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에드워드 콘즈의 ‘무아(無我)’의 특징 -『불교의 길』을 중심으로

        배광식(Kwang-Shik Bae)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무아상경』및 여러 경론에 나타난 무아의 내용과 대비하여 에드워드 콘즈의 『불교의 길』에 나타난 무아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불교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무아(無我)’라 할 수 있다. 『무아상경』은 붓다가 당시 재래종교와 사상계의 실아(實我) 곧 ‘상(常)·일(一)·주재(主宰)의 아(我)’에 대한 주장의 허구성을 연기법으로 혁파(革罷)함과 동시에 무아의 실천법을 제시한 것이다. 오온(五蘊)은 무상하니, 항상하기를 바라는 우리 마음에 무상함은 괴로움일 수밖에 없다. 괴로움을 원치 않으나 괴로울 수밖에 없다는 것은 우리 마음대로 주재(主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온은 상(常)·일(一)·주재(主宰)를 못 갖추었으니 무아(無我)인 것이다. 무상·고·무아를 철견(徹見)하고, 실제와 반하는 상락아견(常樂我見)에 대한 집착의 무명(無明)을 놓음으로써 고멸[苦滅, 해탈(解脫)]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삼법인은 무상·고·무아를 한 단어로 표현한 것으로, 불교역사를 통해 많은 경론에 수없이 등장하는 실천수행의 대상이자 목표이고, 불교와 비불교를 가르는 척도이다. 여러 경론에 나타난 삼법인은 무아상경의 내용을 변함없이 전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에드워드 콘즈의 저서 『불교의 길(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은 불교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고, 각종 종교들과 철학과 관련하여 어떤 특징과 위치를 차지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양서이다. 『불교의 길』에서, 수행과 무아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교의 참가치는 일상적 삶에 끼치는 변화에 있고, 불교는 언행일치가 되어야 한다. 불교 모든 종파의 수행의 공통점은 해탈, 곧 열반(nirvāṇa)이 목표이며, 개아(個我) 실존에 대한 믿음을 소멸시켜 무아(無我)를 깨닫는 것이다. 각 종파의 차이는 목표 접근 방법의 차이(다양성)이다. 예로 지혜, 믿음과 헌신, 신통력으로 접근하는 등이다. 옛지혜학파와 중관학파는 지혜를 통한 해탈, 신앙불교는 믿음과 헌신을 통한 해탈, 유식파는 선정을 통한 우주 생명의 해탈을 구하고, 밀교는 주문, 의식을 위한 동작과 춤, 특별한 명상을 통한 신들과의 합일의 수행을 통해 해탈 곧 무아에 이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tta in Edward Conze’s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n contrast to the contents of the anatta in “the Anatta-lakkhaṇa-sutta” and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 of Buddhism is considered to be ‘anatta’. The ‘Anatta-lakkhaṇa-sutta’ refutes the unreal nature of the concept of ‘atman’ namely,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in traditional religions and philosophies, and presents the practice of ‘anatta.’ The impermanance of the “five aggregates” creates suffering for our minds that seek permanence. Despite not wanting to suffer but having to suffer means that we cannot preside at our disposal. Because the five aggregates don't have permanent individuality and sovereignty, they are anatta. By penetrating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and by eliminating ignorance about the attachment to the false view that opposes reality as peramanence, pleasure and self, we can attain “nirvana,”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Buddhist practice. The three marks of existence (Pali tilakkhaṇa) include impermanence, suffering, and no-self. They can be found in many Buddhist scriptures in Buddhist history. They are the object and goal of Buddhist practice, and criteria for differentiating Buddhism from Non-Buddhism. Tilakkhaṇa appears in various Buddhist scriptures constantly conveying the contents of Anatta-lakkhaṇa-sutta as usual. Edward Conze’s book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is an amphibious book that offers a quick view of Buddhism and shows what characteristics and positions it occupies in relation to various religions and philosophies. In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 the contents of practice and anatta are summarized as follows. Buddhism's real value lies in the change in daily life, and Buddhism must be consistent with its words and actions. What all Buddhist sects have in common is liberation, that is, nirvānā, the goal, and to realize anatta by extinguishing the belief in the existence of self.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sects are the diversities in the goal approach. Examples include approaching with wisdom, faith and devotion, and divine power. The Old Wisdom school and Mādhyamika school seek liberation and anatta through wisdom, Faith Buddhism through faith and devotion, and Yogâcāra school through concentrative meditation, and Tantrism through spells, movements and dances for rituals, and unity with the gods through special meditation.

