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기관리 핵심 수단으로서 상황관리 관계 법률 검토

        강대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9

        The goal of emergency management is not only to secure the safety of the people, territory, sovereignty, and core infrastructure, but also to minimize damage by managing the emergency situations well.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emergency operation center, governance, and integrated command & control. The concrete and direct practice of these Methods can be done by managing the situation. Situation management requires specific legal reservations because it has urgency, importance, and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civil rights and interests. However, there are no or insufficient provisions on situation management in the laws enforced by each agency performing the situation management task. The law on situation managemen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sense that it can protect workers at situation management,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more reliably guarantee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This review suggests a way to strengthen the legal system necessary for the situation management function to operate more efficiently. 위기 상황을 잘 관리하여 국민⋅영토⋅주권⋅핵심기반 등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하는것이 위기관리의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은 통합관리시스템⋅위기운영센터 구축, 거버넌스, 통합된 지휘⋅통제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론을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상황관리라고 할 수 있다. 상황관리는 긴급성, 중요성, 국민권익 침해 가능성 등을 속성으로 하기 때문에구체적인 법률유보를 요구한다. 그러나 상황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각 기관의 소관 법률에는상황관리에 관한 법률 조항이 없거나 불충분하다. 법률을 통해서 상황관리 업무 종사자들을 보호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국민권익을 더욱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황관리에관한 법률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상황관리 기능이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데 필요한 법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포츠 시설업의 경영 위기관리 전략이 시장지향성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원섭,김우식,김병윤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4

        본 연구는 충북 지역 스포츠 시설 경영자 209명을 대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영 위기관리전략과 시장지향성과 및 경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영 지향성에 대한 위기관리 전략의 하위요인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경영성과에대한 경영 지향성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영성과에대한 재무관리, 방역관리 전략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이렇듯 경영 위기관리 전략은 현재까지 종식되지 않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필수적이며, 위기관리 전략 수립과 경쟁업체와의 차별성에 따라 경영 손실을 최소화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민금영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2

        A crisis alert is issued if a disaster occurs or a symptom of a disaster is detected. To examine the cases in which crisis alerts were issued,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sequential issues from the level “Attention” through the level of “Seriou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risis(COVID-19), the issue of the level “Caution-Serious” with the spread of damage after maintaining the level “Attention” (African Swine Fever), and the issue of the level “Serious” due to large-scale damage as soon as a disaster occurs (Fire). The crisis aler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ontrol of crises, and the response method should differ depending on the crisis of the disaster. This study developed a crisis warning judgment cub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crisis symptoms, the possibility of linked damag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damage. In addition, by classifying 41 types of disasters into 8 types according to the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a crisis alert operation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was presented. The damage of disasters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how the crises are controlled. 재난이 발생하거나 또는 재난에 대한 징후가 식별되면 위기경보가 발령된다. 위기경보가 발령된 사례를살펴보면, 위기상황 변화에 따라 관심단계부터 심각단계까지 순차적으로 발령(COVID19), 관심단계를유지하다가 순간적으로 피해가 확산되어 주의-심각단계가 발령(아프리카 돼지열병), 재난이 발생하자마자 대규모 피해로 심각단계가 발령(제천 스포츠화재) 등 그 유형은 다양하다. 위기경보는 위기상황을관리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재난이 가지는 위기상황에 따라 대응방식이 달라져야 한다. 본 연구는 위기상황을 위기징후 식별 가능성, 연계 피해 발생 가능성, 피해 범위(지역, 구역)의 확대가능성을 기준으로위기경보 판단 큐브(Cube)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현재 법·제도상 41종 재난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함으로써, 그 특성에 맞는 위기경보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은 위기상황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피해가 확산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다. 이에 재난 유형별 위기상황이 반영된 위기경보는 재난대응을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협력적 위기관리 경찰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정혜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7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the government will come up with a reform of the existing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Establishing an organic system of cooperation between police, firefighting, and local governments to enhance the on-site response will be in the central issue of the reform. Furthermore, the rapid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uncertain large disasters make it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nhance police activities at each stage of crisis management. In addition, a leadership approach centered on police activities and police management capabilities will be crucial for successful crisis management. By examining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U.S. and Germany, this paper draws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police in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in South Korea and claims that cooperative police leadership is essential for that system. Moreover, this paper provides with a list of capabilities necessary for police activities in crisis management as a basi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olice capabilities model for crisis management.

      • KCI등재

        역량기반교육 전환에 따른 경찰리더십 교육의 방향과 과제

        조정혜,이주용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4 Crisisonomy Vol.20 No.4

        공공의 안녕과 시민의 보호는 모든 경찰관이 달성해야 할 공동의 목표이다. 위기관리와 함께 리더십역량을 개발하는 것은 치안현장에서의 다양한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가운데 미래사회에서 발생하게 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거버넌스 패턴의 변화로 공공부문이 가져야 할 리더십에 관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경찰 교육훈련은 경찰 미래비전2050에 따라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경찰리더십 교육을 위한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먼저, 독자적 리더십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찰리더십 교육체계를 수립하는것이다. 둘째, 경찰리더십 교육을 역량 중심 체례로 재편성하는 것이다. 셋째, 교육기관의 리더십 기능을통합하고 교육을 위한 품질 관리 및 점검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경찰리더십역량에 대한 연구를 평가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Public safety and citizen protection are common goals that police officers must achieve. Developing leadership capacity alongside crisis management skills is essential for effectively responding to various crises within the security field. Additionally, there is active discussion about the leadership that the public sector must possess due to changes in government governance patterns to solve complex problems in future society. Future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converted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the Police Future Vision 2050.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suggest future tasks for police leadership education. Firstly, it advocates for establishing a police leadership education system based on an independent leadership model.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police leadership education into a competency-based system. Thirdly,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leadership funct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stablish a management of quality and inspection system for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and applying research on police leadership competencies.

