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체성의 구성과 균열

        한우리(Han, Woori),허철(Heo, Chul)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2 No.-

        스스로를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여성주의자라고 위치 지은 상황에서 (여성)아이돌을 좋아하는 것이 내 고민이라면 질문의 방향을 나는 왜 이것을 고민하는 가로 바꿔야 한다. 누군가에게는 고민거리가 아닌 것이 나에게 고민이 된다는 것의 의미는, 내가 어떤 중층적 경계에 서있다는 것을, 내 불안한 위치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내 스스로가 담론들의 경합이 이뤄지는 정치적 공간이 됨(becoming)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내 고민, 내가 서 있는 경계를 드러내면서, 경계 속에 배태된 긴장을 드러내고, 동시에 이를 통한 개입의 가능성을 고민하면서 새로운 정치 지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나는 아이돌과 ‘반자본주의적 여성주의자’ 모두 협상하는 존재이며, 둘 다 의미화의 경합이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이해하면서 ‘반자본주의적 여성주의자 팬’ 이라는 정체성의 구성과 균열의 과정을 보여줄 것이다. 아이돌을 나와 완전히 다른 존재로 놓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돌을 타자화, 배제 혹은 호감을 갖는 과정에서 이뤄지는 나의 정체화는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이르는 학생운동 문화와 아이돌의 연결 고리, 대학원생이라는 나의 위치 변화를 통해 고민하자는 것이다. 동시에 ‘진정한’ ‘반자본주의적 여성주의자’가 실재하기 보다는 상상적으로 구축하고 규율하는 과정에 있었다는 것을 드러내고, 다시 이에 대한 의미를 재구축할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In this paper, I raise a question about why I concern that I like (girl) Idol whereas I position myself as an ‘anti-capitalist feminist’. This confusion I felt means that I have unstable positionality and I become political space where the discourses contest. I consider new politics through revealing my agony, positionality, and tension embedded in my position through autoethnography. In this process, I explore the construction and disruption of ‘anti-capitalist feminist fan’ identity, analyzing that both Idol and ‘anti-capitalist feminist’ are negotiating being and the sphere where signifying contests. It means that the identification by otherizing or loving Idol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dis)connection between Idol culture and the radical student movement culture since the early 2000s and my position change like a graduate student. At the same time, I reveal ‘authentic’ ‘anti-capitalist feminist’ does not exist because it is in the process of being constituted and disciplined imaginarily and I claim that reconstitute the signification of ‘anti-capitalist feminist’ again.

      •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의 탐색

        한우리(Woori Han),조영일(Youngil Cho) 성신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14 경영관리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10년도에 수행된 KLIPS의 13차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무관련 요인이 조직몰입도 및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덧붙여서, 직무관련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두 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금 및 보수, 취업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근무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복지후생제도였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가 추가되었다. 둘째, 7개의 요인과 8개의 요인은 각각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임금 및 보수, 취업의 안정성, 개인의 발전 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복지후생제도는 이직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인사관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current study, the 13th wave data fro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KLIPS) conducted in 2010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job-related facto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ose hypothe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supported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Satisfactions with wages, safety, possibility of development, welfare, and communication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indirectly associated with them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섹슈얼리티를 통해 팬데믹의 규범성과 집합적 돌봄을 상상하기

        한우리(Woori Han)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이 글은 2020년 5월 이태원 클럽 발 집단 감염 사태에서 감염의 원인이자 문제적인 존재로 지목된 게이 남성들과 그들의 성적 실천을 둘러싸고 생산된 공적 대중적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생명관리의 위기 속에서 비정상적인 것으로 전면화돼 등장하는 게이 남성의 몸, 섹슈얼리티 관련한 실천들이 이성애규범적·개인주의적·발전주의적 주체 개념의 규범화 과정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 정부가 활용하고 있는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와 이성애 규범성이 생명관리 정치와 결합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집과 가족 외부에서 실현되는 게이 남성의 섹슈얼리티는 한국의 선형적 발전과 진보를 방해하고, 개인의 책임을 방기한다고 의미화되어, 이성애규범적 자유주의적 주체의 규범성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음을 이 글은 분석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성소수자 운동의 대항 담론과 실천들은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놀고, 성적 실천과 커뮤니티의 역사성을 드러내면서, 가족 밖 (성적)친밀성이 공동체와 집합적 돌봄형성에 핵심적이며 그것이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는 생명정치에 대항할 수 있음을 이 글은 포착하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인권 프레임을 넘어서 생명관리정치, 정동정치, 퀴어 정치를 연결하는 집합적 돌봄과 연대의 정치를 더 고민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했다. This paper explores how biopolitics in the pandemic crisis foregrounds gay men’s bodies and their sexual practices as a problem in a way that reinforces a heteronormative, individualist, development subjectivity as norms. I analyze public and popular discourses surrounding the Itaewon incident where gay clubbers were blamed for the second wave of Covid19 virus mass infection and which triggered homophobia in May 2020. The hegemonic discourses depict Korean gays as ahistorical and disrupting the linear narrative of national development and as irresponsibly seeking personal sexual desires outside the home. These discourses are deployed to contribute to normative ideas of national development, heterosexual family-centered intimacy, safe home, and the fantasy of a self-sufficient self. The paper also shows how queer activists in response to such biopolitical governance of queer bodies and sexual practices produce alternative discourses and organize counter-practices. Illustrating how queer movements shamelessly advocate and historicize their sexual practices as a way to create and sustain sociality and cultivate collective care for others, the paper concludes these practices could challenge the operation of biopolitics and enable us to reimagine a politics of possibility.

