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4 포스터 발표 : 토양 환경 분야(PS) ; PS-24 : 국내 토양의 가용성 Mo 함량과 헤어리베치 질소 고정력과의 관계 조사

        윤영은 ( Young Eun Yoon ),파리둘알람 ( Faridul Alam ),임종욱 ( Jong Uk Im ),이용복 ( Yong Bo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is an annual legume cover crop that is generally used as a green manure which fixes atmospheric nitrogen through the process of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BNF). Molybdenum is a trace element found in the soil and is required for growth of rhizobia that has been utilized by hairy vetch plant. Molybdenum (Mo) acts as a cofactor of nitrogenase (NA) enzyme that participates in reduction reactions in root nodules of hairy vetch plants during BNF. Ten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in South Korea and analyzed available Mo content in soil.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en locations soil considering native soil as control and Mo was applied at 2 kg ha-1 to evaluate Mo response on nodule characteristics, nitrogenase (NA) activity and biomass yield of hairy vetch plant. Available Mo content was found in average of 0.2 mg kg-1. Molybdenum received hairy vetch plants increased nodule numbers, nodule dry weight, NA enzyme activity and biomass yield as compared to native soil (no Mo addition). Molybdenum treated pla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odule numbers (site1, site2, site3, site4, site7, site8 and site9) and nodule dry weight (site1, site2, site3, site4, site8 and site9) compared to native soils and other locations soils, respectively. Molybdenum treated plant showed 67% higher average nodule numbers as compared to the plants that grown in native normal soil. Nitrogenase activity in Mo treated plants recorded significantly higher in site 1, site 2, site 3, site 4, site 5, site 8, and site 9 soils, respectively that in turn, increased BNF and ultimately led to higher biomass yield in hairy vetch. The NA of Mo treated plants increased on average 194% higher as compared to the plants that grown in native normal soil. The plant received M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boveground biomass in site 6, site 8, site 10, and root biomass in site 2, site 4, site 7, and site 8 soils, respectively. The average aboveground biomass and root biomass of Mo treated plants significantly increased on 19% and 37.5% higher as compared to the plants that grown in native normal soil. Therefore, Mo content was found lower in collected soil, and addition of 2 kg Mo ha-1 in native soil had response to improve biochemical properties in nodules that might be increased N fixation and biomass yield in of hairy vetch.

      • KCI등재

        Primary Cultures of Drosophila melanogaster Gut Cells for Studies of Intestinal Stem Cell Regulation

        Young-Il Yoon(윤영일),Jae-Sam Hwang(황재삼),Tae-Won Goo(구태원),Myung-Sae Han(한명세),Mi-Young Ahn(안미영),Eun-Young Yun(윤은영)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초파리는 발생과 질병연구를 위한 모델 곤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초파리를 모델곤충으로 한 장질환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병원균 감염 및 장질환 유발시 어떻게 장줄기세포가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초파리 장세포의 일차배양 방법을 확립하였다. 초파리 성충으로부터 장을 해부하고 다양한 효소를 처리하여 장세포를 분리한 후 배양하였다. 배양세포의 생존여부는 현미경 검경 및 MTS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배양 후 9일째 최대 증식되었고 14일까지 생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줄기세포 및 장내분비세포의 존재도 immunostaining에 의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초파리 일차배양 장세포는 다양한 유전자에 의한 장줄기 세포 조절연구뿐만 아니라 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는 도구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Drosophila melanogaster has been used as a useful model to study development and diseas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primary culture method of Drosophila in the intestine to understand how intestinal stem cells (ISCs) mediate tissue repair during infection and disease. To obtain intestinal cells, we separated intestines from adult flies and isolated single cells by enzymatic treatment. The survival of cultured cells was measured using MTS-analysis. The maximum growth rate of the cells was observed on the 9th day after seeding. In addition, the presence of ISCs and enteroendocrine cells was confirmed by delta and prospero staining. Accordingly, we supposed that Drosophila melanogaster gut cell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probably useful in studies about intestinal stem cell regulation and various diseases occurring in the intestine.

      • Difference in Saponarin Content of Barley Sprouts (Hordeum vulgare L.) through Relationship with Climatic Factors

