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코깅토크 저감을 위한 Notch 설계 및 전자계 특성 분석

        배수빈(Su-Bin Bae),조재훈(Jae-hoon Jo),김용재(Yong-Jae Kim),정상용(Sang-Yong Ju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7

        본 논문에서는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의 코깅토크를 줄이기 위하여 6극 54슬롯인 모델의 회전자 표면에Notch를 적용한다. 해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2-D FEM을 사용하여 Notch의 위치, 크기, 깊이 등 설계변수에 따른 코깅토크 및 토크리플, 역기전력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를 비교분석하고 전자계 특성이 향상되는 Notch 사양을 선정하여 해석모델의 코깅토크 및 전자계 특성 개선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뉴미디어 아트 보존에 대한 고찰

        배수빈(Bae, Su bin),한경순(Han, Kyeong s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기술과 예술의 만남으로 이루어진 뉴미디어 아트는 더 이상 낯선 예술이 아니다. 다양한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가상공간을 이용한 작품들이 창출되면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등의 일반 대중이 개입하는 상황을 보여줌으로써 더욱 접근하기 쉬운 예술이 되었다. 또 사회적인 관심도가 높아지고 대중화되면서 개인 컬렉터나 미술관들의 수집 대상이 되고 있다. 첫 번째로 미술관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 그것을 대상으로 뉴미디어 작품의 소장 현황을 파악하고, 뉴미디어 아트에 중점이 되어 있는 전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연도별 조사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미술관 소장품 수집 현황을 조사, 뉴미디어 작품의 분포를 분석하고, 더 자세한 뉴미디어 아트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미술 기관 중 뉴미디어 작품을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조사한다. 두 번째로 국외의 미술관 보존환경들을 조사하고, 뉴미디어 아트 보존을 위한 기술적 보존 전략들을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뉴미디어 작품 보존을 위한 기술을 통해 다학제적 접근에 대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 국내 미술관의 연도별 미술품 수집 현황을 통해 2013년도에 저조하던 뉴미디어 작품수집 비율이 2014년부터 조금씩 증가됨을 확인해 볼 수 있으며, 국내에서 100점 이상의 뉴미디어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연도별 수집 현황을 통해 뉴미디어 소장품의 증가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국외미술관들의 경우 변화에 따른 다양한 미술품 수집에 적절한 보존부서를 신설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체계적인 환경을 갖추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뉴미디어 관련 연구 프로젝트인 〈가변매체 네크워크〉,〈미디어아트의 문제들〉은 전문적이고 구체화된 보존 연구를 보여준다. 연구 그룹은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작품의 유형을 매체의 성격에 따라 새롭게 분류하여 제시하고, 원래의 매체보다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데 기반을 둔 보존 전략을 제안한다. 또한 현장 적용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 연구하고 각종 양식들을 공유함으로써 소장, 전시, 대여, 관리 등의 업무가 필요한 미술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보존 현황 조사와 연구는 국내 뉴미디어 작품의 관리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을 고찰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으며, 국외의 연구 그룹처럼 국내에도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속적인 보존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보존 연구에는 보존처리가 이외에도 기술적인 정보를 주고받을 테크니션이나 작가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조직화된 전문가들의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국내 시스템에 맞는 표준 지침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New media art combined with technology and art is not an unfamiliar art any more. With the creation of works using virtual space based on diverse themes and expression methods, the general public intervened in it such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o that it has become a more approachable art. Also, owing to the increased social interest and popularization, it was subject to collection for private collectors or art museums. First, after researching the distribution of art museums in each area, it understoo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ew media art works, and also examined exhibitions focusing on new media art. On top of researching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from 2013 to 2016, and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new media art works, in order to understand more detailed trend of new media art, it researched the current collection statu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nd Seoul Museum of Art possessing more than 100 new media art works by year out of domestic art institutions. Second, it researched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of foreign art museums, and arranged technical conservation strategies for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arts. Lastly, new media works conservation techniques provid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ccording to the result, it confirmed that the rate of artwork collection of new media which was low in 2013 increased a little bit from 2014 through the yearly artwork collection status of domestic art museums. It also confirmed the tendence of increase for new media collections through the yearly status of the National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Art which had new media artworks. In case of overseas’ art museums, they have tried to have systematic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controling new departments suitable for the conservation and 〈Variable media network〉 and 〈MMA〉 which were the new media related research projects showed professional and detailed studies for the conservation. The research group newly classified and suggested a variety of genres of media artwork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as well as the conservation strategies based on finding ways of conserving longer than the original media. In addition, it could be helpful for art museums which needed works of collection, exhibition, rental, and management by studying things which were available to apply at the site and sharing various forms. Therefore, the status research and studies on the conservation of new media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reviewing systematic ways in the managing environment of domestic new media artworks.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the conservation continuously through forming networks in Korea like research groups in overseas. The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requires diversified approaches among technicians or artists that can exchange technical information and diversified and organized specialists that can get consultations. Through the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 guidelines suitable for the domestic system.