      • KCI등재

        대학선수의 코로나19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수용-전념훈련 프로그램 적용

        한우리 ( Woori Han ),장덕선 ( Duksun Ch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1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수용-전념훈련(ACT)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심리적 유연성을 확장하여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및 상황별 스포츠 대처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선수들의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훈련프로그램은 코로나19에 대한 운동선수 스트레스를 파악한 후 수용-전념훈련의 핵심 기제 6가지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대학선수 6명에게 총 10회기, 주 2회 60분씩 ZOOM을 이용한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양적 평가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스포츠 대처척도를, 질적 평가로 상담학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절차를 따라 활동지와 녹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ACT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분석 결과에서는 의미 있는 진술 17개, 하위구성요소 7개를 토대로 선수들이 코로나19에 대한 훈련 및 일상에서 자신의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ACT의 긍정적 경험과 의미라는 3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되었다. 양적분석결과 스포츠 대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세부요인에서는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에서는 스트레스 지각 점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ACT 프로그램이 운동선수의 코로나19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적절한 심리 훈련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비대면 온라인 방식을 적용한 스포츠 심리훈련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college athletes placed in COVID-19 applied the Acceptance-Commitment Training(ACT) program as a way to manage stress. It aims to obtain psychological flexibility to provide efficient stress management and sports coping methods, and to support the lives of better athletes through psychological support. Methods: The train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is organized by identifying athlete stress on COVID-19 and applying six key mechanisms of acceptance-commitment training.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untact online method using ZOOM for 60 minutes twice and 10 times a week for six college athlet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Korean perceived stress Scale(PSS-K) and Korean Athlete Sport Coping Scale(KASC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work-sheets and training records were documented and analyzed as phenomenological study among qualitative assessments. Results: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ACT program was divided into 17 meaningful statements and 7 subcomponents. It was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Identifying Your Stress in Training and Daily Life for COVID-19, Change in Response and Perception of Stress, Positive Experience and Meaning of ACT’.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orts coping, and detailed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blem-focused coping. PSS-K showed a decrease in stress perception scores. Conclusion: Acceptance-commitment training programs have been validated as appropriate psychological training for stress management in athlete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at sports psychological training with untact online methods.

      • KCI등재

        노예서사에 나타난 인종화된 젠더와 개인

        한우리(Woori Ha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3

        이 글은 해리엇 제이콥스와 프레드릭 더글라스의 노예서사에 나타난 흑인 개인의 등장이 젠더와 인종의 의미화 경제 속에서 흑인의 몸이 특정하게 재현되는 문제와 얽혀 있음을 논증한다. 19세기 흑인을 향한 통제적 이미지와 부정적 신화에 맞서 제이콥스와 더글라스는 스스로를 ‘존중받을 만한’ 흑인 여성 또는 남성으로 그려내고자 하며, 이는 그들의 몸을 재현하는 서술 전략과 연관된다. 구체적으로 더글라스는 자신의 신체를 과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남성이 되는 반면, 제이콥스는 과잉 성애화된 신체를 감추고, 섹슈얼리티를 사적인 비밀로 만듦으로써 여성이 된다. 나아가 흑인 여성은 남부 노예제 사회에서 북부 금융 산업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의 연결통로이자 거래 대상이 되며, 백인 남성과 흑인 남성들 사이에서 교환됨으로써 그들의 남성 되기 기획을 보충한다. 흑인이면서 여성 또는 남성이 되고자 하는 과정은 특정한 시공간에서 개인을 생산하는 권력구조이자 의미화 장치로서 젠더가 어떻게 인종화되어 작동하는지 드러낸다. 더글라스와 제이콥스의 서사 전략을 검토하는 작업은 인간 되기의 핵심에 젠더 수행이 있으며, 나아가 젠더가 인종적 구성물임을 드러낸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emergence of Black individuals proposed in Slave Narratives of Harriet Jacobs(1861) and Frederick Douglas(1845). These narratives for emancipation interwind with the signifying economy of race, gender, sexuality of 19th America. Jacobs and Douglass describe themselves as the ‘respectable’ Black woman/man individual and citizen against controlling images and myths. Specifically, Jacobs exists in pages through her literary voice while hiding her hyper-sexualized body while Douglass displays his masculine body. By locating themselves in the proper gendered position, they become a Black woman/man individual. Womanhood/manhood is not a universal category but is an aspect of whiteness that is positioned as unobtainable for Black women/men. It implies that becoming an individual is already engaged with gendering, and that gender is also a racial structure.

