 초기에 미국 정부와 갈등 관계에 있었다. 박정희 군사 정부가 경제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에 최우선을 둔 반면, 미국은 경제안정화와 자유시장화에 주안을 두었다. 미국이 원조와 차관을 지렛대로 한국 측을 압박하자, 미숙한 경제개발 정책과 식량 부족 사태로 인한 민심 이반의 위기에서 경제개발을 추진하고 선거를 치러야 했던 박정희 정부는 그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 박정희 정부는 기왕의 단순한 투자 일변도 개발 계획을 접고, 경제안정화와 시장자유화 조치를 택했다. 이후 그 바탕 위에서 수출진흥 정책 및 기간산업 건설이 추진되어 큰 성과가 나왔다. 이 논문은 한국 경제의 운영에 관한 1962-1964년의 한미 간 교섭을 살펴봄으로써, 미국 정부가 한국 정부를 경제안정화와 자유시장화의 방향으로 긍정적으로 규율(discipline)했으며, 한국 정부는 자조(self-help) 태도와 합리적 정책수립 능력을 갖추어 갔음을 보이려 한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 Syngman Rhee struggled with the US government in terms of aid size, items, and exchange rate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also had an initial conflict with the US government. While Park Chunghee`s military government has given priority to expanding investment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United States focused on economic stabilization and market liberalization. The US government pressed the Korean side by manipulating its aid and loans. The US government diminished the grant-type aid and offer a reward of additional aid in case Korean government fulfilled economic stabilization targets. The Park Chunghee junta, which was in trouble of pursuing economic development and extending power via election despite low public popularity originated from inexperienced economic policies and food shortages, had no choice but to accept US demands. Park Chunghee `s government abandoned the large investment projects and took economic stabilization and market liberalization measures. Since then, Korean government succeed in export promotion and the construction of key indus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negoti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S from 1962 to 1964 on the operation of the Korean economy and shows that the US government disciplined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direction of economic soundness and that Korean government enhanced self-help mind and learned the skills of rational policy making.

      • KCI등재

        조선시대 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근대화' 담론에서 벗어나기 및 '실증'의 누적

        김미성 경제사학회 2022 經濟史學 Vol.46 No.1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the historical and economic circles with the subject of economic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earch trends of recent 10 years and argues for the ne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in the fundamental research directions between the two academic circles. Historians are trying to overcome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and to understand the economic structure of Joseon in the social context of Joseon itself. They also tend to focus on microscopic and empirical case studies rather than macroscopic analysis. Meanwhile, economists are attempting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economic structure of Joseon in modern terms by substituting the concepts of modern economics into it. They also make efforts to test and revise the hypotheses of the old historians through data verification. History, which explains the change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economics, which looks to the past to explain the structure of the modern economy, a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urpose and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the two academic circles can begin by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can be achieved through understanding the exact context of each text records, recognizing the gap between codified system and reality, and sharing empirical analysis methodologies and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preceded rather than hastily determining or naming an era by a single word. 이 글은 조선시대 경제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학계와 경제학계의 학제 간 융합 연구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최근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정리한 후 양쪽 학계의 근본적인 연구 방향성 차이를 인식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역사학계에서는 기존 '근대화' 담론에서 벗어나서 조선 '당대의 관점'으로 당시의 경제구조를이해하려는 시도들이 엿보이며, 거시적인 분석보다는 자료에 기반한 미시적· 실증적 사례 연구에 초점을 두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경제학계에서는 현대 경제학의 개념들을 조선시대에 대입하여 그 의미를 현대적인 용어로 전달하려는 시도가 주목되며, 자료 실증을 통한 옛 가설의 검증과 수정 작업도 계속되고 있다. '과거로부터 현재로의 변화'를 설명하는 역사학과 '현대 경제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과거를 바라보는' 경제학은 연구의 목적과 출발점부터 서로 차이가 분명하다. 양쪽 학계의 융합 연구는 상호간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현전 자료의 정확한 맥락 파악, 제도·자료와 현실의 괴리 인식, 실증적 분석 방법론과 분석 결과의 공유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제한된 자료를 통한 섣부른 '시대 규정' 보다는 상호간 '실증' 의 누적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일본경제사 연구의 동향과 방법론적 과제

        다케다 하루히토 경제사학회 2008 經濟史學 Vol.44 No.-

        1980년대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의 퇴조와 함께, 일본경제사 연구방법에서는 ‘정치경제사학에서 경제사학으로’라는 변화가 나타났다. 즉, 경제현상을 정치‧사회적인 요인으로부터 분리해서 마이크로 경제학의 도구를 이용하여 설명하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대표적인 연구방법은 비교제도분석이라는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역사제도분석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경제발전과정의 다이내미즘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의 단계론은 최근의 수정•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체적인 역사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도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자본주의의 변화•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기업에 관한 역사적인 분석, 즉 기업사 분석을 통해서 극복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분석의 초점을 산업과 기업에 맞출 필요가 있다. 산업에서는 가격분석을, 기업에서는 비용분석을 통해 경제발전의 두 바퀴인 시장과 기업을 통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Amidst the decline of Marxist economics, the 1980s witnessed a disciplinary change in the methodology of Japanese economic history from the politico-economic history to the economic history. The new trend makes use of microeconomic methodology while separating socio-political factors from economic phenomena. One of most notable examples of this kind is the historical-institutional analysis based on theories of the comparative institutional analysis. However, this method has a fatal shortcoming that fails in explaining the procedural dynamism of economic development. In spite of recent revisions and development, the traditional stage theories so far do not sufficiently provide analytical tool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nalysis of specific historical events. Such limits can be properly overcome through historical analyses of enterprises, a dynamo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doing such analyses, an emphasis needs to be focused on both industry and firms. An integrated approach can be set forth only when a simultaneous analysis of price in industry and costs in firms, which are two wheels of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특집 : 경제사학회 50주년 기념; 회고와 전망 : 동아시아 전시,전후 경제사 -일본제국권 전시동원의 경험과 전후 재편-

        임채성 ( Chai Sung Lim ) 경제사학회 2013 經濟史學 Vol.55 No.-

        본고는 중일전쟁 이후 일본제국권외 전시동원과 이에 대항하여 전개된 중국측의 전시경제체제 그리고 전후 재편기에서 나타난 다양한 역사적 경로가 연구사적으로 어떻게 고찰되어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중일전쟁 발발 이후 국가통제에 의한 계획화가 이루어졌고 전후에는 시장경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전전과는 다른 경제구조가 정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지역에서의 양상은 극히 달랐다. 전후 일본과 달리 한반도와 중국 대륙에서는 또 한 차례의 전시 동원을 경험하였고 이것이 이들 지역 연구에 관한 인식을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북한과 중국은 전후 민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전시경험과의 연속성이 강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동아시아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향후 지역사적 관점에서 다양한 형식의 멀티내셔널 실증 연구가 진척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wartime mobilizat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oppositional wartime economic system of China, and the postwar reorganization of East Asia have been investigated and discussed in various historical path analysis studies. Since the outbreak of the first Sino-Japanese War, the economic planning was reinforced through the governmental control. The transition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was carried out during the postwar period and its economic structure becam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war one. However, each local economy had its own characteristics from that aspect. Compared to Japan, Korea and China after the second world war experienced the wartime mobilization once again and these situations complicated the economic and historical recognition of East Asia. Ironically, we are able to find that North Korea and China strongly inherit the historical continuity from the wal1ime experience in spite of their nationalistic arguments. As the regional economic prosperity of the East Asia recently draws much academic attention, different types of multinational empirical researches are expected to advance in terms of the regional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