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중첩증을 동반한 맹장 지방종 1예

        홍의실,나병규,김민옥,유일영,채지영,채희복,윤세진,이상전,송형근,박길선,정현용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2 충남의대잡지 Vol.29 No.2

        대장 지방종은 주로 우측 결장에 호발하고 특히 회맹판 부위와 맹장 부위에 호발한다. 또한 50~60대에 빈도가 높고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장중첩증이 높게는 40~50%에서 보고되고 있어 성인 장중첩증의 원인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성인 장중첩증 및 장폐쇄의 중요 원인인 악성 종양과 임상 양상이 유사하여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반복적인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맹장의 4×5㎝의 점막하 지방종이 말단 회장부위와 반복적인 장중첩중이 발생했던 1례를 부분 절제술로 치료하여 양호한 임상 경과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ipomas are one of the most common benign nonepithelial tumors of the colon which are often detected incidentally by radiologic investigation or on operation. These tumors are usually without specific symptoms. Colonic lipomas occur most often in the right colon, particularly in the ileocecal valve and the cecum.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but tumors larger than 2 cm tend to produce a change in bowel habit. abdominal pain. rectorrhagia and complications including luminal obstruction or intestinal intussusception. Diagnosis can be made by colonoscopy abdominal CT. MRI, or barium enema. We report a case of lipoma of the cecum that originated in the submucosa and presented as a intussusception in a 50-year-old woman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지하심부 석재자원의 품질평가

        홍세선(Sei Sun Hong),이춘오(Choon Oh Lee),이진영(Jin Young Lee),김유성(Yu Seong Kim)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3

        이번 연구에서는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탐사방법을 사용하여, 암체별로 석재대상 암반의 열극 측정과 해석으로 그 발달방향, 블록의 예상크기 및 규격석의 산출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추탐사에서 얻어진 시추공에 대한 텔레뷰어 탐사는 시추 코아 자료에서는 획득하기가 어려운 각종 불연속면(단층, 절리 및 균열 등)의 정확한 경사방향, 경사각 및 연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들을 종합하여 삼차원적인 절리의 발달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절리 연장상태가 고려된 절리구조 3차원 입체 영상에서는 석산 내 어느 지역에 절리 분포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석산 개발 계획수립을 위해 바람직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거창지역의 석산을 대상으로 지하 심부의 절리의 연장상태를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석재암반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매장량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적용하여 적정한 가채물량을 추정하였다. This research are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es to obtain the distribution, occurrence and quality of granite stone for building purposes. The process of dimension stone exploration must be carried out to know the underground potentiality of granitic body using the basic data collection and study, field mapping, detailed drilling survey, televiewer technique, and physical and chemical tests in the Geochang area. Televiewer data obtained in drilling boreholes can be accurately distinguished from the discontinuous face, strike and inclination, extension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in a core logging. 3D joint images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a quarry exploitation plan because the 3D joint images give quite accurate information down to depth below the outcrop surface. Through the process of the quality estimation on the Geochang site, the proven reserve estimated as dimensional building stone are calculated with good quality in petrologic and physical propert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2020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홍세선(Sei Sun Hong),이진영(Jin Young Lee)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1 자원환경지질 Vol.54 No.5

