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단모음〔a〕,〔i〕,〔u〕에 대한 한국인과 중국인의 발음 대조 연구

        李美京 한국중국어문학회 2005 中國文學 Vol.43 No.-

        本論文的目的在于分析韓漢兩語的單元音[a], [i], [u], 用對比的方法給學習漢語的韓國人提供能够把握韓漢兩語[a], [i], [u]的特点的參考資料. 本論文要對比分析韓國人和中國人的[a], [i], [u]的异同, 查看其异同時 使用聲學語音學的方法, 以便仔細考察各元音的動程和實際舌位. 從語圖把握共振峰數据, 對比男女之間的异同和隨學習時間不同而所出現的异同. 根据分析結果, 學習漢語未滿1年的和學習漢語已有5年以上的韓國男人的[a], [u]的舌位不到位, 前者高于中國人, 后者比中國人往前走移. 總而言之, 韓國男人的開口度不大于中國人, 韓國男人[a], [i], [u]的發音不如韓國女人。 韓國女人的[a], [i], [u]不分學習時間的長短都比較好.

      • KCI등재

        漢語的名詞照應, 人稱代詞照應與零形照應 ―以與韓國語的比較爲中心

        두염빙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0 No.-

        본 논문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명사 조응, 인칭대명사 조응 및 영조응의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대해 인지언어학, 심리학, 그리고 사회언어학의 시각에서 비교를 진행하였다. 우선, 접근성 이론과 심리학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어에서의 상기 세 가지 상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나는 각종 대용어의 접근성 차이와 한국어에는 접근성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조응현상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언어학의 시각에서 명사조응과 대명사조응의 사용 상황을 분석해 보았다. 중국어에서 명사 선행어에 사용되는 명사 조응에는 두 가지 상황이 있다. 하나는 지칭 대상에 대한 존경과 예절을 표시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신문 보도 중 객관성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명사 조응은 모두 대명사 조응으로 대체가 능하고 어법상 잘못이 없고 단지 표현상 체득 여부의 문제만이 있을 뿐이다. 한국 어에는 상하 관계로 인하여 부모, 선생님, 상사 혹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등 존대해야 할 대상에게 2인칭이나 3인칭 대명사를 피하고 구체적인 명사 형식을 택한다. 특히, 부모를 대상으로 지칭할 때에는 어떤 삼인칭 대명사 형식이나 “지시사 +명사”형식으로도 불가능하다. 중국어에서는 이런 제한 없이 대명사 조응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영조응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어에서의 영조응은 어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과 달리 중국어에서의 영조응은 의미적으로 분석 해야 한다. 중국어에서 영조응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 화제 연쇄(topic-chain)라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사건에 대해 서술하고 같은 화제를 갖고 있는 여러 문장들 이 하나의 화제 연쇄가 되는데 이러한 화제 연쇄는 아래 4가지 종류가 관찰된다: 어떤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진행한 일련의 동작, 인과 관계, 병렬 관계, 설명 관계 가 그들이다. 이렇듯 한 화제 연쇄 내에서 명사선행어에 대해 영조응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대명사조응도 영조응을 대체할 수 있지만 어떤 곳에 영조응을, 또 어떤 곳에 대명사조응을 쓸 것인가에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하지만, 선 행 글에 다른 경쟁적인 명사선행어가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대명사 조응을 쓰거나 또는 필요할 때 명사조응으로 선행어를 밝혀야 된다. 또한, `但是, 可是, 然而`란 連詞뒤에서는 대명사 조응이 많이 나타난다.