      • KCI등재

        코로나19의 경험을 활용한 국경관리의 기능적 정보통합모형

        양종수,전용일,강정향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6

        코로나19를 겪으면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 팬데믹은 국가의 국경관리에 큰 위협요인이되었다.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실효적 방법으로 엄격한 국경관리가 중요한 정책사안이 되면서 우리나라도 국경관리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국경 위험관리 측면에서 검역⋅출입국관리⋅통관의 협업이 강조되고 있지만 조직 간의 통합이나 업무 공유에는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국경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할 시스템으로 정보공유의 구조를 설계하고자 한다. 업무협업적 국경관리 방안을 물리적인 통합보다는 정보사회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공유할 수 있는 모형으로 제시한다. 세부적으로, 정보의 가치를 체계적인 국경정보관리측면에서 논의하고 상이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간의 공유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제시한다. 정보공유의 기능적 통합을 위하여는 국경기관간의 정보를 상호 유통할 수 있는 데이터 체계를 구축하여 국경위험을 효율적으로 최대한 제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재난관리 성과로서 주민참여 의의와 정책적 대안모색의 탐색적 연구

        엄영호,이재영,김윤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12

        This study aims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that consider various stakeholders and participants for disaster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that disasters are socially embedded.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an be defin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hich is the process and result of disaster management, along with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have been understood as administrativ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output indicators. This is becaus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disasters lead to the recovery and growth of the community.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make residents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different results from the existing administrative capabilities were derived.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damage experience of disasters, the perception of personal or regional risks to disasters, regional conflicts due to disasters, the rapidity of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disaster organizations were important to promote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재난은 사회적으로 배태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재난관리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참여자를 고려한 정책적 대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즉, 재난관리의 성과는 정부의 관리적 측면인 행정관리역량이나 산출지표 등으로 이해되어 오던 기존의 논의와 더불어 재난관리의 과정이자 결과인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성과로 이해하고자 한다. 재난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는 재난에 대한 대응과 복구를 넘어 공동체의 회복과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재난관리의 성과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난관리의 성과로서 주민들을 재난관리에 참여하게 만드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기존의 행정역량과는 차별화되는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재난의 직접적 피해경험, 재난에 대한 개인적혹은 지역적 위험 인식, 재난으로 인한 지역 간 갈등, 재난정보의 신속성, 재난조직의 정치적 독립성이참여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지역안전지수 분야를 중심으로 -

        변성수,조택희,배민기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by analyzing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disaster manage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ach disaster safety sector using items in the six major areas of the regional safety index. In this study, policy literacy and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policy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both policy awareness and performance ha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lso, measures to improve disaster management policy satisfaction include active promot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projec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livery mea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ulnerable,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measures and strateg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motion of safety education.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정책을 마련하고 원활하고 효율적인 정책집행을 위해 재난안전 분야별 지역주민의인식과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난관리에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여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지수 6대 분야 항목을 활용한 재난안전 부문별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충북도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책 인지도 및 수행도를 선정하였다. 정책 인지도와 수행도 모두 만족도와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재난관리정책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관리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적극적 홍보, 안전취약계층 특성을 고려한 정보전달 수단 개발,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난관리 대책 및 전략 수립, 안전의식제고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추진 등이 있다.

      • KCI등재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안전행동을 중심으로 -

        이호승,정현지,원정훈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7

        본 연구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 능력 중 안전행동에 중점을 두어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의 안전리더십, 안전태도, 안전가치관, 조직몰입, 권한위임을 선정하고 충청북도 소방안전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을 분석한 결과, 소방안전관리자의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리더십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 권한위임은 안전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안전리더십에해당하는 조직의 의사소통, 관심 및 참여유도, 의지 및 태도 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화학 산업에서의 스마트생태공장을 활용한 취급시설관리 방안 연구 - 화학 산업에서 스마트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

        고흥석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2 Crisisonomy Vol.18 No.2

        한국환경공단에서는 2020년부터 오염배출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공장을 대상으로 오염물질 최소화, 온실가스 저감, 에너지⋅자원 효율화 제고 등을 종합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컨설팅, 설비설치⋅개선 등 전(全) 과정을 지원하는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생태공장은 첨단기술 등을 활용하여 탄소중립 및 에너지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지만 우선 현재의화학물질관리법 취급시설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화학물질관리법 역시 그 취지는 살리되, 선진기술 등으로 화학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설비와 시스템 등의 내용은 법 또는 기준 등에 포함되어야한다. 또한 그러한 기술들이 안전상 문제가 없는지도 면밀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이번 연구는 화학산업에 있어 스마트시설, 스마트시스템 적용 가능성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개선점 도출 및 이를통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기준(화관법)개선 검토 등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관리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