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overnment Policy Toward Economic Development : An Analysis of Sung-Hee Jwa’s A General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Randall G. Holcombe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1

        좌승희 박사의 “경제발전의 일반이론”은 경제발전이 무엇을 가져다 주는 지를 설명하는 탁월한 저서이며, 주류 경제발전 이론들에 대해 통찰력 있는 비판을 제시해 주고 있다. 또한 좌승희 박사는 정책적 관점에서 정부는 시장에서 ‘경제적 성공’을 이룩한 기업들을 지원하는 정책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좌승희 박사는 이러한 주장을 일본, 한국,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 적용하여 자신의 주장이 타당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좌승희 박사의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여들을 서술하고 몇 가지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Sung-Hee Jwa’s A General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does an excellent job of explaining what produces economic development, and offers an insightful critique of mainstream theories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a policy perspective, he concludes that governments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discriminate in favor of firms that have demonstrated market success to promote development. He attributes the much more rapid economic growth of Japan, South Korea, and China, when compared to the slower growth of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o such policies. This article offers several reasons to question this conclusion.

      • Public Choice : An Overview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Randall G. Holcombe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소(구 안동대학교 한국공공선택학연구소) 2018 한국공공선택학 및 새마을운동교육연구 Vol.6 No.1

        공공선택학은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제적 분 석 방법’을 사용하는 학제적(學際的) 분야이다. 공공선택학은 자원 배분 과 공공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치적 과정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분석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공공선택학은 이상적이 아니라 ‘실제적인’ 정치적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개관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선호 를 사회적 선택으로 합계하는 민주적 정치 제도들을 개관한다. 둘째, 공공정책 결정 과정을 정치적 시장으로 간주하고, 이 시장 내에서 공공정 책의 교환과 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개관한다. 셋째, 정치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규칙과 제도가 어떻게 고안되는지를 개관한다. 마지 막으로 공공선택학 연구 문헌들에 따르면 한국 경제에서 정부와 기업들 간의 긴밀한 관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Public choice i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uses economic methods to study political decision-making. Public choice seeks to understand the way those political processes actually work to allocate resources and design public policies by using the same tools that had been applied to market processes. The motivating idea behind public choice was to use economic analysis to describe the political process as it actually works, not as people might hope it ideally should work. This overview is divided into three broad areas. First, public choice develops a framework for analyzing how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aggregate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group members into an aggregate group preference. Second, public choice depicts the public policy process as a political marketplace and describes how negotiations and exchanges within that political marketplace produce public policy. Third, public choice analyzes how the rules and institutions within which political decision-making takes place are made. A substantial amount of public choic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interests in the Korean economy will be counterproductive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 KCI등재후보

        A Case of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in Korea and its Implication for Global Poverty

        Randall L. Hoa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1 창조와 혁신 Vol.4 No.2

        This paper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world’s state of hunger and poverty. Analysis of data shows a world that is suffering, but more worrisome is the vulnerability to greater calamity and mixed results from conventional strategies. As an alternative model for development, the paper presents the case of Canaan Farmer’s School and the Global Agricultural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The program’s unique philosophy is to emphasize mindset education instead of outside resources as the key to alleviate national and global poverty. Evidence for this philosophy is demonstrated through the history of Canaan Farmer’s School and its inspiration for Korea’s New Village Movement that led to Korea’s national development in just 50 years. The goal of the Global Agricultural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is to transfer this experience to other countries by developing national leaders with new mindsets, knowledge, and lifestyles to alleviate poverty in their nations. The results of the training program are presented. Finally, the unique aspects of the training program are highlighted along with implications for the global struggle against hunger and poverty.

      • Public Choice : An Overview an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Randall G. Holcombe 한국공공선택학회 2018 The Korean Public Choice Society Vol.6 No.1

        공공선택학은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경제적 분 석 방법’을 사용하는 학제적(學際的) 분야이다. 공공선택학은 자원 배분 과 공공정책 결정 과정에서 정치적 과정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분석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공공선택학은 이상적이 아니라 ‘실제적인’ 정치적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경제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은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개관하고자 한다. 첫째, 개인의 선호 를 사회적 선택으로 합계하는 민주적 정치 제도들을 개관한다. 둘째, 공공정책 결정 과정을 정치적 시장으로 간주하고, 이 시장 내에서 공공정 책의 교환과 협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개관한다. 셋째, 정치적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규칙과 제도가 어떻게 고안되는지를 개관한다. 마지 막으로 공공선택학 연구 문헌들에 따르면 한국 경제에서 정부와 기업들 간의 긴밀한 관계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Public choice is an interdisciplinary area that uses economic methods to study political decision-making. Public choice seeks to understand the way those political processes actually work to allocate resources and design public policies by using the same tools that had been applied to market processes. The motivating idea behind public choice was to use economic analysis to describe the political process as it actually works, not as people might hope it ideally should work. This overview is divided into three broad areas. First, public choice develops a framework for analyzing how democratic political institutions aggregate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group members into an aggregate group preference. Second, public choice depicts the public policy process as a political marketplace and describes how negotiations and exchanges within that political marketplace produce public policy. Third, public choice analyzes how the rules and institutions within which political decision-making takes place are made. A substantial amount of public choic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business interests in the Korean economy will be counterproductive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 KCI등재후보

