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Skin Radioprotector (Diethone) Modifying Dermal Response of Radiation on Rats

        Hong, Seong-Eon,Urahashi, Shingo,Kamata, Rikisaburo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1

        Diethone의 피부에 대한 방사선 보호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Wistar계 랫드에 단일 X-선(20, 30, 40 Gy) 조사 후 시간경과와 선량변화에 따른 급성 피부반응을 연구하였다. 40Gy 선량에서 Diethone군의 피부반응기간은 24.7일로 대조군(29.8일)과 바셀린(29.2일) 투여군에 비하여 약$17\%$의 피부반응 기간이 뚜렷이 감소되었다. 피부반응이 최고도에 달한 10일 동안의 평균치는 Diethone군(2.43)이 대조군(2.91)과 바셀린(2.81)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되었다. 피부반응 Score 2.5에서 구한 등가효과 선량의 반응감소 계수(DRF)는 1.41로 피부보호효과가 있었다. 본 실험 결과로 보아 방사선 피부보호제를 국소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일반적인 치료선량보다 많은 방사선량을 거대하고 방사선내성이 있는 종양에 조사함으로로써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into the time-and dose-related changes in acute skin reaction following graded single dose (20,30 and 40 Gy) of x-ray irradiation in Wistar rats, in order to evaluate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Diethon on skin. For the duration of skin response over 1. 5 score in dose of 40 Gy, the Diethone group of 24.7 day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2) from that of control (29.8 days) and vaseline (29.2 days) groups, it was $17.1\%$ diminution of skin response perio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By the averaging daily scores for 10 days during peak skin reaction the mean scores were obtained. Mean score of Diethone group $(2.43\pm0.22)$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from that of control $(2.91\pm0.23)$ and vaseline $(2.81\pm0.18)$ groups of 40Gy dose. By iso-effect dose obtained at level of 2.5 score the dose reduction factor (DRF) was 1.41 which reduced radiation dose of $41\%$ by radioprotective effect of Diethone. From this experimental data, it may be possible to give higer radiation dose to large and/or radioresistant tumor mass rather than conventional treatment doses for improving therapeutic ratio by using topical application of skin radioprotector.

      • SCOPUSKCI등재

        The combined Effect of Adriamycin and Irradiation on the Small Intestinal Villi of Mice

        Seong Eon Hong(홍성언),Chi Yul Ahn(안치열)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방사선 조사와 adriamycin 병용투여가 마우스 소장 소낭선세포의 방사선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adriamycin의 방사선 증강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C3H계 마우스 120마리를 cobalt-60원 격치료기로 전복부에 조사하였다. 방사선 단독조사군은 1,000rad에서 1,600rad까지, adriamycin병용투여군은 900rad에서 1,400rad까지 각각 100rad씩 증강시켜 조사하였고 adriamycin 10mg/kg을 조사 2시간전과 4시간후에 각각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실험군은 84시간 후에 공장을 절제하고 소낭선 측정법을 이용하여 세포생존곡선을 작성하므로써 adriamycin 병용투여시의 조사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소장융모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었다. 1) 조사군의 환상면당 소낭선수는 평균 130+-16개이었다. 2) 방사선 단독조사 군에서 소낭선세포의 평균 치사선량은 160rad이었으며, 방사선조사 2시간과 4시간후 adriamycin 병용투여군은 모두 170rad이었다. 3) 방사선조사 2시간전과 4시간 후에 adriamycin 투여군의 dose effect factor(DEF)는 1.19와 1.26이었다. 4) 주사전자현미경소견에서 조사선량 증가에 따라 소장융모의 손상이 각각 다른 형태로 뚜렷이 변하였으며, conical collapse형태로 면한 것은 단독조사군의 1,200rad와 adriamycin병용투여군의 1,000rad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마우스 소장에서 방사선과 adriamycin 병용투여시 19~26%의 유의한 조사효과 상승이 관찰되었으므로 향후 복부나 골반부에 방사선조사와 항암제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인 소장에 대한 손상을 고려하여 임상에서 암의 방사선치료에 깊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radiation on the mouse jejunal crypt cells by combined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on and radiation and also to evaluate the enhancing effect of adriamycin, the authors performed this study by delivering single irradiation of 1,000 to 1,600 rad to the whole abdomen of mice by cobalt-60 teletherapy unit. In combination with adriyamycin treatment groups, the drug was administered as single dose of 10 mg/kg either 2 hours before or 4 hours after graded single dose,900 to 1,400 rad, of irradiation. The authors studie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intestinal crypt cells by microcolony survival assay techniqu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small intestinal villi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mice following to combined therapy with adriamycin and irradiation, The average number of jejunal crypts per circumference was 130pm16 in control group. The mean lethal dose(Do) of each irradiation alone and combined therapy groups 2 hours before and 4 hours after irradiation, were 160, 170, and 170 rad in cell survival curves, respectively. The dose effect factor(DEF) of adriamycin in each groups of pre-irradiation and post-irradiation were 1.19 and 1.26, respectively. The conical shaped villi were noted on 1,200 rad in irradiation alone group and 1,000 rad in combined groups. For the proper clinical application we must be careful of the radiation injury to small bowel when the anticancer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to the abdomen and pelvic area are used as combined therapeutic modality.