      • KCI등재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 of root canal filling materials : Gutta-percha and Resilon

        전경아,이인복,배광식,이우철,백승호,Jeon, Kyung-A,Lee, In-Bog,Bae, Kwang-Shik,Lee, Woo-Cheol,Baek, Seung-Ho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0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1 No.5

        근관충전재로 사용되는 gutta-percha의 대체재로서 Resilon이라는 bioactive glass와 약간의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가 최근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열연화 주입식 gutta-percha와 Resilon의 열팽창 특성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실험재료 중 gutta-percha 군으로는 Obtura, Diadent 그리고 Metadent사의 gutta-percha를, Resilon으로 Pentron사의 Epiphany를 사용하였다. 열가압주입기인 Obtura II에 4가지 재료를 넣고 설정온도를 $100^{\circ}C$, $150^{\circ}C$, $180^{\circ}C$ 그리고 $200^{\circ}C$로 바꾸어 가며 각 온도에 대해서, heat-ing chamber 입구에서의 온도와 23 게이지와 20 게이지의 needle에서 사출되는 재료의 온도를 디지털 ther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열팽창을 측정하기 위해 세라믹으로 내경 3 mm, 외경 10 mm. 길이 27 mm의 원통형 주형을 제작하였고, 주형 안에 각 재료를 채워 넣은 후 양끝을 세라믹 공이 (plunger)로 막았다. 이 시편을 dilatometer에 넣고 가열하여 $25^{\circ}C$에서 $75^{\circ}C$까지의 범위에서 열팽창 곡선을 얻었다. 온도에 따른 시편의 길이 변화로부터 각 재료의 열팽창 계수와 전체부피에 대한 팽창량을 계산하였다. 모든 재료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45^{\circ}C$ 이하에서는 재료의 부피변화가 거의 없었고, $45^{\circ}C$에서 $55^{\circ}C$ 구간에서 급격히 팽창하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완만한 부피의 증가를 보였다. $35^{\circ}C$에서 $55^{\circ}C$ 사이에서의 부피의 변화는 재료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 > 0.05). $35^{\circ}C$에서 $75^{\circ}C$사이의 부피의 변화는 Obtura 사 gutta-percha가 Metadent사와 Diadent사의 gutta-percha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Epiphany는 gutta-percha 군들과 비슷한 열팽창을 보였다 (p > 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s of injectable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s and a Resilon. The materials investigated are Obtura gutta-percha, Diadent gutta-percha, E&Q Gutta-percha Bar and Epiphany (Resilon). The temperature at the heating chamber orifice of an Obtura II syringe and the extruded gutta-percha from the tip of both 23- and 20-gauge needle was determined using a Digital thermometer. A cylindrical ceramic mold was fabricated for thermal expansion test, which was 27 mm long, with an internal bore diameter of 3 mm and an outer diameter of 10 mm. The mold was filled with each experimental material and barrel ends were closed with two ceramic plunger. The samples in ceramic molds were heated in a dilatometer over the temperature range from $25^{\circ}C$ to $75^{\circ}C$. From the change of specimen length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were deter-mine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four materials in the thermal expansion in the range from $35^{\circ}C$ to $55^{\circ}C$ (p > 0.05). However, Obtura Gutta-percha showed smaller thermal expansion than Diadent and Metadent ones from $35^{\circ}C$ to $75^{\circ}C$ (p < 0.05). The thermal expansion of Epiphany was similar to those of the other gutta-percha groups.

