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합사료의 부패 동안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및 영양학적 변화

        이권정(Kwonjung Yi),연제성(Jae-Sung Yeon),김주현(Juhyeon Kim),김삼철(Sam Churl Kim),문형인(Hyung-In Moon),전체옥(Che Ok Jeon),이상석(Sang Suk Lee),김동운(Dong-Woon Kim),김수기(Soo-Ki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10

        가축의 배합사료는 가축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적절한 온도와 습도하에서 부패되기 쉽다. 착유우 사료를 여름철 고온 다습한 환경 조건인 수분 33%, 온도 30℃에서 15일 동안 부패시키면서 일어나는 미생물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최초 6.29에서 4.66으로, 수분활성은 0.99에서 0.95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세균은 6.2×10<SUP>6</SUP>~1.6×10<SUP>7 </SUP>CFU/g에서 5일째에 최대 2.1×10<SUP>9</SUP> CFU/g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108 CFU/g 수준을 유지하였다. 곰팡이는 약 10<SUP>3</SUP>에서 8.0×10<SUP>4</SUP> CFU/g으로 증가하였다. 세균은 Acinetobacter oleivorans, Pediococcus acidilactici, Acinetobacter oleivorans, Weissella cibaria 및 Methylobacterium komagatae이 성장하였고, 곰팡이는 Fusarium속과 Mucor속이 분리되었다. 10일까지는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고(p<0.01), 조단백질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약 6.0%에서 5.5%로 감소하였다(p<0.01). 조섬유와 조회분은 각각 2.0~3.0%, 4.5~4.8%의 범위에서 변화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에너지는 4,400 kcal/kg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사료가 부패되면서 젖산과 프로피온산은 증가하였고 아세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p<0.01). 제랄레논은 59.2 μg/kg에서 623.8 μg/kg으로 약 10.5배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료부패가 일어나는 동안은 pH 감소, 생균수의 증가 및 다양한 화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Commercial complete feeds contain enough nutrients to support animal growth and it is easy to be spoiled under proper temperature and humid condi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n complete feed for milking cow under open-air exposure with moisture 33% at 30℃ during 15 days. pH decreased 6.29 to 4.66 and water activity decreased gradually 0.99 to 0.95. Bacteria increased 6.2×10<SUP>6</SUP>~1.6×10<SUP>7</SUP> to 2.1×10<SUP>9</SUP> CFU/g at 5 days and showed 10<SUP>8</SUP> CFU/ g until 15 days. Fungi increased 10<SUP>3</SUP> CFU/g to 8.0×10<SUP>4</SUP> CFU/g. During the processing of spoilage, bacteria such as Acinetobacter oleivorans, Pediococcus acidilactici, Acinetobacter oleivorans, Weissella cibaria, and Methylobacterium komagatae were identified and fungi such as Fusarium sp. and Mucor sp. were also identified. Moisture content increased until 10 days (p<0.01). Crude protein was not changed so much whereas crude fat decreased 6.0% to 5.5% (p<0.01). Crude fiber and crude ash changed 2.0~ 3.0% and 4.5~ 4.8% levels with no significance, respectively. Gross energy was not almost changed at 4,400 kcal/g. During spoilage, lactate and propionate increased whereas acetate was not detected. Protease and lipase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poilage (p<0.01). Zearalenone content increased 59.2 μg/kg to 623.8 μg/kg, showing 10.5 times more production. During feed spoilage, pH decreased with microbial growth and various chemical changes were occurred.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Humic Acid and Blueberry Leaf Powder Supplementation in Feeds on the Productivity, Blood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Kwonjung Kim,Inkyu Bae,Jinho Cho,Yangil Choi,Jungheun Ha,Jungseok Choi 한국축산식품학회 2019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9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umic acid (HA) and blueberry leaf powder (BLP) supplementation in pig feed on productivity, blood profile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ngissimus muscle.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d six treatments: 1) CON, no addition; 2) T1, BLP 0.1%; 3) T2, BLP 0.2%; 4) T3, humic acid 2%; 5) T4: humic acid 2%+BLP 0.1%; and 6) T5: humic acid 2%+BLP 0.2%. HA and BLP supplementation in pig feed significantly increase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values (p<0.05). HA supplementation in pig feed had beneficial effects in lipid profiles without altering feed efficiency rate (FER). HA and BLP co-supplementation in pig feed decreased pH in longissimus thoracis (p<0.05). In addition,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nhanced when pig feed was supplemented with HA and BLP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in meat quality. Taken together, addition of HA and BLP in pig feed may produce functional meat products.

      • KCI등재

        지구 시스템 내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분석: 인간의 활동이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오현석 ( Hyunseok Oh ),이기영 ( Kiyoung Lee ),김권중 ( Kwonjung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科學敎育硏究誌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구 시스템 내에서 물질 순환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의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여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한국 지구과학 올림피아드에 참여한 중·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을 이용하여 수집된 학생 응답을 평가 루브릭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단어 분석을 이용하여 시스템 사고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선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 중등학교 학생의 시스템 사고 수준이 물질의 순환에 대한 시스템 요소를 확인하거나 분류하는 낮은 수준이었으며, 시스템 연관이나 경향의 일반화와 같은 높은 수준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물의 순환보다 탄소의 순환에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질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의 특성은 물의 순환에서는 물을 주요 시스템 요소로 인지한 상태로 기권과 다른 시스템 요소 간에 주로 증발로 연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탄소의 순환에서는 이산화 탄소를 주요 시스템 요소로 간주하여 생물권과의 연관으로 광합성과 호흡을 표상하고 있었다. 셋째, 지구 시스템 내 물질의 순환에서 인간 활동의 영향을 고려한 교육을 위해서 기존의 지구 시스템에서 확장하여 사회-생태 시스템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ycle of matter in the Earth syste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cycl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items for assessment and assessment rubric through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pplying systems thinking, respective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Earth Science Olympiad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level of system thinking was determined using the assessment rubric for student responses collected using items for assessment.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were identified using word analysis. Based on these,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was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thinking level of most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low in identifying or classifying system elements for matter cycle, and high levels, such as system relationship or generalization of pattern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mall.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ystem thinking in the carbon cycle than in the water cycle. Secon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 thinking about water cycle, water was recognized as a major system element and mainly related with evaporation between atmosphere and other system elements. Whereas, in the carbon cycle, carbon dioxide was regarded as a major system element, and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were represented in relation with the biosphere. Third, for education consider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the matter cycle in the Earth system, it is proposed improving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socio-ecological system by extending the existing earth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