        Austrian Economics and Its Relevance to Korean Economic Policy

        Randall G. Holcombe 한국제도경제학회 2014 제도와 경제 Vol.8 No.3

        경제학에서 오스트리아 학파(Austrian school)는‘경제적 계산’(economic calculation)과‘경기변동이론’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합리적 경제적 계 산에 시장과 시장가격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오스트리아 학파의 사 상은 1930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20세기 중반에 와서는 그 영향력이 떨어 진 바 있다. 그러나 21세기에 와서 오스트리아 학파의 사상이 새로이 주목받고 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경제적 계산이 동유럽 계획경제의 붕괴에 통찰력을 제공하였고, 둘째, 경기변동이론이 1990년대 닷컴(dot com) 버블과 2000년대 주택 버블의 폭발에 이은 경기침체에 커다란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 기 때문이다. 오스트리아 학파의 사상은 정부 계획보다는 자유 시장을 적극적 으로 옹호하고 있으며, 미세조정(fine tuning)보다는 예측가능한 거시경제정책 을 지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첫째, 오스트리아 학파의 사상이 한국 경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둘째 경제에 있어서 정부 감독의 축소가 한국이 창조경제 와 기업가경제로 전환하는 데 최선의 방도라는 것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 다. The Austrian school of economics is best known for its work on economic calculation, which concludes that markets and market prices are necessary for rational economic calculation, and for its business cycle theory. The Austrian school, whose idea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the 1930s, fell from prominence in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school has seen renewed interest in its ideas in the twenty-first century because its work on economic calculation lends insight into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centrally planned economies, and because its business cycle theory offers insight into the recessions following the bursting of the dot-com bubble in the 1990s and the housing bubble in the 2000s. The Austrian school’s ideas strongly support free markets over government planning, and predictable macroeconomic policy rather than fine-tuning.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ideas of the Austrian school can be applied to Korean economic policy, and suggests that a reduction in government oversight of the economy is the best route toward transforming Korea into a creative and entrepreneurial economy and enabling it to establish itself as one of the world’s leading economies.

      • KCI등재

        Is Korea’s Chaebol Era Coming to an End?

        Randall G. Holcombe 한국제도경제학회 2018 제도와 경제 Vol.12 No.1

        최근 한국에서 일어난 삼성 이재용 부회장의 뇌물죄 유죄 판결,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문재인 대통령의 선출 등에 이르는 일련의 정치적 사건들은 한국경제에서 ‘재벌 시대’의 끝을 알리는 전환점으로 보인다. 한국의 정치제도가 재벌의 남용을 더 이상 용인하지 않게 되면서 한국경제에서 재벌의 영향력은 점점 약화될 것이다. 향후 한국 경제에서 재벌들은 정치적·경제적 영향력을 잃게 될 것이지만, 그 쇠퇴는 본질적으로 2017년에 겪은 정치적 사건들보다는 오히려 ‘경제적 요인들’에 기인할 것이다. 장기적 으로 시장경제에서 기업들이 경제적 지배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왜냐 하면 시장경제에서 창조적 파괴가 계속됨에 따라 재벌들의 경제적 영향력은 점점 쇠퇴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경제는 향후 다음 문제들에 직면할 것이다. 첫째, 제도적 개선과 발전이 일어나 새로운 기업들이 재벌들에 도전하게 될 것이다. 둘째, 글로벌 경쟁에 의해 외국기업들이 국내 재벌들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 이유들로 한국경제에서 재벌시대는 끝나게 될 것이다. The conviction of Lee Jae-yong for bribery, the removal of President Park Geun-hye from office, and the election of President Moon Jai-in look like a turning point in the Korean economy that may signal the end of the chaebol era. The influence of the chaebols may wane because the political system will no longer tolerate its abuses. A broader perspective suggests that while the chaebols may lose some of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clout in the decades ahead, any decline is more likely to be due to purely economic factors rather than political events in 2017. It is difficult for companies to retain economic dominance over time, so the economic influence of the chaebols is likely to wane because the creative destruction of a market economy will erode their economic power. The challenge for Korea is that whether institutional evolution and reforms will enable new Korean firms to challenge the chaebols, or whether global competition will displace them with firms from othe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