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星湖僿說』의 ‘字書’ 인용에 대하여

        심경호 한국고전번역원 2022 民族文化 Vol.61 No.-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지식을 확장할 때 强通의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 經驗과 傳聞을 동원하고 중국과 한국의 많은 문헌을 활용했다. 이때 해당 문헌의 완전한 서명을 들기도 했지만, 간략 서명을 들기도 하고 서명을 언급조차 하지 않기도 했다. 이 때문에 『성호사설』의 논증 방식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성호사설』 전반에 걸쳐 이익은 ‘字書’를 많이 인용했다. 「萬物門」에 대한 기존의 조사에서 밝혀졌듯이, 이 ‘자서’는 대개 명나라 張自烈의 『正字通』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익은 ‘자서’로 『정자통』을 가리키면서 『康熙字典』을 함께 열람하기도 했고, 실제 내용으로 보면 『爾雅翼』이나 『廣雅』를 가리키기도 했다. 이익은 ‘자서’의 인증을 통해 물명의 지시대상을 재확인하고 경문의 뜻을 재심했으며, 경험사실과 대조하여 기존의 자연 인식이나 생활 지식을 재검토했다. 단, 이익은 『정자통』을 인용하더라도 그 訓解를 원문 그대로 전사하지는 않았으며, 원래의 자훈을 곡해한 부분마저 있다. 후자의 경우, 해당 서적의 서술방식을 충분히 파악하지 않은 결과인 예도 있다. 하지만 『성호사설』에서 이익이 ‘자서’의 박람을 통해 문헌의 어휘, 일상의 용어, 명물의 지시개념을 분명하게 파악하고자 노력한 것은 당시 지식세계의 변화를 선도하는 중요한 시도였다고 할 수 있다. When expanding his knowledge in Sŏnghosasŏl, Yi Ik employed experiences and quotations, and cited a vast range of written sources from China and Korea, in order to avoid the error of making a faulty claim. Yi Ik specified the full title of the bibliography in some cases; however, in other cases, he notated a summarized title or did not mention a title at all. Generally in Sŏnghosasŏl, Yi Ik frequently cited 'The Lexicon (Chinese Character Texts).' As the previous study on "Manmulmun (The entry on general affairs)" has shown, 'The Lexicon' usually referred to Zhengzitong by Zhang Zilie from the Ming Dynasty. However, while Yi Ik referred to Zhengzitong as 'The Lexicon,' he simultaneously cited Kangxi Zidian in the entry, or the contents were actually from Eryayi or Guangya. By authenticating information from 'The Lexicon,' Yi Ik reconfirmed the referent of the name of a thing and reevaluated the meaning of scriptures, and reexamined the perspective on nature and everyday knowledge in contrast to experiences. Even though Yi Ik cited Zhengzitong, he had not copied the original annotation, and furthermore, even misinterpreted the text in a few parts. Some of these misinterpretations were the result of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explanatory method of the original text. Nevertheless, Yi Ik's effort to clarify the vocabulary of texts, everyday words, and the corresponding concept of terms with extensive knowledge of 'The Lexicon' was an important attempt to lead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the age.

      • KCI등재

        조선 문인의 기록에 나타난 오사카, 교토 그리고 에도의 심상지리

        심경호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08 에피스테메 Vol.- No.2

        After the 16th century's japanese invasion, the main thoughts of literary class of Chosun on japanese culture in general was a lower and savage one. One of reasons of this underestimation is surely the feeling of Chosun's literary class that the civilized people was forced to be through the savage period of their history. After the 17th century, Japan invited some high-class literary class to Japan so that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could be reestablished. But, armed strongly with their culturally superior feeling on that of Japan, Chosun's literary class who went to Japan never succeeded to see the reality of Japan, that is, the progress of Japan.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rete aspects of this “blindness” throughout the letters, formal reports and the informal sayings of this literary class who went to Japan so that this tragic history will never to be repeated again.

