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국내 화산연구에 있어서의 다학제적 협력 필요성

        안웅산(Ung San Ahn),권창우(Chang Woo Kwon),전용문(Yongmun Jeon),김현철(Hyeoncheol Kim),정종옥(Jong Ok Jeong),김건기(Keon-Ki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제주도 한라산 고지대에는 조면암과 같은 다수의 분화된 암석들이 분포한다. 최근의 지구연대학적 연구에 의하면, 이들 조면암들은 1-2만년의 주기로 반복적으로 분출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기를 달리하여 분출한 조면암들 사이에는 덜 분화된 용암류들이 분포한다. 다수의 조면암(영실, 아흔아홉골, 큰두레왓 등)들은 보다 덜 분화된 조성의 포유암(enclave)들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융식구조 및 역누대 구조를 가지는 반정이 관찰되는 등 마그마 재충진의 증거들이 다수 관찰된다. 이는 지각 천부에서의 마그마 재충진과 그에 따른 머쉬 재유동 작용(mush remobilisation)의 가능성을 시사한다.최근 해외의 화산학적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지각 천부에서의 마그마 작용(예, mush remobilisation, mafic recharge 등)과 같은 다양한 연구 주제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특히, 염기성 마그마의 재충진(mafic recharge)은 그에 수반된 열과 가스로 인해 화산활동을 촉발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화산활동의 시간 스케일, 화산 분화 경향과 그에 따른 화산분출 양상 예측 등 국내 화산학자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은 산재해 있다. 국내 화산학 연구는 암석학 및 지화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지진학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야외 조사와 야외적 현상을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각 천부에서의 마그마 활동을 해석하려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제주도의 한라산 고지대에는 약 190 ka ~ 2 ka에 걸쳐 주기성을 갖는 화산활동의 기록을 가진 최적의 화산연구지라 판단된다. 미래 화산활동을 예측할 수 있는 실질적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각개 연구에서 벗어나 보다 긴밀한 다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관련 분야의 다학제적 연구를 위해 지질학회 내 화산분과 설립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고문헌에 기록된 제주도 최후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안웅산(Ung San Ahn) 한국암석학회 2016 암석학회지 Vol.25 No.1

        제주도 역사시대 화산활동 기록의 실체를 밝히고자 제주도에서 가장 젊은 화산으로 추정되는 화산 3곳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 및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송악산은 최소 3.8 ka 전 이후, 비양도는 최소 4.5 ka 전 이전, 일출봉은 6~7 ka 전 이후에 분출한 화산으로 파악된다. 이번 연대분석 결과로 고문헌상의 천 년 전 화산을 밝혀내지는 못했다. 하지만, 역사기록 재해석을 통해 1002년과 1007년의 두 차례 기록이 하나의 단성화산에서 일어난 일련의 화산분출 사건임을 새롭게 제시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화산분출 기록에 대한 화산지질학적 해석을 통해, 역사서에 기록된 화산은 수성화산활동과 마그마성 화산활동을 모두 가지는 상당한 규모의 화산으로, 분출연대가 3.8 ka 전 이후로 밝혀진 대정읍 송악산으로 추정하였다. 더 나아가, 화산분출 사건이 기록된 고려시대 초기의 탐라와 고려의 실제적 관계, 시대·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하여 화산분출 기록 시점과 실제 화산분출 시기가 서로 불일치할 가능성도 새롭게 제시한다. Radiocarbon and OSL ages of three monogenetic volcanoes inferred to be the last volcanoes on Jeju Island, Korea were determined to identify a volcano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s of those volcanoes are roughly <3.8 ka (Songaksan), >4.5 ka (Biyangdo), and <6~7 ka (Ilchulbong). Though our efforts to make a positive match between historical records and volcanochronological dating were not successful, we make a new suggestion in this paper that two historical records of volcanic activity in 1002 and 1007 A.D. could be interpreted to be the sequential volcanic events from a single monogenetic volcano. In addition, based on a volcanological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records, we infer that the volcano described therein is most likely Mt. Songaksan, in Daejeongeup, which had early phreatomagmatic and late magmatic activities after 3.8 ka ago. Furthermore,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Tamna Kingdom, in addition with the culture of the era,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actual eruptions and the historical recording of them by ancient people.