      • SCOPUSKCI등재

        Lethal Effects of Radiation and Platinum Analogues on Multicellular Spheroids of HeLa Cells

        홍성언(Seong Eon H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7 No.2

        HeLa 세포의 Spheroid를 배양시켜 cis-platinum과 carboplatin으로 처리한 후 그 반응을 세포의 생존분획으로 분석하였다. 체외실험 model인 spheroid를 사용하여 platinum 유사체의 약효와 방사선 감수성을 평가하고 약제에 대한 단층 세포와 spheroid의 감수성 차이를 세포-생존곡선에서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Cis-platinum 농도-곡선에서 spheroid의 Cq=3.4μM이고 Co=1.2μM이었다. 이것은 단충세포에 비하여 Co는 큰 변화가 없으나 Cq가 증가되어 cis-platinum이 저산소층 세포보다 활동적으로 분화하는 표면세포에 주로 작용하였으며, 반대로 carboplatin의 효과는 spheroid에 대한 (Co=15.0μM) 감수성이 단층세포 (Co=32.5μM)에 비하여 크게 증가되어, spheroid의 심층세포에 주로 작용하였다. 방사선과 carboplation의 병용효과를 세표 생존분획이 0.01 수준에서 isobologram으로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으로 supra-additive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arboplatin은 cis-platinum에 비하여 신장과 위장에 대한 독성작용이 적고, 방사선과 병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종양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Multicellular tumor spheroids of HeLa cells have been grown in a stare culture system. Samples of spheroids were exposed for 2 h to graded concentration of cis-platinum and its analogue, carboplatin. and then response assayed by survival of clonogenic cells. The purpose of present experiment is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platinum compounds and to evaluate intrinsic radiosensitivity of cells using spheroids of HeLa cells as an experimental in vitro model. Variations of the drug sensitivity of monolayers as well as spheroids were also evaluated in cell-survival curves. In cis-platinum concentration-survival curve, there was a large shoulder extending as far as Cq=3.4 μM, after which there was exponential decrease in survival curve having a Co Value of 1.2 μM in spheroids. While the Co for the spheroids was essentially no significant change, but Cq value was larger than that of monolayers. This suggest that the effect of cis-platinum is greater in the monolayer with actively proliferaing cells than hypoxic one. In the corboplatin concentration-survival curves, the Co value of spheroids was 15.0 μM and the ratio with the Co from monolayer cell (32.5 μM) was 0.46, thus indicating that the spheroids had a greater sensitivity to carboplatin than monolayers. Therefore, 'the effect of carboplatin is mainly on the deeper layers of spheroids acting as hypoxic cell sensitizer. The enhanced effect was obtained for monolayer cells using combined X-ray and carboplatin treatment 2 hours before irradiation. The result shown in isobologram analysis for the level of surviving fraction at 0.01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wo agents was truely supra-additive. From this experimental data, carboplatin has excited much recent interest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since it is almost without nephrotoxicity and causes less gastrointestinal toxicity than cis-platinurn. Interaction between carboplatin and radiation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for more effective local tumor control.

      • 진행된 성문상부암에서 PCR-SSCP에 의한 p53의 변이 양상과 임상적 의의

        홍성언(Seong Eon Hong),강진오(Jin Oh Kang),백형환(Hyung Hwan Baik),윤경식(Kyung Sik Yo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이의 임상적 예후 인자로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희대학병원에서 병기 3 또는 4의 진행된 후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목적의 전 또는 부분 후두절제술을 시행 받고 4600 c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60례 중 적절한 조직을 확보 할 수 있었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일부는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고 일부는 p53 유전인자의 exon 5번 부터 8번까지 PCR-SSCP 시행후 PCR-SSCP 상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DNA를 염기 서열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PCR-SSCP 검사 결과 exon 5∼8번에서 전체 26례 중 8례(31%)에서 변이를 나타내었다. 8례 모두 점돌연변이었으며 transition이 전체 8례 중 6례이었다. Exon 5번의 변이가 3례, exon 6번의 변이가 4례, exon 7번의 변이가 1예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67.4개월 이었고 p53 변이가 없는 군이 70.2개월, p53 변이가 있는 군이 61.3개월로 p53 변이가 있는 군의 생존 기간이 감소되어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생존 기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6). 환자를 병기 III과 IV로 나누어 SSCP상 변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병기 III은 양성이 25%이었고 병기 IV는 36%로 나타나 병기 IV 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563). 임파절 음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25%이었고 임파절 양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42%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37). 결 론 : PCR-SSCP 를 이용한 p53 유전인자 변이의 검색은 생존 기간, 병기, 임파절 전이 등과 관련이 없으며 예후인자로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prognostic s ignificance of p53 mutations in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 Material and Methods : Twenty- s ix patients with pertinent tissue materials among 60 patients diagnosed as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in Kyung Hee univers ity hospita l a nd received total or partial laryngectomy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were enroll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 ing DO7 monoclonal antibody was performed. Tumor specimens were analyzed for p53 mutations in exons 5 through 8 by us ing PCR- SSCP analys is followed by DNA sequencing of all variants . Results : p53 mutations were present in 8 cases among 26 patiets . Mutations within exon 5 were 3 cases , exon 6 were 4 cases , and exon 7 was 1 case. Mean survival time was 70.2 months in patients without mutations , 61.3 months with mutati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96). Mutations were 25% in stage III and 36% in stage IV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563). Mutations were 25% in lymph node negative group and 42% in lymph node pos itiv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 ignificant differences (p=0.437). Conclusion : The presence of a p53 mutation detected by PCR- SSCP is not associated with survival, stage and lymph node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