      • KCI등재

        보여주기의 문화정치학 : 촛불집회, 퍼포먼스, 수행적 정체성

        한우리(Woori Han),허철(Chul Heo)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0 평화연구 Vol.18 No.2

        이 논문은 촛불집회내에서의 재현된 권력 관계, 특히 국가 권력과 젠더의 문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파악한다. 예비군이 촛불집회에서 시민 파수꾼 역할을 자임하는 것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었고, 시민들에게 승인받을 수 있었나. 왜 여성들이 유모차를 끌고 집회에 나오는가, 이것이 환영받을 수 있었던 전제는 무엇인가를 토론하면서, 촛불집회 내에서의 가부장성을 지적하며 “촛불집회는 자유롭고 평등한 주체들의 공론장이었다”라는 주장을 비판한다. 이를 통해 촛불집회를 이상적인 공론장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사회 문화적 의례(ritual)와 참여자들의 퍼포먼스(performance)로서 해석한다. 예비군과 유모차 부대의 사례를 통해 권력 관계를 자연스럽게 만들면서 타자에 대한 배제와 억압을 수행하는 것이었음을 점검한다. 촛불집회 참가주체들의 다양성, 자율성, 합리성을 강조했던 촛불집회의 낙관적 평가에 대한 뒤늦은 문제제기이며 동시에 저항적 가능성을 고민함으로써, 촛불집회에 등장했던 퍼포먼스와 그에 대한 저항과 수용의 경합 과정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wer relationships, especially the problems of gender politics attached with the power of the state, appeared during the candle-light protest in 2008. What made the reserve army declares to play a role as a protector of protesting citizens during the movement? How and why those mothers wheel baby-carriages participated into the protest is explored in this article. Throughout the paper, we argue that the candle-light protest cannot be approached as an ideal public sphere rather it was a full of patriarchy suppressing freedom of expression among participants during the protest. Ironically, women who came out to protest political authority in Korea were alienated and controlled by colleague citizens. This contradictory practices of resistant movement is explored through ritual theories and performance perspectives.

      • KCI등재

        결혼과 시민권: 『카스트의 저주; 노예신부』와 『아이올라 르로이』를 중심으로

        한우리 ( Woori Han ) 미국소설학회 2021 미국소설 Vol.28 No.3

        This paper argues that The Curse of Caste and Iola Leroy appropriates a marriage plot of ’women’s novel’ to mediate the citizenship of Black women in the 19th century. Considering marriage had been denied to the enslaved Black and interracial marriage was illegal, marriage in both novels illustrates that it constructs the boundary of citizens by allocating civil rights and privileges. As a literary convention, the marriage plot between a mulatta and a White man expresses and practices Black citizenship. Iola―refusing to marry a White man―marries a mulatto while Claire remains unknown to marry a White man. They not only problematize the citizenship of wives who are supposed to be the dependents of their husbands but also explore the citizenship of Black women. Mulatta daughters who refuse to pass for White and claim the place to work and live as Black women narrate the possibility to disrupt the separate spheres, to reform the private sphere, and to enter the society as Black women citizen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 동향 :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및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한순영 ( Han Soon Yeong ),김우리 ( Kim Woori ),유용석 ( Yoo Yongse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스마트러닝 중재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 및 훈련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헌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0편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본 결과, 모든 연구가 2010년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의 연령은 초등학생이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업능력과 학습태도를 고루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웹 및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업,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러닝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에서 시각자료리터러시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러닝 활용 유형에 따라 특정 디지털리터러시 역량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을 이용한 정보 검색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정보리터러시 역량이, 네트워킹을 활용한 수업에서는 사회정서리터러시 역량이, 게임기반 어플리케이션 활용 수업에서는 실시간사고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리터러시 훈련은 논문에서 제시하지 않거나, 단순히 스마트기기 사용 절차를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스마트러닝과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on the use of smart learning and corresponding digital literacy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0 studies met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all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after 2010. The participants were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performance and engagement. Second, in terms of smart learning usage types, the use of application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using the Web and network technologies, and augmented reality. Third, regarding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for smart learning, the photo-visual digital skill was required in all studies. In addition, specific digital literacy skills were required depending on each smart learning usage type. The smart learning using the Web corresponded to the information literacy, those using network technologies to the social-emotional literacy, and those with game-based applications to the real-time literacy. However, training of digital literacy skills, except simple guidelines on using smart devices, was lacking in the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effective smart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