      • 제주도 화산대수층에서 화산활동 휴지기에 형성된 저투수성 지층의 역할

        안웅산(Ung San Ahn),고동찬(Dong-Chan Koh),허중혁(Joonghyeok Heo),조병욱(Byong Wook Cho),김태희(Taehee Kim),염병우(Byoung-Woo Yu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대부분의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화산섬에서 지하수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지하수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유지에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친 화산활동과 그로 인한 다양한 물성의 화산암 및 화산퇴적물으로 이루어진 화산섬의 경우, 수리학적 불균질성이 매우 높다. 때문에 관정이나 용천수와 같이 특정 지점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적 기법으로는 지하수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의 지질구조와 지하수 흐름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상당한 규모의 용암동굴을 대상으로하여 제주도 지하수의 흐름을 해석하였다. 용암동굴은 지표하 심도가 수 m에서 수십 m로 비록 지하 천부이기 하지만, 수평으로 수백 m에서 수 km에 걸쳐 지하의 지질구조 및 지하 침투수 흐름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우리는 만장굴과 용천동굴을 대상으로 약 1년에 걸쳐 주기적으로 지하수 흐름을 직접 관찰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화산섬 전체 규모에 적용할 수 있는 제3의 새로운 지하수 모델을 제시하였다. 화산섬의 지하 지질특성과 수 km에 걸쳐 관찰된 용암동굴에서의 지하수 유입 특성을 종합하면, 화산섬 제주도는 제주도 지하에 분포하는 여러 매의 고토양층 상부를 따라 유동하는 지하수가 고토양층의 단절부(고하천 등)를 통해 지하로 더 깊이 흘러들고, 지하로 더 깊이 흘러든 지하수는 하부의 또 다른 고토양층과 고토양층 단절부를 통해 수평적, 수직적 유동을 반복하여 결국 상당 규모의 지하수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지하수 흐름은 너와지붕을 흘러가는 빗물의 흐름특성과 유사하기에, 너와모델이라는 모델명을 부여하였다. 우리가 제시하는 새로운 지하수 흐름모델(너와모델)은 기존의 하와이언 및 카나리언 모델로는 쉽게 해석되지 않은 화산섬에서의 독특한 지하수 흐름 특성(다층으로 이루어진 지하 대수층, 지하수 수위의 수직적 불연속성, 지하수 연령의 수직적 불균질성, 피압대수층의 존재 등)을 보다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은 화산활동 기간동안 상당한 휴지기를 가지는 많은 화산지대에서의 지하수 흐름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화산섬 지하수의 지속적 관리 및 유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의 공급지에 관한 연구

        안웅산(Ung San Ahn),황상구(Sang Koo Hwang)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제주도 북동부 지역에서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은, 그 용암의 공급지가 거문오름 분석구로 추정되었지만, 그 공급지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우리는 현생 화산지역에서 형성되고 있는 세계 도처의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이 어디에서 공급되었는지를 유추해 보았다. 제주도 북동부 지역에서 암상, 형상과 고도를 바탕으로 용암류역도를 작성하고, 각 용암류역에 나타나는 용암동굴의 분포와 상호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는 거문오름 용암류역 내에서 주간동굴선, 복합동굴망과 단일동굴선으로 구분된다. 주간동굴선은 웃산전굴, 북오름굴, 대림동굴, 만장굴, 김녕굴, 용천동굴로 연결되며, 여기에 벵뒤굴 복합동굴망이 있고 김녕빌레못굴~게웃샘굴로 연결되는 단일동굴선이 있다. 또한 거문오름 분석구에서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되는 약 2 ㎞ 협곡은 기존 용암동굴의 붕괴도랑으로 해석되며 그 위치와 방향성에 의하면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주간동굴선 상류 일부분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용암류역도, 용암동굴 분포, 붕괴도랑 방향성 등을 고려할 때, 만장굴 용암동굴을 형성한 용암류는 거문오름 분석구에서 공급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are commonly said to have a potential source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We inferred the source of lava flows with the Manjanggul lava tube, based on many studies about lava tubes within lava flows of active volcano in the world. We made a lava flow field map from lithofacies, features and latitude of lava surfac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Jeju Island, and then examined closely the distribution and mutual relation of lava tubes in each lava flow field. As result,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is divided into a series of master tubes(Utsanjeungul, Bukoreumgul, Daerimdonggul, Manjanggul, Gimnyeonggul, Yongcheondonggul and Dangcheomuldonggul lava tube), a complicated networks of small tubes(Bengdwigul lava tube), and a series of unitary tubes(Gimyeongbilemotgul~Gaeusaemgul lava tube) in Geomunoreum lava flows. Particularly a canyon, 2㎞ in length to NNE direction from the Geomunoreum scoria cone, is interpreted to be collapse trench of lava tube roof that belongs to an upflow part of the master tube in the Geomunoreum lava tube system,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direction. Accordingly, the source of lava flows, forming the Manjanggul lava tube, is the Geomunoreum scoria con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