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능 및 서비스 분석

        김수환(Soohwan Kim),김갑수(Kapsu Kim),김성훈(Seonghun Kim),김영식(Yungsik Kim),김재현(Jaehyoun Kim),김종범(Jongbeom Kim),김한일(Hanil Kim),김현배(Hyunbae Kim),김현철(Hyeoncheol Kim),김홍래(Hongrae Kim),박다솜(Dasom Park),박선주(SunJu Pa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2

        본 연구는 K-12 대상의 AI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안하는 연구이다. AI 교육 플랫폼 개발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하기 위해 AI 교육의 개념, 교육과정, 온라인 플랫폼 등을 분석하였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적절성을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AI 교육 플랫폼의 활용 대상은 유아에서 성인까지 전국민을 포괄할 필요가 있으며, 제공 콘텐츠는 인공지능, 데이터과학, 윤리 등 폭넓은 내용을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면에서는 웹에서 실습이 가능하고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반영한 다양한 데이터 셋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조면에서는 학습 및 콘텐츠 관리 시스템, 체험 및 실습지원 시스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is a study proposing functions and services for the development of an AI education platform for K-12. In order to prepare a roadmap for AI education platform development, the concept of AI education, curriculum, and online platform were analyzed, and appropriateness was determined through expert review.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arget of the AI education platform needs to cover the whole country from infants to adult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provided contents need to provide a wide range of conten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science, and ethics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various learners. In terms of function,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data sets that can be practiced on the web and reflect learners" interests and interests. In terms of structure,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arning and content management system, an experience and practice support system, and a data management syste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기장 성곽의 변천과 지역인식

        김현철(Kim, hyeoncheo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8 No.-

        본고는 기장의 성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장 성곽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였다. 성곽은 가시적인 성격이 큰 구조물이므로 지역사회의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기 장 성곽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장의 성곽은 총 6개소가 잔존한다. 기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성곽이 존재한다. 성곽 운용의 특징은 성곽이 지속적으로 운용된다는 점이며, 동시기에 2개소 이상의 성곽이 운용된다. 성곽의 운용은 ‘7세기-통일신라-여말선 초-임진왜란전후-17세기 이후’의 5시기로 나누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성곽에 대한 인식을 국가적인식과 지역사회의 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가적 인식은 지명과 지리적 인식에 나타난다. 기장의 지명변화는 ‘갑화량곡-기장(차성)’이다. 그 의미는 ‘변두리마을’이며 변경의 요충지로 볼 수 있다. 기장의 성곽은 기장이라는 지명을 가시적인 효과로 표현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기장에 대한 기록에도 중요한 요충지라는 지리적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기장의 성곽은 지속적으로 운용 될 수 있었고, 성곽의 운용은 지역사회에 성곽에 대한 인식을 남겼다. 지역사회의 성곽에 대한 인식은 고지도에 나타난다. 기장의 고지도에는 지역의 중심인 읍성을 비롯하여 유사시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곽을 표기하였다. 성곽의 인식에 대한 또 다른 예로 진산과 성산을 들 수 있다. 기장의 진산은 탄산이다. 탄산의 유래는 제철과 관련이 있으며, 진산의 조건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지도에 성산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성산은 기장산성이 입지한 산을 뜻한다. 성산이 표기된 이유는 기장산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진산인 탄산과의 혼동을 방지하고 성곽을 활용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러한 여러 사례들을 종합해보면 기장의 성곽은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지역 사회 내에서 다양한 인식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機張) fortress.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lack of examination into the Gijang fortress. A fortress is a big conspicuous structure and in turn has a big impact on local society’s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looked into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centering on literatures. The Gijang fortress has 6 remaining sections. There exist various types fortresses in Gijnag. In terms of opera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y continued to operate and two or more operated at one time. The operation of fortresses can be divided into 5 periods, “7th century - Unified Shilla (新羅) - End of Goryeo(高麗) and beginning of Joseon(朝鮮) -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Since 17th century” Based on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conception of fortress into a national perception and a local perception. The national perception appears in geographical names and perceptions. The name of Gijang has changed “from Gaphwaryanggok(甲火良谷) to Gijang(Chaseong,車城)” It means ‘a suburban town’ or a strategic point in the frontier. The Gijang fortress symbolizes the geographical name, Gijang in a visual presentation.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a strategic point was also reflected in historical literatures about Gijang. Therefore, Gijang fortress c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the operations of the fortress left its perception in the local society. The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fortress also appears in old maps. In the old maps of Gijang were marked Eupseong(邑城), a center of the region as well as fortresses which could be used in emergency. Other examples of the perception of fortress are Jinsan(鎭山) and Seongsan(城 山). Jinsan of Gijang is Tansan(炭山). The origin of Tansan is related to steel and it suits Jinsan’s condition. In addition, the geographical name of Seongsan also appears in old maps. Seongsan means the mountain where the Gijang fortress is located. Seongsan was marked due to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and for preventing confusion with Tansan and utilizing the fortress. Judging by these various examples comprehensively, the Gijang fortress had a continuous impact on the local society. In addition, it appeared as various perceptions in the local society.