      • KCI등재

        중국어 舌根鼻韻母 발음 교육을 위한 제언

        김보경 ( Kim Bo-ky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중국어 운미 -ng의 발음은 한국어 -ㅇ받침의 발음과 어느 정도 유사한 관계로, 한국인 학습자들은 중국어 설근비운모(ang, eng, ong, ing, iang, iong, uang, ueng)를 발음할 때에 한국어 ‘앙, 엉, 옹(혹은 웅), 잉, 양, 왕, 웡, 용(혹은 융)’과 같이 발음하기 쉽다. 그러나 중국어 설근비운모의 발음 방식은 위에 열거한 한국어 음절의 발음 방식과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발음 습관에서 벗어나 좀 더 표준 발음에 다가갈 수 있게 하려면 매우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필자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설근비운모의 발음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학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인 학습자들이 8개 설근비운모를 발음함에 있어서 어떤 특징이 있고 그 가운데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이들 8개 비운모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이론적으로 탐구해보았고, 한국인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는 간략화 발음 요령(주요모음의 발음 뒤에 ‘-응’을 덧붙이는 방식)도 제시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한어병음방안’의 표기를 적극 활용하려 하였고, 주요모음과 -ng운미 사이에 ‘미끄러지듯 이동(gliding movement)’하는 과정이 있음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방안과 요령을 바탕으로, -ng운미 관련 音變현상(‘-ng + 모음’에서의 음운첨가와 ‘-ng + 兒化’에서의 음운탈락 및 주요모음의 비음화)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의 이해와 연습을 도울 수 있는 지도법을 추가로 논의해보았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들이 중국어 발음 교육현장에 활용되어, 학습자들의 발음 실력 제고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고대한다. 因爲漢語韻尾-ng[ŋ]的發音有點類似於韓語韻尾 “ㅇ”, 所以韓國學生讀後鼻韻母的時候, 比較容易參照自己母語中某些音節的發音如: “앙, 엉, 옹(或웅), 잉, 양, 왕, 웡, 용(或융)”。事實上, 漢語後鼻韻母的發音方式, 却與韓語中那些音節的發音方式逈然不同, 如果要學生們掌握更爲標准的發音, 乃需要一個非常細致周到的敎學方案。爲此, 本文筆者探索了一些能改善韓國學生後鼻韻母發音的有效敎學方案。本文主要由以下三段內容構成: 第一段(卽第二章)則考察了韓國學生在讀八種後鼻韻母(ang, eng, ong, ing, iang, iong, uang, ueng)的時候, 呈現出什麼樣的發音習慣以及偏誤; 第二段(卽第三章第一節)則對有效地指導這些韻母的標准發音的方法, 進行了較爲具體的理論性探討, 幷提出了一些簡化的發音要領: 先發好主要元音(main vowel), 然後附加韓語中 “-응”的發音。這其中, 本文堅持了積極利用 《漢語拼音方案》的立場, 幷且特別强調了主要元音和-ng之間的漸變過程(gliding movement)。第三段(卽第三章第二節)則探討了如何把上面所提到的內容應用到韻尾-ng的兩種音變現象的解釋和訓練。所謂 “兩種音變現象”乃是 “-ng+元音”時的增音現象([ŋ])以及 “-ng+兒化”時的語音脫落和主要元音的鼻化。 筆者希望本文中的方案能勾運用到漢語敎學現場, 對韓國學生發音水平的提高有所幇助。

      • KCI등재

        중·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위상 제고 방안

        손민정 ( Shon Minj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9 No.-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육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외국어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결과, 영어의 독점적 지위와 대비되어 중국어의 낮은 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외국어 교과가 영어와 제2외국어로 분리되어, 영어는 초등학교부터 필수로 편제되어 있으면서 중점적으로 운영되고, 중국어를 비롯한 제2외국어는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선택과목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수업 시수도 적다. 한국 사회에서 영어 교육의 열풍은 영어의 국제 공용어로서의 기능에 기인하였다기보다는 영어가 주요한 학력 평가 도구의 역할을 함에 따라 경쟁 사회에서 더 나은 기회를 얻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와 비교할 때 중국어의 위상은 보잘 것 없지만, 언어총생산이나 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향후 세계 주요 언어일 뿐만 아니라 현행 제2외국어과에서도 가장 부상하고 있는 언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지 못하여 중국어교육에 관한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어교육학이 왜 필요하고 중국어교육학의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중국어 교육의 위상이 중·고등학교에서 높아지기 위해서는 우선 중국어교육학이 정립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2외국어를 외국어 교과에 다시 포함시키고 영어와 편성상의 차이를 두지 말고, 생활외국어를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 또한 외국어 종류만 다양화하기보다는 주요언어를 실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외국어 교육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한문학의 독자성과 중국고전문학의 접점에 관한 규견(窺見)

        심경호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2 No.-

        存在一個看法: 韓國漢文學不能保有與中國古典文學不同的獨自性. 其實, 韓國漢文學着根於所謂東亞細亞普遍文化中, 自然刻意收容處在普遍文化的中心的中國文學, 而在其基礎上各歷史時期繼承和發展民族的獨自性. 韓國漢文學, 在門類和樣式, 技法和主題方面, 向來受到中國文學傳統的限制, 而決不是逐步?隨中國文學的歷史展開. 韓國漢文學在每個歷史時期, 爲眞實表現自己民族的思想感情試驗中國古典文學所有門類和樣式, 來選擇活用?們. 因此, 其軌跡與中國文學史相當不同. 總之, 在討論韓國漢文學的獨自性或其與中國文學的接點的時候, 應該用與其起源的觀點寧歷史觀點理解獨自性和普遍性槪念. 本文在詩歌和散文方面進行考察: 探究韓國漢文學以韓愈爲散文的最高典範的情況, 與韓國漢詩一邊借用中國古典詩, 一邊造成獨自特性的過程. 之後, 討論朝鮮後期漢文學收容中國明朝文學的方式所蘊含的獨自理解態度. 這種事例硏究決不能包括全部韓國漢文學, 但是在考察韓國漢文學 一邊收容中國古典文學一邊努力確保獨自性的軌跡的時候, 分明做爲一個示意圖.

