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

        하수처리장 적용을 위한Semi-카플란 수차가 장착된 마이크로수력발전 시스템

        채규정(Kyu Jung Chae),김동수(Dong Soo Kim),천경호(Kyung Ho Cheon),김원경(Won Kyoung Kim),김정연(Jung Yeon Kim),이철형(Chul Hyung Lee),박완순(Wan Soon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5

        소수력발전은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다. 본 연구는 유량변동이 크고 유효낙차가 낮은 중소형하수처리장(기흥레스피아) 적용을 위해 피치조절형 세미카플란(semi-kaplan) 마이크로수력발전의 적용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가변피치 semi-kaplan 수차는 유량조절을 위한 가이드베인은 생략하고 피치조절형 런너를 장착하여 기계적 결함은 줄이면서 유량변동이 큰 처리장에 특화된 기술이다. 마이크로수력발전 시스템은 설계조건(유량 0.35 m3/s, 유효낙차 4.7 m)에서 90.2%의 수차효율 달성이 가능하였고 발전용량은 13.4 kW로 산정되었다. 설비가동률 74%로 가동 시 연간 약 86.8 MWh 에너지 생산을 통해 2.1%의 에너지 자립이 가능하고 이는 연간 49톤의 CO₂ 감축효과와 맞먹는다. 경제성 평가결과 초기 건설공사비가 200,000,000원 이하인 경우에는 내부수익률은 6.1%, 순현가는 15,539,000원, 편익-비용률은 1.08, 투자회수년은 15.5년으로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Small scale hydropower is one of most attractive and cost-effective energy technologies for installation within sewage treatment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a semi-kaplan micro-hydropower (MHP) system for application to sewage treatment plants with high flow fluctuations and a low head. The semi-kaplan MHP is equipped with an adjustable runner blade, and is without a guide vane, so as to reduce the incidence of mechanical problems. A MHP rating 13.4 kWp with a semi-kaplan turbine has been considered for Kiheung Respia sewage treatment plant, and this installation is estimated to generate 86.8 MWh of electricity annually, which is enough to supply electricity to over 25 households, and equivalent to an annual reduction of 49 ton CO₂. The semi-kaplan turbine showed a 90.2%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at the design flow rate of 0.35 m3/s and net head of 4.7 m, and was adaptable to a wide range of flow fluctuations. Through the MHP operation, approximately 2.1% of total electricity demand of Kiheung Respia sewage treatment plant will be achievable. Based on financial analysis, an exploiting MHP is considered economically acceptable with an internal rate of return of 6.1%, net present value of 15,539,000 Korean Won, benefit- cost ratio of 1.08, and payback year of 15.5, respectively, if initial investment cost is 200,000,000 Korean Won.

      • KCI등재

        Vertical Augmentation of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Ridge Using Allogenic Block Bone Graft and Simultaneous Maxillary Sinus Graft

        Lee, Eun-Young,Kim, Eun-Suk,Kim, Kyoung-Won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 2014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6 No.5

        The maxillary posterior area is the most challenging site for the dental implant. Although the sinus graft is a predictable and successful technique for rehabilitation of atrophic and pneumatized posterior maxilla, when there is severe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a very long crown length remains challenging after successful dental implants installation with sinus graft. We performed vertical augmentation of the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ridge using the allogenic block bone graft with a simultaneous sinus graft using allogenic and heterogenic bone chips. After about six months, we installed the dental implant. After this procedure, we achieved a more favorable crown-implant fixture ratio and better results clinically and biomechanically. This is a preliminary report of vertical augmentation of maxillary posterior alveolar ridge using allogenic block bone graft and simultaneous maxillary sinus graft. Further research requires longer observation and more patients.