        Young-Eun Yoon(윤영은),Hyeon Ji Choe(최현지),Kantharaj Vimalraj(칸타라즈 비말라즈),Chohra Hadjer(쇼흐라 하젤),Mi Sun Cheong(정미선),Young-Nam Kim(김영남),Yong Bok Lee(이용복)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As a flavone glucoside, Saponarin is the primary functional compound found in barley sprouts (Hordeum vulgare L.). It appears that saponarin production occurs mainly in the primary barley leaf and varies considerably with environmental factors, i.e. climatic conditions. To obtain high yield of saponarin, it is essential to find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growing barley sprout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field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ation in climatic conditions with different sowing times on the saponarin content of barley sprouts. As a result, there was no effect of a difference in sowing time on the fresh weight (FW) of the sprouts, but their growth period (GP) indeed varied with the sowing time. In both sites, the higher saponarin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sprouts sown in spring (March to May) and autumn (September to October) than in summer (May to August). Also,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saponarin concentr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aily temperature range (DTR) and average light period (ALP), negative correlations with FW, leaf length, growth index (GI), average daily temperature (ADT), accumulated temperature (ACT), relative humidity (RH), and rainfa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and daylight hours may be determinant factors on saponarin biosynthesis. In addition, the polynomial relationship between saponarin yield and leaf length showed that barley sprouts would produce the highest saponarin yield at an appropriate 16 cm length. The outcomes of this study suggest the optimum sowing seasons that have more significant climatic factors such as daily temperature difference and daylight hours, contributing to a high quality of barley sprouts with high saponarin content.

      • 사포나린 함량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수분스트레스

        윤영은(Young-Eun Yoon),최현지(Hyeon Ji Choe),김송엽(Song Yoeb Kim),조주영(Ju Young Cho),이윤정(Yoon Jung Lee),정미선(Mi Sun Cheong),김영남(Young-Nam Kim),이용복(Yong Bok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생산량을 중시하던 농업에서 품질중심의 농업으로 패러다임이 변함에 따라, 고부가가치 작물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작물은 온실재배에 특화된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중심에서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새싹작물로 관심이 이동하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새싹보리에 대한 관심이 특히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새싹보리 내 기능성 물질인 사포나린은 폴리페놀류 화합물로 식물이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합성 및 축적하는 이차대사산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스트레스 중 수분이 사포나린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영향은 스트레스를 주는 기간과 시기로 세분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스트레스를 주는 기간은 새싹보리가 10 cm 일 때 각각 0 (DS0), 1 (DS1), 2 (DS1), 3 (DS1)일 물공급을 중단하였으며, 재공급 후 회복된 새싹보리를 수확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주는 시기는 새싹보리가 각각 5 (DS5c), 10 (DS10c), 15 (DS15c) cm 일 때 물공급을 2일간 중단하고, 재공급 후 회복된 새싹보리를 수확하였다. 스트레스를 받고, 회복하는 상태는 수분포텐셜 값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수분포텐셜 값은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전 -0.7 ~ -0.8 Mpa 수준에서, DS1, DS2, DS3 에서는 각각 -1.2, -2.4, -3.1 Mpa 수준이었으며, DS5c, DS10c, DS15c 에서는 각각 -2.6, -2.3, -2.3 Mpa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DS1, DS2 처리구의 사포나린 함량은 각각 1,237, 1,220 mg 100g<SUP>-1</SUP>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DS0 처리구 (1,089 mg 100g<SUP>-1</SUP>)에 비해 약 12, 10% 증가하였다. 또한, DS5c 처리구의 사포나린 함량은 1,333 mg 100g<SUP>-1</SUP>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Control 처리구 (1,111 mg 100g<SUP>-1</SUP>)에 비해 약 19% 증가하였다.

      • 청감실험을 이용한 한국소리터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 개선에 따른 주관적 반응의 변화

        윤영은(Young Eun Yoon),진유종(Yu Jong Jin),김재수(Jae Soo Kim)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2011년에 개관한 한국소리터는 2016년 비나 눈 등의 악천후에도 공연이 가능하도록 야외공연장 천장에 돔형의 막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돔형 막 구조물은 공연장 내부에서 소리가 너무 울리는 음향적 결함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였고 선행연구에서는 현수흡음체를 이용한 음향성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음향성능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공연자나 청중들이 느끼는 음향성능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어 음향성능 평가시 주관적 음향성능에 대한 평가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청화를 이용한 청감실험을 통해 리모델링에 따른 주관적 음향성능의 반응 및 변화를 평가해 보았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야외공연장의 음향성능을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광 및 온도가 새싹보리의 사포나린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윤영은(Young-Eun Yoon),최현지(Hyeon Ji Choe),김송엽(Song Yoeb Kim),쇼흐라 하젤(Chohra Hadjer),조주영(Ju Young Cho),정미선(Mi Sun Cheong),김영남(Young-Nam Kim),이용복(Yong Bok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고부가가치 작물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 물질은 함유한 새싹작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새싹보리는 항상화, 간기능 개선, 항염증 작용을 하는 사포나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사포나린은 이차대사산물로 식물이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축적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요인 중 광 및 온도가 새싹보리 내 사포나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생육온도에 의한 영향은 서로 다른 온도 (5, 10, 20, 30℃)에서 재배한 새싹보리의 사포나린 함량을 분석하여 비교였으며, 일교차가 없는 처리구 (DTR 0)와 일교차가 각각 5 (DTR 5), 10 (DTR 10), 15 (DTR 15)인 처리구, 그리고 일조시간이 12 (12H), 18 (18H) 시간인 처리구에서 재배한 새싹보리의 사포나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육온도에 따른 새싹보리 중 사포나린 함량은 5, 10, 20, 30℃에서 각각 554, 617, 601, 545 mg 100g<SUP>-1</SUP> 으로 10, 20℃에서 재배한 새싹보리가 5, 30℃보다 더 높은값을 나타냈다. 또한, 생육온도에 따른 생육일수는5, 10, 20, 30℃에서 각각 24, 21, 12, 8일로 나타났으며, 20℃에서 재배한 새싹보리의 생육일수가 10℃에서 재배한 새싹보리의 생육일수보다 9일 더 짧았다. 일교차에 의한 영향은 DTR 10 처리구에서 673 mg 100g<SUP>-1</SUP>로 가장 높았으며, DTR 0 대비 약 7%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일조시간에 의한 영향은 12H, 18H에서 사포나린 함량이 각각 609, 737 mg 100g<SUP>-1</SUP> 으로 일조시간이 18H 일 때 사포나린 함량이 16% 더 증가하였다.

