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low-R 모형을 이용한 소규모 저수지 파괴에 따른 하류 침수 영향 분석

        김하룡(Hayong Kim),박윤경(Yoonkyung Park),주진걸(Jingul J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5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빈번한 발생과 저수지의 노후화가 맞물리면서 농업용 소규모 저수지를 중심으로 붕괴사고가 늘어나고 있다. 소규모 저수지라 할지라도 붕괴시 하류에 심각한 인적, 물적 피해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어, 노후 체계적인 관리와 더불어 저수지의 붕괴에 대비한 긴급대응계획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댐 붕괴 모형의 적용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소규모 저수지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지도만을 사용하여 피해범위를 산정할 수 있는 Flow-R 모형을 사용하여, 소규모 저수지의 붕괴에 따른 하류피해범위를 산정하였다. 저수지 파괴 범위(10~100% 파괴)에 따라 5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저수지 하류의 지형형태에 따라 침수범위가 다르게 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수지와 관련된 제한된 자료만 있는 상황에서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방법으로 저수지 하류의 피해범위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들의 긴급대비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atterns owing to climate change and the aging of reservoirs are contributing to an increase in dam failures, particularly of small-scale agricultural reservoirs. Dam collapses can lead to significant human and material damage downstream, even in the case of small-scale reservoirs. Therefore, alongside systematic maintenance of aging reservoirs, establishing emergency response plans for dam failures is imperative. However, application of existing dam failure models requires a substantial amount of time and resources, making it challenging to implement for small-scale reservoirs. In this study, the Flow-R model, which can estimate downstream damage areas using only digital topographic maps, was employed to calculate the extent of downstream damage resulting from the collapse of small-scale reservoirs. Five scenario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tent of reservoir destruction (ranging from 10% to 100%).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undation area varied depending on the topography downstream of the reservoir. This study proposes an affordable and straightforward method for estimating damage downstream of reservoirs, even when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reservoirs. Thus,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plans for small-scale agricultural reservoirs.

      • KCI등재

        The usefulness of fluorodeoxyglucose-PET/CT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ductal carcinoma in situ

        Sungchul Kim,Seokjae Lee,Sangwon Kim,Seokmo Lee,Hayong Yum 대한외과학회 2018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94 No.2

        Purpose: PET/CT is useful in preoperative evaluation of invasive breast cancer (IBC) to predict axillary metastasis and staging workup. The usefulness is unclear in cases of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diagnosed at biopsy before surgery, which sometimes is upgraded to IBC after definitive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sefulness of PET/CT on DCIS as a preoperative evaluation tool. Methods: We investigated 102 patients preoperatively diagnosed with DCIS who subsequently underwent definitive surgery between 2010 and 2015. The uptake of 18F-fluorodeoxyglucose was graded by visual and semiquantitative methods. We analyze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of each patient with clinicopathologic variables. We determined optimal cutoff values for SUVmax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Results: Fifteen cases out of 102 cases (14.7%) were upgraded to IBC after surgery. The SUVmax was higher in patients upgraded to IBC (mean: 2.56 vs. 1.36) (P = 0.007). The SUVmax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ho had symptoms, palpable masses, lesions over 2 cm in size and BI-RAD category 5. Both visual and semiquantitative analysi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BC underestimation. SUVmax of 2.65 was the theoretical cutoff value in ROC curve analysis in predicting the underestimation of IBC. The underestim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UVmax >2.65 (P < 0.001), over the moderate enhanced uptake on visual analysis (P < 0.001). Conclusion: PET/C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evaluation tool to predict the underestimation of DCIS combined with the lesion size, palpable mass, symptomatic lesion, and BI-RAD category.