      • KCI등재

        Microbial profile of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teeth with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by pyrosequencing

        임상민,이태권,김은정,박준홍,이윤,배광식,금기연,Lim, Sang-Min,Lee, Tae-Kwon,Kim, Eun-Jeong,Park, Jun-Hong,Lee, Yoon,Bae, Kwang-Shik,Kum, Kee-Yeon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원발성 치근단 치주염(primary apical periodontitis)을 갖는 치아에서 임상증상 유무에 따른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species level까지 분석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발성 치근단 치주염을 갖는 6개의 표본에서 pysequencing을 시행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얻어진 small-subunit ribosomal RNA의 초가변 영역(hypervariable region)의 amplicon을 이용하여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적으로 무증상군 및 증상군에서 각각 10,639 및 45,455개의 16S rRNA sequence을 얻었으며 평균길이는 440bases였다. Ribosomal Database Project Classifier을 이용한 분석결과 142종의 genera 및 13종의 phylum 수준에서의 세균종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13개의 phyla 가운데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Firmicutes, Fusobacteria, Proteobacteria, Spirochetes, and Synergistetes 종이 상대적으로 호발하였으며, genus 수준에서는 Pyramidobacter, Streptococcus, Leptotrichia이 무증상의 근관의 50%를 차지하였으며, Neisseria, Propionibacterium, Tessaracoccus 균종은 증상이 있는 근관의 69%를 차지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 (3%)로 나눈 결과 증상이 없는 치아에서 450개, 증상이 있는 치아에서 1,997개의 species가 발견되었다. 증상이 있는 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많은 수의 세균이 검출되었다(p < 0.05). 결론: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기법을 통해 원발성 감염근관에서 이전에 검출하지 못했던 다양한 근관내 분포세균을 검출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in viv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diversity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canals with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by using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Materials and Methods: Sequencing was performed on 6 teeth (symptomatic, n = 3; asymptomatic, n = 3) with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Amplicons from hypervariable region of the small-subunit ribosomal RNA gene were generated by polymerized chain reaction (PCR), and sequenced by means of the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Results: On average, 10,639 and 45,455 16S rRNA sequences for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teeth were obtained, respectively. Based on Ribosomal Database Project Classifier analysis, pyrosequencing identified the 141 bacterial genera in 13 phyla. The vast majority of sequences belonged to one of the seven phyl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Firmicutes, Fusobacteria, Proteobacteria, Spirochetes, and Synergistetes. In genus level, Pyramidobacter, Streptococcus, and Leptotrichia constituted about 50% of microbial profile in asymptomatic teeth, whereas Neisseria, Propionibacterium, and Tessaracoccus were frequently found in symptomatic teeth (69%). Grouping the sequences in operational taxonomic units (3%) yielded 450 and 1,997 species level phylotypes in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teeth, respectively. The total bacteria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ymptomatic teeth than that of asymptomatic teeth (p < 0.05). Conclusions: GS FLX Titanium pyrosequencing could reveal a previously unidentified high bacterial diversity in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 KCI등재후보

        MTA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생체친화성에 대한 연구

        장석우(Seok Woo Chang),오태석(Tae Seok Oh),유현미(Hyun Mi Yoo),박동성(Dong Sung Park),배광식(Kwang Shik Bae),금기연(Kee Yeon Ku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2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0 No.3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is mainly composed of lime and silica. Its four major phases are tricalcium silicate, dicalcium silicate, tricalcium aluminate, and tetracaclcium aluminoferrite. MTA has relatively long initial setting time (2h 45m) and various additives can be added to reduce setting time. Compressive strength of MTA increases with time and reaches 100 MPa after 28 days. MTA has high pH of 9-12.5 because of the formation of calcium hydroxide during its hydration reaction. MTA has superior sealing ability to amalgam and IRM when it is used in perforation repair or root end filling. MTA is safe in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and have potential to promote pulpal and periapical hard tissue 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