        2020년에 국내 골재 총 채취량은 약 1억3,150만 ㎥이며, 이 중 모래는 약 4,386만 ㎥(33.3%), 자갈은 약 8,749만 ㎥(66.7%) 채취되었으며, 허가채취는 약 5,858만 ㎥(45%), 신고채취는 약 7,277만 ㎥(55%)이다. 골재원별로 보면 하천골재 약 50만 ㎥, 육상 골재 약 380만 ㎥, 산림골재 약 4,680만㎥, 바다골재 약 740만㎥, 선별파쇄 약 6,827만㎥, 선별세척 약 331만㎥, 그리고 기타신고골재가 약 110만㎥로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전체 채취량의 약 88% 차지하고 있다. 경기도가 광역시도에서는 골재를 가장 많이 채취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의 순이다. 2020년에는 231개 시군구의 약 67%인 153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38개 시군구에서 100만 ㎥ 이상의 골재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량은 전국 채취량의 65%인 약 8,567만 ㎥이다. 2020년도에는 약 1040여개소의 채취장이 운영되었으나 실제 골재를 채취한 채취장은 약 889개 채취장으로 선별파쇄장이 약 415개소로 가장 많으며, 산림골재, 육상골재장은 200개소 내외이다. 100만 ㎥ 이상을 채취한 채취장은 14개 채취장이며, 1만 ㎥ 이하의 소규모 채취장도 약 126개소이다. 약 420여개의 허가채취장에서 허가기간은 최장 32년에서 최소 2개월이며, 허가 잔여기간을 보면 2021년 이후 채취가능한 채취장이 약 55% 이며, 2020년 수준의 허가 골재채취물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00여개 이상의 채취장에 대해 허가연장, 신규허가가 필요할 것이다. In 2020, about 132 million m3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Korea. Of the total domestic aggregates produced in 2020, about 33.3 % was sand and about 66.7% was gravel. It estimated that of the 132 million m3 of aggregates in Korea in 2020, about 52% was produced by screening crushed aggregate, by 36% by forest aggregate, 3% by land aggregate, 5.6% by sea aggregate and 2.5% by washing each other, and 0.4% by river aggregate. This indicates that screening crushed aggregate and forest aggregate are the main producers of domestic aggregates.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citie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Chungcheongnam-do, Incheon in order decreasing volume,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bout 72.4% of total product. In 2020, aggregates were produced in 153 cities, about 67% of the 231 cities of Korea, 38 local governments have developed aggregates of more than 1 million m3, and the combined production of the 38 cities accounted for about 65% of national total. This means that the aggregate extraction trend of local governments is becoming larger and more concentrated. In 2020, at 153 local governments, a total of 889 operations produced aggregates with 420 operations by permission, 469 operations by declaration. A review of production by size of operation indicated that about 17 million m3 (12.8% of the total aggregate) was produced by 14 operations reporting production of more than 1 million m3. In about 420 operations, the maximum period of permit is 32 years to at least 2 months. When the remaining period of permit is taken into account, only about 55% of active operations can be developed the aggregate after 2021. In order to maintain the permitted aggregate volume by 2020 level, it will be necessary to obtain an extension permit or find new operation sites for at least 200 or more operations.

      • KCI우수등재

        국내 골재자원의 수급현황 (Ⅰ)

        홍세선(Sei Sun Hong),김주용(Ju Yong Kim),이진영(Jin Young Lee)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3

        국내에서의 골재자원 필요성은 199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점차 중요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기업도시, 혁신도시, 행정복합도시 등의 기존 도시외의 신도시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골재자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신도시 건설에는 시멘트, 모래자갈 등과 같은 건설 부자재들이 안정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골재채취법이 제정된 이후 수집된 골재채취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골재의 수급현황과 향후 전망을 파악하는데 있다. 90년대 초반 총골재 생산량의 약 25% 내외는 하천골재에서 20~25%는 바다골재에서 약 45% 내외는 산림골재에서 공급되었으며, 육상골재와 비허가 신고골재에서의 공급은 10% 내외의 규모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하천골재의 공급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선별파쇄가 이를 대체하고 있다. 권역별 현황을 보면 수도권 지역이 항상 가장 많은 골재를 채취하고 있으며, 충남, 경남권의 순으로 골재의 생산이 많다. 생산이 적은 지역은 전북, 강원, 제주권이다. 상기 상위 3개 권역에서의 골재 채취비율은 약 50%이며, 하위 3개 권역에서는 10% 내외로, 사회간접기반시설 확충과 같은 건설경제가 주로 광역시 주변의 인구밀집지역에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necessity of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has been increased with a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1990s. Construction activities have been increased drastically for last two decades. Such economic activities are much concentrated at big cities in Korea, and recently new neighbouring cities, such as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enterprise city and innocity, are under construction at the surroundings of the cities. This new urbanization asked for an appropriate supply of raw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cement, sands and gravel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discuss the analysis and prospect of supply and demand of domestic sand and gravel. On the early years, 1990s, about 25% of the total consumption of these sands and gravels comes from riverine deposits; 20% to 25% from marine sands, 40% to 45% from forest rocks and the rest 5% to 15% from old fluvial deposits and crushed rocks. But nowaday the river aggregate, including both sands and gravels of a present river channel and those of the old fluviatile system are decreasing, while the crushed and forest aggregates and marine sand are now the main source of infrastructure resources. Thus it is increasingly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orest and crushed aggregate resources potential in Korea where a current analysis indicate that the supply of riverine aggregates gradually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