      • KCI등재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활용한 중국 가뭄평가 및 사막화 전망

        김하룡(Hayong Kim),주진걸(Jingul J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6

        중국의 토지이용변화는 동북아시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중국 대륙의 사막화는 황사 등 우리나라의 기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의 사막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내 8개 도시(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루무치, 충칭, 우한, 위린)에서 SPI, GEVI, SPEI 등 3개 가뭄지수를 산정하였다. SPI와 SPEI간에는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GEVI는 상관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사막화를 유발할 수 있는 장기가뭄에 대해서는 각 지수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970년 이후 10년 간격으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기간을 비교하였다. 1970년대와 90년대에는 중국 전역에서 가뭄이 심하게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뭄일수의 증가 등 가뭄이 심화되고 있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사막화는 강우량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변화, 수자원 이용량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중국의 사막화 평가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nging land use patterns in China may result in adverse impacts on the climate in Northeast Asia. In particular, desertification of the Chinese mainland can als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imate in South Korea, such as the occurrence of yellow dust storms. This study aimed to forecast the desertification in China through a comprehensive drought analysis. Three drought indices namely, SPI, GEVI, and SPEI, were determined for eight cities in China namely, Beijing, Guangzhou, Shanghai, Xianyang, Urumqi, Chongqing, Wuhan, and Weihai.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PI and SPEI, while GEVI showed a slightly lower correlation. The long-term droughts that can trigger desertification exhibited high correlations among the considered indices. To asses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periods of severe drought occurrence were compared in ten-year intervals since 1970. It was observed that severe droughts occurred throughout China in the 1970s and 1990s. However, there was no apparent trend in increasing drought days or worsening drought conditions. Desertification in China can be influenced not only by the rainfall but also by the changes in land use pattern and exploitation of water resource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is deemed necessary to evaluate desertification in China.

      • KCI등재

        가뭄지표를 활용한 지역별 가뭄 상관성 분석

        김하룡(Kim, Hayong),장현휘(Zhang, Xuanhui),조지현(Cho, Ji Hyun),주진걸(Joo, Jingul)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장기적 가뭄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다양한 여건이 반영되어야 하지만, 광역간 물 이용량 배분 및 가뭄시 지역간 자원 배분의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역별 가뭄발생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도시에서SPI, GEVI, SPEI 등 3개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6개 도시에서 지역별 가뭄을 비교하였다. 가뭄 심도별 발생비율, 피어슨 상관계수를사용하여 지역별 가뭄 현황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가뭄지표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결과인 지역간 가뭄상관성 분석이 장기가뭄 대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between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various conditions in establishing long-term drought measures. Therefor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drought occurrence by region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ree drought indexes, SPI, GEI, and SSEI, were calculated in major cities, and the regional drought was compared. The drought status by region was compared using the incidence ratio by drought dep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loser the distance, the higher the correlation between drought indica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regional drought correlation analysis can be used to cope with long-term drought.

      • KCI등재

        첨족 변형을 지닌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 중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길이 변화

        김하용(Hayong Kim),안재훈(Jae Hoon Ahn),이항호(Hang Ho Lee),구제윤(Jea Yun Koo),이한철(Han Cherl Yee),최원식(Won Sik Choy)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2

        목적: 첨족 변형을 가진 뇌성마비 환자의 보행 도중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자군은 첨족 변형을 가진 뇌성마비 환자로 수술 전과 후에 보행 검사를 시행한 12명, 17하지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정상 성인 12명, 24 하지로 하였다. 환자군은 11명이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14.3세(5-25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5.3개월(12.5-18.5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에 따라 Strayer군과 TAL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보행 검사와 SIMM을 연동하여 보행 중 비복근과 가자미근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후 족관절 및 슬관절의 운동형상학은 호전되었고, 보행 도중 측정된 근육의 길이도 연장되었다. 아킬레스건 연장술과 Strayer 술식 후 수술 전ㆍ후 비복근과 가자미근 길이 변화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trayer 술식 후에 보행 도중 가자미근의 근육 길이도 연장되었다. 결론: 환자군에서 SIMM을 이용하여 보행 도중 하퇴 삼두근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여, 수술 후 구축된 하퇴 삼두근이 연장되었음을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measure the muscle length of the gastrocnemius and soleus during gait in CP patients with an equinus deformity before and after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lve CP patients with an equinus deformity (17 limbs) were examined by gait analysis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The patient group was further classified into the TAL and Strayer group according to the surgical technique. The mean age and mean follow-up periods were 14.3 years (5-25 years) and 15.3 months (12.5-18.5 months), respectively. The muscle length of the Gastrocnemius and Soleus was measured during gait using the SIMM program linked to a gait analysis system. Results: The ankle ROM, knee ROM, maximal muscle length and peak-to-peak excursion during gait improved after surge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p<0.05), but no difference between the postoperative and control groups (p>0.05). The muscle length of the soleus was elongated during gait after the Strayer procedure. Conclusion: Patients with an equinus deformity had a contracted triceps muscle, which was elongated after surgery. These changes were quantified by a comparison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 KCI등재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발생하는 과성장