      • KCI등재

        에너지 산업분야 Digital Twin 기술기반 VR콘텐츠 특성연구

        김현철 ( Kim Hyeoncheol ),한정엽 ( Han Ju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물리적 사물을 가상공간에 유기적으로 복제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기술은 중요한 미래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과 IoT(센서 및 네트워크), VR/AR(가상현실/증강현실), AI(인공지능)기술이 융합된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전통 산업분야에서 이러한 기술융합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VR콘텐츠의 융합이 활발히 진행되는 에너지 산업분야를 선정하여 대표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대표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한 후, 유형별 대표 사례를 일반적 특성과 콘텐츠적 특성 그리고 디지털 트윈 기술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종합분석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은 VR환경에서 체험자가 느끼는 감각적 측면을 구성하는 현장감ᆞ몰입감, 활용적 측면을 구성하는 연결성ᆞ활용성 이렇게 네 가지 특성요소를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 (결과) 대표사례 분석결과, 디지털 트윈 기술발전 단계에서 대표사례 모두 1단계(모사, Mirroring)내지 2단계(관제, Monitoring)에 해당하는 초기 단계 디지털 트윈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사례 모두 활용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연결성은 원격운영을 위한 VR콘텐츠에서, 현장감과 몰입감은 교육ᆞ관람을 위한 VR콘텐츠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결론) 결과의 원인과 연구의 한계를 분석해보면, 대용량의 사물복제를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관련 기술의 미성숙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요소를 기준으로 VR콘텐츠 유형별 차이점과 사용된 요소기술을 알아볼 수 있었지만, 특성을 정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체험자의 실감도를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VR콘텐츠에 다양한 요소를 적용해보는 실험단계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트윈 기반 VR콘텐츠의 프로젝트 세부내용을 분석하기는 했지만, 명확한 특성을 정의할 수는 없었다. 미래기술인 디지털 트윈과 가상현실의 융합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인공지능, 정보기술, 센서기술, 로봇기술 등 미래기술은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므로, 현재의 기술적 제약사항들도 머지않은 미래에 해결될 것이다. 미래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연구를 통해 완성된 형태의 디지털 트윈 기반 VR콘텐츠의 등장을 기대해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organically replicating physical objects in virtual space has attracted attention as one of the important future technologies. There are cases in which digital twin technology, IoT (sensor and network), VR/AR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fus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particular, such technology convergence attempts are being actively made in traditional industries. (Method) In this study, a represen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energy industry where the convergence of digital twin technology and VR contents is actively carried out. After classifying the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gener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digital twin technology comprehensive analysis.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e analysis was based on four characteristic factors: a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that constitutes the sensory aspect that the experiencer feels in the VR environment, and the connection and utilization that constitute the practical aspect. (Results) Representative case analysis results, in the digital twin technology development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stage digital twin implement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stage(mirroring) to the second stage(monitoring), is being implemented in all of the representative cases. In addition, all of the analysis cases put a high weight on usability, and connectivity was relatively prominent in VR content for remote operation, and realism and immersion in VR content for education and viewing, respectively. (Conclusion) Analyzing the cause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twin technology is still in its infancy due to the immaturity of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large-scale replication of objects. And, based on the analysis elemen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y VR content type and the element technology used, but it was insufficien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it was an experimental stage where various elements were applied to VR content to see what was needed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experiencer. In conclusion, although we analyzed the project details of digital twin-based VR content, we could not define clear characteristics. It is regrettable that in-depth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digital twin and virtual reality, a future technology, has not been conducted. However, as futur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sensor technology, and robot technology are making steady progress, current technological limitations will be resolved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We look forward to the emergence of digital twin-based VR contents that have been completed through continuous exploration and research on future technologi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김현철(Kim, Hyeo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콘텐츠의 개념과 시대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콘텐츠라는 신조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의미가 너무나도 다양해서 어떤 대상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에 문제의식을 갖고,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 개념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학문적으로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한국과 일본의 법률에서 콘텐츠를 공식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 법률에서 콘텐츠는 ‘구성요소’라는 의미가 강조된 용어였다면, 일본 법률에서는 영화, 음악, 사진, 만화와 같은 ‘완성된 창작물’로서 콘텐츠를 규정하고 있었다. 두 번째, 산업으로서 콘텐츠의 특징은 무엇이며, 콘텐츠 산업은 어떤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콘텐츠의 매출액 통계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핵심 분야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콘텐츠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문화콘텐츠? 라는 용어가 콘텐츠를대표하는 개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일본에서는 콘텐츠를 ‘엔터테인먼트계의 정보재(情報財)’로 규정하고, 대중들이 선호하는 ‘즐거움’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특징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content" its value in the current era. First, I looked at the legal definition of content in both Japan and Korea. In Korean law, the "compositional aspect" of the term content has been stressed. In contrast, the word content has the meaning of "a finished work" such as a film, piece of music, picture or comic in Japanese law. Next,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field of content as an industry. The content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core next-generation industry in both Korea and Japan. Furthermore, upon examining the sales figures for the content industries in Korea and Japan, I found that the core of the content field in the two countries is almost identical. Finally, I examined research on content done in both Korea and Japan, mostly by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content in these two countries. In Korea, "cultural content" is particularly widely used as a concept that represents content. Meanwhile, content is defined as "entertainment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in Japan, and carries the idea that it grants the "right to reproduce the original".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