      • Identification of <i>ROS1</i> rearrangement in gastric adenocarcinoma

        Lee, Jeeyun,Lee, Seung Eun,Kang, So Young,Do, In‐,Gu,Lee, Sujin,Ha, Sang Yun,Cho, Jeonghee,Kang, Won Ki,Jang, Jiryeon,Ou, Sai‐,Hong Ignatius,Kim, Kyoung,Mee Wiley Subscription Services, Inc., A Wiley Company 2013 Cancer Vol.119 No.9

        <P><B>Abstract</B></P><P><B>BACKGROUND:</B></P><P>Recently, chromosomal rearrangements involving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 have been described in common epithelial malignancies, includ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colorectal cancer, and breast cancer. One of these RTKs, c‐ros oncogene 1, receptor tyrosine kinase (ROS1), has been identified as a driver mutation in NSCLC, because its inhibition by crizotinib, an anaplastic lymphoma receptor tyrosine kinase (ALK)/met proto‐oncogene hepatocyte growth factor receptor (MET)/ROS1 inhibitor, led to significant tumor shrinkage in <I>ROS1</I>‐rearranged NSCLC. Currently, only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2 (HER2)‐targeted therapy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has been successful in significantly prolongi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GC). There is a need for the discovery of additional novel targets in GC.</P><P><B>METHODS:</B></P><P>Anti‐ROS1 immunohistochemistry (IHC) was used to screen 495 GC samples and was followed by simultaneous <I>ROS1</I> break‐apart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alyses in IHC‐positive samples. Fusion partners in <I>ROS1</I>‐rearranged GC were determined by RT‐PCR. In all 495 samples, <I>HER2</I> amplification was identified with FISH, and MET expression was identified by IHC.</P><P><B>RESULTS:</B></P><P>Twenty‐three tumor samples were ROS1 IHC‐positive. Three of 23 patients were <I>ROS1</I> FISH positive, <I>HER2</I> FISH negative, and negative for MET overexpression; and 2 of those 3 patients harbored a solute carrier family 34 (sodium phosphate), member 2 (<I>SLC34A2)</I>‐<I>ROS1</I> fusion transcripts. No fusion partner was identified in the third patient. Both patients who had <I>SLC34A2</I>‐<I>ROS1</I> transcripts had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with recurrence and death within 2 years of curative surgery. ROS1 IHC‐positive status was not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survival.</P><P><B>CONCLUSIONS:</B></P><P>In this study, an <I>SLC34A2</I>‐<I>ROS1</I> rearrangement was identified in GC, and the results provide a rationale for investigating the clinical efficacy of ROS1 inhibitors in this unique molecular subset of GC. Cancer 2013. © 2013 American Cancer Society.</P>

      • A case of trichoblastoma with plasma cell infiltration

        ( Won Choi ),( Joon Soo Lim ),( Kyoung Geun Lee ),( Hyung Jin Hahn ),( Seung Hyun Cheong ),( Ki Bum Myung ) 대한피부과학회 2018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70 No.1

        Trichoblastoma is a rare benign follicular neoplasm, presenting as solitary, dark colored nodule on the head or neck. It can arises within a nevus sebaceous and can also coexist with BCC. Meanwhile, cutaneous plasma cell infiltration can be seen in various disorders, including inflammatory disease and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yphilis and deep fungal infections. It can also occur with lymph node disease and polyclonal hypergammaglobulinemia. A 53-year-old woman presented with scaly erythematous plaque on left cheek. Skin biopsy specimens were taken by punch biopsy. Smooth-bordered large basaloid proliferation and fibrotic stroma were seen in entire dermis. Interestingly, mixe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s were seen in upper dermis and they were mainly plasma cells. There was no evidence of other organ involvement and infection in laboratory tests. Preceding unnoticeable infection might independently leave a plasma cell infiltration regardless of trichoblastoma. However, we can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ssociation between trichoblastoma and plasma cell infiltration. She was diagnosed with trichoblastoma with plasma cell infiltration based on histological findings. In our literature review, there was no reported study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cell infiltration and adnexal neoplasm except 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Herein we report a peculiar case of trichoblastoma with plasma cell infiltration.