      • KCI등재

        지역 설화를 활용한 OSMU 전략 분석 -장성군『홍길동』테마파크와 곡성군『심청』테마파크를 중심으로-

        배수빈(Su-Bi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문화 · 사회적 가치와 이념, 지역 경제적 목표 등을 고려하면서 전략적 ·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OSMU의 개념과 특징, 국내외 성공 사례 등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 테마파크와 전남 곡성군의 심청 테마파크를 분석 대상 사례로 선정하여 OSMU의 세부 전략, 개발 결과 및 성과 등을 분석 ·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홍길동 테마파크와 심청 테마파크는 지자체 OSMU 전략의 핵심인 지역성, 공공성을 중시한 합리적, 당위적 선택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둘째, 홍길동 테마파크가 보다 안정적,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반면, 심청테마파크는 원천 콘텐츠의 우수성과 가치 있는 목표를 살리지 못한 채 수익성, 경제성 면에서 고전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자체 OSMU 전략의 공공성과 수익성, 이념성과 실효성, 당위성과 경제성 등을 조화롭게 충족하면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모색, 연구, 성찰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strategic and effective utilization plans and suggest desirable development plans,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nd social values and ideologies of the local governments OSMU strategy and regional economic goal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SMU,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cas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detailed strategies, development results and achievements of Hong Gil-dong theme park in Jangseong-gun, and Simcheong theme park in Gokseong-gun.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ong Gil-dong theme park and the Simcheong theme park were rational and justifiable choices that emphasized locality and publicity, the core of the local governments OSMU strateg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while Hong Gil-dong theme park achieved more stable and successful results, Simcheong theme park had poor achievement without utilizing the excellence and valuable goals of the original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harmoniously satisfying the publicity and profitability, ideology and effectiveness, justification and economics of OSMU strategies of local governments, various research, reflection and work must be continuously carried out.

      • 비대칭 6상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토크 고조파 및 철손 고조파 발생 원인 분석

        배수빈(Su-Bin Bae),윤한준(Han-Joon Yoon),박세아(Seah Park),김용재(Yong-Jae Kim),정상용(Sang-Yong Jung)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140kW 차량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의 토크 리플을 저감하기 위해 기존 8극 48슬롯 모델에 3상과 비대칭 6상을 적용하여 비교 검토한다. 해석 데이터의 신뢰성을 위해 2D FEM (2 Dimension Finite Elements Method) 을 사용하여 3상 모델과 비대칭 6상 모델의 토크 특성 및 철손을 분석한다. 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이용하여 두 모델의 토크 고조파 및 철손 고조파 비교를 수행하며, 비대칭 6상 모델의 토크 리플이 저감되는 원인과 두 모델의 철손 발생 원인을 분석한다.

      • KCI등재

        온라인 박물관의 전시 품질이 관람 만족도,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배수빈(Bae, Su-B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본 연구는 온라인 박물관 전시를 관람한 경험을 지닌 관람자들이 지각하는 ‘온라인 전시 품질’이 ‘관람 만족도’와 ‘재관람 의도’ 등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을 실증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람자들이 온라인 박물관 전시를 통해 지각하고 체험한 온라인 전시 품질의 4종 하위 요인들은 관람 만족도에 대해 e-접근성(β=0.297), e-전시 품목(β=0.275), e-전시 관리 및 레이아웃(β=0.222), e-매력성(β=0.183)의 순서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전시 품질의 4종 하위 요인들은 재관람 의도에 대해 e-접근성(β=0.280), e-전시 품목(β=0.261), e-전시 관리 및 레이아웃(β=0.206), e-매력성(β=0.168)의 순서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이유신, 2020). 셋째, 관람 만족도는 재관람 의도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β=0.653). 이 같은 분석 검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관람자들이 지각하는 온라인 박물관 전시 품질이 관람 만족도와 재관람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입증함으로써, 온라인 박물관 전시의 보편화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를 구축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demonstrated and verified the effect of online museum’s exhibition quality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line exhibition quality and its 4 sub-factors were verifi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e-accessibility(β=0.297), e-exhibition items(β=0.275), e-exhibition management and layout(β=0.222), e-attraction(β=0.183). Second, online exhibition quality and its 4 sub-factors were verifi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in the order of e-accessibility(β=0.280), e-exhibition items(β=0.261), e-exhibition management and layout(β=0.206), e-attraction(β=0.168). Third, visitors satisfaction was ver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β=0.653).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the online museum s exhibition qua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effective theoretical, practical guidelines and basic references materials to help and promote improvement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future-oriented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online museu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