      • KCI등재

        LPS로 유도된 RAW 264.7세포에 대한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윤영일(Young-Il Yoon),정미연(Mi Yeon Chung),황재삼(Jae-Sam Hwang),구태원(Tae-Won Goo),안미영(Mi-Young Ahn),이영보(Young-Bo Lee),한명세(Myung-Sea Han),윤은영(Eun-Young Yun)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벼메뚜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다. OCE의 항염증 효능을 확인 하기 위해서, 염증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해 OCE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유전자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킴을 real-time PCR과 ELISA로 확인하였다. 또한, NF-κB p65의 핵으로 이동이 차단됨을 면역형광염색으로 확인하였으며,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벼메뚜기는 염증에 의한 NF-κB p65의 활성과 TNF-α와 IL-6의 생성과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능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lthough the grasshopper Oxya chinensis sinuosa has long been used as food in Korea, there is little data on its functional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O. c. sinuosa ethanol extract (OCE) in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for induction of inflammation. First, w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ytotoxicity at 2,000 μg/ml or less of OCE in RAW 264.7 cell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CE, we investigated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and pro-inflammatory enzym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2 (COX-2)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OCE could inhibit translocation of NF-κB p65 into the nucleus in LPS induced RAW 264.7 cell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TNF-α and IL-6 decreased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fter treatment with OC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we confirmed a 2,000 ug/ml concentration of OCE inhibited translocation of NF-κB p65 by immunnostaining and Western blot analysis, and a decrease in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Accordingly, we suppose that OCE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down-regulation of TNF-α, IL-6, iNOS, and COX-2 related to NF-κB p65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s.

      • KCI등재

        LPS로 염증 유도된 RAW 264.7세포에 대한 참콩풍뎅이(Popillia flavosellata)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윤영일(Young-Il Yoon),황재삼(Jae-Sam Hwang),김미애(Mi-Ae Kim),안미영(Mi Young Ahn),이영보(Young-Bo Lee),한명세(Myung Sae Han),구태원(Tae-Won Goo),윤은영(Eun-Young Yun)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9

        본 연구에서는 참콩풍뎅이(Popillia flavosellata) 에탄올 추출물(PFE)의 항염증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PFE를 농도별(500, 1,000, 2,000 ㎍/ml)로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처리 시 최고 처리농도인 2,000 ㎍/ml까지 통계적인 유의성 있는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LPS (100 ng/ml)로 염증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PFE를 농도별(500, 1,000, 2,000 ㎍/ml)로 동시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성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단백질 생성을 통계적인 유의성(p<0.001)있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PFE 동시 처리 시 NF-κB p65의 핵으로 이동이 차단됨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참콩풍뎅이는 염증에 의해 활성화된 TLR-4 신호전달과정을 조절하는 NF-κB p65의 활성과 염증성사이토카인 TNF-α와 IL-6의 생성 및 염증성효소 iNOS와 COX-2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beetle Popillia flavosellata has been no reported its functional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 flavosellata ethanol extract (PFE) on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for the induction of inflammation. First, we examined the cytotoxicity of PFE in the RAW 264.7 cells at a concentration of 2,000 μg/ml or les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FE,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TNF)-α and interleukin (IL)-6, and proinflammatory enzym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PFE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p65 into the nucleus i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We found that the protein levels of TNF-α and IL-6 were decreased i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after the treatment with PFE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PFE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F-κB p65 into the nucleus, as well as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Accordingly, we propose that PFE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NF-κB p65, TNF-α, IL-6, iNOS, and COX-2 via the toll like receptor (TLR)-4 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