      • SCIESCOPUSKCI등재

        Syringocystadenocarcinoma Papilliferum: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Kyoung Geun Lee ),( Won Choi ),( Joon Soo Lim ),( Hyung Jin Hahn ),( Ki Bum Myung ),( Seung Hyun Cheong ) 대한피부과학회 2019 Annals of Dermatology Vol.31 No.5

        Syringocystadenocarcinoma papilliferum (SCACP) is a rare malignant adnexal neoplasm, which is considered as a malignant counterpart of syringocystadenoma papilliferum (SCAP). Clinically, SCACP appears as a nodule, inflammatory plaque, or tumor. The lesion is usually covered with crusts, which are formed by secretion of the apocrine epithelial cells. Histologically, SCACP resembles SCAP, with cystic papillomatous invaginations connected to the skin surface by funnel-shaped structures lined by infundibular epithelium. The stroma of the tumor consists of a dense inflammatory infiltrate of plasma cells and lymphocytes. SCACP differs from SCAP in terms of the architectural and cytological features of the tumor cells, and is characterized by higher nuclear cytoplasmic ratio, nuclear irregularity, coarse chromatin, and increased mitotic activity. However, the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of SCACP vary. Since only 49 cases of SCACP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the clinical and histologic characteristics of SCACP have not been fully established. Further studies o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SCACP are warranted.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SCACP and present a review of other relevant literature. (Ann Dermatol 31(5) 559∼562, 2019)

      • SCISCIESCOPUS

        Antimelanogenic Effects of Picrionoside A Isolated from the Leaves of Korean Ginseng

        Lee, Dae-Young,Jeong, Sang Chul,Jeong, Yong Tae,Lee, Mi-Kyoung,Seo, Kyeong-Hwa,Lee, Jae-Won,Kim, Geum-Soog,Lee, Seung-Eun,Baek, Nam-In,Kim, Jin Hee Pharmaceutical Society of Japan 2015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Vol.38 No.10

        <P>This study was initiated to isolate active metabolites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Among them, picrionoside A, a megastigmane glucoside, wa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 ginseng C. A. MAYER and its chemical structure was determined based on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FAB-MS, one-dimensional (1D)-NMR, 2D-NMR, and IR spectroscopy. Picrionoside A from P. ginseng has not been investigated previously, and its biological or pharmaceutical activities have not been reported elsewhere. The IC50 value of mushroom tyrosinase-inhibitory activity of picrionoside A was 9.8???µM, and the rate of inhibition of synthesized melanin content in melan-a cells was 17.1% at a concentration of 80???µM without cytotoxicity. Furthermore, picrionoside A dramatically reduced body pigmentation in the zebrafish model.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picrionoside A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 ginseng may be an effective skin-whitening agent that could be a potent candidate material in the cosmetic industry.</P>

      • Gene-Related Strain Vari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for Homologous Resistance Response to Acid Stress

        LEE, SOOMIN,AHN, SOOYEON,LEE, HEEYOUNG,KIM, WON-IL,KIM, HWANG-YONG,RYU, JAE-GEE,KIM, SE-RI,CHOI, KYOUNG-HEE,YOON, YOHA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ood Protection 2014 Journal of food protection Vol.77 No.10

        <P>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dapt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to the acidic condition of tomato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heat and acid. S. aureus ATCC 13565, ATCC 14458, ATCC 23235, ATCC 27664, and NCCP10826 habituated in tomato extract at 35°C for 24 h were inoculated in tryptic soy broth. The culture suspensions were then subjected to heat challenge or acid challenge at 60°C and pH 3.0, respectively, for 60 min. In addition, transcriptional analysis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level of acid-shock genes, such as clpB, zwf, nuoF, and gnd, from five S. aureus strains after the acid habituation of strains in tomato at 35°C for 15 min and 60 min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nonhabituated strains. In comparison with the nonhabituated strains, the five tomato-habituated S. aureus strains did not show cross protection to heat, but tomato-habituated S. aureus ATCC 23235 showed acid resistance. In quantitative real-time-PCR analysis,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acid-shock genes (clpB, zwf, nuoF, and gnd) were increased the most in S. aureus ATCC 23235 after 60 min of tomato habituation,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levels among the five S. aureus strains after 15 min of tomato habitu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tion of acid resistance of S. aureus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acid-shock genes during acid habituation.</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