      • KCI등재

        중국어 방언과 상고 중국어 연구

        변지원 한국중국어문학회 2019 中國文學 Vol.101 No.-

        This paper shows what modern Chinese dialects, ie, modern Chinese dialects, have to do with the study of Old Chinese, and looks at what is controversial in its reconstruction. In the end, it aims to reconsider what the study of Old Chinese should be. Chinese dialects have been settled as one of the essential language resources in the reconstruction of Old Chinese. They can be regarded as completely changing the flow of Old Chinese reconstruction after the acknowledgment in that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 of depending on only written sourc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Old Chinese with both the reconstruction of proto forms of modern dialects as well as ethnic languages around China. 상고 중국어 재구에 있어 중국어 방언은 빠질 수 없는 언어 자료로 안착되었다. 중국어 방언을 상고음 연구 자료로 사용함으로써 문어 중심 연구에서 탈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청유(淸儒) 이후 상고 중국어 재구의 전통을 획기적으로 바꿔 놓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살아 있는 언어 자료인 방언의 원시 형태 재구로 상고 중국어 연구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高麗時代 知訥의 《修心訣》에 반영된 중국어의 시대적 다층위성

        이재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22 中國文學 Vol.112 No.-

        본 논문은 普照國師 知訥의 저작인 《修心訣》에 반영된 중국어의 여러 시대적 층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松廣寺 普照國師碑에 기록된 행적상으로 지눌이 고려 밖으로 나간 적이 있다는 서술은 없으나, 그의 저작인 《修心訣》에서는 중고중국어 이후의 문법과 어휘가 발견된다. 《修心訣》은 전체적으로는 상고중국어의 문법과 어휘를 사용하나, 부분적으로 중고중국어와 근대중국어의 요소가 나타나는데, 한 시대의 형식을 일관적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여러 시기의 형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대적 다층위성을 ‘是’, ‘底(的)’, 의문표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그가 禪宗 語錄을 공부했던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Joseph Edkins의 중국어 연구에 대한 기초적 고찰

        김혜영 ( Kim Haeyoung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9 No.-

        본 논문은 조셉 에드킨스 (Joseph Edkins, 1823~1905)의 중국어 연구를 개괄하고 서양의 중국어 연구사에 있어서 그의 중국어 연구의 특징,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드킨스는 베이징 방언, 상하이 방언을 섭렵하며 각각의 문법서, 어휘집을 출간하였으며 세계의 언어와 중국어의 관계, 인류의 언어의 변천과 그 안에서 중국어의 의의에 대해 고찰했다. 그는 당시 유럽의 비교언어학의 방법을 수용했으며 궁극적으로 《성서》에서 말하는 언어 유일 기원론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는 서양의 언어와 중국어는 동일한 기원에서 말미암은 것이며 서양의 언어와 상이한 중국어의 특징은 중국어가 기원언어에 근접한 언어로 상이한 발전단계에 있기 때문이라 주장했다. 에드킨스의 중국어 연구는 서양의 중국어 연구가 중국에서 활동하는 선교사들의 중국어 교육을 위한 실용적 차원에서 벗어나 유럽의 언어학에 중국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끈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의 연구서를 통해 당시 중국의 중국어 연구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음을 밝혔다. By examining Joseph Edkins` (1823~1905) research on the Chinese language, the present study elucidates aspects of the study of Chinese by Westerners in the modern era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Western scholarship on Chinese. As Edkins` studies on Chinese, the seven following works have been selected as the objets of research. : A Grammar of Colloquial Chinese as exhibited in the Shanghai Dialect,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 called the Mandarin Dialect, Progressive Lessons in the Chinese Spoken Language: with lists of common words and phrase, and appendix containing the laws of tones in the Peking Dialect, A Vocabulary of Shanghai Dialect, China`s Place in Philology,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Chinese Characters, Evolution of the Chinese Language. He compiled a grammar book and a glossary each for the Shanghai and Mandarin dialects. As for Edkins` study of grammar, it was characterized by an emphasis on both the sounds and a comparison among dialects. In the case of his research on lexicons, the glossary of the Mandarin dialect classifies and lists words based on their meanings in Chinese, and the one of the Shanghai dialect is characterized by adopting the format of an English-Chinese dictionary. In the three other volumes of research, Edkins compared world languages with Chines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rough all of this, discussed changes in human languages and the significance of Chinese among them. This aimed at proving that Chinese likewise had originated from the same, single source of the world`s languages. Edkins` study of Chinese is significant, first, for synthesizing and critically inheriting existing research by other Western missionaries. Second, he attempted contacts between Western linguistics and the Chinese language by applying the methods of contemporary Western comparative linguistics to the latter. This differed from other missionaries` research on Chinese, which was for practical purposes, and served to transmit knowledge of Chinese to the West. Third, Edkins absorbed not only traditional Chinese linguistics but also contemporary linguistic research by the Chinese.