        김하용(Hayong Kim),나규현(Kyu Hyun Na),고준혁(Joon Hyuk Ko),김갑중(Kap Jung Kim),안재훈(Jae Hoon Ahn),최원식(Won Si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후 하지 4 장골의 상대적 성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소아 경골 간부 골절 환자 중 도수 정복 후 장하지 석고 붕대 고정으로 치료받았던 38예의 의무 기록과 Bell-Thmpson 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54.4개월(24-96개월)이었다. 결과: 전예에서 임상적으로는 우수하였다. 환측 경골의 과성장은 4.4±3.3 ㎜이었다. 환측 대퇴골은 평균 0.9±3.7 ㎜의 과성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환측 하지는 5.3±5.4 ㎜의 과성장을 보였다. 성별, 골절 부위와 비골 골절 유무는 과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상 당시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과성장에 영향을 주었다. 4예에서 환측 대퇴골이 10 ㎜ 이상의 과성장을 보였다. 결론: 소아의 하지 장골은, 경골 골절로 치료 받은 후, 다양한 성장을 보였다. 최종 하지 길이의 치는 골절된 경골뿐 아니라, 환측 대퇴골의 과성장도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comparative growth of the four long bones of the lower extremities after the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eight children (age, 8.2±2.6) with tibial shaft fractures treated with a closed reduction and a long leg cas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an follow-up was 54.4 months (range, 24-96). The medical records and Bell-Thompson imag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all cases. The fractured tibia showed overgrowth (4.4±3.3 ㎜)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side. The ipsilateral femur showed mild over-growth (0.9 ㎜±3.7), and the final leg length discrepancy was 5.3 ㎜±5.4. Four ipsilateral femurs showed overgrowth > 10 ㎜. Gender, the level of the fractures and associated fibular fractures did not affect the overgrowth of the fractured tibia (p>0.05). However, age might affect the amount of overgrowth (p=0.005). Conclusion: Tibial shaft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with a long leg cast showed variable overgrowth. The final leg length discrepancy was influenced by the overgrowth of the ipsilateral femur as well as by overgrowth of the tibia.

      • KCI등재

        지진에 의한 댐 붕괴 모의에 관한 연구

        김하룡(Hayong Kim),조문수(Moonsu Jo),주진걸(Jingul Joo)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5

        최근 한반도에서도 지진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수지·댐 붕괴 등에 따른 비상대처계획에서는 홍수에 의한 경우만을 고려하고 있으며, 지진에 의한 댐 파괴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의한 댐 붕괴를 모의하였다.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 및 하류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진에 의한 댐붕괴시 하류 영향과 PMF에 의한 댐 붕괴의 영향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지진에 의해 댐이 붕괴되었을 때 하류의 첨두홍수량이 PMF에 의한 것의 44.9%~86.7%로 모의되었다. 지진에 의해 댐이 붕괴되었을 때 하류의 첨두수위는 PMF에 의한 것의 96.9%~64.4%로 모의되었다. 본 연구결과 비 강우시 지진에 의한 댐 붕괴도 하류에 심대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댐의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지진에 의한 파괴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ccurrence of earthquakes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current emergency action plans for dam and reservoir failures only consider scenarios related to flooding but ignore dam collapses caused by earthquakes. In this study, we simulated dam collapses caused by earthquakes. We focused on the Chungju Dam watershed loc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and analyzed the dam collapse and downstream impacts using the DAMBRK model. We compared the downstream impacts of dam collapse caused by earthquakes with those caused by the PMF. When the dam collapsed because of an earthquake, the estimated peak flood discharge downstream was 44.9%-86.7% of that of the PMF scenario. Similarly, the simulated peak water level downstream when the dam collapsed due to an earthquake was 64.4%-96.9% of that of the PMF scenari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m collapses caused by seismic events, even in the absence of rainfall, can lead to significant damage downstream. Therefore, future emergency action plans for dams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 for dam failures caused by earthqua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