      • KCI등재

        조선시대 문집 편찬의 역사적 특징과 문집 체제

        심경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한국문화 Vol.72 No.-

        A Munjip,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cludes not only author’s life and the thought, but also the atmosphere of the times that the author belongs to. That is why we should treat them significantly not only in researching of the author’s individual thought, career and literature, but also of politics, thoughts and the view of literature at that times. There are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 of Munjip. In most cases it divides the whole works into poetry and prose and lines up poetry in chronological order and classifies prose by the style of writing. There are of course some exceptional cases for certain reasons. And in many cases supplement was added, say a chronological list of author's life, related works of his fellows, and criticism of descendants etc. The styles in Munjip changes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historical backgrounds. For example 15 pieces of Jesa in the 15 volume of Gyewon-pilgyeong-jip reveal the aspect of taoism of Tang dynasty. These works created new traditions of composing Jesa among literati in Song and Goryeo period. There are some cases that Munjip in Joseon period establishes separately the style of Sangryangmun(a writing for the ceremony of putting up the ridge beam). It was the result of influence from China on one hand, and of the change of domestic situation that the ceremony was prevalent for social cohesion under official recognition on the other. Editors of Munjip aims to collect the author’s whole works. However, not a few works are omitted as there’s also a tendency to select certain works under a certain editorial intention. In most cases it is due to (a)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collecting the whole works and of keeping a certain editorial intention (b) the limit of information caused by classification of style (c) the question of Korean style Hanmun. There are also lots of cases that Munjip doesn’t remain or remain incomplete because of political reasons. We need to collect the related literature and to establish open text with chronological order.

      • KCI등재

        서예(書藝)와 한시(漢詩)

        심경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Calligraphy(書藝, Seo-ye)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art of East asia. We use the term ""Seo-ye(書藝)"", ""Seo-byeop(書法)"" or ""Seo-do(書道)"". We think that ""Seo-byeop"" is used in Chinese, ""Seo-do"" is Japanese term, and ""Seo-ye(書藝)"" is made in these days. But this is only a common saying.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Calligraphy and Chinese poetry(漢詩) in several important ways. Poets mentioned artistry of calligraphy on their poetry, and calligraphers adapted Chinese poetry for their calligraphy, or harmonized their art with Chinese poetry. In this paper, I mentioned how we apply a scrapbook of calligraphy(書帖) to study Chinese poetry. We should create the catalog of Chinese poetry appeared in a scrapbook of calligraphy, and compare Chinese poetry appeared in a scrapbook of calligraphy with a collection of works(文集) which carries the poetry. Meanwhile, if we analyze Chinese poetry appeared a scrapbook of calligraphy, sometimes we can discriminate truth from falsehood of calligraphy. We sometimes see mistakes on scrapbooks of calligraphy published in these days. Therefore, I think that maker of a scrapbook of calligraphy should ask for assistance to researchers getting Chinese literature degrees. 문서예는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술 가운데 하나다. 붓과 먹으로 이루는 ‘서(書)의 예술’을 서예(書藝)ㆍ서법(書法)ㆍ서도(書道) 등으로 부른다. 흔히 중국에서는 ‘서법’이라 하고 일본에서는 ‘서도’라고 하며, ‘서예’라는 말은 근래에 만든 말이라고 간주하고는 한다. 하지만 그 통념은 속설일 따름이다. 서예와 한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깊이 관련을 맺어 왔다. 시인들은 한시를 통해서 서예의 예술성을 논하였고, 서예가는 한시의 고전들을 필의(筆意)에 담거나 자작시 혹은 타인의 시를 ‘서(書)의 예술’과 조화시켰다. 사실, 서예와 한시의 창작 과정은 유비적(類比的)이라고 파악할 만하며, 전범을 중시하면서 창견을 이루어내는 창작 방법도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련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전하는 서첩(書帖)을 한시 연구에 운용하는 방안에 대해 규견(窺見)을 피로하였다. 현전하는 서첩에 필의와 함께 제시된 중국 고전의 한시나 우리 나라 한시의 목록을 작성하여, 시대별로 그리고 각 서예가별로 애송시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은 시풍의 시대적 변화나 문인 개인의 취향을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한국 한시를 적은 서첩이나 자작시 서첩의 경우는 그 한시를 본집(本集, 개별 문인 자신의 문집)이나 시화(詩話)ㆍ시선집(詩選集)에 수록된 시와 대조하여 개작(改作)이나 오기(誤記)의 사실을 밝히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거꾸로 서첩에 적혀 있는 한시를 분석함으로써, 수적(手迹)의 진위를 감별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서첩류의 도록을 제작하기 위해 탈초나 해설 등 여러 면에서 한문학 전공자들의 협조를 구하는 것이 도록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