      • KCI등재

        확장과 영합 사이: 21세기 한국 중국어문학연구의 현주소

        양회석,김혜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2 No.-

        本文通過有關統計資料之分析而探討在韓國硏究中國語文學的情況。 其統計資料有兩種:其一是韓國有代表性的有關中國語文方面的兩種學術雜志(≪中國文學≫與≪中語中文學≫)所載的論文目錄, 其二是由韓國學術振興財團所選定, 獲得硏究基金而進行的項目目錄。 由此分析而得知幾條信息, 有: 1。 近五年的學術硏究成果的數量, 遠遠超過了1980年代和1990年代同一期間的總數。 2。 中國古典文學方面硏究的數量相對有所減少, 語言學和文化方面的硏究成果却相對增加了, 尤其是文化方面日趨急增。 3。 有不少硏究突破了旣有觀点和方法, 其表現相當可觀。 這些情況値得表揚, 但是, 也有些現象令人深思。 1。 有些硏究方向或方法已超過創新階段而甚至于有意獵奇。 2。 有些硏究(特別是文化方面硏究)過度重視實用, 希冀“見用于世”, 從而難免有出洋相之嫌。 新的硏究領域的“擴張”與對實用爲主的時代潮流的“迎合”, 這可以說是21世紀韓國中國語文學硏究的現狀。 在此場合, 我們有充分的必要去傾聽老子的諄諄敎誨:“旣知其子, 復守其母。”, 幷聆聽庄子的??話語:“无所可用, 安所困苦哉!”

      • KCI등재

        중국 소학어문(小學語文) 교과서에서의 한시 교육과 그 특성 ― 한국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모색을 위하여

        류준필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4 No.-

        本稿以中國的小學『語文』科目爲中心, 主要探討中國學校敎育中的古詩文敎育方式, 進而摸索與韓國漢文科目敎育課程的聯系性。隨着韓國2009年施行的新敎育課程里, 漢文敎育的核心內容爲`短文-散文-漢詩`, 于是培養漢詩文的解讀能力乃成了其敎育課程安排的着眼点。從這一点來看, 筆者認爲應多關注共享古典文言文傳統的東亞漢字文化圈的漢文敎育。尤其是中國,把將古典漢詩文視爲語文敎育的一部分來敎學,因此對結合現在的語言生活和古詩文的方式上頗具啓發性。 通過本文得出幾項主要特征如下。中國小學的古詩敎育是在語文敎育的脈絡中進行敎學的。在這個脈絡中的古詩敎學,優先考慮的是語言中的音樂層面,而不是古詩理解的知識層面。且在同一脈絡中聯系童?的形式與古詩的形式,因此顯然與聲音變化和反復造成的音樂性有密切的關系。 考察中國『語文』敎科書的古詩敎育, 對韓國漢文敎育的主要參照点:就是有關漢詩敎育方法以及作品的層次別安排上,需要較爲細致的考量,尤其是背?和視覺材料是値得參照的方法。除了這種基本方法外, 在漢文敎育的年級別、班級別設計上可運用的標准如下:以『語文』來說, 第一, 考慮受敎育者的水平與條件來安排作品的順序。第二, 就詩的語言表現方式做層次別分類, 幷根据其深化程度安排作品。第三, 考慮到學生個人日常生活的社會關系范圍, 就以其主要關系爲中心安排作品。 韓國漢文科目敎育課程中,把漢文科目的性質與目標設爲`增進東亞漢字文化圈的相互瞭解與交流貢獻`已達數年,但依然說不淸其實際成果。韓國的漢文敎育爲超越韓國語文生活的范圍,名副其實的扮演`東亞漢字文化圈`相互瞭解與交流的角色,日后應累積有關中國與日本等東亞語文敎育現實方面的周密而持續性的硏究成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